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6434U - 수직 정원 화분 장치 - Google Patents

수직 정원 화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6434U
KR20140006434U KR2020140007365U KR20140007365U KR20140006434U KR 20140006434 U KR20140006434 U KR 20140006434U KR 2020140007365 U KR2020140007365 U KR 2020140007365U KR 20140007365 U KR20140007365 U KR 20140007365U KR 20140006434 U KR20140006434 U KR 201400064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unit
water
hole
pla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3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7950Y1 (ko
Inventor
김규성
Original Assignee
김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성 filed Critical 김규성
Priority to KR20201400073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950Y1/ko
Publication of KR201400064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4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9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9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1Flower tables or sta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Abstract

본원은 화분 및 화분 받침대를 포함하는 화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다수의 화분을 거치시킬 수 있으면서 개별 화분의 수분 공급 및 교체가 용이한 수직 정원 화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제 1 측면은, 포트의 하단부 외주면 일측(11)에 형성된 투수공(110) 및 상기 투수공(110)과 반대방향의 외주면으로서 포트 중단부 외주면 일측(21)에 형성된 입수공(120)을 포함하는 단위 식재포트(100); 및, 상기 단위 식재포트의 투수공(110)에 의해 낙수되는 물(w)을 타 단위 식재포트(100-2)의 입수공(120-2)에 입수시키면서 상기 단위 식재포트(100)가 삽탈 거치되는 삽탈홈(210)이 형성된 단위 포트거치부(200):를 포함하는, 수직 정원 화분 장치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 의하면, 기존의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었던 수직정원에서 간편하면서 실용적인 면을 살린 제품으로써 기존에 수직정원에 비해 설치비용 및 유지비용을 상당부분 절감할 수 있고, 설치시 필요하였던 특정 형태의 화분 포트를 사용할 필요 없이 기존의 포트를 활용할 수 있으며 수분이 공급되어지는 방식이 노출되는 방식이 아니므로 일반 가정집, 버스정류장, 공원, 기업, 호텔, 또는 관공서 등의 다양한 장소에서 그 활용이 용이하다. 특히, 식물의 고사나 분위기를 바꾸고자 할 때에도 특정의 포트만을 손 쉽게 빼어내어 다른 식물을 교체만 하면 간단하게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에게 작업용이성과 시간절약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직 정원 화분 장치{APPARATUS OF PLANT-POT}
본원은 화분 및 화분 받침대를 포함하는 화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다수의 화분을 거치시킬 수 있으면서 개별 화분의 수분 공급 및 교체가 용이한 수직 정원 화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파트 등에서 공기 정화 또는 관상 등의 목적으로 화분을 가꾸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으며, 버스정류장, 공원, 기업, 호텔, 또는 관공서 등에서도 사람들의 마음을 진정시키고 공간의 미적인 조성을 위해 화분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통상 화분을 배치시킴에 있어서는 하나의 화분이 하나의 공간을 차지하여 수평적으로 배열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좁은 공간에서 다량의 화분을 배치할 필요도 증가하고 있고, 인테리어를 위한 관점에서 벽이나 수직으로 화분을 배치하여 다양한 식물을 식재한 화분을 통해 미적인 디자인을 창출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한편, 수평적으로 화분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화분에 수분을 공급함에 있어서 화분 받침대 밑에 물받침대를 추가적으로 각각 사용해야하는 불편함도 존재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으로 최근 다중 조립 화분 장치가 제공되고 있는데, 예시적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9-0087369 호(이하 '선행기술 1' 이라 함)는 "벽걸이형 화분장치"에 관한 것(도 1의 (a) 참조)으로서, 상세하게는 고정프레임(10)과; 고정프레임(10)에 상호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어서 고정되며, 각각 후면에 상하방향으로 물이 공급되는 수로(21)가 형성된 복수의 고정대(20)와; 고정대(20)의 전면에 지지되며 저면에 수로(21)와 연결되는 배수관(60)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화분(100)과; 일단이 화분(100)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이 상하로 인접하는 두 고정대 사이의 간격 사이에 결합되어 