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3479Y1 - 식물재배용 녹지조성구조 - Google Patents

식물재배용 녹지조성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3479Y1
KR200313479Y1 KR20-2003-0004611U KR20030004611U KR200313479Y1 KR 200313479 Y1 KR200313479 Y1 KR 200313479Y1 KR 20030004611 U KR20030004611 U KR 20030004611U KR 200313479 Y1 KR200313479 Y1 KR 2003134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soil
vegetation soil
sheet
l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46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경호
Original Assignee
전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경호 filed Critical 전경호
Priority to KR20-2003-00046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34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34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34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암반 또는 모래나, 콘크리트지역으로 식물이 자라기 부적합한 지역에 환경 친화적 기법으로 녹지를 조성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일 예로서 콘크리트로 된 옥상 바닥에 식생토와 씨앗이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적정수의 식생시트를 깔고 그 가장자리에 식생토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사각의 벽체를 접착 고정시키되 벽체의 다수부위에 식생토의 유실은 억제하면서 유입된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개구부에 착탈되는 걸름망과 배수된 물을 옥상의 배수트랩으로 안내하기 위한 배수 안내관으로 구성되는 배수구조를 구비하도록 한 것으로,
식생 시트상에 에어포켓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돌부를 두어 기둥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식생토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에 따른 토양의 홀딩 지지기능을 발휘하도록 하여 식생토가 안정된 수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식물의 발아 및 생육조건을 모두 갖춘 상태에서 시공하게 되는 것이므로 녹지조성에 소요되는 기간이 단축될 수 있게 됨은 물론 시공작업이 간편하여 소요 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게 됨으로써 실용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식물재배용 녹지조성구조{A USE PLANT CULTURE THE STRUCTURE OF DEVELOPMENT A GREEN TRACT OF LAND}
본 고안은 암반 또는 모래나, 콘크리트지역으로 식물이 자라기 부적합한 지역에 환경 친화적 기법으로 녹지를 조성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일 예로서 콘크리트로 된 옥상 바닥에 식생 토와 씨앗이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적정수의 식생시트를 깔고 그 가장자리에 식생토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사각의 벽체를 접착 고정시키되 벽체의 다수부위에 식생토의 유실은 억제하면서 유입된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개구부에 착탈되는 망상의 걸름망과 배수된 물을 옥상의 배수트랩으로 안내하기 위한 배수 안내관으로 구성되는 배수구조를 구비하도록 한 것으로,
식생 시트상에 에어포켓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돌부를 두어 기둥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식생토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에 따른 토양의 홀딩 지지기능을 발휘하도록 하여 식생토가 안정된 수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식물의 발아 및 생육조건을 모두 갖춘 상태에서 시공하게 되는 것이므로 시공 후 녹지조성에 소요되는 기간이 단축될 수 있게 됨은 물론 시공 작업이 간편하여 인건비 등의 소요 비용이 크게 절감되고 공사기간이 단축될 수 있어 실용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20세기 초기부터 산업화 및 도시화 등의 영향으로 우리 주변의 환경은 자연과의 공존에서 멀어지고, 인간 편리를 중심으로 한 공간구조가 형성되었다.
그로 인한 생활주변의 부작용들은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다양하고 많은 분야에서 나타나기 시작했고, 급기야는 인간 생존의 위협에까지 이르는 등의 환경악화 현상이 나타났다.
우리가 숨쉬고 마시고, 섭취하는 등 기본적인 생명유지에 필요한 것들이 모두 주변의 환경에서 출발되기 때문에 이제 환경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 중의 하나가 되었으며 생활 속에서 환경을 보전하고 개선하려는 노력들을 기울여왔다.
이와 같은 노력들 중에서 인공지반을 녹화하기 위해서 옥상공간을 녹화하기 위한 움직임이 1980년대부터 시작되었으나, 하중이나 누수 등과 같은 제한점으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한편 종래에 옥상 지붕에 단열재를 깔고 단열재 상단에 루바를 설치하되 단열재와 루바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며 루바 상부에 세덤 블럭을 설치함으로써 한번 설치로 유지관리가 필요하지 않아 시설투자비를 저감할 수 있으며 외부온도를 차단하고 열 손실을 방지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와 같이 식물 생육 면적을 확보하여 신선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옥상 녹화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332076호로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할 부재가 많아 시공과정이 증가되고 또한 세덤 블록에 일일이 세덤을 식생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으로 작업성이 저하되고 인건비의 증가를 초래하게 되며 실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식생토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토양의 홀딩 지지기능을 발휘하도록 