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332Y1 - 배수구조를 갖는 화분받침대 - Google Patents

배수구조를 갖는 화분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332Y1
KR200271332Y1 KR2020010037294U KR20010037294U KR200271332Y1 KR 200271332 Y1 KR200271332 Y1 KR 200271332Y1 KR 2020010037294 U KR2020010037294 U KR 2020010037294U KR 20010037294 U KR20010037294 U KR 20010037294U KR 200271332 Y1 KR200271332 Y1 KR 2002713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stand
pot stand
water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2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운호
Original Assignee
배운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운호 filed Critical 배운호
Priority to KR20200100372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3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3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332Y1/ko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구조를 갖는 화분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각종 화훼작물의 성장과 영양을 위해 공급되는 수분이 화분받침대를 통해 깨끗하면서도 용이하게 집수된 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청결한 주변의 구현과 사용자의 만족감을 도모코저 안출된 것인데,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화분받침대의 바닥면을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하되, 상기 경사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집수용 안내로와, 각 집수용 안내로의 끝단이 모아지는 중앙을 통해 바닥면을 횡단할 수 있도록 바닥면에 내 몰입된 채 화분받침대의 돌출된 저면부 양단으로 통공부를 형성하는 배출관로와, 상기 배출관로의 양 통공부 중 필요한 어느 한쪽만을 개방시킨 후 튜브결합용 연결구를 돌출 형성하여 별도의 튜브와 연결 결합시킨 구성을 특징으로 삼고 있다.

