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181B1 - 다공성 경량 소결체를 이용한 식생구조체 - Google Patents

다공성 경량 소결체를 이용한 식생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181B1
KR101225181B1 KR1020120067397A KR20120067397A KR101225181B1 KR 101225181 B1 KR101225181 B1 KR 101225181B1 KR 1020120067397 A KR1020120067397 A KR 1020120067397A KR 20120067397 A KR20120067397 A KR 20120067397A KR 101225181 B1 KR101225181 B1 KR 101225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in housing
planting
space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7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준성
Original Assignee
오준성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준성,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준성
Priority to KR1020120067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1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공성 경량소결체를 이용한 식생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식생대상 식물이 식재되며 다수의 통기홀을 갖는 망구조로 형성된 식재망틀과, 상부가 개방되고 메인 내부 공간에 저수가 가능한 저수공간이 형성된 메인 하우징과, 식재망틀을 메인 하우징 내의 메인 바닥면으로부터 저수공간 보다 높은 위치의 상방으로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메인 하우징 내에 설치된 받침대와, 메인 하우징의 저수공간에 하부가 침적되게 설치되되 받침대 위에 지지되게 설치된 식재망틀을 통해 식재망틀 내부까지 연장되어 저수공간에 저수된 물을 모세관 현상에 의해 내부 식재망틀의 내부로 수분을 이동시키는 수분공급로를 형성하는 수분이동체 및 메인 하우징의 저수공간에 저수된 수위에 연동하여 메인 하우징 외부로 저수레벨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수위표시기를 구비한다. 이러한 다공성 경량소결체를 이용한 식생구조체에 의하면, 저수공간에 저수된 물의 수위 변화를 외부에서 수위 표시기의 눈금정보를 이용하여 쉽게 확인할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하고, 외부 및 내부 식재망틀 사이에 충진된 다공성 경량소결체에 의한 공기유통공간에 의해 뿌리의 성장 효율을 촉진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공성 경량 소결체를 이용한 식생구조체{vegetation structure using porous sintered body}
본 발명은 다공성 경량 소결체를 이용한 식생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다수의 식재망틀에 식재된 식물의 통기성을 향상시키면서 저수공간에 저수된 물을 모세관 현상에 의해 공급할 수 있도록 된 다공성 경량 소결체를 이용한 식생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녹지가 적은 도시환경에 대해 미관 및 녹화 목적으로 사람 및 차량의 통행이 많은 도로 주변이나 도로 중간의 중앙분리대에 화분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러한 거리 미화용 화분은 국내 등록특허 제10-0339613호 등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화분은 빗물등에 의해 수분공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건조기 동안에는 관리자가 일일이 물을 공급해 주어야만 하고, 화분 자체의 수분 수용능력이 작아 물 공급 관리주기가 매우 짧아 관리상의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관리상의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 양액수조를 별도로 마련하여 화분에 심지를 통해 양액을 공급할 수 있는 장치가 국내 공개특허 제2002-0025754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장치는 양액의 고갈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심지 방식에 의해 저수공간에 저수된 물이 식생된 식물에 공급되게 하면서도 저수량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해주면서도 뿌리의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구조의 다공성 경량 소결체를 이용한 식생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경량 소결체를 이용한 식생구조체는 식생대상 식물이 식재되며 다수의 통기홀을 갖는 망구조로 형성된 식재망틀과; 상부가 개방되고 메인 내부 공간에 저수가 가능한 저수공간이 형성된 메인 하우징과; 상기 식재망틀을 상기 메인 하우징 내의 메인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저수공간 보다 높은 위치의 상방으로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하우징 내에 설치된 받침대와;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기 저수공간에 하부가 침적되게 설치되되 상기 받침대 위에 지지되게 설치된 상기 식재망틀을 통해 상기 식재망틀 내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저수공간에 저수된 물을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내부 식재망틀의 내부로 수분을 이동시키는 수분공급로를 형성하는 수분이동체; 및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기 저수공간에 저수된 수위에 연동하여 상기 메인 하우징 외부로 저수레벨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수위표시기;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재망틀은 식생대상 식물이 식재되는 제1내부공간 하부의 제1바닥면에는 상기 수분이동체가 삽입되는 제1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삽입공 보다 작은 크기의 다수의 제1통기홀이 형성된 내부 식재망틀과; 상기 내부 식재망틀이 내부에 이격되게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식재망틀 보다 크고 상부가 개방된 제2내부공간을 갖게 형성되어 있고, 제2내부공간 하부의 제2바닥면에는 상기 수분이동체가 삽입되는 제2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삽입공 보다 작은 다수의 제2통기홀이 형성된 외부 식재망틀;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 식재방틀과 상기 내부 식재망틀 사이의 이격공간에는 다공성 경량 소결체로 채워진다.
