KR102393809B1 - 응축수 모듈용 히트 싱크 및 이를 이용한 자급관수 화분 - Google Patents

응축수 모듈용 히트 싱크 및 이를 이용한 자급관수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809B1
KR102393809B1 KR1020190156194A KR20190156194A KR102393809B1 KR 102393809 B1 KR102393809 B1 KR 102393809B1 KR 1020190156194 A KR1020190156194 A KR 1020190156194A KR 20190156194 A KR20190156194 A KR 20190156194A KR 102393809 B1 KR102393809 B1 KR 102393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ink
temperature
sink
thermoelectric element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6666A (ko
Inventor
김철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Priority to KR1020190156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809B1/ko
Publication of KR20210066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2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of thermo-electric units or the Peltier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급관수 화분의 응축수 모듈용 히트 싱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열전소자의 흡열현상이 발생되는 부분에 구비된 히트 싱크와; 상기 히트 싱크에 구비된 온도 감지부와; 봄,여름,가을,겨울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받으며, 상기 선택된 모드의 설정 온도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값과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설정된 온도값을 비교하여 설정치 온도값과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열전소자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하는 온도 제어부; 및 상기 히트 싱크와 대응되게 열전소자에 구비된 냉각팬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히트 싱크의 표면 온도가 계절별로 최적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액화율의 변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충분한 량의 물이 확보되어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응축수 모듈용 히트 싱크 및 이를 이용한 자급관수 화분{HEAT SINK FOR THE CONDENSATED WATER MODULE AND SELF-SUFFICIENCY PIPE NUMBER FLOWERPO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응축수 모듈용 히트 싱크 및 이를 이용한 자급관수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펠티에(Peitier) 효과를 갖는 열전소자의 구동에 의하여 히트 싱크에서 공기중의 습기가 액화되어 물로 변화되는 과정 중 히트 싱크의 표면 온도가 계절별로 최적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여 액화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이러한 기능을 갖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내부에 흙을 담고 식물을 심을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며, 바닥면에 물의 배수를 위한 배수공이 형성되고, 저면 바닥에는 대부분 걸림망을 깔아 사용한다.
화분에 물 공급하는 방식은 화분 위에서 식물과 흙 표면상으로 직접 물을 공급하기 때문에 흙에 스며든 물이 빠른 속도로 흙을 통과하여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데 식물의 수분 흡수 정도에 따라 매일 또는 2 ~ 3일 간격으로 자주 물을 공급하여야 하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공급된 물이 배수구를 통해 배출될때 내부의 흙까지 배출되어 주변을 지저분하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과잉 공급시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며, 물 낭비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9-26070호(2019.3.13)의 자동화된 화분 식물용 물 공급장치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물 공급장치는 식물이 식재된 화분 내의 토양에 포함된 수분량을 측정하여 식물에 수분을 효과적으로 공급되도록 하였으나, 이를 위해 별도의 물탱크를 비롯하여 습도센서와 펌프 및 디스플레이 수단이 갖추어지도록 하고, 물탱크에 식물 급수를 위한 물이 항상 일정량 이상으로 채워져 있어야 되는 것을 확인한 후 부족할 경우 물을 채워야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제10-2018-56434호(2018.5.29)의 수직녹화화분이 제안되었고, 제안된 수직녹화화분은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대기중의 수분이 액화되어 집수조에 채워지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별도의 물공급 없이도 녹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으나, 대기중의 온도 즉,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대기 온도의 영향으로 인하여 수분의 액화율에 변화가 발생하게 됨에 따라 충분한 물이 확보되지 못해 식물이 고사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기존에 방법과 같이 별도로 물을 공급해야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8-56434호(2018.5.29)
