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825B1 - 식재기반 기능 및 도심지 강우유출수 관리 기능을 가진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식재기반 기능 및 도심지 강우유출수 관리 기능을 가진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825B1
KR102263825B1 KR1020190103661A KR20190103661A KR102263825B1 KR 102263825 B1 KR102263825 B1 KR 102263825B1 KR 1020190103661 A KR1020190103661 A KR 1020190103661A KR 20190103661 A KR20190103661 A KR 20190103661A KR 102263825 B1 KR102263825 B1 KR 102263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tructure
road surface
rainwater
pipe
rainwater fl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3456A (ko
Inventor
강두기
이종식
박윤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진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진이엔씨
Priority to KR1020190103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825B1/ko
Publication of KR20210023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3Naturals or landscape retention bodies, e.g. pon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40Protecting water resour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식재기반 기능 및 도심지 강우유출수 관리 기능을 가진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은, 노면의 일측에 형성되어 내부에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부와, 상기 식생부 및 노면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식생부 및 노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저류하는 저류 구조부와, 상기 저류 구조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저류 구조부에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토사를 걸러내는 분리시트와, 하향 경사진 노면의 일측 가장자리 하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상측이 개방된 집수 공간이 구비되어, 노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집수하는 집수정과, 노면의 일측에 형성되어 노면의 우수가 유입되는 수직 유입관과, 상기 수직 유입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우수를 상기 저류 구조부로 분배하는 다수의 분배공이 형성된 유공분배관과, 상기 유공분배관의 일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저류 구조부에서 월류되는 우수를 상기 집수정으로 배수시키는 제1 배수관과, 상기 저류 구조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저류 구조부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지중으로 배수시키는 제2 배수관 및 노면의 일측에 형성되되, 일측 단부가 상기 제2 배수관과 연통 형성되는 점검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재기반 기능 및 도심지 강우유출수 관리 기능을 가진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 시공방법은, 대상 노면을 일정한 폭 및 깊이로 터파기하고, 바닥면을 다지는 기초단계와, 상기 바닥면의 상측에 노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저류할 저류 구조부를 설치하는 저류 구조부 설치 단계와, 상기 저류 구조부에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토사를 걸러내는 분리시트를 상기 저류 구조부의 상부에 설치하는 분리시트 설치 단계와, 내부에 상측이 개방된 집수 공간이 구비되어, 노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집수하는 집수정을 하향 경사진 노면의 일측 가장자리 하부에 설치하는 집수정 설치 단계와, 노면의 우수가 유입되는 수직 유입관과, 상기 수직 유입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우수를 상기 저류 구조부로 분배하는 다수의 분배공이 형성된 유공분배관과, 상기 유공분배관의 일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저류 구조부에서 월류되는 우수를 상기 집수정으로 배수시키는 제1 배수관을 노면의 일측에 설치하는 제1 관로 설치 단계와, 상기 저류 구조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저류 구조부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지중으로 배수시키는 제2 배수관과, 일측 단부가 상기 제2 배수관과 연통 형성되는 점검관을 노면의 일측에 형성하는 설치하는 제2 관로 설치 단계 및 저류 구조부의 상부 및 측부를 되메워 마감하는 되메우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재기반 기능 및 도심지 강우유출수 관리 기능을 가진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Rainwater retention structure for underground, and its construction method having planting environment and managing rainwater runoff}
본 발명은 식재기반 기능 및 도심지 강우유출수 관리 기능을 가진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노면 하부나 가장자리에 적용되어 식재기반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강우 유출수의 여과, 지체, 저류, 침투 기능을 수행하는 식재기반 기능 및 도심지 강우유출수 관리 기능을 가진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심지 내 수목의 가치를 현금가치로 정량화하기는 어렵지만, 도심지 내 수목의 내재가치(Intrinsic Value)가 상당함은 누구나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적절한 토양조건, 충분한 수분공급 및 최적의 배수시설 설치 등의 제약으로 인해 도심지 내에서 수목을 건강하게 키운다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향후 도시화로 인한 토지이용 고도화로 인해 더욱더 어려운 여건이 될 것이며, 이로 인한 막대한 경제적 비용의 따를 것이다.
