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897B1 - 작물 생육 트레이 - Google Patents

작물 생육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897B1
KR102412897B1 KR1020190152467A KR20190152467A KR102412897B1 KR 102412897 B1 KR102412897 B1 KR 102412897B1 KR 1020190152467 A KR1020190152467 A KR 1020190152467A KR 20190152467 A KR20190152467 A KR 20190152467A KR 102412897 B1 KR102412897 B1 KR 102412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base
crop
support body
inje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4484A (ko
Inventor
최인찬
김경환
지현소
윤인선
백정호
김송림
천경성
이은경
이홍석
김년희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90152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897B1/ko
Publication of KR20210064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connected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물 생육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컨베이어와 연결될 수 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위치하여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어댑터, 상기 베이스와 상기 어댑터의 사이에 위치하여 베이스와 어댑터를 연결하는 지지대 및 상기 어댑터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베이스에 놓이는 수조를 포함한다.
상기 어댑터는 복수의 둘레면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둘레면은 각각 내부 방향으로 함몰되어 주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화분이 위치하는 화분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조의 외곽 일부분은 상기 주입홀을 통해 노출된다.

Description

작물 생육 트레이{CROPS GROWTH TRAY}
본 발명은 작물 생육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대량검정시스템은 영상을 이용하여 작물의 표현형 특성을 분석하는 장비이다. 대량검정시스템은 컨베이어, 트레이, 물공급장치 등을 포함하며, 트레이는 화분이 놓이는 홀이 형성된 어댑터 및 어댑터의 아래에 배치되어 물이 수용되는 수조를 포함한다. 화분의 하부측은 어댑터를 관통하여 수조에서 물에 잠겨 있다.
물공급장치는 대량검정시스템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물공급장치는 수조에 물 공급 시 어댑터에 형성된 홀을 통해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홀이 어댑터의 중앙에만 형성되어 있어 물공급장치의 위치에 따라 물을 공급할 수 없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5954호 (2018.08.3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9172호 (2013.01.28.)
본 발명은 다양한 방향에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작물 생육 트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작물 생육 트레이는, 컨베이어와 연결될 수 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위치하여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어댑터, 상기 베이스와 상기 어댑터의 사이에 위치하여 베이스와 어댑터를 연결하는 지지대 및 상기 어댑터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베이스에 놓이는 수조를 포함한다.
상기 어댑터는 복수의 둘레면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둘레면은 각각 내부 방향으로 함몰되어 주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화분이 위치하는 화분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조의 외곽 일부분은 상기 주입홀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주입홀은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댑터를 평면에서 본 모양은 사각형이고, 상기 주입홀은 각 면에 형성되어 상기 주입홀은 4개일 수 있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어 있고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지지몸체, 그리고 상기 지지몸체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어댑터를 관통하는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의 둘레 지름은 상기 지지몸체의 둘레 지름보다 작으며 상기 지지몸체의 상면은 상기 어댑터의 하면과 접하여 상기 어댑터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어댑터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관통하는 거치홀이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홀은 이웃한 상기 주입홀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작물 생육 트레이는, 상기 어댑터에 결합되어 상기 화분에서 생육되는 작물을 지지하는 보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댑터에는 상기 보호부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는,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어 있고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기 화분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지주, 그리고 상기 작물을 두르고 있으며 상기 지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보호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어댑터의 각 둘레면에 형성된 주입홀에 의해 물공급장치의 위치에 상관없이 다양한 방향에서 물공급이 가능하다. 