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525B1 - 빗물 저류 기능을 구비하는 지중 수목 지지대 - Google Patents

빗물 저류 기능을 구비하는 지중 수목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525B1
KR102576525B1 KR1020210188498A KR20210188498A KR102576525B1 KR 102576525 B1 KR102576525 B1 KR 102576525B1 KR 1020210188498 A KR1020210188498 A KR 1020210188498A KR 20210188498 A KR20210188498 A KR 20210188498A KR 102576525 B1 KR102576525 B1 KR 102576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ainwater
tree
space
suppor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9271A (ko
Inventor
김재경
황준석
강준석
박경선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88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525B1/ko
Publication of KR20230099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4Transplanting trees; Devices for grasping the root ball, e.g. stump forceps; Wrappings or packages for transporting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에 매립 설치되며, 수목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와이어 또는 지지 로드가 연결되는 제1 및 제2 측면부를 구비하는 지지대 본체와; 상기 지지대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며, 빗물이 입수되는 입수구와; 상기 입수구와 연통하도록 상기 지지대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투수 가능한 공극을 형성하는 골재가 충전되는 투수 공간부; 및 상기 투수 공간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투수 공간부를 통과한 빗물을 저류시키기 위한 빗물 저류 공간부;를 포함하는, 빗물 저류 기능을 구비하는 지중 수목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빗물 저류 기능을 구비하는 지중 수목 지지대 {Underground tree support with rainwater retention function}
본 발명은 가로수 등 수목을 지지하는 기능과 더불어 빗물을 저류시키는 기능을 추가로 갖는 수목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수와 같은 수목을 지지하기 위하여 수목과 지면 사이에 수목 지지대를 사용하여 일 측은 지면에 미끄러지지 않게 고정하고, 타 측은 수목의 기둥 높이에 위치시켜 끈 등으로 결속하여 수목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의 수목 지지대의 경우 수목이 성장함에 따라 수목과 접촉하는 부위에 상처를 발생시키거나 심한 경우 수목이 부러지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미관을 저해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한편, 최근 이슈화 되고 있는 도시기후 변화, 생물 다양성 감소 등 도시 생태 문제는 도시의 불투수 면적(포장 면적)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기존 배수시설의 처리능력에 근접하거나 초과하는 많은 양의 비가 단시간에 집중적으로 내릴 경우, 배수시설이 제기능을 못하게 되어 하수의 역류가 발생하면서 차도나 보도를 침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강우 유출 발생시부터 침투, 저류를 통해 도시화에 따른 수생태계를 최소화하여 개발 이전의 상태에 최대한 가깝게 만들기 위한 토지이용 계획 및 도시 개발 기법인 저영향 개발(Low-impact development, LID)이 제안되었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기술 개발 및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9-273384호 (2009.11.2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중에서 수목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수목 지지대에 빗물 저류 기능을 부가하여, 수목의 성장에 있어 손상을 줄임과 동시에 수목 주변의 투수 면적을 증가시켜 차도나 보도를 침수 현상을 저감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중에 매립 설치되며, 수목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와이어 또는 지지 로드가 연결되는 제1 및 제2 측면부를 구비하는 지지대 본체와; 상기 지지대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며, 빗물이 입수되는 입수구와; 상기 입수구와 연통하도록 상기 지지대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투수 가능한 공극을 형성하는 골재가 충전되는 투수 공간부; 및 상기 투수 공간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투수 공간부를 통과한 빗물을 저류시키기 위한 빗물 저류 공간부;를 포함하는, 빗물 저류 기능을 구비하는 지중 수목 지지대가 개시된다.