본 발명은 열전소자의 구동에 따른 저온이 유지되는 히트 싱크의 표면 온도가 계절별로 최적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여 액화율의 변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액화율을 높여 충분한 량의 물이 확보되어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외부로부터 별도의 물을 공급하지 않은 상태에서 화분에 충분한 량의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화분에 심겨진 식물이 고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열전소자의 흡열현상이 발생되는 부분에 구비된 히트 싱크와; 상기 히트 싱크에 구비된 온도 감지부와; 봄,여름,가을,겨울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받으며, 상기 선택된 모드의 설정 온도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값과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설정된 온도값을 비교하여 설정치 온도값과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열전소자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하는 온도 제어부; 및 상기 히트 싱크와 대응되게 열전소자에 구비된 냉각팬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히트 싱크는 평판형태를 갖는 싱크 몸체와; 상기 싱크 몸체의 배면에 구비된 싱크 부착부; 및 상기 싱크 몸체의 전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된 다수개의 싱크팬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히트 싱크 몸체, 싱크 부착부 및 싱크팬은 금속재 또는 비금속재를 이용하여 압출 또는 사출 성형된 것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히트 싱크의 표면 현재온도와 표면 설정온도를 표시하고, 설정버튼을 통해 인버터부의 전압,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봄, 가을 모드의 설정 온도는 히트 싱크의 표면 온도가 4 ~ 6℃가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여름 모드의 설정 온도는 히트 싱크의 표면 온도가 6℃ ~ 8℃가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겨울 모드의 설정 온도는 히트 싱크의 표면 온도가 1 ~ 5℃가 유지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온도 제어부는 제어신호에 따른 인버터부에 의하여 열전소자로 인가되는 전압이 조절되어 열전소자로부터 발생되는 흡열온도가 제어됨으로서, 상기 히트 싱크의 표면 온도가 설정치 온도와 일치되게 유지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온도 제어부는 제어신호에 따른 인버터부에 의하여 냉각팬의 회전속도를 가감함으로써, 상기 히트 싱크의 표면온도가 설정치와 일치되게 유지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냉각팬의 회전은 제어신호에 따라 정방향으로 구동될 경우, 외기가 흡입되는 과정에서 공기중의 습기가 액체상태로 변화되도록 하고, 역방향으로 구동될 경우, 화분 몸체(710)의 공간부(711)를 통해 대기중의 공기가 흙을 통해 물저장부(720)를 경유한 후 외기 유입구(730)를 통해 배출됨에 따라 공기정화 기능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온도 제어부는 제어 회로를 갖는 기판에 별도의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이 구비됨으로서, 핸드폰 어플을 이용하여 실내 온습도와 실내 공기질을 실시간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히트 싱크의 온도를 확인하여 열전소자의 구동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열전소자의 흡열현상이 발생되는 부분에 구비된 히트 싱크와; 상기 히트 싱크에 구비된 온도 감지부와; 봄,여름,가을,겨울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받으며, 상기 선택된 모드의 설정 온도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값과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설정된 온도값을 비교하여 설정치 온도값과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열전소자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하는 온도 제어부; 및 상기 히트 싱크와 대응되게 열전소자에 구비된 냉각팬이 화분 몸체의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는 물저장부의 외기 유입구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저장부는 심지의 하부가 물에 잠겨지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심지의 상부는 흙속에 매립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펠티에 효과를 갖는 열전소자의 구동에 의하여 히트 싱크에서 공기중의 습기가 액화되어 물로 변화되는 과정 중 히트 싱크의 표면 온도가 계절별로 최적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계절별 온도 변화에 따른 액화율에 변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유지관리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공기중의 습기가 액체상태로 변화되는 액화율을 높여 충분한 물이 확보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외부로부터 별도의 물을 공급하지 않은 상태에서 화분에 충분한 량의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분에 심겨진 식물이 고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분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모듈용 히트 싱크를 갖는 자급관수 화분을 도시한 것으로서, 팬 양방향 구동타입을 통해 공기가 