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496Y1 - 어항용 수경 재배 거치대 - Google Patents

어항용 수경 재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496Y1
KR200497496Y1 KR2020230000594U KR20230000594U KR200497496Y1 KR 200497496 Y1 KR200497496 Y1 KR 200497496Y1 KR 2020230000594 U KR2020230000594 U KR 2020230000594U KR 20230000594 U KR20230000594 U KR 20230000594U KR 200497496 Y1 KR200497496 Y1 KR 2004974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late
fish tank
hydraulic port
stand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05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세호
Original Assignee
윤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세호 filed Critical 윤세호
Priority to KR20202300005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4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4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4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항에서 수경재배되는 식물들을 수면 위에 안정적으로 부상시켜 주는 어항용 수경 재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어항용 수경 재배 거치대(100)는 어항의 벽면에 거치되는 걸이대(110)와, 상기 걸이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거치판(120)과, 상기 거치판의 가장자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블록(130)과, 상기 연결블록을 통해 거치판과 연결되는 연결거치판(14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어항용 수경 재배 거치대{Hydroponic grow holder for fish tank}
본 고안은 어항에서 수경재배되는 식물들을 수면 위에 안정적으로 부상시켜 주는 어항용 수경 재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관상용 화초나 채소와 같은 식물을 재배하는 가정이나 사무실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화초나 채소와 같은 식물을 재배하는 경우에는 화분과 같은 포트 내에 식물을 식재한 후에도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물통과 화분을 일체로 결합하거나 물통에서 식물을 직접 재배하는 수경재배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수경재배방식의 일환으로 물통 대신 어항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즉, 어항의 상부에는 식물을 재배하고 수조의 하부에는 관상어를 키우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어항에서 수경재배를 하게 되면, 관상어에 은신처를 제공하게 되므로 관상어가 더 편안하게 느낄 수 있고, 식물이 어항 안의 물을 정화하는 데 도움을 주며 관상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어항에서 수경재배를 하려면 식물을 수면 위에 안정적으로 부상시키기 위한 거치대가 필요하다.
도 1은 종래의 어항용 수경재배 거치대로서, 어항의 상단에 걸어 거치하여 어항 내부에 식물재배판을 장착할 수 있게 구비되는 걸이거치대와, 상기 걸이거치대에 결속되어 식물을 재배할 수 있게 구비되는 식물재배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어항용 수경재배 거치대는 걸이거치대에 식물재배판이 단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많은 식물을 재배하려면 어항에 여러 걸이거치대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어항에 여러의 거치대를 설치하게 되면, 외관상 보기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여러 걸이거치대를 구입하는데 따른 비용 부담이 커지게 된다.
아울러, 종래의 어항용 수경재배 거치대는 어항의 벽면을 따라서만 식물의 재배가 가능하다는 제약이 있다.