또한, 상기 지지 와이어 또는 지지 로드는 토양 내에서 상기 수목을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 본체는,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를 구비하는 내측 프레임부와; 상기 투수 공간부 및 상기 빗물 저류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내측 프레임부에 대해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외측 프레임부와; 상기 내측 및 외측 프레임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닥 프레임부; 및 상기 내측 및 외측 프레임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투수 공간부와 상기 빗물 저류 공간부를 구획하기 위한 구획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 프레임부에는 상기 투수 공간부를 통과한 빗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빗물 통과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빗물 저류 공간부에는 상기 빗물 저류 공간부에 집수된 물을 토양으로 공급하기 위한 스크린 필터;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입수구 및 상기 투수 공간부의 적어도 일부는 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는, 상기 수목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 본체는, 복수개의 상기 수목이 식재된 방향을 따라 서로를 일렬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지지대 본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암 연결부; 및 상기 지지대 본체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암 연결부와 암수 결합되는 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 본체는,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의 양단의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수목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3 및 제4 측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와이어를 지중에 매설하여 수목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수목의 성장에 있어 손상을 줄이고 수형이 올바른 형태의 수목으로 생장할 수 있게 하며, 수목 지지대에 빗물 저류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수목 식생 영역 주변의 투수 면적이 증가되어 차도나 보도를 침수 현상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된 빗물을 갈수기에 토양으로 공급할 수 있게 수목 지지대를 구성함으로써 집수된 빗물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저류 기능을 구비하는 지중 수목 지지대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빗물 저류 기능을 구비하는 지중 수목 지지대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 라인을 따라 취한 지중 수목 지지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빗물 저류 기능을 구비하는 지중 수목 지지대의 개략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빗물 저류 기능을 구비하는 지중 수목 지지대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저류 기능을 구비하는 지중 수목 지지대의 개략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빗물 저류 기능을 구비하는 지중 수목 지지대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 라인을 따라 취한 지중 수목 지지대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빗물 저류 기능을 구비하는 지중 수목 지지대는, 지지대 본체(10), 입수구(20), 투수 공간부(30) 및 빗물 저류 공간부(40)를 포함한다.
지지대 본체(10)는 지중(2, 또는 토양)에 매립 설치되며, 수목(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와이어(5, 또는 지지 로드)와 연결된다. 지지대 본체(10)는 지지 와이어(5)가 각각 연결되는 제1 측면부(S1)와 제2 측면부(S2)를 구비하며, 제1 측면부(S1)와 제2 측면부(S2)는 수목(1)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지지 와이어(5)는 토양(2) 내에서 수목(1)을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복수개의 지지 와이어(5)는 수목(1)의 복수의 개소에 연결되며, 지지대 본체(1)의 제1 및 제2 측면부(S1, S2)가 위치한 방향(즉,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각 측면부(S1, S2)와 연결된다. 지지대 본체(10)의 제1 및 제2 측면부(S1, S2)에는 지지 와이어(5)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6)가 연결될 수 있다.
입수구(20)는 지지대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되며, 빗물이 입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입수구(20)는 지지대 본체(10)의 상면을 개방한 형태로 형성 가능하다.
투수 공간부(30)는 입수구(20)와 연통하도록 지지대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며, 투수 공간부(30) 내에는 투수 가능한 공극을 형성하는 골재(예를 들어, 자갈, 쇄석 등)가 충전된다.
빗물 저류 공간부(40)는 투수 공간부(30)의 하부에 배치되며, 투수 공간부(30)를 통과한 빗물을 저류(또는 저장)시키는 공간을 제공한다.
지지대 본체(10)는 내측 프레임부(11)와, 내측 프레임부(11)에 대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외측 프레임부(12)와, 내측 및 외측 프레임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닥 프레임부(13)와, 내측 및 외측 프레임부(11, 12)의 사이에 배치되는 구획 프레임부(14)를 포함한다.
내측 프레임부(11)는 제1 및 제2 측면부(S1, S2)를 구비하며, 본 실시예와 같이 제3 및 제4 측면부(S3, S4)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및 제4 측면부(S3, S4)는 제1 및 제2 측면부(S1, S2) 양단의 사이에 연결되며, 수목(1)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다시 말해, 4개의 측면부가 서로 직각을 이루며, 2개의 측면부가 각각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며, 이러한 경우 내측 프레임부(11)는 사각 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측 프레임부(12)는 내측 프레임부(11)와의 사이의 공간에 투수 공간부(30) 및 빗물 저류 공간부(40)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외측 프레임부(12)는 그 측면부가 내측 프레임부(11)에 대해 일정 간격 이격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본 실시예와 같이 내측 프레임부(11)보다 큰 단면적의 사각 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닥 프레임부(13)는 빗물 저류 공간부(40)의 바닥을 형성하며, 구획 프레임부(14)는 투수 공간부(30)와 빗물 저류 공간부(40)를 구획하는 구획판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구획 프레임부(14)에는 투수 공간부(30)를 통과한 빗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빗물 통과공(15)이 복수개로 형성된다. 빗물 통과공(15)는 투수 공간부(30) 내에 충전된 골재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다.
