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286Y1 - 홈통을 이용한 빗물 집수 장치 - Google Patents

홈통을 이용한 빗물 집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1286Y1
KR200251286Y1 KR2020010023450U KR20010023450U KR200251286Y1 KR 200251286 Y1 KR200251286 Y1 KR 200251286Y1 KR 2020010023450 U KR2020010023450 U KR 2020010023450U KR 20010023450 U KR20010023450 U KR 20010023450U KR 200251286 Y1 KR200251286 Y1 KR 2002512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water
reservoir
pipe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34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형순
Original Assignee
정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형순 filed Critical 정형순
Priority to KR20200100234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12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2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286Y1/ko

Links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홈통을 이용한 빗물 집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떨어지는 빗물을 집수관을 이용하여 집수하여 빗물저장탱크에 저장한 후 필요시 저장된 빗물을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앞으로 다가올 물 부족시대를 대비한 물절약의 차원에서 빗물을 재활용 할 수 있는 홈통을 이용한 빗물집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하늘에서 떨어지는 빗물을 저장하여 필요시 허드렛물로 사용할 수 있고, 이를 정수하여 음용수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앞으로 다가올 물 부족시대를 대비한 물절약의 차원에서 빗물을 재활용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통상의 빗물 집수받이홈등과 결합/설치되어 떨어지는 빗물을 집수하는 집수관(10)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의 이물질이 축적되는 침전관(80)과, 상기 집수관(10)을 통해 유입된 빗물을 저장시킬 수 있는 제1저수통(20)과, 상기 제1저수통(20)의 최하측에는 축척되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이물질배출구(70)과, 집수된 물을 필요시 배출시켜 사용하기 위한 집수배출구(60)와, 제1저수통(20)의 일측 측면에는 만수시 유입되는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빗물배출관(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저수통(20)의 하부에 상측으로 집수된 물을 이송하는 송수관(30)과, 상기 송수관(30)을 통해 이동된 빗물을 보관시키기 위해 상기제1저수통(20)의 상측에 형성된 제2저수통(40)과, 상기 제2저수통(4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저장된 빗물을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빗물배출관(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집수관(10)을 통해 제1저수통(20)에 유입되는 빗물 중에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90)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홈통을 이용한 빗물 집수 장치{A store apparatus of rainwater using a spout}
본 고안은 홈통을 이용한 빗물 집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떨어지는 빗물을 집수관을 이용하여 집수하여 빗물저장탱크에 저장한 후 필요시 저장된 빗물을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앞으로 다가올 물 부족시대를 대비한물절약의 차원에서 빗물을 재활용 할 수 있는 홈통을 이용한 빗물집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르러 인구의 증가로 물사용량의 증가되고 있고 매년 되풀이되는 가뭄으로 인해 물부족 현상이 발생되고 있으며, 특히 도서지방에는 인간의 삶에 필수적인 물 부족 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물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늘에서 떨어지는 빗물을 저장하여 필요시 허드렛물로 사용할 수 있고, 이를 정수하여 음용수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앞으로 다가올 물 부족시대를 대비한 물절약의 차원에서 빗물을 재활용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통상의 빗물 집수받이홈등과 결합/설치되어 떨어지는 빗물을 집수하는 집수관(10)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의 이물질이 축적되는 침전관(80)과, 상기 집수관(10)을 통해 유입된 빗물을 저장시킬 수 있는 제1저수통(20)과, 상기 제1저수통(20)의 최하측에는 축척되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이물질배출구(70)과, 집수된 물을 필요시 배출시켜 사용하기 위한 집수배출구(60)와, 제1저수통(20)의 일측 측면에는 만수시 유입되는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빗물배출관(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저수통(20)의 하부에 상측으로 집수된 물을 이송하는 송수관(30)과, 상기 송수관(30)을 통해 이동된 빗물을 보관시키기 위해 상기 제1저수통(20)의 상측에 형성된 제2저수통(40)과, 상기 제2저수통(40)의 일측면에형성되어 저장된 빗물을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빗물배출관(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집수관(10)을 통해 제1저수통(20)에 유입되는 빗물 중에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90)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빗물집수장치를 나타내는 구조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빗물집수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집수관 20 : 제1저수통
30 : 송수관 40 : 제2저수통
50 : 빗물배출관 60 : 집수배출구
70 : 이물질배출구 80 : 침전관
90 : 여과부
이하, 본 고안의 빗물집수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빗물집수장치를 나타내는 구조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빗물집수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상기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옥의 집수받이홈(미도시)등과 결합/설치되어 떨어지는 빗물을 집수하는 집수관(10)과, 집수관 하측에는 집수관(10)을 통해 유입된 빗물에서 침전된 흙이나 모래등의 이물질이 침천되는 침전관(80)이 구비되며, 집수관(10)을 통해 유입된 빗물을 저장시킬 수 있는 제1저수통(20)이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집수관(10)을 통해 제1저수통(20)에 유입되는 입구에 상기 침전관(80)에 침전되지 않는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90)가 부설될 수 있으며, 상기 여과부(90)는 통상의 멤브레인필터나 활성탄필터 등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하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저수통(20)의 최하측에는 제1저수통(20)에 축척되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제거)시키기 위한 이물질배출구(70)가 구비되고, 또한 제1저수통(20)에 저장된 물을 상측으로 송수하기 위한 송수관(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저수통(20)의 하측에는 집수된 물을 필요시 배출시켜 사용하기 위한 집수배출구(6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송수관(30)을 통해 상측으로 이동된 빗물을 보관시키기 위한 제2저수통(40)이 상기 제1저수통(2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저수통(40)의 일측 측면에는 저장된 빗물을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빗물배출관(50)이 형성된다.
도2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빗물배출관(50)이 제1저수통(20)과 직접 연결/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ㆍ효과를 설명하면, 가옥의 집수받이홈을 통하여 떨어지는 빗물은 집수관(10)에 집수되어 제1저수통(20)에 저장/보관되어 진다. 이때, 상기 집수관(10)을 통해 유입된 빗물 중에 침전된 흙이나 모래등의 이물질은 하측의 침전관(80)에 축적되며, 이 이물질은 침전관(80) 하측에 구비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침전관(80)으로 배출되지 않는 비중이 작은 이물질은 상기 제1저수통(20)의 입구에 설치된 여과부(90)에 의해 걸려지게 된다.
그리고 제1저수통(20)에 소정량 이상 저장된 빗물은 송수관(30)을 통해 상측으로 이동되어 제2저수통(40)에 저장된다.
사용자가 빗물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1저수통(20)의 하측에 형성된 집수배출구(60)를 통해 배출시키면 된다.
한편, 제1저수통(20)의 최하측에는 이물질 배출구(70)가 구비되어 제1저수통에 축척되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깨끗한 빗물이 제1저수통(20)에 저장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저수통(20)에 빗물이 저장될수록 그 수위가 상승되어 만수되면 송수관(30)을 통해 제2저수조(40)로 빗물이 이동되어 제2저수통(40)의 일측면에 형성된 빗물배출관(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즉, 제1 및 2저수조(20,40)에 빗물이 만수되면 자동적으로 빗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도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빗물집수관(10)을 통해 집수된 물을 제1저수통(20)에 저장하여 만수가 될 경우에는 빗물배출관(50)을 통해 빗물을 자동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떨어지는 빗물을 저장하여 필요시 허드렛물로 사용할 수 있고, 이를 정수하여 음용수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앞으로 다가올 물 부족시대를 대비한 물절약의 차원에서 빗물을 재활용 할 수 있어 수돗물사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Claims (3)