이럴 경우, 식물의 배치상태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없어 관상효과를 기대하기 힘들 뿐만 아니라, 식물이 광합성 작용을 할 수 있도록 어항의 벽면에 조명을 거치하여 재배중인 식물에 비추어 주어야 하는데, 재배중인 모든 식물들에게 조명을 균일하게 비추어 주기가 매우 어려운바, 그 개선이 요구된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2492913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많은 식물들을 자유롭게 배치하여 거치할 수 있는 어항용 수경 재배 거치대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어항용 수경 재배 거치대는 어항의 벽면에 거치되는 걸이대와, 상기 걸이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거치판과, 상기 거치판의 가장자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블록과, 상기 연결블록을 통해 거치판과 연결되는 연결거치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거치판은 판상의 몸체부와, 식물이 식재되는 수경포트가 끼워지도록 상기 몸체부의 중앙에 형성된 수경포트 끼움공과,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연결블록 상부 결합홈과, 상기 연결블록 상부 결합홈과 동일 수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 형성된 하부 결합홈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블록은 상기 거치판의 몸체부의 가장자리에 외측으로 끼워지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개방홈과, 상기 개방홈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거치판의 연결블록 상부 결합홈과 하부 결합홈에 끼워지는 끼움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경포트 끼움공을 통해 상기 거치판 및 연결거치판의 중앙에 착탈가능하게 거치되는 수경포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경포트의 외측면에는 상기 수경포트 끼움공에 대응되는 걸림돌기가 수경포트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거리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경포트가 거치판의 상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돌출된 상태로 거치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판은 연결블록을 매개로 하여 걸이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어항용 수경 재배 거치대는 어항의 벽면에 거치되는 걸이대에 결합된 거치판의 가장자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블록을 이용하여 연결거치판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여러 수경포트를 다양한 형태로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종래와는 달리, 식물의 배치상태를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어 관상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재배중인 모든 식물들이 균일하게 조명받을 수 있도록 어항의 벽면에 거치된 조명의 조사범위 내로 식물들을 배치하여 재배중인 모든 식물들을 건강하고 고르게 재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어항용 수경 재배 거치대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어항용 수경 재배 거치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어항용 수경 재배 거치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거치판이 연결블록을 매개로 걸이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컨대,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아울러, "포함하다" 또는 "구비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어항용 수경 재배 거치대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어항용 수경 재배 거치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어항용 수경 재배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어항용 수경 재배 거치대(100)는 어항의 벽면에 거치되는 걸이대(110)와, 상기 걸이대(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거치판(120)과, 상기 거치판(120)의 가장자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블록(130)과, 상기 연결블록(130)을 통해 거치판(120)과 연결되는 연결거치판(140)을 포함한다.
상기 걸이대(110)는 어항의 상단에 끼워지는 지지부재로서, 무게가 가볍고 강도가 우수하면서 물에 부식되지 않는 합성수지와 같은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이대(110)는 어항의 상단 외벽면에 지지되는 외측지지부(111)와 어항의 상단 내벽면에 지지되는 내측지지부(112)를 구비하며, 상기 외측지지부(111)와 내측지지부(112) 사이에는 어항의 상단에 끼워지는 하부수직홈(113)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내측지지부(112)에는 거치판(120)을 수평으로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수평홈부(114)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수평홈부(114)는 거치판(120)의 고정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판(120)은 걸이대(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평판부재로서, 무게가 가볍고 강도가 우수하면서 물에 부식되지 않는 합성수지와 같은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판(120)은 걸이대(110)에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연결블록(130)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거치판(120)은 재배중인 식물의 발육상태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고 관상효과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투명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거치판(120)은 판상의 몸체부(121)와, 식물이 식재되는 수경포트(150)가 끼워지도록 상기 몸체부(121)의 중앙에 형성된 수경포트 끼움공(122)과, 상기 몸체부(121)의 상면에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상부 결합홈(123)과, 상기 상부 결합홈(123)과 동일 수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부(121)의 저면에 형성된 하부 결합홈(124)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결합홈(123)과 하부 결합홈(124)은 전구간이 몸체부(121)의 단부로부터 일정거리를 유지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부(121)가 사각형상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상기 몸체부(121)는 사각형 이외에도 원형이나 타원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 결합홈(123)과 하부 결합홈(124)은 몸체부(121)의 형태에 따라 직선 또는 곡선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거치판(120)의 가장자리에는 연결블록(13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연결블록(13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거치판(120)에 단일 또는 복수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블록(130)은 거치판(120)의 몸체부(121)의 가장자리에 외측으로 끼워지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개방홈(131)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블록(130)의 개방홈(131)은 몸체부(121)에 밀착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몸체부(121)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좋다. 예컨대, 몸체부(121)가 각형이면 개방홈(131)도 몸체부(121)의 각변을 따라 직선형태로 형성되고, 몸체부(121)가 원형이면 상기 개방홈(131)도 몸체부(121)의 곡률과 동일한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연결블록(130)은 상기 개방홈(131)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거치판(120)의 상부 결합홈(123)과 하부 결합홈(124)에 끼워지는 끼움돌기(132)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블록(130)의 개방홈(131)에 거치판(120)의 몸체부(121)를 끼우게 되면, 끼움돌기(132)가 상기 상부 결합홈(123)과 하부 결합홈(124)에 삽입되면서 거치판(120)과 연결블록(130)이 강하게 결속된다.