정화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모듈용 히트 싱크를 갖는 자급관수 화분을 도시한 것으로서, 팬 양방향 구동타입을 통해 물이 생성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모듈용 히트 싱크를 갖는 자급관수 화분을 도시한 것으로서, 정화를 위한 팬이 별도로 구동되는 타입으로 공기정화와 동시에 물이 생성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모듈용 히트 싱크를 갖는 자급관수 화분을 도시한 것으로서, 팬의 구동에 따른 오염된 공기가 정화되는 가운데 상시 관수가 순환되는 수경재배 타입을 도시한 예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급관수 화분의 응축수 모듈용 히트 싱크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히트 싱크는 공기중의 습기가 액화되어 물로 변화되는 과정 중 표면 온도가 계절별로 최적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여 계절별 온도 변화에 따른 액화율에 변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충분한 물이 확보되도록 하여 화분에 심겨진 식물이 고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모듈용 히트 싱크를 갖는 자급관수 화분을 도시한 것으로서, 팬 양방향 구동타입을 통해 공기가 정화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히트 싱크(100)를 설명하기에 앞서 히트 싱크(100)가 적용된 자급관수 화분은 먼저 설명하면, 자급관수 화분(70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711)를 갖는 화분 몸체(710)의 하부에 수분이 포집된 물(W)이 저장되는 물저장부(720)가 화분 몸체(710)의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고, 물저장부(720)의 측벽은 오픈된 외기 유입구(730)가 구비되어 있고, 외기 유입구(730)가 구비된 내측으로 위치된 물저장부(720)의 상부에 자급관수를 위한 응축수 모듈(74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응축수 모듈(740)은 열전소자(TL)를 펠티에(Peitier) 효과 즉, 전류의 흐름에 따라 일측에서는 흡열현상이 발생되어 주변 열을 흡수하여 저온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가운데 타측에서는 열을 방출하는 발열현상이 발생되어 고온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열전소자(TL)의 일측인 화분 몸체(710)의 하부로 구비된 물저장부(720)의 내측으로는 냉각팬(741)이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고, 냉각팬(741)과 대응되는 물저장부(720)의 외측인 외기 유입구(730)측에는 본 발명에 특징인 히트 싱크(100)가 구비됨으로써, 냉각팬(741)의 구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입력과 토출력에 의하여 외기가 외기 유입구(730)를 통해 내부로 유입 또는 흡입되는 과정에서 열전소자(TL)의 흡열현상에 의하여 히트 싱크(100)가 낮은 온도가 유지됨에 따라 히트 싱크(100)의 표면에 공기중의 수분이 이슬로 맺히는 액화현상으로 물방울이 형성되고, 이때 형성된 물방울은 자중에 의하여 바닥으로 낙하되어 물저장부(720)에 저장되어 자급관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물저장부(720)에는 화분 몸체(710)의 상부로 식물의 뿌리를 지지하고 있는 흙속으로 물이 이송되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심지(750)의 하부가 물에 잠겨지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심지(750)의 상부는 흙속에 매립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비되어 삼투압 현상에 의하여 일정량의 물이 지속적으로 흙속으로 공급됨에 따라 식물이 고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모듈용 히트 싱크를 갖는 자급관수 화분을 도시한 것으로서, 팬 양방향 구동타입을 통해 물이 생성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제어신호에 따라 냉각팬(500)의 회전이 정방향으로 구동될 경우, 외기가 흡입될 때 공기중의 습기가 액체상태로 변화되는 과정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어신호에 따라 냉각팬(500)의 회전이 역방향으로 구동될 경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 주위로 있는 오염공기는 화분 몸체(710)의 공간부(711)에 채워진 토양층과 식물뿌리층에 의하여 정화된 후 물저장부(720)를 경유한 후 외기 유입구(730)를 통해 배출됨에 따라 공기를 정화시켜 주변의 공기가 쾌적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냉각팬(500)이 역방향으로 구동될 경우, 열전소자(TL)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모듈용 히트 싱크를 갖는 자급관수 화분을 도시한 것으로서, 정화를 위한 팬이 별도로 구동되는 타입으로 공기정화와 동시에 물이 생성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냉각팬(500)의 정역 구동을 통해 습기로부터 액체를 얻거나,외기가 화분 몸체(710)를 통해 외기 유입구(730)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공기가 정화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별도의 팬을 구비할 경우, 냉각팬(500)의 정역 구동 없이도 단독모드로 공기가 정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때 별도의 팬이 구비된 부분으로 물주입구를 구비하여 물이 외부로부터 주입되도록 할 수 있으며, 물이 주입되는 하부에 부력식 수위레벨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부력식 수위레벨의 상단이 물이 주입되는 부분과 일치될 경우, 충분한 물이 있음을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고, 부력식 수위레벨의 상단이 물이 주입되는 부분으로부터 하부로 삽입된 경우 바닥에 물이 없음을 