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970B1 - 이종(異種)의 화분을 수용할 수 있는 화분 트레이 - Google Patents
이종(異種)의 화분을 수용할 수 있는 화분 트레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4970B1 KR102334970B1 KR1020200026763A KR20200026763A KR102334970B1 KR 102334970 B1 KR102334970 B1 KR 102334970B1 KR 1020200026763 A KR1020200026763 A KR 1020200026763A KR 20200026763 A KR20200026763 A KR 20200026763A KR 102334970 B1 KR102334970 B1 KR 1023349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owerpot
- tray
- support
- support ring
- circul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5—Trays for receiving multiple po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과 사각형의 화분(포트)를 모두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화분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상면(10)에 종횡으로 복수의 화분 수용부(20)가 형성된 화분 트레이(1)로; 상기 화분 수용부(20)는 상면에서 원형 테두리(21)와 사각형 테두리(22)가 교차하도록 중첩되는 단면 형태를 이루고, 상기 원형 테두리(21)와 사각형 테두리(22)에서 하방으로 지지리브(23,24)가 연장되며, 상기 지지리브(23,24)의 하단은 상면(10)의 원형 테두리(21)와 동심원을 이루되 상대적으로 작은 반경을 이루며 내측은 상하로 관통된 형태의 받침링(25)으로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나의 트레이로 원형과 사각형의 화분(포트) 형태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화분 수용부의 형태를 개선한 이종(異種)의 화분을 수용할 수 있는 화분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 트레이는 화훼농가에서 소형 플라스틱 화분 여러 개를 한꺼번에 담아서 생육하거나 꽃가게 등으로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이의 형태는 대체로 편평한 상면의 내측에 종횡으로 복수의 화분 수용부가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본 출원인이 검색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화분의 크기에 관계없이 수용이 가능하도록 화분을 수용하는 다수의 수용 지지부를 가로세로 배열한 화분 트레이로서,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화분의 거의 반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화분 홀더를 수용 지지부 내에서 대향 배치함과 동시에 화분 홀더의 지지부를 탄성적으로 확개 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수용 지지부 내에 수용한 화분의 크기에 대응하여 화분 홀더가 화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화분 수용쟁반은 동일 크기의 화분용 트레이에서 기준 화분과 비교 화분과의 2 종류의 화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임의 위치에서 자유롭고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다수의 수용 오목부를 가지는 화분 수용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수용 오목부 상호의 중심 간 거리를 비교 화분 플랜지부의 외경 치수보다 작게 설정함과 동시에, 상기 중심축 방향 간 거리에서 이웃하는 수용 오목부의 수용 깊이에 비교 화분 플랜지부의 두께 이상의 높이 간격을 마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종래 화분 수용부가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화분 트레이에 사각형 화분과 원형 화분을 함께 수용할 경우에는 원형 화분이나 사각형 화분 중의 어느 한 종류, 특히, 원형 화분 수용부에 사각형 화분이 수용되는 경우에는 화분 수용부에 화분이 헐겁게 끼워진 상태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다수의 화분을 트레이에 수용한 상태에서 트럭에 싣고 운반하는 과정에서 화분이 심하게 흔들려 화분 내부의 상토가 쏟아져나오거나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흔들리게 됨으로써 상품성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배달받은 꽃가게 등에서 다시 상토를 채워주거나 다져주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고, 이러한 작업을 해주지 않을 경우 식물의 정상적인 생육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었다.
