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4449B1 - 우수유출저감장치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우수유출저감장치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4449B1
KR101074449B1 KR1020110050501A KR20110050501A KR101074449B1 KR 101074449 B1 KR101074449 B1 KR 101074449B1 KR 1020110050501 A KR1020110050501 A KR 1020110050501A KR 20110050501 A KR20110050501 A KR 20110050501A KR 101074449 B1 KR101074449 B1 KR 101074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inflow
discharge
storage tank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국
Original Assignee
김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국 filed Critical 김상국
Priority to KR1020110050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44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유출저감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배수로에 연결되어서 배수로를 따라 흐르는 우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저류조; 저류조에 연결된 유입수로 및 방류수로; 배수로, 유입수로의 분기점 하류, 유입수로, 방류수로에 각각 설치되어서 저류조에 출입되는 우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수문; 유입수로에 설치되어서 유입수로에서 저류조로 유입되는 협잡물을 제거하는 협잡물제거장치; 방류수로에 설치되어서 저류조의 저류수를 외측으로 강제 배수시키는 펌프; 유입수로, 방류수로 및 저류조의 수위를 감지하고 수문의 개폐정보를 감지하여 계통을 유기적으로 제어하며, 협잡물제거장치와 펌프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저류조의 각 구성부재를 PC공법으로 제작하여 압착 접합하므로 RC공법 공사를 최소화하여 공사비 절감과 공사기간을 대폭 단축시키며, 비점오염물질의 효과적인 처리와 저류조의 용량 및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우수유출저감장치 및 그 구동방법{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for Reduction of Runoff Quantity}
본 발명은 우수유출저감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배수로, 유입수로, 방류수로 및 저류조의 수위를 감지하고 수문의 개폐정보를 감지하며 계통을 유기적으로 제어하여, 원격, 자동 및 수동으로 수문을 개폐시키고, 협잡물제거장치와 펌프를 구동하도록 자동제어가 가능한 제어부를 포함하므로, 비점오염물질의 효과적인 처리와 저류조의 용량과 성능의 극대화를 통하여 환경오염과 침수지역의 침수를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방지하는 우수유출저감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수저류시설은 우수가 유수지 및 하천으로 유입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저류시켜 하류수위가 낮아진 후에 방류하여 첨두(尖頭, Peak)홍수량을 감소시키거나 최소화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유입시설, 저류조 및 방류시설이 하나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시설로서, 관거(管渠)와의 연결 형식에 따라 관거 또는 하도에 직접 연결하는 관거내(On Line)저류시설과 별도의 저류시설을 설치하는 관거외(Off Line)저류시설이 있으며 첨두(尖頭, Peak)홍수량을 조절함으로써 해당지역의 침수를 방지하는 시설이다.
최근 이상기후로 인한 강우강도 증가와 자연녹지의 개발 및 도시화로 인하여 연결관로 및 하도의 홍수방어능력을 초과하는 우수유출빈도가 급증하고 있으며, 도시화에 따른 불투수면적의 증대, 토지이용도의 고도화, 지하공간의 조성 등으로 도시구조는 해마다 복잡화되고 있어 우수유출량의 증대를 초래하고 있다.
한편, 최근 지구 온난화와 열섬현상으로 대변되는 국지성 집중호우가 빈발함에 따라 시설능력을 초과하는 강우에 의한 침수 및 하천의 홍수범람 등으로 전국지역의 피해가 증대하고 있다.
또한, 비가 오는 초기에 지표면 유출수와 함께 유출되는 비점오염물질은 농지에 살포된 비료나 농약, 토양침식물, 축사유출물, 교통오염물질, 도시지역의 먼지와 쓰레기, 자연 동·식물의 잔여물, 지표면에 떨어진 대기오염물질 등으로 특정한 배출경로를 갖는 것과는 달리 도시노면배수나 농경지배수와 같이 불특정한 배출경로를 통해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이 주요 수질오염원이다. 이렇게 발생하는 수질오염을 줄이기 위한 대책으로 도시지역의 노면배수는 저류조를 설치하여 초기에 내린 비로 인해 발생한 오염물질을 침전시킨 후 방류하거나, 하수처리장으로 이송하여 처리후 방류하도록 하고, 농경지에서 배출되는 비료·농약성분이 다량 함유된 농업배수는 하천으로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저류조, 습지정화시설, 수초대 등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물부족 국가로 지정된 우리나라는 지하저류시설을 설치하여 저류조로 유입된 우기시의 첨두홍수량을 저류시킨 후 저류조에서 침전시킨 저류수를 소중한 수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으나 그 실적은 미미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필요에 의하여 지하공간을 활용하기 위하여 저류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종래와 같이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 공법(Reinforced Concrete, 이하 RC공법이라 함)로 공사를 수행할 경우 (1) 기후와 환경에 따라 품질에 영향을 받아서 고품질을 확보할 수 없고, (2) 공사를 최단기간에 완성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모든 작업이 현장에서 순차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소음, 분진, 공사차량의 빈번한 왕래에 대한 민원 등으로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3) 콘크리트의 성질상 내구성에 치명적인 균열이 발생하기 쉬우며, (4) 소음 및 분진과 근로자들의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 등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저류조공사는 공장에서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 몰드에 사전타설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이하 PC공법이라 함)로 제작된 고강도의 일률적인 부재를 현장에서 서로 압착 접합하여 조립 시공함으로써 RC공법 저류조에 비교하여 부재의 체적을 줄일 수 있어서 내부 유효공간을 증대시키고, 품질확보가 용이하며,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 등이 있어서 채택되고 있다.
이러한 형태로 구성된 저류조로 우수를 유입 및 유출시키는 관거외(Off Line)저류시설방법은 (i) 자연배수방법과 (ii) 강제배수방법이 있으며, (i) 자연배수방법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류하천으로 연결되는 배수로에 접하여 그 측벽과 제방의 일부 구간을 낮게 형성한 월류(越流)벽을 월류하여 저류조로 분류(分流)시켜서 평상시에는 본류하천으로 자연방류시키다가 강우로 배수로의 수위가 상기 월류벽 마루높이보다 상승하면 첨두홍수량이 월류벽을 월류하여 저류조로 유입되도록 하여서 저류조에 저장시킨다. 저류조에서 방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류조 하부 방류구에 오리피스를 배치하여 저류조의 수위(H)에 비례한 토출량이 직접 본류하천으로 자연방류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월류벽을 넘어서 월류하는 저류조 유입량은 아래의 공식에 의하여 결정된다.
Figure 112011039767569-pat00001
여기서, Qo: 월류량 m3, μ: 유량계수, B: 월류벽폭 m, g: 중력가속도
9.8m/s2, h1: 월류벽 마루로부터 상류수심 m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오리피스를 통하여 원활하게 자연방류시키는 방류량은 아래의 공식에 의하여 결정된다.
Figure 112011039767569-pat00002
여기서, Qd: 방류관 설계유량 cms, A: 오리피스 구경 m2, C: 유량계수,
g: 중력가속도 9.8m/s2, H: 방류구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는 설계수두 m.
상기에서 기술한 RC공법 저류조(1)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우수저류조(특허등록 10-0582121호)가 등록되었고 PC공법 블록으로 대체는 하였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저면판과 기초면이 일체로 구성되었고, 네 개의 기둥과 상면판이 일체로 구성되어 구성부재의 단위중량이 크게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당해 구성부재의 운반 및 설치에 소요되는 장비가 커져야 하므로 규모가 큰 저류조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평상시나 홍수시 월류벽이나 유입수로를 통하여 우수나 첨두홍수량이 유입될 때 유입수를 통하여 토사나 협잡물이 유입되어 저류조의 넓은 공간에 산재(散在)하게 되고, 비가 그친후 곧바로 청소하지 않을 경우 협잡물이 부패하여 악취를 발생시키며, 넓은 공간에 산재된 협잡물을 청소하여야 하는 유지관리의 문제점과,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오염된 저류수를 소방용수, 정원용수, 도로청소용수 등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초기 강우시 도시노면배수나 농경지배수와 같이 불특정한 배출경로를 통해 유입되는 주요 수질오염원인 비점오염물질을 줄이기 위한 대책으로 설치된 저류조에는 초기 강우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배수로와 유입수로의 유기적인 제어로 저류조로 효과적으로 유입시킬 수 없다. 따라서 초기 강우시 발생된 비점오염물질을 저류하여 침전시킨 후 방류하거나 하수처리장으로 이송하여 처리후 방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첨두홍수량을 관리하기 위하여 여러 형태로 구성된 저류조로 유입시키는 방법으로, 배수로의 첨두홍수량은 월류벽을 월류시켜서 저류조에 유입시키고 방류 오리피스를 통하여 방류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별도의 외부동력이 필요없이 유입, 저류, 방류가 가능한 장점이 있는 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상기 식1을 보면 월류량(Qo)은 월류벽폭(B)과 월류수심(h1)에 비례하여 결정되는 것으로서 월류벽폭(B)은 유입수로 폭보다 넓게 배치할 수 없으므로 유입수로 폭으로 고정되므로 월류수심(h1)에 비례하므로 월류벽의 마루높이를 낮추어야 만 월류량(Qo)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월류벽의 마루높이를 낮출 경우 월류량(Qo)은 증대시킬 수 있으나, 평상시 배수로에서 본류하천으로 내수를 자연방류시킬 때 내수가 월류벽을 월류하여 불필요하게 저류조로 유입되어 저류되므로 저류조에 잔류하는 저류수가 부패하여 악취를 발생시키는 환경 및 유지관리 문제와 월류하는 유입량을 제어할 수 없는 여러 문제점이 있다.