또한, 상기 받침대는 수평상으로 연장되며 다수의 제3통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분이동체가 관통되는 제3삽입공 및 상기 수위 표시기가 관통되는 제4삽입공이 형성된 수평판과; 상기 메인 하우징의 메인 바닥면에 지지되게 상기 수평판으로부터 상호 이격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다리판;을 구비하고, 상기 수분 이동체는 상하로 관통되는 중공을 갖되 하부의 외주면에 통수공이 다수 형성된 수용관체와; 상기 수용관체 내에 삽입되어 상기 저수공간에 저수된 물을 흡수하는 소재로 형성된 수분흡수심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위 표시기는 상기 저수공간에 저수된 물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되는 부표와; 상기 부표로부터 상기 제3삽입공을 통해 상기 메인 하우징 상부까지 연장되며 상단에 수위레벨을 안내하는 눈금이 새겨진 수직연동바;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하우징의 측면에는 급수 또는 배수를 위해 상기 저수공간과 연통되게 마련된 다수의 유출공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하우징의 급수용 유출공에는 상기 메인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결합관;을 더 구비하고,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기 메인 내부공간은 상기 외부식재망틀이 다수 설치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경량 소결체를 이용한 식생구조체에 의하면, 저수공간에 저수된 물의 수위 변화를 외부에서 수위 표시기의 눈금정보를 이용하여 쉽게 확인할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하고, 외부 및 내부 식재망틀 사이에 충진된 다공성 경량소결체에 의한 공기유통공간에 의해 뿌리의 성장 효율을 촉진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경량소결체를 이용한 식생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식생구조체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내부 식재망틀과 외부 식재망틀을 발췌하여 분리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받침대의 일부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수분이동체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공성 경량소결체를 이용한 식생구조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경량소결체를 이용한 식생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식생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경량소결체를 이용한 식생구조체(100)는 메인 하우징(110), 식재망틀(120), 받침대(140), 수분이동체(150) 및 수위표시기(170)를 구비한다.
메인 하우징(110)은 상부가 개방되고 메인 내부 공간(112)에 저수가 가능한 저수공간(114)이 형성되어 있고, 저수공간(114)에 저수되는 물의 수위의 상한 레벨을 제한하면서도 급수용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측면에는 급수 또는 배수를 위해 저수공간과 연통되게 마련된 다수의 유출공(117a)(117b)이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117a는 급수용으로 이용하기 위한 급수용 유출공이고, 참조부호 117b는 배출용으로 이용할 수 있게 형성된 배수용 유출공이다.
메인 하우징(110)의 급수용 유출공(117a)에는 메인 하우징(110)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결합관(118)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결합관(118)은 도시된 예와 다르게 급수용 유출공(117a)의 개폐가 가능한 개폐밸브를 갖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다르게는 결합관(118)을 개폐하는 마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110)의 메인 내부공간(112)은 후술되는 식재망틀(120)이 다수 설치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도시된 예에서는 6개의 식재망틀(120)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식재망틀(120)은 식생대상 식물이 식재되며 다수의 통기홀을 갖는 망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 식재망틀(121)과 외부 식재망틀(126)이 한 쌍을 이룬 구조로 되어 있고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내부 식재망틀(121)은 식생대상 식물이 식재되며 상부가 열린 제1내부공간(121a)을 갖으며, 하부의 제1바닥면(121b)에는 수분이동체(150)가 삽입되는 제1삽입공(123)이 형성되어 있고, 제1삽입공(123) 보다 작은 크기의 다수의 제1통기홀(122)이 형성된 격자망틀 구조로 되어 있다.