Description

배수구조를 갖는 화분받침대{Plantpot support with drain structure}
본 고안은 배수구조를 갖는 화분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특히, 화분을 통해 관상용으로 재배되는 각종 화훼작물의 성장과 영양을 위해 공급되는 수분이 화분받침대를 통해 깨끗하면서도 용이하게 집수된 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화분받침대에 집수용 안내로와 배출관로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배출된 물은 배출관로에 연결된 별도의 튜브를 통해 하수처리되도록 개선된 기능을 갖는 배수구조를 갖는 화분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이른바, 다양한 형태와 재질 및 크기를 유지한 채 건물의 실내에 놓여져 관상되는 대부분의 화분은 외부로 부터 공급되는 물의 배출과 화분내의 토사 및 이끼 등의 유출로 인해 화분의 주변 바닥이 오염되거나 더렵혀짐으로 별도의 화분받침대를 마련하여 청결하면서도 단정한 환경의 구현을 도모하고 있다.
예컨대, 화분의 저면에는 대부분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어 이를 통해 토사에 흡수되고 남은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때 물과 함께 상기 토사의 일부분도 같이 배출되어 주변이 오염된다는 우려를 화분받침대로 인해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통상의 화훼작물은 생육을 위해 보편적으로 정기적이고도 충분한 량의 수분 공급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따라서 적기에 적정의 수분이 외부로 부터 공급되어야 하는데, 이 경우 화분내의 토사 혹은 뿌리 등에서 흡수되지 못하고 배수구를 통해 흘러나오는 물이나 혹은 당초 물을 줄 경우 화분의 외부로 떨어지거나 잎줄기 등을 타고 흘러내린 물 등이 화분받침대에 집수될 수 있도록 배려함으로 사용자는 수시로 상기 화분받침대의 물을 제거한 후 소제하여 주면 늘 깨끗하고도 단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화초에 필요한 적량의 물 공급량을 맞추기가 매우 어려워 대게의 경우 다소 과다하게 물이 공급될 경우가 많으며, 시간을 두고 서서히 배출되는 수분 등으로 인해 화분받침대에 물이 고여있을 경우, 더욱이 그 자체는 토사와 함께 섞여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시각적으로 매우 불결한 인상을 주며, 경우에 따라 이를 방치할 경우 미생물 등이 번식할 우려가 있어 위생적으로도 불결할 뿐만 아니라 물이 외부로 흘러나올 경우에는 화분대 주변이 온통 오염되거나 더렵혀질 우려가 높았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세심한 관리가 필요한 것이나 현실적으로 많은 화분을 관리할 경우, 특히 그것이 중량감있는 화분일 경우에는 일일히 화분받침대를 빼내어 소제한 후 재 사용하는 등의 작업은 매우 번거러울 수 밖에 없다.
또한, 화분받침대를 소제하기 위해 인출할 경우에도 화분 그 자체는 제 위치를 지키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저면 배수구 주변의 오염물로 인해 바닥면이 재 오염될 수 있는 등 근본적인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때문에, 본 출원인에 의해 등록실용신안 제20-186536호로“화분받침대의 물 배수장치”가 제안된바 있다.
위 선등록 된 제안은 화분받침대의 바닥면 중앙을 통공하여 하면으로 돌출된 배수관을 형성시키고, 상기 배수관에 물 유도관의 결합관을 상호 긴밀하게 연결 결합하되, 상기 물 유도관은 화분받침대 하단의 관통공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놓여져 별도의 튜브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등록 제안도 편평한 바닥면의 중앙부에 배수관을 형성시킨 관계로 중앙부로 모여져야 할 물 및 토사의 집수과정에 효율성이 떨어지고, 물 유도관이 별도로 조립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어 이의 개선책이 요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화분으로 부터 배출되는 물은 물론 각종 토사 등의 찌꺼기 까지도 효율적이면서도 용이하게 집수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되, 종래의 물 유도관을 일체화함으로 별도의 조립부재에 따른 작업성의 번거러움과 기구적인 불안정성을 제거하여 항시 청결한 상태로 화분받침대가 유지될 수 있음으로 화분관리에 유용성을 더한 개선된 기능의 화분받침대를 제공함에 그 안출된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은 임의의 모양과 크기를 유지하되, 외주연의 하단부가 연장되어 받침다리로 기능하는 화분받침대에 있어서,
화분받침대의 바닥면을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하되, 상기 경사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집수용 안내로와, 각 집수용 안내로의 끝단이 모아지는 중앙을 통해 바닥면을 횡단할 수 있도록 바닥면에 내 몰입된 채 화분받침대의 돌출된 저면부 양단으로 통공부를 형성하는 배출관로와, 상기 배출관로의 양 통공부 중 필요한 어느 한쪽만을 개방시킨 후 튜브결합용 연결구를 돌출 형성하여 별도의 튜브와 결합되게 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구성을 도시해 보인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a)는 그 외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b)는 사용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받침다리 2 : 바닥면
3 : 집수용 안내로 4 : 배출관로
5 : 통공부 5a : 튜브결합용 연결구
6 : 밀폐용 마개 7 : 요홈부
S : 경사면 10 : 화분받침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그 내부구성을 보인 A-A선의 절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단일 구성의 화분받침대(10)를 제공하는 것으로 화분(20)으로 부터 배출되는 물의 효율적인 집수와 외부 배출의 기능을 부여하는 것인데, 특히 본 고안에 적용되는 화분받침대(10)의 재질은 합성수지가 그 제조공정상 바람직하나 굳이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화분(20)과 대응하는 임의의 모양과 크기를 자유롭게 유지하되, 어느 경우나 외주연의 하단부가 연장되어 충분한 지지력의 받침다리(1)로 기능할 수 있는 구성을 요구한다.
본 고안의 화분받침대(10)는 그 내 바닥면(2)의 중앙부분을 선택하여 중앙을 향해 다소 하향 구배진 경사면(S)을 형성케 하는데, 상기 경사면(S)을 따라 방사형으로 복수개의 집수용 안내로(3)를 삭설한다.
이때, 상기 집수용 안내로(3)는 화분(20)으로 부터 배출되는 물의 원활한 안내와 유도를 위해 바닥면(2)으로 부터 점진적으로 자연스럽게 홈의 깊이가 형성되어야 하며, 이러한 각 집수용 안내로(3)의 끝단이 모아지는 중앙을 통해 바닥면(2)을 횡단할 수 있도록 상기 바닥면(2) 깊숙이 내 몰입되어 개방된 요홈부 상태를 유지하는 배출관로(4)가 마련된다.
상기 배출관로(4)는 바닥면(2)의 외 표면에서 충분한 깊이로 내 몰입된 상태이므로 화분받침대(10)의 저면부를 통해 상기 몰입된 깊이 만큼 그 저면부의 두께부가 하향 돌출되며, 그 돌출된 저면부의 양단으로 전술한 배출관로(4)와 연통되는 통공부(5)가 형성된다.
상기 통공부(5)는 필요에 따라 양단을 다 개방한 채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어느 한쪽만을 개방시킨 후 사용될 수 있을 것인데, 별도로 마련되는 가요성 튜브(30)가 용이하게 연결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통공부(5)에 튜브결합용 연결구(5a)를 일체로 혹은 별도로 마련하여 돌출 형성하며, 개방이 불필요한 다른 통공부(5)는 별도의 밀폐용 마개(6)를 이용하여 긴밀하게 폐쇄토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3의 (a)와 (b)는 각각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인데, 2단 혹은 3단의 화분 진열대(40)를 이용하여 란(蘭) 종류 등을 진열 전시하기 위해 화분받침대를 거치할 경우를 위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화분받침대(10)를 상기 진열대(4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와 크기로 제작한 후 전술한 물 배수구조를 동일하게 갖추되, 진열대(40)의 스테인레스 지지봉에 안치되어 안정적인 설치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외주연의 받침다리(1) 하단으로 거치용 요홈부(7)를 형성하여 호환사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본 고안은 화분(20)의 저면 배수구(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나 토사성분이 그 직하단에 위치된 구배진 경사면(S)이나 집수용 안내로(3)를 따라 자연스럽게 유입되어 중앙으로 모아지고 이후 배출관로(4)로 낙하되면서 이와 연결된 튜브(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적절히 하수처리될 수 있음으로 물의 과다 공급시에도 화분받침대(10)를 넘어 바닥면을 오염시키거나 혹은 소제해주어야 하는 등 별도의 작업이 필요치 않는 등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단일의 물품으로 제작되어 비교적 생산이 용이하고 내구성과 제품의 안정성이 높으며, 화분을 통해 배출되는 물과 각종 토사 찌꺼기 등을 빠짐없이 자연스럽게 중앙으로 모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음으로 사용에 따른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데, 필요에 따라 주변에 인접한 여러개의 화분받침대를 튜브로 연결하여 일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도와 같이 화분 진열대에 거치된 상태에서도 충분한 기능성과 효용성을 발휘할 수 있는 등 그 실시적 가치는 매우 우수한 것이라 하겠다.
이하,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개조와 변화가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2)