그리고 대량검정시스템에서 실험 목적에 따라 물공급시스템이 선택이 가능하고 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실험 효율이 향상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부가 어댑터에 결합된 상태에서 화분의 작물을 지지하므로 노화되거나 병든 작물이 쓰러지면서 발생하는 대량검정시스템이 정지하는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작물 생육 트레이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작물 생육 트레이 분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작물 생육 트레이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작물 생육 트레이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작물 생육 트레이 분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작물 생육 트레이(100)는 베이스(110), 지지대(120), 수조(130) 및 어댑터(140)를 포함하며 다양한 방향에서 수조(13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작물 생육 트레이(100)는 작물을 지지하는 보호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기설정된 넓이를 갖는다. 평면에서 본 베이스(110)의 모양은 사각형이다. 베이스(110)는 대량검정시스템의 컨베이어(1)에 놓여 있다. 이에 작물 생육 트레이(100)는 컨베이어(1)의 구동으로 이동할 수 있다.
지지대(120)는 지지몸체(121), 그리고 고정돌기(122)를 포함한다.
지지몸체(121)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하단이 베이스(110)와 결합되어 있다. 지지몸체(121)는 베이스(110)의 상면과 직각을 이루고 있다. 지지몸체(121)는 베이스(110)의 모서리와 이웃하게 위치하고 있다. 지지몸체(121)는 베이스(110)의 각 모서리마다 위치하고 있다.
고정돌기(122)는 지지몸체(121)의 상면에서 상부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다. 고정돌기(122)의 지름은 지지몸체(121)의 지름보다 작다. 이에 지지몸체(121)의 상면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있다.
수조(130)는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베이스(110)에 놓여 있다. 수조(130)의 외부 둘레는 지지몸체(121)와 접하고 있다. 이에 수조(130)는 컨베이어(1)가 움직일 때 지지몸체(121)의 지지로 베이스(110)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다. 도면 도 3에서 수조(130)를 평면에서 본 모양을 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수조(130)의 모양은 작물 생육 트레이(100)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수조(130)는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수조(130)에 수용되는 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수조(130)에는 물 또는 양액 따위가 수용된다.
어댑터(140)는 기설정된 넓이를 갖는다. 어댑터(140)를 평면에서 본 모양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4개의 둘레면을 갖는다. 각 둘레면은 내부 방향으로 함몰되어 주입홀(141)이 형성되어 있다. 평면에서 본 주입홀(141)은 반원호 형상을 갖는다. 어댑터(140)가 4개의 둘레면을 가지므로 어댑터(140)에는 4개의 주입홀(141)이 형성되어 있다. 4개의 주입홀(141)은 어댑터(140)의 중심을 기준으로 90°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어댑터(140)의 각 모서리와 이웃한 내측 부분에는 거치홀(142)이 형성되어 있다. 거치홀(142)의 지름은 지지몸체(121)의 지름보다 작고 고정돌기(122)의 지름과 같거나 클 수 있다. 거치홀(142)에 고정돌기(122)가 삽입되면서 어댑터(140)는 지지대(120)와 결합된다. 단턱에는 어댑터(140)의 하면이 접하여 지지된다.
어댑터(140)가 지지대(120)와 결합된 상태에서 수조(130)의 일부분은 주입홀(141)을 통해 노출된다. 즉, 수조(130)의 개방된 상면 일부분이 주입홀(141)을 통해 노출된다. 주입홀(141)을 통해 수조(130)의 내부로 물 또는 양액이 주입될 수 있다. 주입홀(141)이 어댑터(140)에 4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방에서 수조(130)로 물 또는 양액이 주입될 수 있다. 이에 다 방향으로 설치된 물공급부(3)는 수조로 물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어댑터(140)의 중앙에는 화분 관통홀(143)이 상하 관통되어 있으며 작물이 식재된 화분(2)이 위치한다. 화분(2)의 하부측은 화분 관통홀(143)을 통과하여 수조(130)의 물에 잠긴다. 이에 화분(2)에 식재된 작물에 물, 양액 등이 공급될 수 있다.
어댑터(140)에는 기설정된 깊이로 결합홈(144)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홈(144)은 어댑터(140)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결합홈(144)은 어댑터(140)를 상하 관통할 수 있다.
보호부(150)는 지주(151), 그리고 보호링(152)을 포함한다.
지주(151)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하단이 결합홈(144)에 결합되어 있다. 지주(151)는 각 결합홈(144) 마다 결합되어 화분(2)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어 있다.
보호링(152)은 이웃한 지주(151)를 연결하고 있으며 화분(2)에 식재된 작물을 두르고 있다. 보호링(152)은 지주(1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작물을 지지하고 있다. 보호부(150)에 의해 작물은 쓰러지지 않는다.
지주(151)와 보호링(152)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금속인 경우 그 외부 둘레를 보호하기 위해 피복이 감싸고 있다. 한편, 보호부(150)는 작물의 길이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어댑터(140)의 각 둘레면에 형성된 주입홀(141)에 의해 물공급장치의 위치에 상관없이 어디에서 든 물공급이 가능하다. 그리고 대량검정시스템에서 실험 목적에 다라 물공급시스템이 선택이 가능하고 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실험 효율이 향상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부(150)가 어댑터(140)에 결합된 상태에서 화분(2)의 작물을 지지하므로 노화되거나 병든 작물이 쓰러지면서 발생하는 대량검정시스템이 정지하는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컨베이어 2: 화분
3: 물공급부
100: 작물 생육 트레이 110: 베이스
120: 지지대 121: 지지몸체
122: 고정돌기 130: 수조
140: 어댑터 141: 주입홀
142: 거치홀 143: 화분 관통홀
144: 결합홈 150: 보호부
151: 지주 152: 보호링

Claims (7)