이러한 도시화는 공개공지 부족, 조경 수목 생장 공간의 부족, 도시 강우유출수 관리의 문제점 등을 유발하고 있다. 보통 도심지 내 수목의 식재는 보도 및 도로의 하부 또는 측면 공간에 식재되어 상부에만 개구를 가지는 한계가 있어 식생의 건강한 생장에 한계가 있으며, 식생 뿌리의 생장 등으로 인한 보도와 도로 파손과 침하, 다짐 토양층으로 인한 수목 생장의 제약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친환경성 및 식재관리를 위한 상부의 조경시설물의 안정적인 기능 유지 및 통기기능, 통수기능과 더불어 유지관리가 가능한 구조와 기능을 가진 조경시설물 하부의 지반 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조경공간 및 수경공간 하부에 적용되어 식재기반의 기능을 수행하며, 그 외 투수성, 불투수성 주차장, 보도, 도로 하부나 가장자리에 적용하여 강우유출수의 여과, 지체, 저류, 침투 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식재기반 기능 및 도심지 강우유출수 관리 기능을 가진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77086호 (2013.06.13.)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노면 하부나 가장자리에 적용되어 식재기반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강우유출수의 여과, 지체, 저류, 침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식재기반 기능 및 도심지 강우유출수 관리 기능을 가진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재기반 기능 및 도심지 강우유출수 관리 기능을 가진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은, 노면의 일측에 형성되어 내부에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부와, 상기 식생부 및 노면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식생부 및 노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저류하는 저류 구조부와, 상기 저류 구조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저류 구조부에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토사를 걸러내는 분리시트와, 하향 경사진 노면의 일측 가장자리 하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상측이 개방된 집수 공간이 구비되어, 노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집수하는 집수정과, 노면의 일측에 형성되어 노면의 우수가 유입되는 수직 유입관과, 상기 수직 유입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우수를 상기 저류 구조부로 분배하는 다수의 분배공이 형성된 유공분배관과, 상기 유공분배관의 일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저류 구조부에서 월류되는 우수를 상기 집수정으로 배수시키는 제1 배수관과, 상기 저류 구조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저류 구조부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지중으로 배수시키는 제2 배수관 및 노면의 일측에 형성되되, 일측 단부가 상기 제2 배수관과 연통 형성되는 점검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류 구조부는, 판상의 하부 구조체와, 상기 하부 구조체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되, 복수의 배수홀과, 상기 수직부재의 일측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구와, 상측 가장자리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보강용 지지체와, 상측 가장자리에 폭 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제2 보강용 지지체 및 상측 중앙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 형성되는 X자 형상의 제3 보강용 지지체를 포함하는 상부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재기반 기능 및 도심지 강우유출수 관리 기능을 가진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 시공방법은, 대상 노면을 일정한 폭 및 깊이로 터파기하고, 바닥면을 다지는 기초단계와, 상기 바닥면의 상측에 노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저류할 저류 구조부를 설치하는 저류 구조부 설치 단계와, 상기 저류 구조부에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토사를 걸러내는 분리시트를 상기 저류 구조부의 상부에 설치하는 분리시트 설치 단계와, 내부에 상측이 개방된 집수 공간이 구비되어, 노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집수하는 집수정을 하향 경사진 노면의 일측 가장자리 하부에 설치하는 집수정 설치 단계와, 노면의 우수가 유입되는 수직 유입관과, 상기 수직 유입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우수를 상기 저류 구조부로 분배하는 다수의 분배공이 형성된 유공분배관과, 상기 유공분배관의 일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저류 구조부에서 월류되는 우수를 상기 집수정으로 배수시키는 제1 배수관을 노면의 일측에 설치하는 제1 관로 설치 단계와, 상기 저류 구조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저류 구조부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지중으로 배수시키는 제2 배수관과, 일측 단부가 상기 제2 배수관과 연통 형성되는 점검관을 노면의 일측에 형성하는 설치하는 제2 관로 설치 단계 및 저류 구조부의 상부 및 측부를 되메워 마감하는 되메우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류 구조부 설치 단계는, 상기 바닥면의 상측에 판상의 하부 구조체를 설치하는 하부 구조체 설치 단계와, 상기 하부 구조체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의 수직 부재를 설치하는 수직부재 설치 단계와, 상기 수직부재의 일측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구가 형성된 판상의 상부 구조체를 상기 수직부재의 상부에 설치하는 상부 구조체 설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부와, 상기 식생부 및 노면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식생부 및 노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저류하는 저류 구조부를 개시하여, 식재기반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강우유출수의 여과, 지체, 저류, 침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식재기반 기능 및 도심지 강우유출수 관리 기능을 가진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류 구조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류 구조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 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노면 하부나 가장자리에 적용되어 식재기반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강우 유출수의 여과, 지체, 저류, 침투 기능을 수행하는 식재기반 기능 및 도심지 강우유출수 관리 기능을 가진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이는 도 1을 참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1000)은 식생부(100), 저류 구조부(200), 분리시트(300), 집수정(400), 수직 유입관(500), 유공분배관(600), 제1 배수관(700), 제2 배수관(800) 및 점검관(900)으로 구성되어, 노면(R) 하부나 가장자리에 적용된다.