  1. 통상의 빗물 집수받이홈등과 결합/설치되어 떨어지는 빗물을 집수하는 집수관(10)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의 이물질이 축적되는 침전관(80)과, 상기 집수관(10)을 통해 유입된 빗물을 저장시킬 수 있는 제1저수통(20)과, 상기 제1저수통(20)의 최하측에는 축척되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이물질배출구(70)과, 집수된 물을 필요시 배출시켜 사용하기 위한 집수배출구(60)와, 제1저수통(20)의 일측 측면에는 만수시 유입되는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빗물배출관(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통을 이용한 빗물집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수통(20)의 하부에 상측으로 집수된 물을 이송하는 송수관(30)과, 상기 송수관(30)을 통해 이동된 빗물을 보관시키기 위해 상기 제1저수통(20)의 상측에 형성된 제2저수통(40)과, 상기 제2저수통(4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저장된 빗물을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빗물배출관(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통을 이용한 빗물집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관(10)을 통해 제1저수통(20)에 유입되는 빗물 중에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90)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통을 이용한 빗물집수장치.
KR2020010023450U 2001-08-01 2001-08-01 홈통을 이용한 빗물 집수 장치 KR2002512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450U KR200251286Y1 (ko) 2001-08-01 2001-08-01 홈통을 이용한 빗물 집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450U KR200251286Y1 (ko) 2001-08-01 2001-08-01 홈통을 이용한 빗물 집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1286Y1 true KR200251286Y1 (ko) 2001-11-22

Family

ID=73106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3450U KR200251286Y1 (ko) 2001-08-01 2001-08-01 홈통을 이용한 빗물 집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128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262B1 (ko) * 2006-11-28 2007-12-11 주식회사서흥산업기계 대형 빗물 저장탱크
KR101326633B1 (ko) * 2011-12-28 2013-11-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수 재활용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262B1 (ko) * 2006-11-28 2007-12-11 주식회사서흥산업기계 대형 빗물 저장탱크
KR101326633B1 (ko) * 2011-12-28 2013-11-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수 재활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60037B (zh) 一种市政雨水调蓄系统
KR101363853B1 (ko) 건축물용 우수 포집 및 재활용 시스템
KR101381402B1 (ko) 초기빗물 배제장치
CN103628561B (zh) 一种雨污水漂浮物及泥沙分离处理一体机
KR200414264Y1 (ko) 빗물의 오염물질처리장치
KR100524151B1 (ko) 초기 우수를 배제한 청정 우수 포집 장치
KR101181863B1 (ko) 무인 자동 제어가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661997B1 (ko) 역세척이 가능한 여과시설 및 그를 이용한 배수제어시스템
KR100511208B1 (ko) 재활용 및 홍수방지용 빗물저수조 시스템
KR100656173B1 (ko) 비점오염원 초기 우수의 선택적 차집 시스템
RU2347039C1 (ru) Устройство отвода и утилизации ливневого и талого стока
CN203640042U (zh) 一种雨污水漂浮物及泥沙分离处理一体机
KR200251286Y1 (ko) 홈통을 이용한 빗물 집수 장치
CN108412020A (zh) 自动弃流雨水收集过滤装置
KR20160093884A (ko)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
CN109650587A (zh) 一种多级沉降园林污水再生系统
CN105771494B (zh) 面向人造板生产的水循环自动除尘方法与装置
JP3873255B2 (ja) 雨水集水処理方法および雨水集水装置、ならびに飲料水製造装置
CN108412025A (zh) 带有固、液分离功能的自动弃流雨水收集分舱系统
KR100647994B1 (ko) 빗물 저장장치
CN209703660U (zh) 市政工程用多层过滤雨水口装置
CN113668664A (zh) 一体化雨水收集净化回用系统
AU715503B2 (en) Easyflow rainwater filter
JPH09111816A (ja) 雨水利用装置
CN208454558U (zh) 一种含油污水处理用斜管沉降除油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