둘째, 월류벽의 마루높이가 적절한 높이에 있는 경우에도 상기 식1로부터, 홍수시 배수로에서 본류하천으로 자연방류시킬 때 첨두홍수량은 월류벽을 월류하여 저류조로 유입되며, 그 월류량(Qo)은 저류조상한수위와 무관하게 월류벽 마루로부터 내수 수위까지의 수두(h1)에만 비례하므로 저류조수위가 저류조상한수위에 도달했을 때 월류량(Qo)의 저류조로 유입을 유기적으로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상기 식2를 살펴보면, 오리피스의 구경(d)이 결정된 후 오리피스를 통한 방류량(Qd)은 방류구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는 설계수두(H)에 비례한다. 따라서, 저류조수위에서 방류구의 중심선까지의 수위에 비례하여 설계수두(H)가 높으면 방류량(Qd)이 많게 되고, 설계수두(H)가 낮으면 방류량(Qd)이 적게 되므로 방류량(Qd)을 필요에 따라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홍수시 첨두홍수량을 저류조에서 최대한 저류하여 비가 그친후 저류된 저류수를 가로수나 건천의 순환수 등의 수자원으로 활용하고자 할 때 오리피스의 자연방류를 통해서만 방류가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 저류수를 선택적으로 방류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ii) 강제배수방법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연배수방법과 유입은 같으나, 오리피스의 설치위치가 본류하천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선정할 수밖에 없을 경우에는 저류조의 저류수를 강우가 그친 후 펌프를 통하여 강제배수시키는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종래기술의 저류조에는 배수로수문, 유입수문, 펌프게이트, 제어부의 구성이 없어서 유입수로의 유입량, 저류조의 저류량 및 방류수로의 방류량을 유기적으로 제어하지 못하므로 저류조의 저류공간을 최적화하거나 극대화시키지 못하여 저류조의 저류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종래기술의 저류조에는 PC공법으로 제작한 구성부재에 침사지, 수문, 협잡물제거장치의 구성이 없어서 이들을 종래와 같이 RC공법으로 공사를 수행할 경우 (1) 기후와 환경에 따라 품질에 영향을 받아서 고품질을 확보할 수 없고, (2) 공사를 최단기간에 완성해야 하는데 모든 작업이 현장에서 순차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소음, 분진, 공사차량의 빈번한 왕래에 대한 민원 등으로 공사기간이 길고, (3) 내구성에 치명적인 균열이 발생하기 쉬우며, (4) 소음 및 분진과 근로자들의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초기 강우시 도시노면배수나 농경지배수와 같이 불특정한 배출경로를 통한 비점오염물질이 주요 수질오염원인데, 이를 저류조에서 침전시킨 후 방류하거나 하수처리장으로 이송하여 처리후 방류시켜야 하지만 설정 비점오염물질량을 배수로와 유입수로의 유기적인 제어로 효과적으로 저류조로 유입시킬 수 없어서 저류조가 구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점오염물질을 처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초(柱礎), 기둥, 외주(外周)블록, 외주모서리부, 보, 상면(上面)블록의 6가지 구성부재를 PC공법으로 제작하여 압착 접합한 후 수밀이 유지되도록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구성부재의 부재 크기를 운반과 설치에 적합한 크기로 구성한 저류조를 제공하도록 한 우수유출저감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면(下面)블록주초를 일체화시킨 하면블록, 기둥, 외주블록, 개구블록, 상면블록의 5가지 구성부재를 PC공법으로 제작하여 압착 접합한 후 수밀이 유지되도록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구성부재의 부재 크기를 운반과 설치에 적합한 크기로 구성한 저류조를 제공하도록 한 우수유출저감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류조와 유입수로 및 유출수로를 연결시키는 외주블록의 일부에 개구블록을 형성하여 개구블록과 수문문틀을 일체화시킨 유입수문블록 및 방류수문블록을 각각 결합하고 수문블록에 수문이 설치되도록 한 우수유출저감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침사지에 스크린을 배치하고 수문의 하단부에 레이크를 고정 부착하여서 수문을 수문개폐기로 개방할 때에 스크린에 부착된 협잡물이 제거되도록 구성한 우수유출저감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류수문인 펌프일체형수문에 펌프를 일체화하여 저류조의 저류수를 외측으로 강제배수시키도록 한 우수유출저감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수로, 유입수로, 방류수로 및 저류조의 수위를 감지하고 수문의 개폐정보를 감지하며 계통을 유기적으로 제어하여, 원격, 자동 및 수동으로 수문을 개폐시키고 협잡물제거장치와 펌프를 구동하여 자동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우수유출저감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수로와 유입수로에 각각 수문을 배치하고, 배수로, 유입수로, 방류수로 및 저류조의 수위를 감지하며, 수문의 개폐정보를 감지하여 계통을 유기적으로 제어하되, 초기에 내린 강우에 함유된 비점오염물질을 저류조에 효과적으로 저류시켜서 침전시킨 후 방류하거나, 하수처리장으로 이송하여 처리후 방류하도록 한 우수유출저감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우수유출저감장치는, 배수로에 연결되어서 배수로를 따라 흐르는 우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저류조; 배수로와 저류조 사이에 연결되어서 배수로를 따라 흐르는 우수의 일부를 저류조 측으로 유도하는 유입수로; 저류조에 연결되어서 저류조내의 저류수를 외부로 방류시키는 방류수로; 배수로 및 유입수로의 분기점 하류와, 유입수로와, 방류수로에 각각 설치되어서 저류조에 출입되는 우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수문; 침사지에 설치되어서 유입수로에서 저류조로 유입되는 협잡물을 거르고, 걸러진 협잡물을 제거하는 협잡물제거장치; 방류수로에 설치되어서 저류조의 저류수를 외측으로 강제 배수시키는 펌프; 배수로, 유입수로, 방류수로 및 저류조의 수위를 감지하고 수문의 개폐정보를 감지하여 계통을 유기적으로 제어하여 개폐시키며, 협잡물제거장치와 펌프를 구동하여 유입, 저류 및 방류를 자동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우수유출저감장치는, 배수로에 연결되어서 배수로를 따라 흐르는 우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저류조; 배수로와 저류조 사이에 연결되어서 배수로를 따라 흐르는 우수의 일부를 저류조 측으로 유도하는 유입수로; 저류조에 연결되어서 저류조 내의 저류수를 외부로 방류하는 방류수로; 배수로 및 유입수로의 분기점 하류와, 유입수로와, 방류수로에 각각 설치되어서 저류조에 출입되는 우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수문; 저류조 내의 유입수로의 인접한 곳에 설치되어서 저류조로 유입되는 협잡물을 거르고, 걸러진 협잡물을 제거하는 협잡물제거장치; 저류조 내의 방류수로의 인접한 곳에 설치되어서 저류조의 저류수를 외측으로 강제 배수시키는 펌프; 배수로, 유입수로, 방류수로 및 저류조의 수위를 감지하고 수문의 개폐정보를 감지하여 계통을 유기적으로 제어하여 개폐시키며, 협잡물제거장치와 펌프를 유기적으로 구동하여 유입, 저류 및 방류를 자동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우수유출저감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저류조는, 기초부와, 기초부 상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사각 주초 및 주초 사이의 기초부 상에 안착되어서 주초(11)와 일체화된 RC바닥슬라브로 이루어진 하면부와, 주초 상부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기둥과, 상부 내측에 단부(段部)를 가진 외주블록들로 이루어지고 저류조의 측면을 이루는 측면부와, 측면부의 모서리에 배치되고 상부 내측에 단부를 가진 외주모서리부와, 기둥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횡방향 양측으로 단부를 형성한 보와, 보, 외주블록, 외주모서리부의 각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면블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의 각 구성부재를 PC공법으로 제작하여서 압착 접합한 후 수밀이 유지되도록 저류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우수유출저감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저류조는, 네 모서리의 상부에 주초가 일체화되고 기초부의 상부에 안착되는 하면(下面)블록과, 하면블록의 주초 상부에 배치되는 기둥과, 하면블록의 전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개구(開口)블록과, 하면블록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외주블록과, 기둥, 개구블록, 외주블록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면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5가지 구성부재는 PC공법으로 제작하여 압착 접합한 후 수밀이 유지되도록 저류공간이 형성된다.
나아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우수유출저감장치는, 주초, 기둥, 외주블록, 외주모서리부, 보, 상면블록의 6가지 구성부재로 이루어지고 각 구성부재를 PC공법으로 제작하여서 압착 접합한 후 수밀이 유지되도록 저류공간이 형성된 저류조를 구성하거나, 또는 주초를 일체화시킨 하면블록, 기둥, 외주블록, 개구블록, 상면블록의 5가지 구성부재로 이루어지고 각 구성부재를 PC공법으로 제작하여서 압착 접합한 후 수밀이 유지되도록 저류공간이 형성된 저류조가 구비되고; 저류조에는 배수로를 따라 흐르는 우수가 일부 유입되고 유입된 저류수가 방류되도록 유입수로 및 방류수로가 연결되는 외주블록 일부에 개구블록을 각각 구비하며; 유입수로 및 방류수로에는 유입수문블록 및 방류수문블록이 배치되어 개구블록과 각각의 수문블록을 연결시킨 우수유출저감장치에 있어서, 유입수문블록 및 방류수문블록에는 수문문틀을 PC공법으로 일체화시키고 수문문틀에 유입수문 및 방류수문을 결합하여 수문개폐기로 개폐시키는 수문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우수유출저감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협잡물제거장치는, 침사지 내측에 설치되고 유입수로에서 유입되는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배치된 스크린과, 유입수문이 횡축 구동축을 중심으로 원호를 따라 궤적을 그리며 회동되어 개방할 때 스크린 피치 사이를 통과한 채 스크린에 부착된 협잡물을 유입수로 상측으로 밀어 올릴 수 있도록 유입수문 하단에 돌출 결합한 레이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스크린은 레이크의 개폐 궤적에 맞도록 원호형으로 구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우수유출저감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펌프는, 방류수로에 배치된 펌프일체형수문의 전후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수문개구부를 형성하고 수문개구부에 저류조의 저류수를 외측으로 강제배수시키도록 플렌지로 결합하여 펌프일체형수문과 일체화하며, 펌프의 토출구에 플랩밸브를 결합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우수유출저감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수문은, 배수로에서 유입수로의 분기점 하류측에 배치된 배수로수문과, 유입수로에 배치된 유입수문과, 복수의 방류수로에 각각 배치된 방류수문 및 펌프일체형수문으로 이루어지고, 배수로, 유입수로, 저류조 및 방류수로의 수위정보와 수문의 개폐정보 등을 수집하여 유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에서 배수로수문, 유입수문, 방류수문, 펌프일체형수문을 자동으로 개폐시켜서 초기 우수의 비점오염물질을 저류조로 유입시킨 후 침전처리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술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우수유출저감장치의 구동방법의 제어부는, 전원을 공급하고 전원을 관리하는 전원부와, 전원부에 연결되고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연산처리하는 