빗물 저류 공간부(40), 구체적으로, 내측 프레임부(11)의 하부 영역에는, 빗물 저류 공간부(40)에 집수된 물(W)을 토양(2)으로 공급하기 위한 스크린 필터(50)가 설치될 수 있다. 내측 프레임부(11)의 빗물 저류 공간부(40)의 위치에는 개구부가 설치될 수 있고, 해당 개구부에 스크린 필터(50)가 설치될 수 있다. 스크린 필터(50)에는 복수개의 모세관이 형성되며, 스크린 필터(50)로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갈수기 때 빗물 저류 공간부(40)에 저장된 물이 삼투압 현상에 의해 스크린 필터(50)의 모세관을 통과하여 수목(1)이 위치한 토양(2)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지중 수목 지지대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면, 수목(1)을 토양에 식재하면서 그 외곽 영역에 지지대 본체(10)를 매립하고, 와이어(5)로 지지대 본체(10)의 측면부(S1 내지 S4)와 수목(1)을 각각 연결한다. 그리고, 흙을 덮어 수목(1)의 아래 부분과 지지대 본체(10)를 지중에 매립시킨다. 이 때 입수구(20) 및 투수 공간부(30)의 적어도 일부를 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노출되게 설치하여 주변 지역으로부터 수목 보호 영역을 구획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와이어(5)를 지중(2)에 매설하여 수목(1)을 지지하도록 하여 수목의 성장에 있어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빗물은 입수구(20)로 입수하여 투수 공간부(30)를 통해 빗물 저류 공간부(40)에 저장되며, 이를 통해 수목(1)의 식재 공간 주변을 빗물 저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빗물 저류 공간부(40)에 저장된 물(W)을 갈수기 때 토양(2)으로 재공급하여 집수된 빗물을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빗물 저류 기능을 구비하는 지중 수목 지지대의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지지대 본체(10)는 복수개가 연결된 형태로서, 복수개의 수목(1)이 식재된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지지대 본체(10)는 제1 측면부(S1)와 제2 측면부(S2)를 구비하며, 제3 및 제4 측면부(S3, S4)는 구비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측면부(S1)를 구비한 지지대 본체(10)와, 제2 측면부(S2)를 구비한 지지대 본체(10)가 서로 분리된 형태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각 지지대 본체(10)는 일렬로 서로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60)을 구비할 수 있다. 연결 수단(60)은, 예를 들어, 지지대 본체(10)의 일단에 형성되는 암 연결부(61)와, 지지대 본체(10)의 타단에 형성되어 암 연결부(61)와 암수 결합되는 수 연결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연결 수단(60)은 이와 같은 구성 및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 및 형태로 변형 실시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대 본체(10)를 모듈 형태로 구성하여 가로수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도로 등에 지중 수목 지지대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수목 2: 토양
5: 지지 와이어 6: 커넥터
10: 지지대 본체 11: 내측 프레임부
12: 외측 프레임부 13: 바닥 프레임부
14: 구획 프레임부 15: 빗물 통과공
20: 입수구 30: 투수 공간부
40: 빗물 저류 공간부 50: 스크린 필터
60: 연결 수단 S1 내지 S4: 제1 내지 제4 측면부
G: 골재 W: 물

Claims (9)

  1. 지중에 매립 설치되며, 수목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와이어 또는 지지 로드가 연결되는 제1 및 제2 측면부를 구비하는 지지대 본체;
    상기 지지대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며, 빗물이 입수되는 입수구;
    상기 입수구와 연통하도록 상기 지지대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투수 가능한 공극을 형성하는 골재가 충전되는 투수 공간부; 및
    상기 투수 공간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투수 공간부를 통과한 빗물을 저류시키기 위한 빗물 저류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 본체는,
    상기 수목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를 구비하는 내측 프레임부;
    상기 투수 공간부 및 상기 빗물 저류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내측 프레임부에 대해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외측 프레임부;
    상기 내측 및 외측 프레임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닥 프레임부;
    상기 내측 및 외측 프레임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투수 공간부와 상기 빗물 저류 공간부를 구획하기 위한 구획 프레임부;