한편, 상기 연결블록(130)은 거치대와 마찬가지로 무게가 가볍고 강도가 우수하면서 물에 부식되지 않는 합성수지와 같은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관상효과를 극대화시키도록 투명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좋다.
상기 연결거치판(140)은 상기 연결블록(130)을 통해 거치판(120)과 연결된다. 상기 연결거치판(140)의 구성은 상기한 거치판(120)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수경포트 끼움공(122)을 통해 상기 거치판(120) 및 연결거치판(140)의 중앙에 착탈가능하게 거치되는 수경포트(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경포트(150)의 외측면에는 상기 수경포트 끼움공(122)과 간섭되는 걸림돌기(151)가 수경포트(15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거리(h)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15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경포트(150)의 외측면을 따라 단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수경포트(150)의 외측면을 따라 블럭 형태로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수경포트 끼움공(122)에 수경포트(150)를 삽입하면 상기 수경포트(150)의 상부가 거치판(12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거리(h) 돌출된 상태로 끼워져 결합되며, 수경포트(150)에서 재배중인 식물들은 거치판(120)으로부터 일정거리(h) 상부까지 지지되므로 쉽게 옆으로 쓰러지거나 꺽이지 않고 위로 잘 자라게 된다.
한편, 상기 거치판(120)의 수경포트 끼움공(122)에는 미관상 상기 걸림돌기(151)가 거치판(120)의 상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걸림돌기(151)가 안착되는 단턱(125)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어항용 수경 재배 거치대(100)는 어항의 벽면 상단에 하부수직홈(113)을 끼워서 걸이대(110)를 어항의 벽면에 고정시킨 다음, 걸이대(110)의 수평홈부(114)에 거치판(120)의 가장자리를 끼우거나 걸이대(110)의 수평홈부(114)에 연결블록(130)을 끼운 후에 상기 연결블록(130)에 거치판(120)의 가장자리를 끼우는 방식으로 거치판(120)을 걸이대(110)에 수평상태로 거치시키고, 상기 거치판(120)의 수경포트 끼움공(122)에 재배할 식물이 담긴 수경포트(150)를 삽입하여 수중에 거치시키면 설치가 완료된다.
그리고, 연결블록(130)을 이용하여 거치판(120)에 연결거치판(140)을 연결하고 연결블록(130)을 이용하여 연결거치판(140)들끼리 연결하는 방식으로 보다 많은 수경포트(15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거치판(120) 및 연결거치판(140)에 연결블록(130)의 결합방향을 달리하는 방식으로 자신이 원하는 형태와 수량으로 수경포트(150)를 자유롭게 확장시켜 가면서 다양한 위치에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식물의 배치상태를 자유롭게 변경시켜 관상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재배중인 모든 식물들이 균일하게 조명받을 수 있도록 어항의 벽면에 거치된 조명의 조사범위 내로 식물들을 배치함으로써 재배중인 모든 식물들을 건강하고 고르게 재배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걸이대(110)와 조명의 설치수량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므로 어항의 외관이 미려해지고 걸이대(110)와 조명의 구입 비용 및 유지 관리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100...어항용 수경 재배 거치대
110...걸이대 120...거치판
121...몸체부 122...수경포트 끼움공
123...상부 결합홈 124...하부 결합홈
130...연결블록 131...개방홈
132...끼움돌기 140...연결거치판
150...수경포트 151...걸림돌기

Claims (5)

  1. 어항의 벽면에 거치되는 걸이대;
    상기 걸이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거치판;
    상기 거치판의 가장자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블록; 및
    상기 연결블록을 통해 거치판과 연결되는 연결거치판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판 및 연결거치판은
    판상의 몸체부;
    식물이 식재되는 수경포트가 끼워지도록 상기 몸체부의 중앙에 형성된 수경포트 끼움공;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상부 결합홈; 및
    상기 상부 결합홈과 동일 수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 형성된 하부 결합홈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블록은