플래시메모리램 및 연산처리부와, 플래시메모리램 및 연산처리부에 연결되어서 이들을 유기적으로 제어하는 프로그램로직컨트롤러와, 프로그램로직컨트롤러에 연결되고 배수로, 유입수로, 저류조 및 방류수로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와, 프로그램로직컨트롤러에 연결되고 현장에서 설정값을 초기화시키며 구동을 조작하는 현장조작부와, 프로그램로직컨트롤러에 연결되고 수위정보, 수문의 개폐정보 등을 처리하는 입출력신호부와, 프로그램로직컨트롤러에 연결되고 프로그램로직컨트롤러에서 제어된 신호를 처리하는 최종출력부와, 전원부에 연결되고 프로그램로지컨트롤러에 연결되어서 비상운전시에 전력을 발전하는 비상발전기와, 최종출력부에 연결되고 최종출력부에 의해 배수로수문을 구동하는 배수로수문구동부와, 최종출력부에 연결되고 최종출력부에 의해 유입수문부를 구동하는 유입수문구동부와, 최종출력부에 연결되고 최종출력부에 의해 방류수문 및 펌프일체형수문을 구동하는 방류수문구동부와, 최종출력부에 연결되고 최종출력부에 의해 펌프를 구동하는 펌프구동부와, 최종출력부에 연결되고 최종출력부에 의해 제어되는 수동구동부와, 최종출력부에 연결되고 배수로수문구동부, 유입수문구동부, 방류수문구동부, 펌프구동부, 수동구동부 및 주요 기기의 작동상태를 현장조작부의 램프에 표시하도록 구동하는 램프구동부와, 프로그램로직컨트롤러에 연결되는 Telemetry & Telecontrol (원격측정 및 제어, 이하 TM/TC라 함) 및 TM/TC에 연결되어서 이를 경유한 제어신호를 변환시킨 후 전달하는 통신수단으로 이루어진 관리부와, 관리부의 통신수단에 연결되는 원격지의 원격지컴퓨터 및 원격지컴퓨터에 연결된 통신수단으로 이루어져서 제어부에 신호를 송신하여 원격지의 저류조를 유기적으로 제어하는 원격지관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술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우수유출저감장치의 구동방법은, 저류조의 제어부에서 유기적으로 제어하도록 설정값을 초기화하는 초기화 단계와, 초기화 단계에서 초기화된 입출력신호부에서 수신한 각 수위 및 수문의 개폐정보에 근거하여 원격지관리부의 원격신호에 따른 원격구동모드, 현장에서의 신호에 따른 전동구동모드 및 수동구동모드로 전환하도록 판단하는 구동모드 판단단계와, 구동모드 판단단계에서 원격구동모드로 전환하여 유입수문구동부와 방류수문구동부와 펌프구동부를 구동하므로 해당 수문과 펌프를 구동하여 유입, 저류 및 방류시키는 원격구동단계와, 구동모드 판단단계에서 전동구동모드로 전환되어 배수로의 측정수위가 저류조의 측정수위보다 상승하면 유입수문을 개방하여 저류조로 유입시키고, 배수로의 측정수위가 저류조의 측정수위보다 하강하면 유입수문을 폐쇄시키는 유입단계와, 유입단계에서 배수로의 측정수위와 유입수로의 측정수위의 차이가 설정값(약 0.2m)보다 차이가 커지면 협잡물제거장치를 반복하여 구동시키고, 수위차이가 설정값보다 작아지면 협잡물제거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협잡물제거단계와, 유입단계를 거친 계통이 저류조로 유입되는 중 저류조의 측정수위가 저류조상한수위보다 상승하면 유입수문을 폐쇄하여 저류조로 유입을 차단하고, 저류조의 측정수위가 저류조상한수위보다 하강하여 저류조의 펌프구동수위보다 상승하면 펌프를 구동하여 저류조하한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펌프를 구동시키며, 저류조하한수위에 도달하면 펌프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펌프구동단계와, 펌프구동단계와 동시에 저류조의 측정수위가 방류수로의 측정수위보다 상승하면 방류수문 및 펌프일체형수문을 개방하여 저류수를 자연방류시키고 방류수로의 측정수위가 저류조의 측정수위보다 상승하면 저류조로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방류수문을 폐쇄하고, 전동구동이 종료되면 안전을 위하여 방류수문을 폐쇄한 후 종료하는 방류수문폐쇄단계를 포함한 전동구동모드와, 구동모드 판단단계에서 수동구동모드로 판단되어 수동구동모드로 전환하면 유입수문구동부와 방류수문구동부와 펌프구동부를 구동하므로 해당 수문과 펌프를 수동조작으로 구동하여 우수의 유입, 저류 및 방류시키는 수동구동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저류조의 성능을 극대화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술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우수유출저감장치의 구동방법은, 저류조의 제어부에서 유기적으로 제어하도록 설정값을 초기화하는 초기화 단계와, 초기화 단계에서 초기화된 입출력신호부에서 수신한 각 수위 및 수문의 개폐정보에 근거하여 원격지관리부의 원격신호에 따른 원격구동모드, 현장에서의 신호에 따른 전동구동모드 및 수동구동모드로 전환하도록 판단하는 구동모드 판단단계와, 구동모드 판단단계에서 원격구동모드로 전환하여 유입수문구동부와 방류수문구동부와 펌프구동부를 구동하므로 해당 수문과 펌프를 구동하여 우수의 유입, 저류 및 방류시키는 원격구동단계와, 구동모드 판단단계에서 전동구동모드로 전환되어 배수로의 측정수위가 저류조의 측정수위보다 상승하면 유입수문을 개방하여 저류조로 유입시키고, 배수로의 측정수위가 저류조의 측정수위보다 하강하면 유입수문을 폐쇄시키는 유입단계와, 유입단계로 전환되어 저류조로 유입시키는 중 배수로의 측정수위와 유입수로의 측정수위의 차이가 설정값(약 0.2m)보다 차이가 커지면 협잡물제거장치를 반복하여 구동시키고, 수위차이가 설정값보다 작아지면 협잡물제거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협잡물제거단계와, 유입단계를 거친 계통이 저류조의 측정수위가 저류조상한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방류수문을 폐쇄한 상태에서 유입수문을 개방하여 저류조로 유입시키고, 저류조의 측정수위가 저류조상한수위에 도달하거나 상승하면 유입수문을 폐쇄시킴으로서 저류조에 저류시키는 저류단계와, 저류단계를 거치고 강우가 그친 후 배수로의 측정수위가 배수로의 설정수위보다 하강하면 방류수문을 개방시켜서 방류시키거나, 저류수를 소방용수, 정원용수, 도로청소용수 등 사전에 설정한 용도로 펌프를 구동하여 저류조하한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펌프를 구동시키며, 저류조하한수위에 도달하면 펌프 구동을 정지시키고, 전동구동이 종료되면 안전을 위하여 방류수문을 폐쇄한 후 종료하는 방류단계를 포함한 전동구동모드와, 구동모드 판단단계에서 수동구동모드로 판단되어 수동구동모드로 전환하면 유입수문구동부와 방류수문구동부와 펌프구동부를 구동하므로 해당 수문과 펌프를 수동조작으로 구동하여 우수의 유입, 저류 및 방류시키는 수동구동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저류조의 용량을 극대화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우수유출저감장치의 구동방법은, 저류조의 제어부에서 유기적으로 제어하도록 설정값을 초기화하는 초기화 단계와, 초기화 단계에서 초기화된 입출력신호부에서 수신한 각 수위 및 수문의 개폐정보에 근거하여 원격지관리부의 원격신호에 따른 원격구동모드, 현장에서의 신호에 따른 전동구동모드 및 수동구동모드로 전환하도록 판단하는 구동모드 판단단계와, 구동모드 판단단계에서 원격구동모드로 전환하면 배수로수문구동부, 유입수문구동부, 방류수문구동부 및 펌프구동부를 구동하므로 해당 수문과 펌프를 구동하여 우수의 유입, 저류, 침전 및 방류시키는 원격구동단계와, 구동모드 판단단계에서 전동구동모드로 전환되어 배수로의 측정수위가 유입수로의 측정수위보다 상승하면 유입수문의 유입수문구동부 스위치를 구동시켜서 유입수문을 수문문틀과 개방하여 첨두홍수량을 저류조로 유입시키고, 배수로의 초기강우량을 측정하여 설정초기강우량에 도달할 때까지는 배수로수문을 수문문틀에 폐쇄시켜서 첨두홍수량을 저류조로 유입시켜서 저류시키는 저류단계와, 저류단계를 거친 계통이 저류조의 측정수위가 저류조상한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방류수문을 폐쇄한 상태에서 유입수문을 개방하여 저류조로 유입시키고, 저류조의 측정수위가 저류조상한수위에 도달하거나 상승하면 유입수문을 폐쇄시킴으로서 저류조에 침전시키는 침전단계와, 침전단계를 거치고 강우가 그친 후 저류조의 측정수위가 펌프구동수위보다 상승하면 펌프를 구동하여 저류조하한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하수처리장으로 저류수를 방류시키며, 저류조하한수위에 도달하면 펌프 구동을 정지시키고, 저류조의 측정수위가 방류수로의 측정수위보다 상승하면 방류수문을 개방하여 하류로 자연방류시키고, 저류조의 측정수위가 방류수로의 측정수위보다 하강하면 방류수문을 폐쇄하고 전동구동이 종료되면 안전을 위하여 방류수문을 폐쇄한 후 종료하는 방류단계를 포함한 전동구동모드와, 구동모드 판단단계에서 수동구동모드로 판단되어 수동구동모드로 전환하면 유입수문구동부와 방류수문구동부와 펌프구동부를 수동조작으로 구동하므로 해당 수문과 펌프를 구동하여 우수의 유입, 저류, 침전 및 방류시키는 수동구동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비점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처리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첫째, 주초(柱礎), 기둥, 외주(外周)블록, 외주모서리부, 보, 상면(上面)블록의 6가지 구성부재를 PC공법으로 제작하여 압착 접합 후 수밀이 유지되도록 저류공간을 형성하고, 구성부재의 부재 크기를 운반과 설치에 적합한 크기로 구성한 저류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균열이 없는 고품질 구성부재를 구성하고, 현장타설 공사를 최소화하여 공사비 절감과 공사기간을 대폭 단축시키며,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둘째, 주초를 일체화시킨 하면(下面)블록, 기둥, 외주블록, 개구블록, 상면블록의 5가지 구성부재를 PC공법으로 제작하여 압착 접합 후 수밀이 유지되도록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구성부재의 부재 크기를 운반과 설치에 적합한 크기로 구성한 저류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균열이 없는 고품질 구성부재를 구성하고, 현장타설 공사를 최소화하여 공사비 절감과 공사기간을 대폭 단축시키며,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셋째, 저류조와 유입수로 및 유출수로를 연결시키는 외주블록의 일부에 개구블록을 형성하여 개구블록과 수문문틀을 PC공법으로 제작하여 일체화시킨 유입수문블록 및 방류수문블록을 결합하고 수문블록에 수문을 설치한다. 따라서, 감지한 각 수위 및 수문의 개폐정보로 수문을 유기적으로 개폐하여 유입, 저류 및 방류를 효과적으로 수행하여 저류조의 효율을 극대화시킴으로써 저류조 건설에 소요되는 막대한 소요예산을 절감시키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넷째, 저류조로 유입되는 유입수로에 침사지를 형성하고 이 침사지에 스크린을 배치하며 유입수문의 하단부에 레이크를 고정 부착하고 이 유입수문을 수문개폐기로 개방한다. 따라서 스크린에 부착된 협잡물을 제거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저류수를 소방용수, 정원용수, 도로청소용수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다섯째, 배수로와 유입수로에 개폐를 자동조절하는 배수로수문 및 유입수문을 각각 배치한다. 따라서, 도시노면배수나 농경지배수의 초기 강우시 불특정한 배출경로를 통한 비점오염물질이 저류조에서 침전된 후 방류되거나 하수처리장으로 이송되어 처리된 후 방류되어 오염물질을 처리하므로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여섯째, 방류수문인 펌프일체형수문에 펌프를 일체화하여 저류조의 저류수를 외측으로 강제배수시킴으로서 펌프일체형수문과 펌프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성하여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일곱째, 배수로, 유입수로, 방류수로 및 저류조의 수위를 감지하고 수문의 개폐정보를 감지하여 계통을 유기적으로 제어하되, 원격, 자동 및 수동으로 수문을 개폐시키고 협잡물제거장치와 펌프를 구동하도록 자동제어가 가능한 제어부가 구비된다. 따라서 제어부에 의해 저류조의 용량을 극대화시킴으로써 저류조 건설에 소요되는 막대한 예산을 절감하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을 이용한 우수유출저감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을 이용한 우수유출저감장치의 일부 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을 이용한 다른 실시예의 우수유출저감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유출저감장치의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유출저감장치의 저류조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일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구성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유출저감장치의 문틀을 나타내는 평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유출저감장치의 유입수문과 협잡물제거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유출저감장치의 방류수문부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유출저감장치의 펌프일체형수문부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유출저감장치의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한 PC공법의 구성부재를 압착 접합시키는 정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유출저감장치의 PC공법의 구성부재의 또 다른 형태의 정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유출저감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유출저감장치의 저류조 성능 극대화 제어구동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유출저감장치의 저류조 용량 극대화 제어구동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유출저감장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 제어구동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