    상기 구획 프레임부에 형성되며, 상기 투수 공간부를 통과한 빗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빗물 통과공; 및
    상기 빗물 저류 공간부에 설치되며, 상기 빗물 저류 공간부에 집수된 물을 삼투압 현상에 의해 토양으로 공급하기 위한 스크린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 본체는 복수개의 상기 수목이 식재된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고, 복수개의 상기 지지대 본체는 연결 수단에 의해 일렬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지지대 본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암 연결부; 및
    상기 지지대 본체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암 연결부와 암수 결합되는 수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류 기능을 구비하는 지중 수목 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와이어 또는 지지 로드는 토양 내에서 상기 수목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류 기능을 구비하는 지중 수목 지지대.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10188498A 2021-12-27 2021-12-27 빗물 저류 기능을 구비하는 지중 수목 지지대 KR102576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498A KR102576525B1 (ko) 2021-12-27 2021-12-27 빗물 저류 기능을 구비하는 지중 수목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498A KR102576525B1 (ko) 2021-12-27 2021-12-27 빗물 저류 기능을 구비하는 지중 수목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271A KR20230099271A (ko) 2023-07-04
KR102576525B1 true KR102576525B1 (ko) 2023-09-11

Family

ID=87156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498A KR102576525B1 (ko) 2021-12-27 2021-12-27 빗물 저류 기능을 구비하는 지중 수목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52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307B1 (ko) * 2017-08-28 2018-04-13 (주)화수 저수공간을 갖는 가로수 보호덮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3384A (ja) 2008-05-13 2009-11-26 Shimizu Corp 樹木支持具
KR101497967B1 (ko) * 2013-04-17 2015-03-03 주식회사현우그린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에 설치되는 지주목 구조물
KR101723134B1 (ko) * 2015-07-27 2017-04-04 미호산업개발(주)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307B1 (ko) * 2017-08-28 2018-04-13 (주)화수 저수공간을 갖는 가로수 보호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271A (ko) 202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93758B (zh) 海绵城市道路收蓄排水结构
KR101723134B1 (ko)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
KR101205223B1 (ko) 침투수 처리시스템
KR101510615B1 (ko) 침투식 빗물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681708B1 (ko) 식생용 옹벽블럭
KR101505984B1 (ko) 가로 녹지용 저류 관수장치
KR101019776B1 (ko) 식생블록의 수분공급 시스템
KR102576525B1 (ko) 빗물 저류 기능을 구비하는 지중 수목 지지대
KR101440988B1 (ko)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을 이용한 침투형 빗물저류 시스템
KR20080099937A (ko) 계단식 화단 옹벽용 배수구조 및 계단식 화단 옹벽시공방법
KR102015523B1 (ko) 친환경 식생형 배수로 장치
KR100523965B1 (ko) 건축용 조경블럭
KR102543474B1 (ko) 띠녹지 화분
CN104179242A (zh) 一种复合型雨水沟和雨水综合利用系统
TWI721329B (zh) 網連式排水鋪面裝置
KR101497967B1 (ko)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에 설치되는 지주목 구조물
KR101089653B1 (ko) 가로수 보호용 보도블록의 시공방법
KR200451992Y1 (ko) 투수 패드를 구비한 보도블럭용 포석 케이스
KR101677180B1 (ko) 단위축조블록을 이용한 조경구조물
CN217053398U (zh) 一种具有引水效果的铁路路基边坡结构
KR102594556B1 (ko) 우수를 식생수로 이용하는 식물재배화분
KR100562225B1 (ko) 비탈면 토사유실 방지 구조물
CN113802428B (zh) 一种含隐匿式排水渠的矿山景观道路结构
KR102263825B1 (ko) 식재기반 기능 및 도심지 강우유출수 관리 기능을 가진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32766B1 (ko) 뿌리 성장 유도 수목보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