특히, 노면(R)의 경우, 일측 가장자리가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노면(R)에 내리는 우수가 경사를 따라 후술할 집수정(400) 및 저류 구조부(200)에 집수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먼저, 식생부(100)는 내부에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식생부(100)의 내부에는 식물이 식재되어 생장할 수 있도록 토양이 충전된다.
저류 구조부(200)는 상기 식생부(100) 및 노면(R)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식생부(100) 및 노면(R)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저류하는 구성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 구조체(210), 수직부재(220) 및 상부 구조체(230)를 포함하며, 이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류 구조부(200)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류 구조부(200)의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구조체(210)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저류 구조부(200)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구조체(21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수직 부재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직부재(220)의 상부에는 판상으로 형성된 상부 구조체(230)가 결합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구조체(230)는 복수의 배수홀(231)과, 상기 수직부재(220)의 일측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구(233)와, 상측 가장자리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보강용 지지체(235)와, 상측 가장자리에 폭 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제2 보강용 지지체(237) 및 상측 중앙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 형성되는 X자 형상의 제3 보강용 지지체(2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상부 구조체(230)는 제1 보강용 지지체(235), 제2 보강용 지지체(237) 및 제3 보강용 지지체(239)를 구비하여,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여 상부 토양층에 의한 균열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하부 구조체(210), 수직부재(220) 및 상부 구조체(230)에 의해 형성되는 저류 구조부(200)의 내부 공간에는 자갈, 모래, 인공토를 포함한 토양층이 충전되어, 상기 식생부(100) 및 노면(R)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의 오염물을 여과함과 동시에 식생부(100)에 식재된 식물 뿌리의 생장이 가능한 식재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식생부(100) 및 노면(R)으로부터 유입된 우수는 상기 배수홀(231)을 통해 저류 구조부(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유입된 우수는 상기 저류 구조부(200)의 토양층에 저류되되, 수용 가능한 저류 용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후술할 제1 배수관(700)을 통하여 우수가 집수정(400)으로 배수되며,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류 구조부(200)는 보호시트(240)와 연결부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보호시트(240)는 저류 구조부(200)의 상부면 및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저류 구조부(200) 내측으로 협잡물을 포함한 우수의 오염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연결부재(250)는 저류 구조부(200)의 외면 일측에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보호시트(240) 및 저류 구조부(200)를 고정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고정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분리시트(300)는 상기 저류 구조부(2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저류 구조부(200)에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토사를 걸러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집수정(400)은 하향 경사진 노면(R)의 일측 가장자리 하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상측이 개방된 집수 공간이 구비되어, 노면(R)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집수한다.
또한, 상기 집수 공간에는 상기 저류 구조부(200)의 저류 용량을 초과하는 우수가 배수될 수 있다.
수직 유입관(500)은 노면(R)의 일측에 형성되어 노면(R)의 우수가 유입되며, 상기 수직 유입관(500)은 노면(R)에 내리는 우수를 하부로 직접 유입시켜 지중으로 배수하거나, 또는 우수를 저류 구조물에 저류시키기 위한 유입관의 기능을 가지며, 홍수 시 원활하게 노면(R)의 우수를 배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유공분배관(600)은 상기 수직 유입관(500)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 유입관(500)으로부터 유입된 우수를 상기 저류 구조부(200)로 분배하는 다수의 분배공이 형성된다.