    상기 거치판의 몸체부의 가장자리에 외측으로 끼워지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개방홈; 및
    상기 개방홈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거치판의 상부 결합홈과 하부 결합홈에 끼워지는 끼움돌기를 구비한 어항용 수경 재배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경포트 끼움공을 통해 상기 거치판 및 연결거치판의 중앙에 착탈가능하게 거치되는 수경포트를 더 구비하며;
    상기 수경포트의 외측면에는 상기 수경포트 끼움공과 간섭되는 걸림돌기가 상기 수경포트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거리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경포트가 거치판의 상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돌출된 상태로 거치되도록 하며,
    상기 거치판의 수경포트 끼움공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안착된 상태로 상기 거치판의 상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단턱이 형성되는, 어항용 수경 재배 거치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판은 연결블록을 매개로 하여 걸이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 어항용 수경 재배 거치대.
KR2020230000594U 2023-03-27 2023-03-27 어항용 수경 재배 거치대 KR2004974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0594U KR200497496Y1 (ko) 2023-03-27 2023-03-27 어항용 수경 재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0594U KR200497496Y1 (ko) 2023-03-27 2023-03-27 어항용 수경 재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496Y1 true KR200497496Y1 (ko) 2023-11-29

Family

ID=88968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0594U KR200497496Y1 (ko) 2023-03-27 2023-03-27 어항용 수경 재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496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0723U (ja) * 2005-04-01 2005-06-30 井上 五男 懸垂式植木鉢
KR200436996Y1 (ko) * 2007-05-28 2007-10-23 이덕일 걸이식화분
KR102492913B1 (ko) 2022-04-29 2023-01-31 이성주 어항용 수초 재배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0723U (ja) * 2005-04-01 2005-06-30 井上 五男 懸垂式植木鉢
KR200436996Y1 (ko) * 2007-05-28 2007-10-23 이덕일 걸이식화분
KR102492913B1 (ko) 2022-04-29 2023-01-31 이성주 어항용 수초 재배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6375A (en) Modular planter system
CN201690831U (zh) 一种可组合的直角花盆
KR102117368B1 (ko) 이동식 화분 진열대
US20210228002A1 (en) Furniture
CN203152109U (zh) 一种悬挂式栽种花草装置
KR101466179B1 (ko) 수족관 겸용 식물재배장치
KR200497496Y1 (ko) 어항용 수경 재배 거치대
KR200186477Y1 (ko) 벽면부착용 수경재배화분집
KR100653790B1 (ko) 벽면 부착식 컬러블록화분 및 이를 이용한컬러블록화분세트
EP1166690A2 (en) Hanging pot and hanger
US7891135B2 (en) Planter
CN1201947C (zh) 壁挂式生态化装饰画框(镜框式花盆)
KR200220769Y1 (ko) 점적식 가로등 부착형 거리미화용 화분
WO2020071859A1 (ko)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립형 타워식 화분 어셈블리
KR102083841B1 (ko) 실내 장식용 화분
CN201674827U (zh) 方便栽培和鉴赏的花盆
KR102360500B1 (ko) 거치용 식물 재배 장치
KR20160025820A (ko) 선반 일체형 식물재배기
CN216567242U (zh) 悬挂式植物栽培装置
KR102620392B1 (ko) 가정용 아쿠아포닉스 장치
KR20040045781A (ko) 사계절용 조립식 입체화분
CN204616531U (zh) 组合式植栽装置
KR200389810Y1 (ko) 반원통형 투명 화분
CN212036944U (zh) 一种生态景观花台
CN215421857U (zh) 花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