경사지게 지지되며, 두 고정대중 상부의 고정대(20)의 수로(21)를 통하여 낙하되는 물을 화분(100)으로 안내시키는 가이드(30)와; 최상부 고정대(20)의 수로(21)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수단;을 구비하는 벽걸이형 화분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은 식물 고사시 박스화분 전체를 교체해야하는 어려움과 이로 인한 비용발생이 크며, 물의 흐름이 직관적이지 않고 아래에 있는 화분까지 전달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부피면에서 박스화분 크기가 크기 때문에 곡선이나 평평하지 않은 벽에는 고정하기가 어렵울 뿐더러, 초기에 설치하는데 벽에 기초작업을 해야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6-0058072 호(이하 '선행기술 2' 라 함)는 "수직 다층 식물 재배 장치"에 관한 것(도 1의 (b) 참조)으로서, 상세하게는 수직 단면이 경사져 있어 식물을 심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아래 단에서 성장하고 있는 식물이 성장 안내판을 따라 경사지게 성장하도록 안내되는 구조이면서 연속적으로 적층하여 쌓을 수 있는 구조의 경사 전면 판(20)을 통하여 안으로는 식물이 뿌리를 내리고 밖으로는 자라는 식물이 경사각을 따라 위로 안내되면서 자라도록 하기 위하여 안내판(S)과 흙받이판(B)으로 구성된 식물 줄기 성장 안내 수단과 상기 경사 전면 판(20)의 뒤와 좌측 및 우측에서 흙이 무너져 내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수직 감싸기 판(10)을 통하여 식물의 뿌리가 위아래 이웃하는 중간블록을 통하여 자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우측판(12), 뒷판(11), 좌측판(13)으로 구성된 뿌리 성장 안내 수단과 상기 수직 감싸기 판(10)과 경사 전면판(20) 속에 흙을 채워 놓아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토지가 되는 채우기 흙(40)이 있어 식물에 공급할 유기물을 함유하는 환경을 만들어 주기 위하여 흙과 흙덮기(T)로 구성된 성장 영양소 보유 수단과 상기 채우기 흙(40)에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영양소와 물을 동력이 없이 모세관 원리를 이용한 심지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해 주는 물공급 시스템(50)을 구축하기 위하여 물공급관(52), 분기관(53), 물공급 심지(53)를 주요 구성원으로 하는 연속 물 공급 수단을 주요 구성원으로 하여 식물을 심고 성장하게 할 수 있는 통이 위아래가 마주하는 단면을 갖고 있어 연속적으로 적층할 수 있는 블록(Block) 구조인 중간 블록몸체와 상기 중간 블록몸체와 상부와 옆면은 동일하나 아래 부분은 막혀 있는 바닥 블록몸체(30)로 구성되어 톱니 형상의 적층된 중간 블록 몸체의 각 수평구간 아래 흙속에 뿌리가 생육하고, 상기 수평 구간 위로는 식물의 줄기와 잎이 층층이 생육하여 자라는 식물의 측면에서는 수직 평면에 식물이 겹겹이 쌓여 재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다층 식물 재배 장치를 제공하고 있으나, 상기 선행기술 2 또한 식물 고사시 흙을 제거하고 다시 식재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물이 아래까지 전달하는 것이 용의하지 않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본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한 것으로서, 기초 벽면 작업이 어려운 공간을 포함하여, 일반 가정집, 버스정류장, 공원, 기업, 호텔, 또는 관공서 등에 손쉽게 다수의 화분을 설치 가능하고, 다수의 화분 중 다른 식물이 식재된 화분으로 교체하거나, 고사된 화분을 교체함에 있어서 시간적 및 비용절감을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화분에 수분 공급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수직 정원 화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의 제 1 측면은, 포트의 하단부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투수공 및 상기 투수공과 반대방향의 외주면으로서 포트 중단부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입수공을 포함하는 단위 식재포트; 및, 상기 단위 식재포트의 투수공에 의해 낙수되는 물을 타 단위 식재포트의 입수공에 입수시키면서 상기 단위 식재포트가 삽탈 거치되는 삽탈홈이 형성된 단위 포트거치부:를 포함하는, 수직 정원 화분 장치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단위 포트거치부는, 단위 식재포트를 감싸면서 상부는 개방되어 타 단위 포트거치부가 거치되고 하부는 깔대기 형상의 배수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단위 식재포트가 기울여 삽입되는 삽탈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원통형상 또는 다각기둥형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삽탈홈은 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원의 수직 정원 화분 장치는 상기 단위 포트 거치부의 상단에 삽탈되는 유로캡 또는, 단위 포트 거치부의 하단에 삽탈되는 물받이부를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의하면, 기존의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었던 수직정원에서 간편하면서 실용적인 면을 살린 제품으로써 기존에 수직정원에 비해 설치비용 및 유지비용을 상당부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설치시 필요하였던 특정 형태의 화분 포트를 사용할 필요 없이 기존의 포트를 활용할 수 있고 수분이 공급되어지는 방식이 노출되는 방식이 아니므로 일반 가정집, 버스정류장, 공원, 기업, 호텔, 또는 관공서 등의 다양한 장소에서 그 활용이 용이하다.