이와 같이 구성된 우수유출저감장치의 구동방법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유출저감장치의 사시배치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유출저감장치의 저류조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저류조의 구성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유출저감장치의 문틀을 나타내는 평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유출저감장치의 유입수문과 협잡물제거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유출저감장치의 방류수문부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유출저감장치의 펌프일체형수문부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유출저감장치의 도4 내지 도10에 도시한 PC공법의 구성부재를 압착 접합시키는 정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유출저감장치의 PC공법의 구성부재의 또 다른 정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유출저감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유출저감장치의 저류조 성능 극대화 제어구동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유출저감장치의 저류조 용량 극대화 제어구동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유출저감장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 제어구동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류에서 하류로 흐르는 배수로(20)에 배수로수위감지기(24)를 배치하고, 첨두홍수량이 유입수로(22)를 통하여 저류조(1)로 유입되도록 연결되며, 배수로(20)에서 유입수로(22)로 분기(分岐)된 후 배수로(20) 상에 배수로수문(46)을 배치하여 수문개폐기(53)로 자동구동되게 한다. 유입수로(22)에는 배수로(20)에서 유입되는 토사와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침사지(23)를 배치하고, 침사지(23) 내부에는 협잡물제거장치(59)가 설치된다. 이 협잡물제거장치(59)는 유입수로(22)의 횡방향에 상하로 스크린(51)이 배치된다. 이 스크린(51)은 유입수문부(50)의 유입수문(52) 하단에 유입수로(22) 측으로 돌출 결합한 레이크(58)가 유입수문(52)이 횡축 구동축(55)을 중심으로 원호를 따라 궤적을 그리며 회동되어 개방할 때 스크린(51)에 부착된 협잡물을 레이크(58)로 유입수로(22) 상측으로 밀어 올릴 수 있도록 스크린(51)을 레이크(58)의 개폐 궤적에 따라 원호형으로 구성하여 배치한다.
또한, 저류조(1)에는 저류조(1)의 내측 수위를 감지하는 저류조수위감지기(25)를 배치하고, 저류조(1)에 연결된 방류수로(30)에는 저류조(1)의 저류수를 하류측으로 방류시키는 방류수문(61)과 방류로 수위를 감지하는 방류로수위감지기(26)를 배치하여 방류수로수위가 저류조수위보다 상승하면 방류수문(61)은 폐쇄시킨다. 복수의 방류수로(30) 중 하나의 방류수로(30)에는 저류조(1) 내의 저류수를 강제배수시킬 수 있도록 펌프(72)를 일체화한 펌프일체형수문부(70)를 배치하고, 상기 각 수문의 상부에는 해당 배수로수문부(45), 유입수문부(50) 및 방류수문부(60)와 펌프일체형수문부(70)를 각각 구동하는 수문개폐기(53)와 펌프(72)를 유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90)가 설치된다.
저류조(1)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부(18) 상부에 사각 주초(11)를 배치하고, 주초(11) 사이는 RC바닥슬라브(14)로 일체화하여 하면부(10)를 형성하며, 주초(11) 상부에 수직으로 기둥(12)을 배치하고, 저류조(1)의 측면부(2)는 상부 내측에 단부를 가진 외주블록(16)을 형성한다. 외주블록(16) 모서리에는 상부 내측에 단부를 가진 외주모서리부(15)를 배치하고, 기둥(12) 상부에는 횡방향 양측으로 단부를 형성한 보(13)를 길이방향으로 배치하며, 보(13)와 외주블록(16) 및 외주모서리부(15)의 각 단부 사이에 상면블록(17)을 빈공간이 없이 밀착되도록 배치한다. 상술한 각 구성부재는 수밀이 유지되도록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착부(80)로 압착 접합하여 저류공간을 형성하되, 주초(11), 기둥(12), 외주블록(16), 외주모서리부(15) 및 상면블록(17)을 PC공법으로 제작한다. 저류조(1)에는 도 4에 도시한 배수로수문부(45), 유입수문부(50) 및 방류수문부(60)를 구성하여 펌프일체형수문부(70) 또는 펌프(40)를 추가로 구성하고 수위계(24)(25)(26)(27)와 제어부(90)를 구성하여 우수유출저감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류조(1)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면블록주초(4)를 일체화시킨 하면블록(3), 기둥(5), 외주블록(6), 개구블록(7), 상면블록(8)의 5가지 구성부재를 PC공법으로 제작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저류조(1)는 기초부(18) 상부에 하면블록(3)을 배치하고 그 상부에 기둥(5)을 세우고, 저류조(1)의 측면부(2)에는 외주블록(6)을 배치하며, 유입수로(22)와 방류수로(30)가 연결되는 외주블록(6)에는 개구블록(7)을 배치하고 기둥(5) 상부에 상면블록(8)을 조립한다. 저류조(1)의 각 구성부재는 상호 수밀이 유지되도록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된 정착부(80)로 압착 접합하여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이러한 각 구성부재는 PC공법으로 제작된다. 개구블록(7)과 결합 연결되는 유입수문블록(35) 및 방류수문블록(36)에는 수문문틀(57)이 일체화되어 있고 그 상부의 유입수로(22)에는 유입수문부(50)의 유입수문(52)이, 방류수로(30)에는 방류수문(61)이 구성되어 있으며 수문을 각각 개폐시키는 수문개폐기(53)를 배치한다. 저류조(1)에는 도 4에 도시한 펌프일체형수문부(70) 또는 펌프(40)를 추가로 구성하고 수위계(24)(25)(26)(27)와 제어부(90)를 구성하여 우수유출저감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저류조(1)의 구성부재는 제작과 운반 및 설치에 소요되는 장비를 고려하여 부재의 크기를 결정하고, 요구되는 저류조(1) 크기와 형태에 따라 각 부재의 형틀조립, 철근 선조립(先組立), 선조립 철근설치, 콘크리트 타설, 면처리(面處理), 양생, 탈형(脫形) 및 야적과정을 거쳐서 제작하고, 현장으로 운송후 기초공사인 기초 버림콘크리트, 기초배근, 기초콘크리트 타설, 기둥 고정용 앵커시공으로 하면부(10)를 설치하고, 기둥(5)(12) 및 보(13)의 설치, 측면부(2) 및 상면블록(8)(17) 순으로 부재조립, 부재접합, 방수처리, 되메우기를 현장에서 수행함으로서 완성된다.
저류조(1) 구성부재의 압착 접합방법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PC공법으로 부재를 형성하기 위하여 형틀조립과 철근 선조립과 선조립 철근설치 후, 긴장재를 배치하는 부분에 미리 안내장치(84)와 지압판(83)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탈형후 현장에서 구성부재를 압착 접합하기 위하여 긴장재인 PS강봉(85) 끝단에 형성된 나사에 와셔(82)를 끼우고 너트(81)를 체결시킨 후 너트(81)를 돌려서 PS강봉(85)을 인장시키거나, PS강재(88) 끝단에 쐐기(86)와 결합하는 원추형 콘재(87)를 배치하여 PS강재(88)를 인장시킬 때 지압판(83)에서 지지력을 발생하여 구성부재를 압착 접합시키도록 구성한다.
협잡물제거장치(59)는 도 4, 도 6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침사지(23)에 설치되며, 침사지(23)는 배수로(20)에서 첨두홍수량을 저류조(1)로 유입시키는 유입수로(22)에 구성된다.
협잡물제거장치(59)는 상부가 개구부를 형성하고 침사지(23) 내측에 배치되며, 유입수로(22)에서 유입되는 모래 등의 침사기능 이외에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유입수로(22)에 스크린(51)이 배치된다. 이 스크린(51)은 스크린(51)을 하부에는 수직으로, 유입수문부(50)의 유입수문(52)의 개폐 궤적과 일치하는 부분은 레이크(58)의 개폐 궤적에 맞도록 원호형으로 형성되어서, 유입수문부(50)의 유입수문(52) 하단에 돌출 결합한 레이크(58)가 횡축 구동축(55)을 중심으로 원호를 따라 유입수문(52)과 함께 궤적을 그리며 회동되어 개방할 때 스크린(51) 피치 사이를 통과한 채 스크린(51)에 부착된 협잡물을 레이크(58)로 유입수로(22) 상측으로 밀어 올릴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편, 침사지를 저류조(1) 외부에 설치하는데 제약이 있는 장소에서는 저류조(1) 내의 유입수로(22)와 가까운 곳에 미도시한 협잡물제거장치를 설치한다. 이 협잡물제거장치는 스크린을 상하로 배치하여서 저류조(1)로 유입되는 협잡물을 거르고, 걸러진 협잡물을 제거하며, 저류조 상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배치하여서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저류조(1) 내의 방류수로(30)와 가까운 곳에는 펌프(40)를 배치하여 저류조(1)의 저류수를 설정한 장소로 펌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유입수문부(50) 및 방류수문부(60)는 각각 유입 및 방류수문으로서, 저류조(1)의 유입수로(22) 및 방류수로(30)와 연결되는 외주블록(6)의 일부에는 내부에 개구부를 형성한 개구블록(7)을 구성하고, 개구블록(7)과 수문문틀(57)을 일체화시킨 유입수문블록(35) 및 방류수문블록(36)을 결합하며, 유입수문블록(35) 및 방류수문블록(36)의 상부에 수문문틀(57)과 개폐관계에 있는 유입수문(52), 방류수문(61), 펌프일체형수문(71)을 개폐하는 횡축 구동축(55)을 형성하여 유입수문(52), 방류수문(61), 펌프일체형수문(71)의 상부에 구동암(56)과 구동링크(54)로 연결한다. 구동축(55)의 연장에 일단의 스프로켓을 배치하고, 수문개폐기(53)의 감속축 상에 타단의 스프라켓을 배치하여, 감속축의 토오크를 구동축(55)에 전달하는 체인링크를 구성한다. 배수로(20), 유입수로(22) 및 방류수로(30)와 저류조(1)의 수위를 배수로수위감지기(24), 유입수로수위감지기(27), 방류수로수위감지기(26), 저류조수위감지기(25)로 각각 감지하고 유입수문(52), 방류수문(61), 펌프일체형수문(71)의 개폐정보를 감지하여 계통을 유기적으로 제어하되, 원격, 자동 및 수동으로 개폐되는 수문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저류조(1) 내에 펌프(40)가 설치될 경우, 이 펌프(4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류조(1)의 하면부(10)에 복수개의 펌프(40)를 배치하여 토출배관(41, 43)을 저류조(1) 외부로 연결하고 역수방지밸브(42)를 구성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일체형수문부(70)의 펌프일체형수문(71)에 펌프(72)를 일체화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펌프(72)는 저류수의 수위를 저류조수위감지기(25)로 감지하여 설정된 수위에 따라 구동과 정지를 자동으로 반복된다.