인지하여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모듈용 히트 싱크를 갖는 자급관수 화분을 도시한 것으로서, 팬의 구동에 따른 오염된 공기가 정화되는 가운데 상시 관수가 순환되는 수경재배 타입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물저장부(720)의 상부에 자급관수를 위한 응축수 모듈(740)이 구비되고, 냉각팬(741)의 구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입력과 토출력에 의하여 외기가 외기 유입구(730)를 통해 내부로 유입 또는 흡입되는 과정에서 열전소자(TL)의 흡열현상에 의하여 히트 싱크(100)가 낮은 온도가 유지됨에 따라 히트 싱크(100)의 표면에 공기중의 수분이 이슬로 맺히는 액화현상으로 물방울이 형성되고, 물방울이 자중에 의하여 바닥으로 낙하되어 물저장부(720)에 저장되어 자급관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동일한 구성의 응축수 모듈이 구비되어 냉각팬이 구동됨으로써,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흡입되어 정화된 후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액화현상으로 발생된 물방울이 자중에 의하여 하부로 흘러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물저장부에는 상시 관수순환되도록 하기 위한 관수펌프와 정전식 스위센서를 구비하여 일정한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수경재배 타입의 형태에 적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급관수 화분의 응축수 모듈용 히트 싱크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히트 싱크(100)는 열전소자(TL)를 이용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이 물방울로 상변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과정에서 계절별 온도변화에 영향없이 최적의 액화율이 유지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는 것으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 싱크(100), 온도 감지부(200), 입력부(300), 온도 제어부(400) 및 냉각팬(500)이 포함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히트 싱크(100)는 전류가 인가됨과 동시에 흡열현상과 발열현상이 발생되는 열전소자(TL)의 흡열현상이 발생되는 부분에 결합된 것으로, 평판형태를 갖는 싱크 몸체(110)의 배면에 열전소자(TL)에 부착 또는 밀착되도록 하는 싱크 부착부(120)가 구비되어 있고,상기 싱크 몸체(110)의 전면에 최대한 넓은 단면적을 확보하기 위한 다수개의 싱크팬(130)이 소정 길이로 돌출되는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히트 싱크 몸체(110), 싱크 부착부(120) 및 싱크팬(130)은 열교환율 또는 전도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금속재 또는 비금속재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된 것으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압출 성형된 경우에는 열전소자(TL)의 길이 또는 크기에 맞게 절단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히트 싱크 몸체(110), 싱크 부착부(120) 및 싱크팬(130)이 일체로 구비되도록 하기 위하여 압출 성형 이외에 사출 성형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온도 감지부(200)는 봄, 여름, 가을, 겨울 대기의 온도가 급변하는 상황속에서 히트 싱크(100)의 표면 온도가 항상 일정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열손실을 줄이는 가운데 액화율이 최대한 크게 확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히트 싱크(100)에 부착되어 실시간으로 표면 온도가 감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입력부(300)는 봄,여름,가을,겨울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적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가운데 상기 선택된 모드의 설정 온도가 입력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입력부(300)는 히트 싱크(100)의 표면 현재 온도와 표면 설정 온도가 표시되도록 하고, 설정버튼(310)을 누름과 동시에 인버터부(410)의 전압, 주파수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320)가 구비되어 있고, 별도의 조작부(330)가 구비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하는 가운데 다양한 기능이 추가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봄, 가을 모드의 설정 온도는 히트 싱크의 표면 온도가 4 ~ 6℃가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여름 모드의 설정 온도는 히트 싱크의 표면 온도가 6℃ ~ 8℃가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겨울 모드의 설정 온도는 히트 싱크의 표면 온도가 1 ~ 5℃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봄, 가을 모드는 히트 싱크(100)의 최적 표면 온도가 약4~6℃가 유지되도록 할 경우, 액화율의 증가로 인하여 물 생성 효율성이 최대한 향상될 수 있게 되고, 여름 모드는 히트 싱크(100)의 온도가 약6℃ 이상으로 설정할 경우, 물 생성량이 과다하게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겨울 모드는 히트 싱크(100)의 표면 온도가 약1~5℃ 사이가 유지되도록 할 경우, 물이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온도 제어부(400)는 온도 감지부(200)에서 감지된 온도값과 입력부(300)로부터 입력된 설정된 온도값을 비교하여 설정치 온도값과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열전소자(TL)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온도 