더불어, 식물의 고사나 분위기를 바꾸고자 할 때에도 특정의 포트만을 손 쉽게 빼어내어 다른 식물을 교체만 하면 간단하게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에게 작업용이성과 시간절약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적층형 화분 장치의 예시도
도 2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수직 정원 화분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수직 정원 화분 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원통형상 하우징을 포함하는 단위 포트거치부가 결합된 수직 정원 화분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유로캡과 물받이부를 포함하는 수직 정원 화분 장치의 단면도
이하,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전에" 또는 "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또는 어느 장치와 "연계"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장치)가 다른 단계(장치)와 직접 연동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두 단계 사이에 또 다른 단계가 존재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용어 "∼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 는 "∼를 위한 단계" 를 의미하지 않는다.
도 2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수직 정원 화분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수직 정원 화분 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원을 상세히 설명하면, 본원의 제 1 측면은, 포트의 하단부 외주면 일측(11)에 형성된 투수공(110) 및 상기 투수공(110)과 반대방향의 외주면으로서 포트 중단부 외주면 일측(21)에 형성된 입수공(120)을 포함하는 단위 식재포트(100); 및, 상기 단위 식재포트의 투수공(110)에 의해 낙수되는 물(w)을 타 단위 식재포트(100-2)의 입수공(120-2)에 입수시키면서 상기 단위 식재포트(100)가 삽탈 거치되는 삽탈홈(210)이 형성된 단위 포트거치부(200):를 포함하는, 수직 정원 화분 장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단위 식재포트(100)는 식물(p)이 식재되는 포트이며 통상 제조되는 포트의 제조방법으로서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으며, 도기 또는 금속재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위 식재포트(100)에 형성되는 투수공(110)은 포트의 하단부 외주면 일측(11)에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크기는 포트에 투입된 물이 흙을 적시고 남은 물이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투수될 정도의 크기이면 바람직하다. 예시적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투수공(110)은 통상 일반에 보급되는 보통의 화분 포트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투수공의 크기와 유사하게 바닥면의 1/10 ∼1/40 정도의 투수공(미도시)일 수 있고, 포트 외주면의 하단일면에 가로형태(도 2 참조), 구멍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투수공(110)은 작은 투수공이 여러개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그 형성되는 형태는 그물망의 형태(도 2 참조)로 제조될 수 있으며, 또는 큰 투수공에 망사를 깔거나 부착하여 이용(미도시)할 수 있다.
상기 단위 식재포트(100)에 형성되는 입수공(120)은 상기 투수공(110)과 반대방향의 외주면으로서 포트 중단부 외주면 일측(21)에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크기는 상기 투수공(110)의 크기의 2 ∼ 5 배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입수공(120)은 타 단위 식재포트의 투수공에 의해 낙수되는 물(w)이 입수되는 곳으로서 이 수치 범위에서 낙수시 식재포트 내부로 누수 없이 안정적으로 입수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 입수공(120)은 상기 투수공과 같이, 포트 외주면 하단일면에 가로형태(도 2 참조), 구멍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성되는 형태는 그물망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또는 큰 투수공에 망사를 깔거나 부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단위 포트거치부(200)는 삽탈홈(210)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삽탈홈(210)에 상기 단위 식재포트(100)를 기울여서 거치시키되, 상기 단위 식재포트(100)의 입수공(120)이 위로, 투수공(110)이 아래로 위치하게 거치시키게 된다. 