내부 식재망틀(121) 내에는 수밀리 크기의 다공성 경량소결체 또는 다공성 경량소결체를 분쇄한 분말에 토양을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식물을 식재할 수 있게 하면 된다.
외부 식재망틀(126)은 내부 식재망틀(121)이 내부에 이격되게 수용될 수 있도록 식재망틀(121) 보다 크고 상부가 개방된 제2내부공간(126a)을 갖게 형성되어 있고, 제2내부공간(126a) 하부의 제2바닥면(126b)에는 수분이동체(150)가 삽입되는 제2삽입공(128)이 형성되어 있고, 제2삽입공(128) 보다 작은 다수의 제2통기홀(127)이 형성된 격자망틀 구조로 되어 있다.
외부 식재망틀(126)과 내부 식재망틀(121) 사이의 이격공간(131)에는 다공성 경량소결체(133)로 채워져 있다.
여기서, 다공성 경량소결체(133)는 레드머드와 하수슬러지를 혼합하여 3 내지 5mm의 볼형태로 소결한 것을 적용하면 되고,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등록특허 제10-0234149호에 개시되어 있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받침대(140)는 외부 식재망틀(126)을 메인 하우징(110) 내의 메인 바닥면(119)으로부터 저수공간(114) 보다 높은 위치 즉, 유출공(117a)(117b) 형성 위치 보다 높은 상방으로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메인 하우징(110) 내에 설치되어 있고,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받침대(140)는 설명의 편의상 구분하면 수평판(141)과 복수개의 다리판(146)으로 되어 있다.
수평판(141)은 수평상으로 연장된 얇은 판형으로 형성된 부분으로 다수의 제3통기홀(142)이 형성되어 있고, 수분이동체(150)가 관통되는 제3삽입공(143) 및 수위 표시기(170)가 관통되게 삽입되기 위한 제4삽입공(144)이 형성되어 있다.
다리판(146)은 메인 하우징(110)의 메인 바닥면(119)에 접촉에 의해 지지되게 수평판(141)의 저면으로부터 상호 이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표면에 다수의 제4통기홀(147)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3통기홀(142) 및 제4통기홀(144)은 통수기능도 함은 물론이다.
수분이동체(150)는 메인 하우징(110)의 저수공간(114)에 하부가 침적되게 설치되되 받침대(140) 위에 지지되게 설치된 식재망틀(120)을 통해 내부 식재망틀(121)의 내부까지 연장되어 저수공간(114)에 저수된 물을 모세관 현상에 의해 내부 식재망틀(121)의 내부로 수분을 이동시킬 수 있는 수분공급로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수분이동체(150)는 수용관체(151)와 수분흡수 심부(153)로 되어 있다.
수용관체(15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관통되는 중공을 갖되 하부의 외주면에 중공과 연통되는 다수의 통수공(155)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수분흡수심부(153)는 수용관체(151) 내에 삽입되어 저수공간(114)에 저수된 물을 흡수하는 소재 예를 들면,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수위표시기(170)는 메인 하우징(110)의 저수공간(114)에 저수된 수위에 연동하여 메인 하우징(110) 외부로 저수레벨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수위 표시기(170)는 저수공간(114)에 저수된 물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되는 부표(171)와, 부표(171)에 접합되어 부표로부터 제3삽입공(144)을 통해 메인 하우징(110) 보다 높이가 높게 상부까지 연장되며 상단에 수위레벨을 안내하는 눈금이 새겨진 눈금표기부분(176)을 갖는 수직연동바(173)로 되어 있다.
수직연동바(173)의 눈금 표기부분(176)의 상단에는 수위 표시기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단이 뽀족하고 하방으로 진행할 수록 폭이 확장된 삼각형 형태의 화살표시 마커부분(177)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수위 표시기(170)가 내부에 이격되게 수용될 수 있는 중공형 관(미도시)을 제3삽입공(144)에 삽입하여 수위 표시기(170)가 중공형 관 내에서 승하강 되게 할 수 있고, 중공형 관의 하부에는 물이 입출될 수 있는 통수홀을 다수 형성한 구조를 적용하면 된다. 이와는 다르게 중공형 관을 생략하는 경우 제3삽입공(144)은 수직 연동바(173)와의 이격거리가 다공성 경량 소결체(133)의 크기보다 작게 적절하게 형성하면 된다.