펌프일체형수문(71)에 장착되는 펌프(72)는, 저류조(1)의 저류수를 외측으로 강제배수시키는 역할을 하며, 펌프일체형수문(71)의 전후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수문개구부를 형성하여 수문개구부에 이 펌프(72)를 플렌지로 결합하고 일체화하여 펌프(72)의 토출구에 플랩밸브(73)를 결합 구성한다.
제어부(90)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위감지부(91)에서 배수로(20), 유입수로(22), 저류조(1) 및 방류수로(30)의 수위를 감지하고, 전원을 관리하는 전원부(92)에서 전원을 공급하며, 비상운전시에 전력을 발전하는 비상발전기(96)를 구성한다. 이 제어부(90)는 현장에서 설정값을 초기화시키고 구동을 조작하는 현장조작부(93)를 구성하고, 배수로(20), 저류조(1) 및 방류수로(30)의 수위정보, 수문(46)(52) (61)(71)의 개폐정보, 전원부(92)의 정보 등을 처리하는 입출력신호부(94)를 구성하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플래시메모리램(98), 연산처리부(97)를 유기적으로 제어하는 프로그램로직컨트롤러(99)에서 제어된 신호를 처리하는 최종출력부(95)를 구성한다. 그리고 제어부(90)는 최종출력부(95)에서 수문을 구동하는 배수로수문구동부(109), 유입수문구동부(110), 방류수문구동부(111)(112)의 수문개폐기(53)에 구동력을 공급하고, 펌프(72)를 구동하는 펌프구동부(113), 수문을 수동으로 구동하는 수동구동부(114), 주요기기의 작동상태를 현장조작부(93)의 램프에 표시하도록 구동하는 램프구동부(115)를 구성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저류조(1)를 작동시키며, 원격운전을 위하여 제어신호를 관리부(100)의 TM/TC(101)를 경유하여 변환시킨 후 전달하는 통신수단(102)을 구성한다. 또한 제어부(90)는 원격지의 원격지컴퓨터(104)와 통신수단(103)으로 형성된 원격지관리부(105)에서 제어부(90)에 신호를 송신하여 원격지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저류조를 유기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우수유출저감장치의 구동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수유출저감장치를 구성하여, 저류조(1)와 수문(46)(52)(61)(71) 및 펌프(72)를 구성하며, 배수로수위감지기(24)에서 배수로수위(L1)를, 저류조수위감지기(25)에서 저류조수위(L2)를, 방류로수위감지기(26)에서 방류수로 수위(L3)를, 유입수로감지기(27)에서 유입수로수위(L4)를 감지하고, 배수로(20)의 배수로수문(46), 유입수로(22)의 유입수문(52), 방류수로(30)의 방류수문(61), 펌프일체형수문(71)의 개도를 각각의 개도계(39)에서 감지한다.
초기 강우량을 저류조(1)로 저류시키기 위해서 배수로수위(L1)가 배수로설정수위(L1L)보다 높으면 제어부(90)의 유기적인 제어로 배수로수문부(45)의 배수로수문(46)을 수문개폐기(53)로 폐쇄하고, 유입수문부(50)의 유입수문(52)을 수문개폐기(53)로 개방시켜 유입수로(22)를 통하여 초기 강우량의 일정 강우량을 저류조(1)로 유입시키고, 초기 강우량을 저류시킨 후, 배수로수위(L1)가 배수로설정수위(L1L)보다 계속 상승하면 제어부(90)의 유기적인 제어로 배수로수문부(45)의 배수로수문(46)을 수문개폐기(53)로 개방하고, 유입수문부(50)의 유입수문(52)도 수문개폐기(53)로 개방시켜 유입수로(22)를 통하여 첨두홍수량을 저류조(1)로 유입시킨다.
유입수문부(50)의 유입수문(52)을 수문개폐기(53)로 개방시켜 유입수로(22)를 통하여 첨두홍수량을 저류조(1)로 유입시키고, 배수로수위(L1)와 유입수로수위감지기(27)로 감지한 유입수로수위(L4)를 비교하여 수위 차이가 설정값(약 0.2m)보다 커지면 스크린(51)에 부착된 협잡물을 제거해야 하므로 침사지(23) 내부에 배치된 협잡물제거장치(59)로 스크린(51)에 부착된 협잡물을 제거한다. 유입수문부(50)의 유입수문(52) 하단에 돌출 결합한 레이크(58)는 유입수문(52)이 횡축 구동축(55)을 중심으로 원호를 따라 궤적을 그리며 회동할 때에 협잡물을 유입수로(22) 상측으로 밀어 올려서 제거한다.
한편, 홍수로 첨두홍수량이 증가하면 배수로수위(L1)와 저류조수위(L2)를 비교하여 유입수문(52)을 제어부(90)의 유기적인 제어로 수문개폐기(53)를 구동하여 개폐의 정도를 조절한다. 강우가 그친 후 저류조(1)에 저장된 저류수는 저류조수위(L2)와 방류수로수위(L3)를 감지 비교하여 방류수문(61)을 개방하여 방류시키거나, 설정한 용도에 따라 펌프(72)를 구동하여 펌핑한다.
또한, 제 5 도 내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수유출저감장치를 구성하여, 유입수로(22)를 통하여 유입된 첨두홍수량을 저류조(1)에 저장하고,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수문(52)(61)(71), 협잡물제거장치(59) 및 펌프(40 또는 72)를 제어부(29)의 유기적인 제어로 저류수를 설정한 용도에 따라 펌프(40 또는 72)를 통하여 방류하여 저류조(1)의 용량을 극대화시키거나, 저류조(1)의 성능을 최적화시키고, 미도시한 차량 유입통로를 구성하여 저류조(1) 내부를 청소하거나 유지 보수한다.
한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수유출저감장치를 형성하여 첨두홍수량이 유입수로(22)를 통하여 저류조(1)로 유입될 때 함께 유입되는 협잡물이 스크린(51)에 부착하면 스크린(51) 전후의 수위(L1, L4) 차이가 설정값보다 커지게 되면, 제어부(90)는 스크린(51)에 협잡물이 많이 부착된 것으로 판단하여 수문개폐기(53)를 구동시킨다. 이때 유입수문(52) 하단에 돌출 결합한 레이크(58)는 유입수문(52)이 횡축 구동축(55)을 중심으로 원호를 따라 궤적을 그리며 회동하여 점선으로 도시한 상한에 도달하면 스크린(51)에 끼인 협잡물을 유입수로(22) 상측으로 밀어 올려서 제거한다.
수문개폐기(53)는 전동기의 회전수를 감속하여 증가된 구동토오크를 발생시키는 바, 유입수문(52) 상부에 고정된 구동암(56)이 구동축(55)에 회동되도록 결합하여 구동링크(54)를 통하여 구동축(55)으로 전달된다. 유입수문(52)과 수문문틀(57) 사이의 개폐정도를 개도계(39)에서 감지하고 상하 운행한계에 도달하면 내장된 리미트스위치가 수문개폐기(53)의 전원을 차단시킨다. 한편 홍수로 첨두홍수량이 증가하면 배수로수위(L1)와 저류조수위(L2)를 비교하여 유입수문(52)을 제어부(90)의 유기적인 제어로 수문개폐기(53)를 구동하여 개폐의 정도를 조절한다. 평소에 유입수문부(50)는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하고 유지관리 시에는 필요에 따라 개폐시킨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수유출저감장치를 형성하여, 저류조(1)에 저류된 저류수를 방류수로(30)로 방류시키는 바, 방류수문부(60)의 수문개폐기(53)를 구동시키면 방류수문(61)이 횡축 구동축(55)을 중심으로 원호를 따라 궤적을 그리며 회동한다. 방류수문(61)이 점선으로 도시한 상한에 도달하면 방류수로(30) 상측으로 개방하여 방류수로(30)로 방류시키고, 원래 위치인 하측으로 폐쇄시켜서 저류시킨다. 수문개폐기(53)는 전동기의 회전수를 감속하여 증가된 구동토오크를 구동축(55)에 전달하는 바, 방류수문(61) 상부에 고정된 구동암(56)이 구동축(55)에 회동되도록 결합하여 구동링크(54)를 통하여 구동축(55)으로 전달된다. 방류수문(61)과 수문문틀(57) 사이의 개폐정도를 개도계(39)에서 감지하고 상하 운행한계에 도달하면 내장된 리미트스위치가 수문개폐기(53)의 전원을 차단시킨다.
한편 방류수로수위(L3)가 저류조수위(L2)보다 하강하면 방류수문(61)을 제어부(90)의 유기적인 제어로 수문개폐기(53)를 구동하므로 개폐의 정도를 조절하여 방류시키고, 방류수로수위(L3)가 저류조수위(L2)보다 상승하면 방류수문(61)을 제어부(90)의 유기적인 제어로 수문개폐기(53)를 구동하여 폐쇄시킨다. 평소에는 방류수문부(60)는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하고 유지관리 시에는 필요에 따라 개폐시킨다.
아울러,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수유출저감장치를 형성할 수 있는 바, 저류조(1)에 저류된 저류수는 방류수로수위(L3)와 저류조수위(L2)를 비교하여 펌프일체형수문(71)을 제어부(90)의 유기적인 제어로 수문개폐기(53)를 구동하며 개폐의 정도를 조절하여 방류 또는 저류시킨다. 저류수를 설정한 용도에 따라 방류수로(30) 또는 다른 용도로 보내기 위하여 펌프일체형수문(71)에 일체화한 펌프(72)를 통하여 강제배수시키는데, 펌프일체형수문부(70)의 수문개폐기(53)와 펌프(72)를 제어부(90)의 유기적인 제어로 구동시킨다.