  1. 대량검정시스템의 컨베이어에 놓여 상기 컨베이어의 구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컨베이어와 연결될 수 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위치하여 간격을 두고 마주하며 화분을 지지할 수 있는 어댑터,
    상기 베이스와 상기 어댑터의 사이에 위치하며 하단이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어 직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의 모서리와 이웃하게 위치하고 있으며 상면이 상기 어댑터의 하면과 접하고 있는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의 상면에서 상부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고 지름이 상기 지지몸체의 지름보다 작으며 상기 어댑터를 관통하고 있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어댑터를 연결하는 지지대 및
    상기 어댑터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베이스에 놓여 있으며 외부 둘레가 상기 지지몸체와 접하여 고정되어 있고 투명하게 형성되어 수용되는 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조
    를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는 복수의 둘레면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둘레면은 각각 내부 방향으로 함몰되어 주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화분이 위치하는 화분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조의 외곽 일부분은 상기 주입홀을 통해 노출되고,
    상기 어댑터의 각 모서리와 이웃한 내측 부분에는 상기 지지몸체의 지름보다 작고 상기 고정돌기의 지름과 같은 거치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거치홀에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지지대와 결합되는
    작물 생육 트레이.
  2. 제1항에서,
    상기 주입홀은 반원호 형상을 이루는 작물 생육 트레이.
  3. 제1항에서,
    상기 어댑터를 평면에서 본 모양은 사각형이고, 상기 주입홀은 각 면에 형성되어 상기 주입홀은 4개인 작물 생육 트레이.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어댑터에 결합되어 상기 화분에서 생육되는 작물을 지지하는 보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에는 상기 보호부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작물 생육 트레이.
  7. 제6항에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어 있고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기 화분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지주, 그리고
    상기 작물을 두르고 있으며 상기 지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보호링
    을 포함하는
    작물 생육 트레이.
KR1020190152467A 2019-11-25 2019-11-25 작물 생육 트레이 KR102412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467A KR102412897B1 (ko) 2019-11-25 2019-11-25 작물 생육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467A KR102412897B1 (ko) 2019-11-25 2019-11-25 작물 생육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484A KR20210064484A (ko) 2021-06-03
KR102412897B1 true KR102412897B1 (ko) 2022-06-28

Family

ID=76396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467A KR102412897B1 (ko) 2019-11-25 2019-11-25 작물 생육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89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025B1 (ko) * 2010-08-17 2011-03-16 조장은 식물 재배 장치
KR101140959B1 (ko) * 2009-09-24 2012-05-04 정화석 후렌지부에 지주 고정수단을 설치한 화분
KR101343379B1 (ko) * 2011-11-25 2013-12-20 심이성 화분
KR101783409B1 (ko) * 2017-01-10 2017-10-23 주식회사 근옥 빗물 저장형 화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172B1 (ko) 2010-10-11 2013-02-01 이지환 이동식 화분 급수장치
KR101895954B1 (ko) 2015-07-10 2018-09-10 조재현 실내외 겸용 묘목트레이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959B1 (ko) * 2009-09-24 2012-05-04 정화석 후렌지부에 지주 고정수단을 설치한 화분
KR101022025B1 (ko) * 2010-08-17 2011-03-16 조장은 식물 재배 장치
KR101343379B1 (ko) * 2011-11-25 2013-12-20 심이성 화분
KR101783409B1 (ko) * 2017-01-10 2017-10-23 주식회사 근옥 빗물 저장형 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484A (ko)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88810A1 (en) Apparatus for growing plants hydroponically
ES2359971T3 (es) Macetas de cultivo y bandeja de múltiples compartimentos que presenta una configuración autoorientable.
US20080110089A1 (en) Plant container with watering system
CN106535618B (zh) 使用其上布置可移动的侧支撑结构的支架栽培植物的方法
US8201783B1 (en) Potted plant holder assembly
CN107257622B (zh) 水耕栽培器
US6425555B1 (en) Decorative plant support for gardens
KR102412897B1 (ko) 작물 생육 트레이
KR102176931B1 (ko) 자석홀더를 구비한 식물 재배판
JP6206802B2 (ja) 水耕栽培装置
JP5788366B2 (ja) 給水式プランター装置
JP2007014225A (ja) 育苗ポット及び水耕栽培装置
KR101920061B1 (ko) 무동력 천정 녹화 장치
JP2000300095A (ja) 水耕栽培用フロート
US11877546B2 (en) Self-watering pot base and method for using thereof
KR100843749B1 (ko) 화분거치대
JP2019536481A (ja) 植物栽培装置
KR101240666B1 (ko) 수경재배용 베드
KR200427858Y1 (ko) 화분거치대
KR100809502B1 (ko) 화분용 흙공급장치
EP2486784A2 (en) Apparatus for plant cultivation
KR102500748B1 (ko) 수경재배 장치
KR101416587B1 (ko) 식물의 고설 재배장치
KR200494669Y1 (ko) 절화용 물올림 바스켓
CN214015404U (zh) 一种种植容器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