한편, 받침대(140)의 상면에 일정두께로 다공성 경량소결체로 적층하고, 그 위에 외부 식재망틀(126)이 안착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다공성 경량소결체를 이용한 식생구조체(100)는 길이 500mm, 폭 250mm, 높이 300mm 정도의 소규모로 제작하여 도로 주변이나, 실내 또는 행사장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물공급주기도 15일 이상으로 연장할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식재망틀(120) 사이에 충진된 다공성 경량 소결체(133)에 의한 통기성 확보에 의해 식물성장이 안정화 된다.
110: 메인 하우징 120: 식재망틀
140: 받침대 150: 수분이동체
170: 수위표시기

Claims (4)

  1. 삭제
  2. 식생대상 식물이 식재되며 다수의 통기홀을 갖는 망구조로 형성된 식재망틀과;
    상부가 개방되고 메인 내부 공간에 저수가 가능한 저수공간이 형성된 메인 하우징과;
    상기 식재망틀을 상기 메인 하우징 내의 메인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저수공간 보다 높은 위치의 상방으로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하우징 내에 설치된 받침대와;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기 저수공간에 하부가 침적되게 설치되되 상기 받침대 위에 지지되게 설치된 상기 식재망틀을 통해 상기 식재망틀 내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저수공간에 저수된 물을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내부 식재망틀의 내부로 수분을 이동시키는 수분공급로를 형성하는 수분이동체; 및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기 저수공간에 저수된 수위에 연동하여 상기 메인 하우징 외부로 저수레벨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수위표시기;를 구비하고,
    상기 식재망틀은
    식생대상 식물이 식재되는 제1내부공간 하부의 제1바닥면에는 상기 수분이동체가 삽입되는 제1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삽입공 보다 작은 크기의 다수의 제1통기홀이 형성된 내부 식재망틀과;
    상기 내부 식재망틀이 내부에 이격되게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식재망틀 보다 크고 상부가 개방된 제2내부공간을 갖게 형성되어 있고, 제2내부공간 하부의 제2바닥면에는 상기 수분이동체가 삽입되는 제2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삽입공 보다 작은 다수의 제2통기홀이 형성된 외부 식재망틀;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 식재망틀과 상기 내부 식재망틀 사이의 이격공간에는 다공성 경량소결체로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경량소결체를 이용한 식생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수평상으로 연장되며 다수의 제3통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분이동체가 관통되는 제3삽입공 및 상기 수위 표시기가 관통되는 제4삽입공이 형성된 수평판과;
    상기 메인 하우징의 메인 바닥면에 지지되게 상기 수평판으로부터 상호 이격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다리판;을 구비하고,
    상기 수분 이동체는
    상하로 관통되는 중공을 갖되 하부의 외주면에 통수공이 다수 형성된 수용관체와;
    상기 수용관체 내에 삽입되어 상기 저수공간에 저수된 물을 흡수하는 소재로 형성된 수분흡수심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위 표시기는
    상기 저수공간에 저수된 물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되는 부표와;
    상기 부표로부터 상기 제3삽입공을 통해 상기 메인 하우징 상부까지 연장되며 상단에 수위레벨을 안내하는 눈금이 새겨진 수직연동바;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하우징의 측면에는 급수 또는 배수를 위해 상기 저수공간과 연통되게 마련된 다수의 유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경량소결체를 이용한 식생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하우징의 급수용 유출공에는 상기 메인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결합관;을 더 구비하고,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기 메인 내부공간은 상기 외부식재망틀이 다수 설치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경량소결체를 이용한 식생구조체.