펌프일체형수문부(70)의 펌프일체형수문(71)에 펌프(72)를 일체로 결합하고 수문개폐기(53)를 구동하여 펌프일체형수문(71)을 상하로 회동시켜서 방류수로(30)를 개폐하며, 펌프(72)를 구동하여서 저류수를 강제배수시킨다. 수문개폐기(53)는 전동기의 회전수를 감속하여 증가된 구동토오크를 발생시키는 바, 유입수문(52) 상부에 고정된 구동암(56)이 구동축(55)에 회동되도록 결합하여 구동링크(54)를 통하여 구동축(55)으로 전달된다. 펌프일체형수문(71)과 수문문틀(57) 사이의 개폐정도를 개도계(39)에서 감지하고 상하 운행한계에 도달하면 내장된 리미트스위치가 수문개폐기(53)의 전원을 차단시킨다. 평소에 펌프일체형수문부(70)는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하고 유지관리시에는 필요에 따라 개폐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우수유출저감장치의 제어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수유출저감장치를 형성한 후,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된 저류조(1)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제어부(90)에서 유기적으로 제어하도록 설정값을 초기화하는 초기화 단계(S10)를 거친다. 초기화된 입출력신호부(94)에서 수신한 배수로(20), 유입수로(22), 저류조(1), 방류수로(30)의 수위(L1,L2,L3,L4), 전원 및 유입수문(52)초기화하는 초기화 단및 펌프일체형수문(71)의 개폐정보에 근거하여 원격지관리부(105)에서 TM/TC(101)를 통하여 수신한 원격신호에 따른 원격구동모드, 현장에서의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되는 전동구동모드단및 현장에서 수동으로 조작하는 수동구동모드로 전환하도록 판단하는 구동모드 판단단계(S11)를 시행하여 구동모드를 판단한다.
구동모드 판단단계(S11)에서 원격구동모드로 판단되면 원격구동모드로 전환하여 수문개폐기(53)의 유입수문구동부(110), 방류수문구동부(111)(112)를 구동하여 구동링크(54)와 연결된 유입수문(52), 방류수문(61), 펌프일체형수문(71)을 회동시켜 해당 수문(52)(61)(71)을 개방, 폐쇄, 정지시키고, 펌프(72)를 구동, 정지시켜서 유입, 저류, 방류기능을 원격구동모드단계(S12)에서 수문(52)(61)(71)과 펌프(72)를 구동한다.
상기와 같이, 구동모드 판단단계(S11)에서 현장조작부(93)의 전동구동모드로 판단 전동으로 전환하여 배수로수위(L1)가 저류조수위(L2)보다 상승하면 유입수문구동부(110) 스위치를 구동시켜서 유입수문(52)을 수문문틀(57)로부터 개방하여 홍수량이 저류조(1)로 유입되고, 배수로수위(L1)와 저류조수위(L2)보다 하강하면 유입수문구동부(110) 스위치를 구동시켜서 유입수문(52)을 수문문틀(57)과 결합하여 유입수문(52)을 폐쇄시키는 유입단계(S13)를 가지며, 이 유입단계(S13)에서 홍수량을 저류조(1)로 유입시킨다.
유입단계(S13)로 전환되어 저류조(1)로 유입시키는 중 배수로수위(L1)와 유입수로수위(L4)의 차이가 설정값(약 0.2m)보다 커지면 유입수문(52) 수문개폐기(53)를 구동하여 협잡물제거장치(59)를 반복하여 구동하고, 수위 차이가 설정값(약 0.2m) 보다 작아지면 유입수문(52)의 수문개폐기(53)를 구동을 정지하여 협잡물제거단계(S14)에서 협잡물제거장치(59)의 구동은 자동으로 정지한다.
상기와 같이, 유입단계(S13)를 거친 계통이, 저류조수위(L2)가 저류조상한수위(L2HH)보다 상승하면 유입수문구동부(110)의 스위치를 구동시켜서 유입수문(52)을 수문문틀(57)과 결합하여 첨두홍수량을 저류조(1)로 유입을 차단시킨다.
그리고, 전동구동모드에서 저류조수위(L2)가 펌프구동수위(L2L)보다 상승하면 펌프(72)를 구동하여 저류수를 강제배수시키고, 저류조수위(L2)가 저류조하한수위(L2LL)에 도달하면 펌프구동단계(S15)에서 펌프(72) 구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전동구동모드에서 방류수로수위(L3)가 저류조수위(L2)보다 높으면 저류조(1)로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방류수문(52)과 펌프일체형수문부(70)의 펌프일체형수문(71)을 수문문틀(57)과 폐쇄시키고, 방류수로수위(L3)가 하강하여 저류조수위(L2)보다 하강하면 방류수문(61)과 펌프일체형수문(71)을 개방하여 자연방류시키고, 전동구동모드가 종료되면 방류수문폐쇄단계(S16)에서 수문(61)(71)은 폐쇄된 상태로 돌아간다.
상기와 같이, 구동모드 판단단계(S11)에서 현장조작부(93)의 수동구동모드로 판단 수동으로 전환하면, 수동구동단계(S17)를 통해 수문(52)(61)(71)과 펌프(72)를 수동으로 구동한다. 이 수동구동단계(S17)에서 전동구동모드와 동일하게 수위(L2, L3, L2HH, L2L, L2LL)를 측정 비교하고 수문개폐기(53)의 구동부(110)(111)(112)를 구동하여 구동링크(54)와 연결된 유입수문(52), 방류수문(61), 펌프일체형수문(71)을 수동으로 개폐시켜 수문(52)(61)(71)을 수동으로 개방, 폐쇄, 정지시키고 펌프(72)를 구동, 정지시켜서 유입, 저류, 방류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된 저류조(1)의 용량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제어부(90)에서 유기적으로 제어하도록 설정값을 초기화하는 초기화 단계(S20)를 거쳐서, 초기화된 입출력신호부(94)에서 수신한 배수로(20), 유입수로(22), 저류조(1), 방류수로(30)의 수위(L1,L2,L3,L4), 전원 및 유입수문(52), 방류수문(61) 및 펌프일체형수문(71)의 개폐정보에 근거하여 원격지관리부(105)의 원격신호에 따른 원격구동모드, 현장에서의 신호에 따른 전동구동모드 및 수동구동모드로 전환하도록 판단하는 구동모드 판단단계(S21)를 시행하여 구동모드를 판단한다.
구동모드 판단단계(S21)에서 원격구동모드로 판단되면 원격구동모드로 전환하여 수문개폐기(53)의 유입수문구동부(110), 방류수문구동부(111)(112)를 구동하여 구동링크(54)와 연결된 유입수문(52), 방류수문(61), 펌프일체형수문(71)을 회동시켜 수문(52)(61)(71)을 개방, 폐쇄, 정지시키고 펌프(72)를 구동, 정지시켜서 유입, 저류, 방류기능을 원격구동모드단계(S22)에서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동모드 판단단계(S21)에서 현장조작부(93)의 전동구동모드로 판단 전동으로 전환하여 배수로수위(L1)가 저류조수위(L2)보다 상승하면 유입수문구동부(110) 스위치를 구동시켜서 유입수문(52)을 수문문틀(57)로부터 개방하여 홍수량이 저류조(1)로 유입되고, 배수로수위(L1)와 저류조수위(L2)보다 하강하면 유입수문구동부(110) 스위치를 구동시켜서 유입수문(52)을 수문문틀(57)과 결합하여 유입수문(52)을 폐쇄시키는 유입단계(S23)에서 홍수량을 저류조(1)로 유입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동모드 판단단계(S21)에서 현장조작부(93)의 전동구동모드로 판단 전동으로 전환하면, 우선 방류수문(61)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며, 배수로수위(L1)와 유입수로수위(L4)의 차이가 설정값(약 0.2m)보다 커지면 유입수문(52) 수문개폐기(53)를 구동하여 협잡물제거장치(59)를 반복하여 구동하고, 수위 차이가 설정값(약 0.2m) 보다 작아지면 유입수문(52)의 수문개폐기(53)를 구동을 정지하 협잡물제거단계(S24)를 가지며, 협잡물제거단계(S24)에서 협잡물제거장치(59)의 구동은 자동으로 정지한다.
상기와 같이 저류된 계통에 있어서, 저류조수위(L2)가 저류조상한수위(L2HH)에 도달할 때까지는 방류수문(61)을 폐쇄한 상태에서 유입수문(52)의 유입수문구동부(110) 스위치를 구동시켜서 유입수문(52)을 수문문틀(57)과 개방하여 첨두홍수량을 저류조(1)로 유입시키고, 저류조수위(L2)가 저류조상한수위(L2HH)에 도달하면 유입수문(52)의 유입수문구동부(110) 구동시켜서 유입수문(52)을 수문문틀(57)과 결합하여 첨두홍수량을 저류조(1)로 유입을 차단시키는 저류단계(S25)를 가지며, 이 저류단계(S25)에서 저류조(1)의 저류용량이 최대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저류단계(S25)를 거치고 강우가 그친 후 전동구동모드에서 첨두홍수량이 감소하여 배수로수위(L1)가 배수로설정수위(L1L)보다 하강하면, 외부 유입이 없으므로 방류수문(61)을 개방시켜서 방류시키거나, 저류수를 소방용수, 정원용수, 도로청소용수 등 사전에 설정한 용도로 펌프구동부(113)를 구동하여 펌프(72)를 구동하여 저류조하한수위(L2LL)에 도달할 때까지 펌프(72)를 구동시키며, 저류조하한수위(L2LL)에 도달하면 펌프(72) 구동을 정지시켜서 방류단계(S26)를 실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동모드 판단단계(S21)에서 현장조작부(93)의 수동구동모드로 판단되어 수동으로 전환하면, 전동구동모드와 동일하게 수위(L1, L1L, L2, L2HH, L2LL)를 측정 비교하고 수문개폐기(53)의 유입수문구동부(110), 방류수문구동부(111)(112)를 구동하여 구동링크(54)와 연결된 유입수문(52)을 개폐시켜 수문(52)(61) (71)을 개방, 폐쇄, 정지시킨다. 이러한 수동구동단계(S27)에서 수문(52)(61)(71)과 펌프(72)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구동, 정지시키므로 유입, 저류, 방류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계절이 바뀌어 장기간 저류조(1)를 가동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제어부(90)의 현장조작부(93)를 작동하여 유입수문(52)은 완전히 개방시키고, 안전을 고려하여 방류수문(61)과 펌프일체형수문(71)은 완전히 폐쇄하여 정지시킨 후 현장조작부(93)의 전원을 끄면 수문(52)(61)(71)은 그 상태를 유지하여 정지한다.