따라서, 원형 화분의 경우에는 원형의 화분 수용부를 갖는 화분 트레이를 사용하여야 하고, 사각형 화분의 경우에는 사각형의 화분 수용부를 갖는 화분 트레이를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 소형 화분은 애초에 원형으로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었으나 최근들어 소형 화분의 디자인이 사각형으로 바뀌는 추세에 있어서 상술한 종래의 원형 화분 수용부를 갖는 화분 트레이를 원형 및 사각형 화분에 호환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형 화분이나 사각형 화분에 상관없이 크기(규격)이 같은 호수의 화분이라면 호환 사용이 가능한 이종의 화분을 수용할 수 있는 화분 트레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에 종횡으로 복수의 화분 수용부가 형성된 화분 트레이로, 상기 화분 수용부는 상면에서 원형 테두리와 사각형 테두리가 교차하도록 중첩되는 단면 형태를 이루고, 상기 원형 테두리와 사각형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지지리브가 연장되며, 상기 지지리브의 하단은 상면의 원형 테두리와 동심원을 이루되 상대적으로 작은 반경을 이루며 내측은 상하로 관통된 형태의 받침링으로 연결되어 원형 화분과 사각형 화분을 선택적으로 수용하더라도 화분이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화분 트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화분 트레이에 원형 화분과 사각형 화분을 선택적으로 또는 섞어서 수용할 수가 있으므로 2종의 화분 트레이를 마련하지 않아도 되며, 화분의 규격(호수)에 맞게 제작한 화분 트레이를 사용하여 원형이나 사각형 화분의 종류에 상관없이 수용할 수 있어 화훼농가나 꽃가게 등 화훼유통업체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분 트레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화분 트레이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화분 트레이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5는 원형 화분이 안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사각형 화분이 안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도 4에서 이종(異種)의 화분이 안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화분 트레이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화분 트레이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5는 원형 화분이 안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사각형 화분이 안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도 4에서 이종(異種)의 화분이 안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분 트레이 및 이의 사용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상면(10)에 종횡으로 복수의 화분 수용부(20)가 형성된 화분 트레이(1)가 개시되되 상기 화분 수용부(20)는 상면에서 원형 테두리(21)와 사각형 테두리(22)가 교차하도록 중첩되는 단면 형태를 이루고, 상기 원형 테두리(21)와 사각형 테두리(22)에서 하방으로 지지리브(23,24)가 연장되며, 상기 지지리브(23,24)의 하단은 상면(10)의 원형 테두리(21)와 동심원을 이루되 상대적으로 작은 반경을 이루며 내측은 상하로 관통된 형태의 받침링(25)으로 연결되어 원형 화분(P1)과 사각형 화분(P2)을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화분 수용부(20)의 원형 테두리(21)와 사각형 테두리(22)가 교차하도록 중첩된다는 의미는 하나의 화분 수용부(20)가 원형 테두리(21)와 사각형 테두리(22)가 동심(同心)을 이루되 원형 테두리(21)의 반경이 사각형 테두리(22)의 한 변 길이의 1/2보다는 크고, 중심에서 사각형 테두리(22)의 모서리 까지의 거리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원형 테두리(21)의 윤곽과 점선으로 도시된 사각형 테두리의 윤곽이 돌아가면서 반복적으로 교차되도록 중첩된다는 의미이다.
이에 의해 하나의 화분 수용부(20)에 원형 화분(P1)을 삽입하게 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화분(P1)의 외곽이 원형 테두리(21)에 거의 밀착된 상태로 수용되게 되므로 원형 화분(P1)이 안정적인 수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사각형 화분(P2)을 삽입하게 되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화분(P2)의 외곽 즉, 4측면이 사각형 테두리(22)에 거의 밀착된 상태로 수용되게 되므로 사각형 화분(P2)이 안정적인 수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원형이나 사각형 화분의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 의한 화분 트레이(1)는 다단으로 겹쳐서 운반이 가능하도록 각각의 화분 수용부(20)는 상광하협의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상면(10)은 최소한의 소재를 사용하면서도 구조적으로 견고하도록 저면에 보강리브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의 화분 트레이에 수용되는 화분은 대체로 직경이 5~15cm의 소형이며 직경에 따라서 호수가 정해져 있는데, 사각이나 원형의 종류만 다를 뿐 불리는 규격 즉, 호수는 