하여 식생토가 안정된 수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식물의 발아 및 생육조건을 모두갖춘 상태에서 시공하게 되는 것이므로 시공 후 녹지조성에 소요되는 기간이 단축될 수 있고 시공 작업이 간편하여 인건비 등의 소요 비용이 크게 절감되고 공사기간이 단축될 수 있는 식물재배용 녹지조성구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암반 또는 모래지역 등을 비롯하여, 일 예로서 옥상과 같이 콘크리트지역의 바닥에 깔려져 설치되며 상면에 에어포켓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돌부와, 바닥에 격자로 부착되어 강도와 내구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끈을 구비하는 식생시트를 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식생 시트상에 적층의 구성되며 씨앗의 상, 하측에 각각 모래층과 토양층으로 구성되는 식생토를 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식생토를 감싸 밀봉하도록 식생시트의 지지돌부 상면과 식생시트의 바닥에 접착 구성되며 식생토의 유동이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지를 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식생시트의 가장자리에 접착 구성되며 식생토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사각의 벽체를 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벽체의 다수부위에 구성시킨 개구부와, 이에 착탈되는 걸름망 및 배수된 물을 옥상의 배수트랩으로 안내하기 위한 배수 안내관으로 구성되는 배수구조를 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적용상태를 보인 단면 예시도.
도 3은 도 2의 "가"부분 확대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식생시트 11 : 지지돌부
12 : 보강 끈 20 : 식생토
21 : 토양층 22 : 모래층
30 : 커버지 40 : 벽체
50 : 배수구조 51 : 개구부
52, 52' : 삽지홈 53 : 걸름망
54 : 배수 안내관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적용상태를 보인 단면 예시도로서,
본 고안은 두장의 비닐을 접착하되 국부적으로 비접착부를 두고 이에 공기가 충입되도록 하여 상면으로 에어포켓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돌부(11)가 형성되도록 식생시트(10)를 구성하되 이 식생시트(10)의 저부에는 내구성이 강한 질긴 보강 끈(12)을 격자로 접착시켜 식생시트(10) 전체의 강도와 내구성을 보강토록 한다.
상기 지지돌부(11)는 도면에서와 같이 열십자(X)형태로 하거나 또는 기타 형상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식생 시트(10)상에는 바닥에서부터 일정 높이로 토양층(21)을 적층하고 그 위에 재배할 식물의 씨앗(S)을 균일하게 파종한 다음 그 위에 모래층(22)을 두어 식생토(20)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식생시트(10)의 적층된 외부에는 식생토(20)를 감싸 밀봉하도록 커버지(30)를 덮어 주되 커버지(30)가 시공 시 뜯어내어 분리시키는 것임을 감안하여 시공 전 까지 임시적으로 고정되도록 지지돌부(11)의 상면과는 돗트(DOT)식으로 국부적으로 접착하여 시공 시 분리가 쉽도록 하며 반면에 커버지(30)의 가장자리는 식생시트(10)의 바닥에 선(線)상으로 빈틈없이 연결 접착하여 운반 이동시 등 취급시에 식생토(20)의 유동이나 유실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커버지(30)는 특정의 소재로 한정되지 않으나 분리 시 조직의 파손이 용이하여 분리가 용이한 부직포를 적용하는 것이 좋다.
옥상의 바닥(F)에 깔려지는 상기 식생시트(10)의 가장자리에는 녹지를 경계짓고 시공된 식생시트(10)의 식생토(20)를 가두어 두는 기능을 하는 사각 틀형의 벽체(40)를 둔다.
상기 벽체(40)는 특정의 소재로 한정되지 않으나 내구성이 강한 "ㄴ"형 단면의 형강을 용접으로 이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40)에는 유입된 물의 배수를 위해 다수 부위에 바닥까지 이어지는 개구부(51)를 두며, 상기 개구부(51)의 양측연부에는 삽지홈(52)을 두어 이에 물은 빠지고 식생토(20)는 걸려져 배출이 억제되도록 걸름망(53)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며 이 걸름망(53)의 전면에는 또 다른 삽지홈(52')을 통해 벽체(40)에서 배수된 물을 옥상의 배수트랩(DT)으로 이동 안내하기 위한 배수 안내관(54)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배수구조(50)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2에서와 같이 옥상의 바닥(F)에 설치되는 본 고안은 먼저 녹지가 설치될 부위에 원하는 면적만큼 벽체(40)를 구성하고 이 벽체(40)의 내부에 이미 씨앗(S)과 식생토(20)가 장착되고 커버지가 부착되어 있는 식생시트(10)를 깔아 채워주게 되며 식생시트(10)간의 겹치는 연결부위는 접착제로 접착하고 벽체와 접하는 식생시트(10)의 가장자리는 벽체(40)의 내부로 접어 올려 접착제로 접착함으로써 물이 옥상의 바닥으로 누수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식생시트(10)의 시공이 완료되면 식생시트(10)에서 커버지(30)를 뜯어내어 모래층(22)을 외부로 노출시켜 씨앗의 발아 시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며 식생토(20)는 벽체(40)에 갇혀 안정되게 담겨져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시공이 완료된 식생시트(10)에 재배용수를 공급하여 씨앗(S)을 발아시키고 식물을 재배하여 옥상에 녹지를 조성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우천 시 벽체(40)내의 식생시트(10)로 빗물이 유입되면 빗물만이 벽체(40)에 형성된 개구부(51)의 걸름망(53)을 통해 배수되며 빗물에 쓸려 이동되는 식생토(20)는 걸름망(53)에 걸리어 배출되지 못하게 됨으로 벽체(40)외부로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식생 시트상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부가 식생토와 결합된 상태에서 기둥 역할을 하게 됨으로 식생시트와 식생토 와의 접촉면적증가에 따라 토양의 홀딩 지지기능을 발휘하게 됨으로 식생토가 안정된 수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파종된 씨앗의 위치 변동을 방지하여 발아나 생육조건에 악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며, 아울러 식생시트가 씨앗과 식생토 등 식물의 발아 및 생육조건을 모두 갖춘 상태로 제조되고 시공하게 되는 것이므로 시공 후 녹지조성에 소요되는 기간이 단축될 수 있게 됨은 물론 시공 작업이 간편하여 인건비 등의 소요 비용이 크게 절감되고 공사기간이 단축될 수 있는 효과를 갖게된다.