제어부(400)는 제어신호에 따른 인버터부(410)에 의하여 열전소자(TL)로 인가되는 전압이 조절되어 열전소자(TL)로부터 발생되는 흡열온도가 제어됨으로서, 상기 히트 싱크(100)의 표면 온도가 설정치 온도와 일치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온도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인버터부(410)에서 열전소자(TL)로 인가되는 전압이 조절되어 흡열온도가 제어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제어신호에 따른 인버터부(410)에서 전압과 주파수가 변환되도록 하고, 변환된 신호에 따라 냉각팬(500)의 회전속도가 가감되어 외부로부태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량과 속도가 조절됨으로써, 히트 싱크(100)의 표면온도가 설정치와 일치되게 유지되어 계절의 대기 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최적의 액화율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온도 제어부(400)의 제어는 관리자가 직접 입력부(300)의 설정버튼(310)과 버튼 조작부(340)를 조작하여 제어가 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제어 회로를 갖는 기판에 별도의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TWM)이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핸드폰 어플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TWM)과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실내 온습도와 실내 공기질을 실시간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히트 싱크(100)의 온도를 확인하여 열전소자(TL)의 구동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히트 싱크 110:싱크 몸체
120:싱크 부착부 130:싱크팬
200:온도 감지부 300:입력부
310:설정버튼 320:디스플레이부
330:조작부 400:온도 제어부
410:인버터부 500:냉각팬
TL:열전소자

Claims (10)

  1. 열전소자의 흡열현상이 발생되는 부분에 구비된 히트 싱크와;
    상기 히트 싱크에 구비된 온도 감지부와;
    히트 싱크의 표면 현재 온도와 표면 설정 온도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봄,여름,가을,겨울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받으며, 상기 선택된 모드의 설정 온도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값과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설정된 온도값을 비교하여 설정치 온도값과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열전소자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하는 온도 제어부; 및
    상기 히트 싱크와 대응되게 열전소자에 구비된 냉각팬이 포함되며,
    상기 온도 제어부는
    제어신호에 따른 인버터부에 의하여 열전소자로 인가되는 전압이 조절되어 열전소자로부터 발생되는 흡열온도가 제어됨으로서, 상기 히트 싱크의 표면 온도가 설정치 온도와 일치되게 유지되고,
    상기 봄, 가을 모드의 설정 온도는 히트 싱크의 표면 온도가 4 ~ 6℃가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여름 모드의 설정 온도는 히트 싱크의 표면 온도가 6℃ ~ 8℃가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겨울 모드의 설정 온도는 히트 싱크의 표면 온도가 1 ~ 5℃가 유지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급관수 화분의 응축수 모듈용 히트 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는
    평판형태를 갖는 싱크 몸체와;
    상기 싱크 몸체의 배면에 구비된 싱크 부착부; 및
    상기 싱크 몸체의 전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된 다수개의 싱크팬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급관수 화분의 응축수 모듈용 히트 싱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 몸체, 싱크 부착부 및 싱크팬은 금속재 또는 비금속재를 이용하여 압출 또는 사출 성형된 것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급관수 화분의 응축수 모듈용 히트 싱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입력부는 설정버튼을 통해 인버터부의 전압,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자급관수 화분의 응축수 모듈용 히트 싱크.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제어부는 제어신호에 따른 인버터부에 의하여 냉각팬의 회전속도를 가감함으로써, 상기 히트 싱크의 표면온도가 설정치와 일치되게 유지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냉각팬의 회전은 제어신호에 따라 정방향으로 구동될 경우, 외기가 흡입되는 과정에서 공기중의 습기가 액체상태로 변화되도록 하고, 역방향으로 구동될 경우, 화분 몸체(710)의 공간부(711)를 통해 대기중의 공기가 흙을 통해 물저장부(720)를 경유한 후 외기 유입구(730)를 통해 배출됨에 따라 공기정화 기능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급관수 화분의 응축수 모듈용 히트 싱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제어부는
    제어 회로를 갖는 기판에 별도의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이 구비됨으로서, 핸드폰 어플을 이용하여 실내 온습도와 실내 공기질을 실시간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히트 싱크의 온도를 확인하여 열전소자의 구동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급관수 화분의 응축수 모듈용 히트 싱크.