KR1020120067397A 2012-06-22 2012-06-22 다공성 경량 소결체를 이용한 식생구조체 KR101225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397A KR101225181B1 (ko) 2012-06-22 2012-06-22 다공성 경량 소결체를 이용한 식생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397A KR101225181B1 (ko) 2012-06-22 2012-06-22 다공성 경량 소결체를 이용한 식생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5181B1 true KR101225181B1 (ko) 2013-01-22

Family

ID=47842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7397A KR101225181B1 (ko) 2012-06-22 2012-06-22 다공성 경량 소결체를 이용한 식생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18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1058A (ko) * 2014-01-03 2015-07-13 영 성 왕 근권부 환경개선을 위한 높이조절용 2중 식물재배관리기
KR20150130001A (ko) * 2014-05-13 2015-11-23 이태연 가정용 재배용기
KR101821014B1 (ko) * 2015-06-22 2018-01-24 영 성 왕 추비 가능한 교체비료팩을 갖는 식물 재배관리기
KR101911203B1 (ko) * 2018-01-18 2018-10-24 영 성 왕 식물 재배관리기
WO2019240320A1 (ko) * 2018-06-13 2019-12-19 왕영성 무동력 수분공급을 위한 식물재배관리기
KR102281032B1 (ko) * 2020-07-16 2021-07-23 박공영 무심지형의 물 저장고를 형성하는 플랜터
US20220142070A1 (en) * 2020-11-12 2022-05-12 Yuvette Underwood Self-Watering Container
WO2022224235A1 (en) * 2021-04-19 2022-10-27 Terra Studio Ltd. Plant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A (ja) 1996-02-08 1998-01-06 Hong Ku Park 植物成育鉢
KR20030000777A (ko) * 2001-06-27 2003-01-06 강문식 식물 재배용 화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A (ja) 1996-02-08 1998-01-06 Hong Ku Park 植物成育鉢
KR20030000777A (ko) * 2001-06-27 2003-01-06 강문식 식물 재배용 화분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1058A (ko) * 2014-01-03 2015-07-13 영 성 왕 근권부 환경개선을 위한 높이조절용 2중 식물재배관리기
KR101630026B1 (ko) 2014-01-03 2016-06-13 영 성 왕 근권부 환경개선을 위한 높이조절용 2중 식물재배관리기
KR20150130001A (ko) * 2014-05-13 2015-11-23 이태연 가정용 재배용기
KR101675726B1 (ko) * 2014-05-13 2016-11-14 다경실업(주) 가정용 재배용기
KR101821014B1 (ko) * 2015-06-22 2018-01-24 영 성 왕 추비 가능한 교체비료팩을 갖는 식물 재배관리기
KR101911203B1 (ko) * 2018-01-18 2018-10-24 영 성 왕 식물 재배관리기
WO2019240320A1 (ko) * 2018-06-13 2019-12-19 왕영성 무동력 수분공급을 위한 식물재배관리기
KR102281032B1 (ko) * 2020-07-16 2021-07-23 박공영 무심지형의 물 저장고를 형성하는 플랜터
US20220142070A1 (en) * 2020-11-12 2022-05-12 Yuvette Underwood Self-Watering Container
WO2022224235A1 (en) * 2021-04-19 2022-10-27 Terra Studio Ltd. Plant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5181B1 (ko) 다공성 경량 소결체를 이용한 식생구조체
CN106572639B (zh) 模块化容器和模块化灌溉系统
KR101234615B1 (ko) 벽면 조경용 플랜터
KR200420135Y1 (ko) 환경 미화용 분리형 수경화분
CN102577866A (zh) 可蓄供水的道路用花箱
CN214508517U (zh) 一种提高树木移植成活率的植穴结构
KR101315287B1 (ko) 식재 모듈과 이를 갖는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
KR101126188B1 (ko) 물받침이 없는 화분
KR101103585B1 (ko) 화분용 급수장치
CN104221755A (zh) 一种蓄水种植箱
US107722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growing plants in an urban environment
KR101838545B1 (ko) 코이어식생포트용 저면관수장치
CN112449915A (zh) 一种树穴景观维护处理装置
CN203537950U (zh) 一种模块式屋顶绿化种植箱
JP5108225B2 (ja) 緑化容器
KR101457665B1 (ko) 수직 적층형 화분
JP2015077128A (ja) 植木鉢用水位表示装置
KR200475246Y1 (ko) 저면관수형 노변화분
KR101364723B1 (ko) 식생용 매트 및 시공방법
KR101484641B1 (ko) 옥상 녹화구조물
CN207252303U (zh) 一种可折叠蓄水花槽
KR20100055039A (ko) 녹화 장치
KR20110002735A (ko) 배수구멍 없는 화분
CN202551775U (zh) 一种墙体式组合花盆
CN205071766U (zh) 一种缓释肥景观花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