Claims (1)

  1. 바닥(F)에 깔려져 설치되며 상면에 에어포켓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돌부(11)와, 바닥에 격자로 부착되어 강도와 내구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끈(12)을 구비하는 식생시트(10)와;
    상기 식생 시트(10)상에 적층의 구성되며 씨앗(S)의 상, 하측에 각각 모래층(22)과 토양층(21)으로 구성되는 식생토(20)와;
    상기 식생토(20)를 감싸 밀봉하도록 식생시트(10)의 지지돌부(11)의 상면과 식생시트(10)의 연부 바닥에 접착 구성되며, 식생토(20)의 유동이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지(30)와;
    상기 식생시트(10)의 가장자리에 접착 구성되며 시공 후 녹지의 경계 및 식생토(20)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사각의 벽체(40)와;
    상기 벽체(40)의 적정 부위에 구성시킨 다수의 개구부(51)와, 삽지홈(52)을 통해 상기 개구부(5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망상의 걸름판(53) 및 또 다른 삽지홈(52')를 통해 상기 걸름판(53)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벽체(40)의 내부에서 배수된 물을 옥상의 배수트랩(DT)으로 안내하기 위한 배수 안내관(54)으로 구성되는 배수구조(50)를 각각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녹지조성구조.
KR20-2003-0004611U 2003-02-12 2003-02-12 식물재배용 녹지조성구조 KR2003134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611U KR200313479Y1 (ko) 2003-02-12 2003-02-12 식물재배용 녹지조성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611U KR200313479Y1 (ko) 2003-02-12 2003-02-12 식물재배용 녹지조성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5814A Division KR100541853B1 (ko) 2003-05-30 2003-05-30 식물재배용 녹지조성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3479Y1 true KR200313479Y1 (ko) 2003-05-16

Family

ID=49333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4611U KR200313479Y1 (ko) 2003-02-12 2003-02-12 식물재배용 녹지조성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347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71773C (en) Modular support for plants
US20140370238A1 (en) System for Forming a Vegetative Textile Element
KR100520420B1 (ko) 인공지반녹화용 모듈과 이를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방법
JP2003268773A (ja) ポケット付き植生袋体並びに該植生袋体を用いた緑化基盤体及び該緑化基盤体による緑化方法
JPH10178894A (ja) 植物生長要素
JP4657359B2 (ja) 緑化システムおよび緑化用トレー
KR101135975B1 (ko) 시공 및 보수가 용이한 건식형 옥상 녹화패널
CN106718223A (zh) 一种用于城市立体绿化的高效节水型栽培容器及其应用方法
KR100541853B1 (ko) 식물재배용 녹지조성구조
KR200313479Y1 (ko) 식물재배용 녹지조성구조
CN204707558U (zh) 移动式生态型屋面绿化模块
CN207083742U (zh) 一种组合式生态种植容器
JP3285201B2 (ja) 自生型屋上緑化施工方法
CN212813009U (zh) 一种多功能组合种植容器
CN106717903B (zh) 一种新型组合式基质连通屋顶绿化箱体
KR102076347B1 (ko) 태양광 패널이 시공되는 공간에 녹지를 조성하기 위한 내풍압 녹화방법
JP2000262152A (ja) 折版屋根の緑化システム
KR101584938B1 (ko) 옹벽녹화블록
CN111820035A (zh) 一种多功能组合种植容器
JP4093531B2 (ja) 緑化パネル
JPH0870718A (ja) 非土壌質構造物面の緑化法
CN213819045U (zh) 一种快速拼接式模块化种植箱
CN220733700U (zh) 一种建筑垃圾基植生绿化毯
JP4109015B2 (ja) 植栽器
CN213638993U (zh) 一种便于维护的生态绿化楼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27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