공통으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호수만 일치하면 원형이든 사각형이든 상관없이 호환사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화훼농가 등에서 2종류의 트레이를 구분하여 사용하지 않고 1종류의 트레이만으로 동일 호수의 원형이나 사각형 화분을 선택적으로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하여 수용할 수 있게 되어 화분 트레이의 선별 구입과 분별 사용이 불필요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사각형 테두리(22)는 모서리 부분이 45°모따기된 모따기면(22a)을 더 갖고 있는데, 사각형 화분(P2)도 내부 용적의 증가 및 구조적인 강도 향상과 미관 향상을 위한 모서리 부분이 45°모따기된 형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며, 모따기면(22a)에 지지리브(24)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받침링(25)은 편평한 바닥면(25a)과 상기 바닥면(25a) 외곽을 두르는 측면(25b)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바닥면(25a)과 측면(25b) 사이의 내측에는 화분(P1,P2)의 저면이 상기 받침링(25)의 바닥면(25a)에 밀착되지 않고 상부로 어느 정도 높이만큼 이격되도록 복수의 받침돌기(26)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각의 화분(P1,P2)에서 식물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뿌리가 화분 바닥의 배수구멍을 통과하여 트레이가 안치된 지면까지 뻗어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생장 후 트레이에 안치된 상태 그대로 지면에서 들어올리게 될 경우 지면에 닿아 있던 받침링(25)의 바닥면(25a)은 편평한 상태이므로 지면으로부터 쉽게 분리되게 된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원형 테두리(21)에서 연장된 지지리브(23)의 하단은 받침링(25)의 측면(25b) 상단에 바로 연결되고, 상기 사각형 테두리(22)에서 연장된 지지리브(24)의 하단은 받침링(25)의 측면(25b) 상단 높이까지 직선으로 연장된 후 내측으로 꺾여 받침링(25)의 측면(25b) 상단에 연결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 24a가 수평으로 꺾인 꺾임부이다.
상기 지지리브(23,24)는 원형 또는 사각형 화분이 화분 수용부(20)에 삽입된 상태에서 화분의 측면에 밀착되어 지지해주게 되므로 운반과정에서 화분이 과도하게 흔들려 상토가 쏟아지게 되거나 식물 뿌리가 상토 안에서 흔들리게 되어 생육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역할을 한다.
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상면의 외곽 형태와 저면의 보강리브구조는 본 발명이 속한 화분 트레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사항이며, 상술한 지지리브의 개수와 크기 및 기울기, 받침링과 받침돌기의 형태는 이하에 기재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와 같은 변형과 설계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자명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화분 트레이는 화분 수용부가 원형과 사각형 화분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독특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화분의 형태에 무관하게 한 종류의 트레이만을 구비하여 사용하면 되므로 화훼농가에서 트레이의 구입과 사용에 번거로움을 주지 않게 되는 것은 물론, 원형 화분이나 사각형 화분은 화분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으므로 운반과정에서 상토가 쏟아지거나 뿌리가 흔들려 상품성이 저하디거나 생육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 : 화분 트레이
10 : 상면
20 : 화분 수용부
21 : 원형 테두리
22 : 사각형 테두리
22a : 모따기면
23 : 지지리브
24 : 지지리브
24a : 꺾임부
25 : 받침링
25a : 바닥면
25b : 측면
26 : 받침돌기
P1 : 원형 화분
P2 : 사각형 화분
10 : 상면
20 : 화분 수용부
21 : 원형 테두리
22 : 사각형 테두리
22a : 모따기면
23 : 지지리브
24 : 지지리브
24a : 꺾임부
25 : 받침링
25a : 바닥면
25b : 측면
26 : 받침돌기
P1 : 원형 화분
P2 : 사각형 화분
Claims (4)
- 상면(10)에 종횡으로 복수의 화분 수용부(20)가 형성된 화분 트레이(1)로;
상기 화분 수용부(20)는 상면에서 원형 테두리(21)와 사각형 테두리(22)가 교차하도록 중첩되는 단면 형태를 이루고,
상기 원형 테두리(21)와 사각형 테두리(22)에서 하방으로 지지리브(23,24)가 연장되며,