  1. (정정)임의의 모양과 크기를 유지하되, 외주연의 하단부가 연장되어 받침다리로 기능하는 화분받침대에 있어서,
    화분받침대의 바닥면을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하되, 상기 경사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집수용 안내로와, 각 집수용 안내로의 끝단이 모아지는 중앙을 통해 바닥면을 횡단할 수 있도록 바닥면에 내 몰입된 채 화분받침대의 돌출된 저면부 양단으로 통공부를 형성하는 배출관로와, 상기 배출관로의 양 통공부 중 필요한 어느 한쪽과 별도로 마련되는 튜브가 연결 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배수구조를 갖는 화분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받침대를 구성하는 외주연의 받침다리 하단에 화분 진열대의 거치봉이 안착될 수 있도록 요홈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배수구조를 갖는 화분받침대.
KR2020010037294U 2001-12-03 2001-12-03 배수구조를 갖는 화분받침대 KR2002713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294U KR200271332Y1 (ko) 2001-12-03 2001-12-03 배수구조를 갖는 화분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294U KR200271332Y1 (ko) 2001-12-03 2001-12-03 배수구조를 갖는 화분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332Y1 true KR200271332Y1 (ko) 2002-04-10

Family

ID=73113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294U KR200271332Y1 (ko) 2001-12-03 2001-12-03 배수구조를 갖는 화분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3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816Y1 (ko) 2009-09-25 2012-11-26 유경열 기능성 화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816Y1 (ko) 2009-09-25 2012-11-26 유경열 기능성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0334B2 (en) Hydroponic growing unit
US4232482A (en) Flower pot
US20190110417A1 (en) Aquaponic garden device
KR200271332Y1 (ko) 배수구조를 갖는 화분받침대
CN211406971U (zh) 一种便于浇灌的日用陶瓷花盆
KR200214155Y1 (ko) 화분
KR20170112660A (ko) 물받이 일체형 상부 급수식 화분
CN206559865U (zh) 一种壁挂组合花盆
KR200367528Y1 (ko) 급수식 다용도 화분
JP2995275B2 (ja) 鉢植え植物のためのかん水方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プランター
KR20110009107U (ko) 외통에 물받이대가 구비된 화분
CN207836409U (zh) 一种带u型槽的荷花和睡莲水培装置
CN201127211Y (zh) 免浇水花盆
CN2086047U (zh) 具有蓄水功能的花盆
CN110073848A (zh) 一种花盆
KR200159549Y1 (ko) 저수형 식물재배용기
CN211833779U (zh) 一种新型花瓶
KR900001143Y1 (ko) 화분
KR200493718Y1 (ko) 식물 재배용 파이프형 화분
CN219612649U (zh) 一种透气集水的花盆托盘
AU2021105272A4 (en) Landscape integrated box-type substation
CN213306430U (zh) 一种能够收纳水管的花盆
CN201781812U (zh) 具活动式底座的花盆
KR200446453Y1 (ko) 화분 외장용기
KR200200898Y1 (ko) 이중 꽃꽂이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