즉, 상기 유공분배관(600)은 상기 분배공을 통해 유입된 우수를 하측의 저류 구조부(200)로 균등하게 분배함에 따라 과대한 우수 유입으로 인한 세굴방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제1 배수관(700)은 상기 유공분배관(600)의 일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저류 구조부(200)에서 월류되는 우수를 상기 집수정(400)으로 배수시킨다.
즉, 상기 제1 배수관(700)은 상기 저류 구조부(200)의 저류 용량을 초과하는 우수를 상기 집수정(400)으로 배수시켜, 저류 구조부(200)가 저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호할 수 있다.
제2 배수관(800)은 상기 저류 구조부(2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저류 구조부(200)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지중으로 배수시킨다.
점검관(900)은 노면(R)의 일측에 형성되되, 일측 단부가 상기 제2 배수관(800)과 연통 형성된다. 상기 점검관(900)을 통해 사용자는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1000)을 손상시키지 않고, 유지관리 및 기능 수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이는 도 4를 참조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 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기초단계(S100), 저류 구조부 설치 단계(S200), 분리시트 설치 단계(S300), 집수정 설치 단계(S400), 제1 관로 설치 단계(S500), 제2 관로 설치 단계(S600) 및 되메우기 단계(S700)로 구성되며, 상기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기초단계(S100)는 대상 노면(R)을 일정한 폭 및 깊이로 터파기하고, 바닥면을 다지는 단계로서, 상기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이 매설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저류 구조부 설치 단계(S200)는 상기 바닥면의 상측에 노면(R)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저류할 저류 구조부(200)를 설치하는 단계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 구조체 설치 단계(S210), 수직부재 설치 단계(S220) 및 상부 구조체 설치 단계(S230)로 구성된다.
먼저, 하부 구조체 설치 단계(S210)는 상기 바닥면의 상측에 판상의 하부 구조체(210)를 설치하는 단계이며, 수직부재 설치 단계(S220)는 상기 하부 구조체(21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의 수직부재(220)를 설치하는 단계이며, 상부 구조체 설치 단계(S230)는 상기 수직부재의 일측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구(233)가 형성된 판상의 상부 구조체(230)를 상기 수직부재(220)의 상부에 설치하는 단계이다.
아울러, 상기 상부 구조체 설치 단계(S230) 이후에는, 상기 저류 구조부(200)의 상부면 및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보호시트(240)를 설치하는 보호시트 설치 단계(S240)가 추가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저류 구조부(200) 내측으로 협잡물을 포함한 우수의 오염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분리시트 설치 단계(S300)는 상기 저류 구조부(200)에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토사를 걸러내는 분리시트(300)를 상기 저류 구조부(200)의 상부에 설치하는 단계이다.
집수정 설치 단계(S400)는 내부에 상측이 개방된 집수 공간이 구비되어, 노면(R)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집수하는 집수정(400)을 하향 경사진 노면(R)의 일측 가장자리 하부에 설치하는 단계이다.
제1 관로 설치 단계(S500)는 노면(R)의 우수가 유입되는 수직 유입관(500)과, 상기 수직 유입관(500)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 유입관(500)으로부터 유입된 우수를 상기 저류 구조부(200)로 분배하는 다수의 분배공이 형성된 유공분배관(600)과, 상기 유공분배관(600)의 일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저류 구조부(200)에서 월류되는 우수를 상기 집수정(400)으로 배수시키는 제1 배수관(700)을 노면(R)의 일측에 설치하는 단계이다.
제2 관로 설치 단계(S600)는 상기 저류 구조부(2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저류 구조부(200)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지중으로 배수시키는 제2 배수관(800)과, 일측 단부가 상기 제2 배수관(800)과 연통 형성되는 점검관(900)을 노면(R)의 일측에 형성하는 설치하는 단계이다.