또한, 태풍, 강풍, 집중호우, 홍수 등으로 정전이나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제어부(90)에서 수신한 전원정보에 근거하여 비상발전기(96)를 구동시켜서 발생한 전원으로 구동모드를 전환하도록 판단하는 구동모드 판단단계(S21)를 거쳐서 관리부의 원격신호에 따른 원격구동모드나 현장에서의 신호에 따른 전동구동모드 또는 수동구동모드로 계통을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된 비점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하여 제어부(90)에서 유기적으로 제어하도록 설정값을 초기화하는 초기화 단계(S30)를 거치며, 초기화된 입출력신호부(94)에서 수신한 배수로(20), 유입수로(22), 저류조(1), 방류수로(30)의 수위(L1,L2,L3,L4), 전원 및 배수로수문(46), 유입수문(52), 방류수문(61) 및 펌프일체형수문(71)의 개폐정보에 근거하여 원격지관리부(105)의 원격신호에 따른 원격구동모드, 현장에서의 신호에 따른 전동구동모드 및 수동구동모드로 전환하도록 판단하는 구동모드 판단단계(S31)를 시행하여 구동모드를 판단한다.
구동모드 판단단계(S31)에서 원격구동모드로 판단되면 원격구동모드로 전환하여 수문개폐기(53)의 배수로수문구동부(109), 유입수문구동부(110), 방류수문구동부(111)(112)를 구동하여 구동링크(54)와 연결된 배수로수문(46), 유입수문(52), 방류수문(61), 펌프일체형수문(71)을 회동시켜 해당 수문(46)(52)(61)(71)을 개방, 폐쇄, 정지시키고 펌프(72)를 구동, 정지시켜서 유입, 저류, 방류기능을 원격구동모드단계(S32)에서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동모드 판단단계(S31)에서 현장조작부(93)의 전동구동모드로 판단 전동으로 전환하면, 초기 비점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하여 배수로수위(L1)가 유입수로수위(L4)보다 상승하면 유입수문(52)의 유입수문구동부(110) 스위치를 구동시켜서 유입수문(52)을 수문문틀(57)과 개방하여 첨두홍수량을 저류조(1)로 유입시킨다. 배수로(20)의 초기강우량(Q)을 측정하여 설정초기강우량(Q1)에 도달할 때까지는 배수로수문(46)의 배수로수문구동부(109) 스위치를 구동시켜서 배수로수문(46)을 수문문틀(57)에 폐쇄시키고 유입수문(52)의 유입수문구동부(110) 스위치를 구동시켜서 유입수문(52)을 수문문틀(57)과 개방하는 저류단계(S33)를 가지며, 이 저류단계에서(S33)에서 첨두홍수량을 저류조(1)로 유입시킨다. 배수로(20)의 초기강우량(Q)이 설정초기강우량(Q1)을 초과하면 배수로수문(46)을 개방시켜서 배수를 자연 방류시킨다.
또한, 초기 비점오염물질을 포함한 유입수가 저류조(1)로 유입하여 저류조수위(L2)가 저류조상한수위(L2HH)에 도달할 때까지 방류수문(61)을 폐쇄한 상태에서 유입수문(52)을 개방하여 홍수량을 저류조(1)로 유입시키고, 저류조수위(L2)가 저류조상한수위(L2HH)에 도달하거나 상승하면 유입수문(52)을 폐쇄하여, 저류조(1)에서 침전시키는 침전단계(S34)를 갖는다.
그리고, 침전단계(S34)를 거치고 강우가 그친 후 저류조수위(L2)가 펌프구동수위(L2L)보다 상승하면 저류수를 펌프구동부(113)를 구동하므로 펌프(72)를 구동하여 침전된 비점오염물질을 하수처리장으로 저류조하한수위(L2LL)에 도달할 때까지 방류시키며, 저류조수위(L2)가 저류조하한수위(L2LL)에 도달하면 펌프(72) 구동을 정지시키는 한편, 저류조수위(L2)가 방류수로수위(L3)보다 하강하면 방류수문(61)을 폐쇄하고 전동구동이 종료되면 안전을 위하여 방류수문(61)을 폐쇄한 후 종료하는 방류단계(S35)를 가지며, 이 방류단계(S35)에서 침전된 비점오염물질을 방류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동모드 판단단계(S31)에서 현장조작부(93)의 수동구동모드로 판단 수동으로 전환하면, 수동구동단계(S36)를 통해 수문(46)(52)(61)(71)과 펌프(72)를 수동조작으로 구동한다. 이 수동구동단계(S36)에서 전동구동모드와 동일하게 수위(L1, L1L, L2, L2HH, L2LL)를 측정 비교하고 수문개폐기(53)의 배수로수문구동부(109), 유입수문구동부(110), 방류수문구동부(111)(112)를 구동하여 구동링크(54)와 연결된 유입수문(52)을 수동으로 개폐시켜 수문(46)(52)(61)(71)을 수동으로 개방, 폐쇄, 정지시키며, 펌프(72)를 구동, 정지시켜서 유입, 저류, 방류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계절이 바뀌어 장기간 저류조(1)를 가동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제어부(90)의 현장조작부(93)를 작동하여 배수로수문(46)과 유입수문(52)은 완전히 개방시키고, 안전을 고려하여 방류수문(61)과 펌프일체형수문(71)은 완전히 폐쇄한 후 정지시키며, 현장조작부(93)의 전원을 끄면 수문(46)(52)(61)(71)은 그 상태를 유지하여 정지한다.
1 : 저류조 2 : 측면부
3 : 하면블록 4 : 하면블록주초
5 : 기둥 6 : 외주블록
7 : 개구블록 8 : 상면블록
9 : 상면블록받침 10 : 하면부
11 : 주초 12 : 기둥
13 : 보 14 : RC바닥슬라브
15 : 외주모서리부 16 : 외주블록
17 : 상면블록 18 : 기초부
20 : 배수로 21 : 월류벽
22 : 유입수로 23 : 침사지
24 : 배수로수위감지기 25 : 저류조수위감지기
26 : 방류로수위감지기 27 : 유입수로수위감지기
30 : 방류수로 31 : 오리피스
32 : 방류공 33 : 필터
34 : 배수탑 35 : 유입수문블록
36 : 방류수문블록
40 : 펌프 41 : 토출관
42 : 역수방지밸브 43 : 토출관
45 : 배수로수문부 46 : 배수로수문
50 : 유입수문부 51 : 스크린
52 : 유입수문 53 : 수문개폐기
54 : 구동링크 55 : 구동축
56 : 구동암 57 : 수문문틀
58 : 레이크 59 : 협잡물제거장치
60 : 방류수문부 61 : 방류수문
62 : 수문개폐기 63 : 연결봉
70 : 펌프일체형수문부 71 : 펌프일체형수문
72 : 펌프 73 : 플랩밸브
80 : 정착부 81 : 너트
82 : 와셔 83 : 지압판
84 : 안내장치 85 : PS강봉
86 : 쐐기 87 : 콘재
88 : PS강재 90 : 제어부
91 : 수위감지부 92 : 전원부
93 : 현장조작부 94 : 입출력신호부
95 : 최종출력부 96 : 비상발전기
97 : 연산처리부 98 : 플래시메모리램
99 : 프로그램로직컨트롤러
100 : 관리부 101 : TM/TC
102 : 통신수단 103 : 통신수단
104 : 원격지컴퓨터 105 : 원격지관리부
109 : 배수로수문구동부 110 : 유입수문구동부
111,112 : 방류수문구동부 113 : 펌프구동부
114 : 수동구동부 115 : 램프구동부
L1 : 배수로수위 L1L : 배수로설정수위
L2 : 저류조수위 L2HH : 저류조상한수위
L2H : 저류조관리수위 L2L : 펌프구동수위
L2LL : 저류조하한수위 L3 : 방류수로수위
L4 : 유입수로수위 Q : 초기강우량
Q1 : 설정초기강우량

Claims (12)

  1. 배수로(20)에 연결되어서 배수로(20)를 따라 흐르는 우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저류조(1);
    배수로(20)와 저류조(1) 사이에 연결되어서 배수로(20)를 따라 흐르는 우수의 일부를 저류조(1) 측으로 유도하는 유입수로(22);
    저류조(1)에 연결되어서 저류조(1) 내의 저류수를 외부로 방류하는 방류수로(30);
    배수로(20) 및 유입수로(22)의 분기점 하류와, 유입수로(22)와, 방류수로(30)에 각각 설치되어서 저류조(1)에 출입되는 우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수문(46)(52)(61) (71);
    침사지(23)에 설치되어서 유입수로(22)에서 저류조(1)로 유입되는 협잡물을 거르고, 걸러진 협잡물을 제거하는 협잡물제거장치(59);
    방류수로(30)에 배치된 펌프일체형수문(71)의 전후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수문개구부를 형성하고 수문개구부에 저류조(1)의 저류수를 외측으로 강제배수시키도록 플렌지로 결합하여 펌프일체형수문(71)과 일체화하며, 토출구에 플랩밸브(73)를 결합 구성하여, 저류조(1)의 저류수를 외측으로 강제 배수시키는 펌프(72);
    배수로(20), 유입수로(22), 방류수로(30) 및 저류조(1)의 수위를 감지하고 수문(52)(61)(71)의 개폐정보를 감지하여 계통을 유기적으로 제어하여 개폐시키며, 협잡물제거장치(59)와 펌프(72)를 유기적으로 구동하여 유입, 저류 및 방류를 자동제어하는 제어부(9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유출저감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저류조(1)는,
    기초부(18)와, 기초부(18) 상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사각 주초(柱礎, 11), 주초(11) 사이의 기초부(18) 상에 안착되어서 주초(11)와 일체화된 RC바닥슬라브(14)로 이루어진 하면부(10)와, 주초(11) 상부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기둥(12)과, 상부 내측에 단부를 가진 외주블록(16)들로 이루어지고 저류조(1)의 측면을 이루는 측면부(2)와, 측면부(2)의 모서리에 배치되고 상부 내측에 단부를 가진 외주모서리부(15)와, 기둥(12)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횡방향 양측으로 단부를 형성한 보(13)와, 보(13), 외주블록(16), 외주모서리부(15)의 각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면블록(17)으로 이루어지며,
    상기의 각 구성부재가 압착 접합되어서 수밀이 유지되도록 저류공간이 형성되되, 각 구성부재는 PC공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유출저감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저류조(1)는,
    네 모서리의 상부에 주초(柱礎, 4)가 일체화되고 기초부(18)의 상부에 안착되는 하면(下面)블록(3)과, 하면블록(3)의 주초(4) 상부에 배치되는 기둥(5)과, 하면블록(3)의 전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개구블록(7)과, 하면블록(3)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외주블록(6)과, 기둥(5), 개구블록(7), 외주블록(6)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면블록(8)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5가지 구성부재는 PC공법으로 제작하여 압착 접합되어서 수밀이 유지되도록 저류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각 구성부재는 PC공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유출저감장치.