상기 지지리브(23,24)의 하단은 상면(10)의 원형 테두리(21)와 동심원을 이루되 상대적으로 작은 반경을 이루며 내측은 상하로 관통된 형태의 받침링(25)으로 연결되어 원형 화분(P1)과 사각형 화분(P2)을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화분을 수용할 수 있는 화분 트레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 테두리(22)는 모서리 부분이 45°모따기된 모따기면(22a)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화분을 수용할 수 있는 화분 트레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링(25)은 편평한 바닥면(25a)과 상기 바닥면(25a) 외곽을 두르는 측면(25b)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바닥면(25a)과 측면(25b) 사이의 내측에는 화분(P1,P2)의 저면이 상기 받침링(25)의 바닥면(25a)에 밀착되지 않고 상부로 어느 정도 높이만큼 이격되도록 복수의 받침돌기(26)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화분을 수용할 수 있는 화분 트레이.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원형 테두리(21)에서 연장된 지지리브(23)의 하단은 받침링(25)의 측면(25b) 상단에 바로 연결되고, 상기 사각형 테두리(22)에서 연장된 지지리브(24)의 하단은 받침링(25)의 측면(25b) 상단 높이까지 직선으로 연장된 후 내측으로 꺾여 받침링(25)의 측면(25b) 상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화분을 수용할 수 있는 화분 트레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6763A KR102334970B1 (ko) | 2020-03-03 | 2020-03-03 | 이종(異種)의 화분을 수용할 수 있는 화분 트레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6763A KR102334970B1 (ko) | 2020-03-03 | 2020-03-03 | 이종(異種)의 화분을 수용할 수 있는 화분 트레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1611A KR20210111611A (ko) | 2021-09-13 |
KR102334970B1 true KR102334970B1 (ko) | 2021-12-02 |
Family
ID=77796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6763A KR102334970B1 (ko) | 2020-03-03 | 2020-03-03 | 이종(異種)의 화분을 수용할 수 있는 화분 트레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4970B1 (ko)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702390B2 (ja) * | 1993-10-22 | 1998-01-21 | 兼弥産業株式会社 | 植木鉢用トレー |
JPH07246030A (ja) | 1994-03-07 | 1995-09-26 | Nishimura Kogyo Kk | 植木鉢収容トレー |
-
2020
- 2020-03-03 KR KR1020200026763A patent/KR102334970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1611A (ko) | 2021-09-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242834A (en) | Nestable and stackable transplanting system | |
US6134832A (en) | Nest and stack plant pot | |
EP3742884B1 (en) | Plant-growing tray | |
US4083146A (en) | Device for continuously watering plants in flower pots or boxes | |
US5426890A (en) | Culture tray for growing young plants | |
US20080276530A1 (en) | Multi-pot container | |
US8978888B2 (en) | Flower pot carrier with suspension tab | |
US9227776B2 (en) | Tray for transporting horticultural containers | |
EP0024861A1 (en) | Stackable containers for plants or the like | |
US11445666B2 (en) | Stackable self-watering planter with removable riser | |
US20100236144A1 (en) | Container for Growing Plants and Carrier Therefor | |
US4296569A (en) | Nestable and stackable transplanting system | |
KR102334970B1 (ko) | 이종(異種)의 화분을 수용할 수 있는 화분 트레이 | |
US8091277B1 (en) | Plant container having an elongated member for attachment within the ground and method for use thereof | |
US20070094924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transporting flowers | |
JP5021091B2 (ja) | 植物栽培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栽培方法 | |
KR101826930B1 (ko) | 식물재배용 적층가능한 화분 조립체 | |
EP2880970B1 (en) | Plant tray, assembly of a tray and at least one plant pot, method for assembling an assembly, and method for handling plant pots | |
GB2060342A (en) | Nestable and stackable transplanting system | |
KR200463447Y1 (ko) | 적층식 재배용기 | |
US20020059750A1 (en) | Flowerpot and flowerpot / support stick assembly | |
JP7498936B2 (ja) | 鉢植え用鉢 | |
EP3216721A1 (en) | Stackable crate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living plant products | |
JP3050763U (ja) | 園芸用トレイ | |
JP2889515B2 (ja) | 鉢物運搬用コンテナ及び鉢物運搬用コンテナセッ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