되메우기 단계(S700)는 상기 저류 구조부(200)의 상부 및 측부를 되메워 마감하는 단계로서, 지중에 매설된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식재기반 기능 및 도심지 강우유출수 관리 기능을 가진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설명을 마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을 노면 하부나 가장자리에 적용함으로써, 식재기반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우기에는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의 내부에 우수를 저류하여 홍수로 인한 피해를 저감하고, 건기에는 상기 저류된 우수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강우유출수의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R : 노면
1000 :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
100 : 식생부
200 : 저류 구조부
210 : 하부 구조체
220 : 수직부재
230 : 상부 구조체
231 : 배수홀
233 : 결합구
235 : 제1 보강용 지지체
237 : 제2 보강용 지지체
239 : 제3 보강용 지지체
240 : 보호시트
250 : 연결부재
300 : 분리시트
400 : 집수정
500 : 수직 유입관
600 : 유공분배관
700 : 제1 배수관
800 : 제2 배수관
900 : 점검관
S100 : 기초단계
S200 : 저류 구조부 설치 단계
S210 : 하부 구조체 설치 단계
S220 : 수직부재 설치 단계
S230 : 상부 구조체 설치 단계
S240 : 보호시트 설치 단계
S300 : 분리시트 설치 단계
S400 : 집수정 설치 단계
S500 : 제1 관로 설치 단계
S600 : 제2 관로 설치 단계
S700 : 되메우기 단계

Claims (4)

  1. 노면의 일측에 형성되어 내부에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부;
    상기 식생부 및 노면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식생부 및 노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저류하는 저류 구조부;
    상기 저류 구조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저류 구조부에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토사를 걸러내는 분리시트;
    하향 경사진 노면의 일측 가장자리 하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상측이 개방된 집수 공간이 구비되어, 노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집수하는 집수정;
    노면의 일측에 형성되어 노면의 우수가 유입되는 수직 유입관;
    상기 수직 유입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우수를 상기 저류 구조부로 분배하는 다수의 분배공이 형성된 유공분배관;
    상기 유공분배관의 일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저류 구조부에서 월류되는 우수를 상기 집수정으로 배수시키는 제1 배수관;
    상기 저류 구조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저류 구조부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지중으로 배수시키는 제2 배수관; 및
    노면의 일측에 형성되되, 일측 단부가 상기 제2 배수관과 연통 형성되는 점검관;을 포함하고,
    상기 저류 구조부는,
    판상의 하부 구조체와,
    상기 하부 구조체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되, 복수의 배수홀과, 상기 수직부재의 일측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구와, 상측 가장자리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보강용 지지체와, 상측 가장자리에 폭 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제2 보강용 지지체 및 상측 중앙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 형성되는 X자 형상의 제3 보강용 지지체를 포함하는 상부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기반 기능 및 도심지 강우유출수 관리 기능을 가진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
  2. 삭제
  3. 대상 노면을 일정한 폭 및 깊이로 터파기하고, 바닥면을 다지는 기초단계;
    상기 바닥면의 상측에 노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저류할 저류 구조부를 설치하는 저류 구조부 설치 단계;
    상기 저류 구조부에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토사를 걸러내는 분리시트를 상기 저류 구조부의 상부에 설치하는 분리시트 설치 단계;
    내부에 상측이 개방된 집수 공간이 구비되어, 노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집수하는 집수정을 하향 경사진 노면의 일측 가장자리 하부에 설치하는 집수정 설치 단계;
    노면의 우수가 유입되는 수직 유입관과, 상기 수직 유입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우수를 상기 저류 구조부로 분배하는 다수의 분배공이 형성된 유공분배관과, 상기 유공분배관의 일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저류 구조부에서 월류되는 우수를 상기 집수정으로 배수시키는 제1 배수관을 노면의 일측에 설치하는 제1 관로 설치 단계;
    상기 저류 구조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저류 구조부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지중으로 배수시키는 제2 배수관과, 일측 단부가 상기 제2 배수관과 연통 형성되는 점검관을 노면의 일측에 형성하는 설치하는 제2 관로 설치 단계; 및
    저류 구조부의 상부 및 측부를 되메워 마감하는 되메우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기반 기능 및 도심지 강우유출수 관리 기능을 가진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 시공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 구조부 설치 단계는,
    상기 바닥면의 상측에 판상의 하부 구조체를 설치하는 하부 구조체 설치 단계와,
    상기 하부 구조체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의 수직 부재를 설치하는 수직부재 설치 단계와,
    상기 수직부재의 일측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구가 형성된 판상의 상부 구조체를 상기 수직부재의 상부에 설치하는 상부 구조체 설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기반 기능 및 도심지 강우유출수 관리 기능을 가진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 시공방법.