이렇게 거치될 때, 상기 단위 식재포트의 투수공(110)에 의해 낙수되는 물(w)은 단위 포트거치부를 통해 타 단위 식재포트(100-2)의 입수공(120-2)에 입수되고, 타 단위 식재포트(100-2)의 투수공(110-2)에 의해 낙수되는 물은 또 다른 단위 식재포트(100-3)의 입수공(120-3)에 입수되면서, 적층되는 단위 식재포트에 단계적이면서 자동적으로 수분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단위 포트기치부(200)는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으며, 도기 또는 금속재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실시예로서, 특정의 식물이 고사하거나 다른 식물로 교체하고 싶은 사용자는 단위 포트거치부는 그대로 둔채, 삽탈홈에 있는 특정의 단위 식재포트만을 빼어서 다른 단위 식재포트를 끼우면 되므로, 매우 편리하게 식재 포트의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삽탈홈은 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삽탈홈은 단위 식재포트(10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가능하며 도 2 또는 도 3에서와 같이 사각형상의 삽입홈이거나, 원형의 식재포트에 맞게 원형의 삽입홈(도 4 참조)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계속 참조하여 본원을 상세히 설명하면,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단위 포트거치부(200)는, 단위 식재포트(100)를 감싸면서 상부(31)는 개방되어 타 단위 포트거치부(미도시)가 거치되고 하부(41)는 깔대기 형상의 배수구(221))를 포함하는 하우징(220); 및, 상기 하우징 일면(51)에 형성되어 상기 단위 식재포트가 기울여 삽입되는 삽탈홈(21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우징(220)은 단위 포트거치부(200)의 프레임 역할을 동시 수행하면서, 상기 단위 식재포트(100)을 감싸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하우징(220)이 식재포트를 감싸는 경우, 외부에는 식물(p)만 노출되므로 외관상 아름다움을 창출할 수 있으며, 하우징에 다양한 장식을 덧입힐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함과 동시에 특히, 식물 또는 식재포트의 수분 방출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단위 식재포트가 안정적으로 내삽되고 거치될 수 있도록 식재포트 가이드롤 또는 거치고정부를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원통형상 또는 다각기둥형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원통형상 하우징을 포함하는 단위 포트거치부가 결합된 수직 정원 화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원통형상의 하우징(222)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단위 포트거치부(예시적으로 도 4의 200-2)의 방향을 좌우로 조절(도 4의 화살표 참조)하기 편리하여 식물(p)의 좌우배열 조절을 원만히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전체적으로 다양한 멋의 조화를 창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유로캡과 물받이부를 포함하는 수직 정원 화분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에서와 같이,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원의 수직 정원 화분 장치는 상기 단위 포트 거치부의 상단에 삽탈되는 유로캡(300) 또는 단위 포트 거치부의 하단에 삽탈되는 물받이부(400)를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로캡(300)은 깔대기 형상의 캡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최상단의 단위 식재포트에 수분을 공급한 후 외관상 또는 수분증발의 억제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물받이부(400)는 투수되는 물을 받아 수직 정원 화분 장치 주변의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P : 식물 W : 물
100 : 단위 식재포트 110 : 투수공
100-2 : 타 단위 식재포트 200-2 : 타 단위 포트거치부
120 : 입수공 200 : 단위 포트거치부
210 : 삽탈홈 220 : 하우징
300 : 유로캡 400 : 물받이부

Claims (4)

  1. 포트의 하단부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투수공 및 상기 투수공과 반대방향의 외주면으로서 포트 중단부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입수공을 포함하는 단위 식재포트; 및,
    상기 단위 식재포트의 투수공에 의해 낙수되는 물을 타 단위 식재포트의 입수공에 입수시키면서 상기 단위 식재포트가 삽탈 거치되는 삽탈홈이 형성된 단위 포트거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위 포트거치부는, 단위 식재포트를 감싸면서 상부는 개방되어 타 단위 포트거치부가 거치되고 하부는 깔대기 형상의 배수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단위 식재포트가 기울여 삽입되는 삽탈홈:을 포함하는 것인,
    수직 정원 화분 장치.
  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원통형상 또는 다각기둥형상인 것인,
    수직 정원 화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탈홈은 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인,
    수직 정원 화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포트 거치부의 상단에 삽탈되는 유로캡 또는 단위 포트 거치부의 하단에 삽탈되는 물받이부를 추가 포함하는,
    수직 정원 화분 장치.