  9. 삭제
  10. 삭제
KR1020190156194A 2019-11-28 2019-11-28 응축수 모듈용 히트 싱크 및 이를 이용한 자급관수 화분 KR102393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194A KR102393809B1 (ko) 2019-11-28 2019-11-28 응축수 모듈용 히트 싱크 및 이를 이용한 자급관수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194A KR102393809B1 (ko) 2019-11-28 2019-11-28 응축수 모듈용 히트 싱크 및 이를 이용한 자급관수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666A KR20210066666A (ko) 2021-06-07
KR102393809B1 true KR102393809B1 (ko) 2022-05-04

Family

ID=76374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194A KR102393809B1 (ko) 2019-11-28 2019-11-28 응축수 모듈용 히트 싱크 및 이를 이용한 자급관수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80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8732A (ja) * 2004-05-18 2005-12-02 Ccs Inc 植物育成装置及び温度制御回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21A (ja) * 1997-06-11 1999-01-06 Zexel Corp 熱交換型換気装置
KR101398536B1 (ko) * 2012-05-09 2014-05-27 안영후 자동급수 화분
KR101922439B1 (ko) 2016-11-18 2018-11-29 대한민국 수직녹화화분
KR20190047781A (ko) * 2017-10-30 2019-05-09 김병훈 식물재배장치와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8732A (ja) * 2004-05-18 2005-12-02 Ccs Inc 植物育成装置及び温度制御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666A (ko)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3661B2 (ja) 壁面緑化植栽装置
KR102061403B1 (ko) 가정용 식물재배를 위한 스마트 식물재배장치
JP4629713B2 (ja) 屋外用緑化装置及び屋外用緑化システム
KR101128472B1 (ko) 빗물을 이용한 고속도로용 식생구조
CN107182632A (zh) 滴灌管地埋式农业大棚系统及大棚种植方法
KR20120007420A (ko) 적층 서랍식 식물재배기
KR200469809Y1 (ko) 원예 재배기
KR20110029795A (ko) 빗물을 이용한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
KR101510463B1 (ko) 다층 화분
US20130025196A1 (en) System for displaying plants
KR102393809B1 (ko) 응축수 모듈용 히트 싱크 및 이를 이용한 자급관수 화분
KR20150052529A (ko) 자동 관수 화분
KR20120113389A (ko) 자동급수장치
JP2002119137A (ja) 植物栽培用ユニット及び植物の栽培方法及び屋上緑化装置及び屋上緑化の方法及び毛細管用弁。
KR101911363B1 (ko)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
US20200128767A1 (en) Plant pot insert
KR101419123B1 (ko) 수경재배를 이용한 옥상녹화장치
US20110232185A1 (en) Collapsible rack and row planters
JP6491618B2 (ja) 複合農業施設
JP2002345342A (ja) 水位調節装置、水位調節可能な水受け器および水位調節可能なプランター
KR101280123B1 (ko)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
KR20180086862A (ko) 식물 관리장치
US6701666B1 (en) System for domestic cultivation of exotic plants including in-ground irrigation and aeration system
CN211020163U (zh) 一种阳台楼顶有机仿大田栽培设备
NL2005853C2 (en) Hydroponic method and device of bulbous pl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