KR1020190103661A 2019-08-23 2019-08-23 식재기반 기능 및 도심지 강우유출수 관리 기능을 가진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63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661A KR102263825B1 (ko) 2019-08-23 2019-08-23 식재기반 기능 및 도심지 강우유출수 관리 기능을 가진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661A KR102263825B1 (ko) 2019-08-23 2019-08-23 식재기반 기능 및 도심지 강우유출수 관리 기능을 가진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456A KR20210023456A (ko) 2021-03-04
KR102263825B1 true KR102263825B1 (ko) 2021-06-11

Family

ID=75174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661A KR102263825B1 (ko) 2019-08-23 2019-08-23 식재기반 기능 및 도심지 강우유출수 관리 기능을 가진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8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001B1 (ko) * 2013-08-21 2015-01-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와 보도 연계형 빗물관리 시스템
KR101662758B1 (ko) * 2015-10-29 2016-10-05 (주)아록이엔지 도로 침수 방지, 지하수위 유지를 통한 지반안정 및 우수 재이용을 위한 우수 저류 및 관리시스템
KR101701387B1 (ko) * 2016-06-07 2017-02-01 (주) 일신네이쳐 빗물 침투 시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086B1 (ko) 2012-10-30 2013-06-19 주식회사 한길 조립식 우수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60148949A (ko) * 2015-06-17 2016-12-27 케이에스테크 주식회사 유량분배셀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시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001B1 (ko) * 2013-08-21 2015-01-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와 보도 연계형 빗물관리 시스템
KR101662758B1 (ko) * 2015-10-29 2016-10-05 (주)아록이엔지 도로 침수 방지, 지하수위 유지를 통한 지반안정 및 우수 재이용을 위한 우수 저류 및 관리시스템
KR101701387B1 (ko) * 2016-06-07 2017-02-01 (주) 일신네이쳐 빗물 침투 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456A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5886B2 (en) Integrated tree root and storm water system
KR20160022632A (ko) 식생 성장 촉진 및 비점오염물질의 저감 제거를 갖는 빗물 정원 시설의 시공 방법
KR101701387B1 (ko) 빗물 침투 시설
CN113818534B (zh) 用于海绵城市道路的生物滞留设施
KR101206057B1 (ko) 보도의 식생 배수 구조물
KR101510615B1 (ko) 침투식 빗물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
CN106717413B (zh) 一种海绵城市绿化灌溉系统及其施工方法
CN112982072B (zh) 一种绿化带蓄排水路沿石系统及蓄排水方法
US20090285632A1 (en) Water conservation and distribution system
KR102055349B1 (ko)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
KR102263825B1 (ko) 식재기반 기능 및 도심지 강우유출수 관리 기능을 가진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WO2008035964A1 (en) Growing location, method and holder
KR100352143B1 (ko) 가로수의 생육여건개선용 식수대(植樹帶) 시공방법
CN104179242A (zh) 一种复合型雨水沟和雨水综合利用系统
KR101668420B1 (ko) 우수 저류침투형 잔디조성구조
KR100926539B1 (ko) 지열과 우수의 순환을 통한 석재포장 보도의 온도 습도 조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석재포장 보도의 시공방법
KR100577846B1 (ko) 친환경적인 도로 옹벽 설치구조
KR101246030B1 (ko) 초기우수 집수 및 식재 기능이 구비된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Gardens Rain Gardens
KR102377744B1 (ko) 저영향개발 침투도랑을 조합한 식물재배화분
KR102219577B1 (ko) 유출수 저감 보도구조
CN215290501U (zh) 一种超高段排水结构
CN214005295U (zh) 一种盐碱地景观中沥青透水铺装与泛盐碱防护一体结构
CN217711015U (zh) 一种基于不同水位梯度的雨水花园连通溢流系统
KR102076296B1 (ko) 식생침투를 위한 우수저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