KR2020140007365U 2014-10-10 2014-10-10 수직 정원 화분 장치 KR2004779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365U KR200477950Y1 (ko) 2014-10-10 2014-10-10 수직 정원 화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365U KR200477950Y1 (ko) 2014-10-10 2014-10-10 수직 정원 화분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2654 Division 2013-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434U true KR20140006434U (ko) 2014-12-29
KR200477950Y1 KR200477950Y1 (ko) 2015-08-10

Family

ID=54014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365U KR200477950Y1 (ko) 2014-10-10 2014-10-10 수직 정원 화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950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59940A (zh) * 2015-12-03 2016-03-02 余启佳 一种盆景桂花自动吸水方法
KR20200130557A (ko) * 2019-05-09 2020-11-19 주식회사 그린텍 패널형 화분 및 이를 구비한 벽면녹화구조물
KR102189913B1 (ko) * 2020-03-17 2020-12-11 올레팜 주식회사 양액 재배 시스템
KR20210009746A (ko) * 2019-07-17 2021-01-27 (주)인성테크 벽면 설치용 식물 포트의 적층 설치 구조
KR102539608B1 (ko) * 2022-08-29 2023-06-02 경상북도(농업기술원) 과채류 수직 재배용 용기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141B1 (ko) 2016-04-20 2018-06-04 김태균 타워형 화분
KR102221001B1 (ko) 2019-05-10 2021-02-26 김태균 다층구조를 갖는 타워형 화분
KR20210109392A (ko) 2020-02-27 2021-09-06 박병천 식생보드용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아쿠아팜 다층 정원 시스템
KR20210002744U (ko) 2020-06-01 2021-12-08 (주)넥스트사이언스 그린월용 식물포트 모듈
KR20210002743U (ko) 2020-06-01 2021-12-08 (주)넥스트사이언스 그린월용 트레이 모듈
KR20220117770A (ko) 2021-02-17 2022-08-24 주식회사 지템퍼러쳐 플랜트월을 구비한 공기정화기능을 가지는 모듈형 부스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9969A (ja) * 2010-08-20 2012-03-01 Hayahei Shibata 緑化ディスプレイ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59940A (zh) * 2015-12-03 2016-03-02 余启佳 一种盆景桂花自动吸水方法
KR20200130557A (ko) * 2019-05-09 2020-11-19 주식회사 그린텍 패널형 화분 및 이를 구비한 벽면녹화구조물
KR20210009746A (ko) * 2019-07-17 2021-01-27 (주)인성테크 벽면 설치용 식물 포트의 적층 설치 구조
KR102189913B1 (ko) * 2020-03-17 2020-12-11 올레팜 주식회사 양액 재배 시스템
KR102539608B1 (ko) * 2022-08-29 2023-06-02 경상북도(농업기술원) 과채류 수직 재배용 용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950Y1 (ko) 2015-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950Y1 (ko) 수직 정원 화분 장치
CN105899069B (zh) 多重盆栽植物自灌溉系统
KR102117368B1 (ko) 이동식 화분 진열대
AU2014208274A1 (en) Flowerpot with water distribution device
KR20150087510A (ko) 화분을 경사지게 수용할 수 있는 박스형 화분수용용기 및 이 박스형 화분수용용기가 다수개 모듈방식으로 착탈식으로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벽면녹화장치
KR101510463B1 (ko) 다층 화분
KR100801133B1 (ko)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
KR102153235B1 (ko) 화분유닛
KR100817549B1 (ko) 다용도 조립식 화분
US20170000049A1 (en) Garden plant watering device
KR102183493B1 (ko) 물 절약형 화분
KR200465181Y1 (ko) 화분 겸용 테이블
KR20200021181A (ko) 수족관 겸용 조립식 화분 및 그 화분을 이용한 파티션 형성방법
KR101638289B1 (ko) 습기 자동 조절형 식물활성화가 가능한 다용도 화분
KR20070119940A (ko) 화분 받침대
KR102073242B1 (ko)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립형 타워식 화분 어셈블리
KR101380567B1 (ko) 화분용 급수기
KR20210037534A (ko) 화분유닛
JP2010200738A (ja) 底面給水による鉢植えの木や草花を使ったアレンジメント用器材
KR200435608Y1 (ko)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
KR102125792B1 (ko) 수족관 겸용 조립식 화분 및 그 화분을 이용한 파티션 형성방법
KR101099546B1 (ko) 이중 식재 공간을 가진 조경용 화분
KR101835770B1 (ko) 화분조립체
KR20180002505U (ko) 다단 분리 가능한 화분
KR200401655Y1 (ko) 벽걸이 화분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