  5. 주초(11), 기둥(12), 외주블록(16), 외주모서리부(15), 보(13), 상면블록(17)의 6가지 구성부재로 이루어지고 각 구성부재를 PC공법으로 제작하여서 압착 접합한 후 수밀이 유지되도록 저류공간이 형성된 저류조(1), 또는 주초(4)를 일체화시킨 하면블록(3), 기둥(5), 외주블록(6), 개구블록(7), 상면블록(8)의 5가지 구성부재로 이루어지고 각 구성부재를 PC공법으로 제작하여서 압착 접합한 후 수밀이 유지되도록 저류공간이 형성된 저류조(1)가 구비되고; 저류조(1)에는 배수로(20)를 따라 흐르는 우수가 일부 유입되고 유입된 저류수가 방류되도록 유입수로(22) 및 방류수로(30)가 연결되는 외주블록(6) 일부에 개구블록(7)이 각각 구비되며; 유입수로(22) 및 방류수로(30)에는 유입수문블록(35) 및 방류수문블록(36)이 배치되어 개구블록(7)과 각각의 수문블록(35)(36)을 연결시킨 우수유출저감장치에 있어서,
    유입수문블록(35) 및 방류수문블록(36)에는 수문문틀(57)을 일체화시키고 수문문틀(57)에 유입수문(52) 및 방류수문(61)을 결합하여 수문개폐기(53)로 개폐시키는 수문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유출저감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협잡물제거장치(59)는,
    침사지(23) 내측에 설치되고 유입수로(22)에서 유입되는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배치된 스크린(51)과,
    유입수문(52)이 횡축 구동축(55)을 중심으로 원호를 따라 궤적을 그리며 회동되어 개방할 때 스크린(51) 피치 사이를 통과한 채 스크린(51)에 부착된 협잡물을 유입수로(22) 상측으로 밀어 올릴 수 있도록 유입수문(52) 하단에 돌출 결합한 레이크(5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스크린(51)은 레이크(58)의 개폐 궤적에 맞도록 원호형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유출저감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수문은,
    배수로(20)에서 유입수로(22)의 분기점 하류측에 배치된 배수로수문(46)과, 유입수로(22)에 배치된 유입수문(52)과, 방류수로(30)에 각각 배치된 방류수문(61) 및 펌프일체형수문(71)으로 이루어지고,
    배수로(20), 유입수로(22), 저류조(1) 및 방류수로(30)의 수위정보와 각 수문의 개폐정보 등을 수집하여 유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90)에서 배수로수문(46), 유입수문(52), 방류수문(61), 펌프일체형수문(71)을 자동으로 개폐시켜서 초기 우수의 비점오염물질을 저류조(1)로 유입시킨 후 침전처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유출저감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부(90)는,
    전원을 공급하고 전원을 관리하는 전원부(92)와, 전원부(92)에 연결되고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연산처리하는 플래시메모리램(98) 및 연산처리부(97)와, 플래시메모리램(98) 및 연산처리부(97)에 연결되어서 이들을 유기적으로 제어하는 프로그램로직컨트롤러(99)와, 프로그램로직컨트롤러(99)에 연결되고 배수로(20), 유입수로(22), 저류조(1) 및 방류수로(30)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91)와, 프로그램로직컨트롤러(99)에 연결되고 현장에서 설정값을 초기화시키며 구동을 조작하는 현장조작부(93)와, 프로그램로직컨트롤러(99)에 연결되고 수위정보, 수문의 개폐정보 등을 처리하는 입출력신호부(94)와, 프로그램로직컨트롤러(99)에 연결되고 프로그램로직컨트롤러(99)에서 제어된 신호를 처리하는 최종출력부(95)와, 전원부(92)에 연결되고 프로그램로지컨트롤러(99)에 연결되어서 비상운전시에 전력을 발전하는 비상발전기(96)와, 최종출력부(95)에 연결되고 최종출력부(95)에 의해 배수로수문(46)을 구동하는 배수로수문구동부(109)와, 최종출력부(95)에 연결되고 최종출력부(95)에 의해 유입수문부(50)를 구동하는 유입수문구동부(110)와, 최종출력부(95)에 연결되고 최종출력부(95)에 의해 방류수문(61) 및 펌프일체형수문(71)을 구동하는 방류수문구동부(111) (112)와, 최종출력부(95)에 연결되고 최종출력부(95)에 의해 펌프(72)를 구동하는 펌프구동부(113)와, 최종출력부(95)에 연결되고 최종출력부(95)에 의해 제어되는 수동구동부(114)와, 최종출력부(95)에 연결되고 배수로수문구동부(109), 유입수문구동부(110), 방류수문구동부(111)(112), 펌프구동부(113), 수동구동부(114) 및 주요 기기의 작동상태를 현장조작부(93)의 램프에 표시하도록 구동하는 램프구동부(115)와, 프로그램로직컨트롤러(99)에 연결되는 TM/TC(101) 및 TM/TC(101)에 연결되어서 이를 경유한 제어신호를 변환시킨 후 전달하는 통신수단(102)으로 이루어진 관리부(100)와, 관리부(100)의 통신수단(102)에 연결되는 원격지의 원격지컴퓨터(104) 및 원격지컴퓨터(104)에 연결된 통신수단(103)으로 이루어져서 제어부(90)에 신호를 송신하여 원격지의 저류조(1)를 유기적으로 제어하는 원격지관리부(10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유출저감장치.
  10. 저류조(1)의 제어부(90)에서 유기적으로 제어하도록 설정값을 초기화하는 초기화 단계(S10)와,
    초기화 단계(S10)에서 초기화된 입출력신호부(94)에서 수신한 각 수위 및 수문의 개폐정보에 근거하여 원격지관리부(105)의 원격신호에 따른 원격구동모드, 현장에서의 신호에 따른 전동구동모드 및 수동구동모드로 전환하도록 판단하는 구동모드 판단단계(S11)와,
    구동모드 판단단계(S11)에서 원격구동모드로 전환하여 유입수문구동부(110)와 방류수문구동부(111)(112)와 펌프구동부(113)를 구동하여 유입수문구동부(110)와 방류수문구동부(111)(112)와 펌프구동부(113)를 구동하므로 해당 수문과 펌프를 구동하여 유입, 저류 및 방류시키는 원격구동단계(S12)와,
    구동모드 판단단계(S11)에서 전동구동모드로 전환되어 배수로수위(L1)가 저류조수위(L2)보다 상승하면 유입수문(52)을 개방하여 저류조(1)로 유입시키고, 배수로수위(L1)가 저류조수위(L2)보다 하강하면 유입수문(52)을 폐쇄시키는 유입단계(S13)와,
    유입단계(S13)로 전환되어 저류조(1)로 유입시키는 중 배수로수위(L1)와 유입수로수위(L4)의 차이가 설정값(약 0.2m)보다 차이가 커지면 협잡물제거장치(59)를 반복하여 구동시키고, 수위차이가 설정값보다 작아지면 협잡물제거장치(59)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협잡물제거단계(S14)와,
    유입단계(S13)를 거친 계통이 저류조수위(L2)가 저류조상한수위(L2HH)보다 상승하면 유입수문(52)을 폐쇄하여 저류조(1)로 유입을 차단하고, 저류조수위(L2)가 저류조상한수위(L2HH)보다 하강하여 저류조(1)의 펌프구동수위(L2L)보다 상승하면 펌프(72)를 구동하여 저류조하한수위(L2LL)에 도달할 때까지 펌프(72)를 구동시키며, 저류조하한수위(L2LL)에 도달하면 펌프(72)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펌프구동단계(S15)와,
    펌프구동단계(S15)와 동시에 저류조수위(L2)가 방류수로수위(L3)보다 상승하면 방류수문(61) 및 펌프일체형수문(71)을 개방하여 저류수를 자연방류시키고 방류수로수위(L3)가 저류조수위(L2)보다 상승하면 저류조(1)로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방류수문(61)(71)을 폐쇄하고, 전동구동이 종료되면 안전을 위하여 방류수문(61)(71)을 폐쇄한 후 종료하는 방류수문폐쇄단계(S16)를 포함한 전동구동모드와,
    구동모드 판단단계(S11)에서 수동구동모드로 판단되어 수동구동모드로 전환하면 유입수문구동부(110)와 방류수문구동부(111)(112)와 펌프구동부(113)를 수동조작으로 구동하므로 해당 수문과 펌프(72)를 구동하여 우수의 유입, 저류 및 방류시키는 수동구동단계(S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저류조(1)의 성능을 극대화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유출저감장치의 구동방법.
  11. 저류조(1)의 제어부(90)에서 유기적으로 제어하도록 설정값을 초기화하는 초기화 단계(S20)와,
    초기화 단계(S20)에서 초기화된 입출력신호부(94)에서 수신한 각 수위 및 수문의 개폐정보에 근거하여 원격지관리부(105)의 원격신호에 따른 원격구동모드, 현장에서의 신호에 따른 전동구동모드 및 수동구동모드로 전환하도록 판단하는 구동모드 판단단계(S21)와,
    구동모드 판단단계(S21)에서 원격구동모드로 전환하여 유입수문구동부(110)와 방류수문구동부(111)(112)와 펌프구동부(113)를 구동하므로 해당 수문과 펌프(72)를 구동하여 우수의 유입, 저류 및 방류시키는 원격구동단계(S22)와,
    구동모드 판단단계(S11)에서 전동구동모드로 전환되어 배수로수위(L1)가 저류조수위(L2)보다 상승하면 유입수문(52)을 개방하여 저류조(1)로 유입시키고, 배수로수위(L1)가 저류조수위(L2)보다 하강하면 유입수문(52)을 폐쇄시키는 유입단계(S23)와,
    유입단계(S13)로 전환되어 저류조(1)로 유입시키는 중 배수로수위(L1)와 유입수로수위(L4)의 차이가 설정값(약 0.2m)보다 차이가 커지면 협잡물제거장치(59)를 반복하여 구동시키고, 수위차이가 설정값보다 작아지면 협잡물제거장치(59)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협잡물제거단계(S24)와,
    유입단계(S13)를 거친 계통이 저류조수위(L2)가 저류조상한수위(L2HH)에 도달할 때까지 방류수문(61)을 폐쇄한 상태에서 유입수문(52)을 개방하여 저류조(1)로 유입시키고, 저류조수위(L2)가 저류조상한수위(L2HH)에 도달하거나 상승하면 유입수문(52)을 폐쇄시킴으로서 저류용량을 최대가 되도록 하는 저류단계(S25)와,
    저류단계(S25)를 거치고 강우가 그친 후 배수로수위(L1)가 배수로설정수위(L1L)보다 하강하면 방류수문(61)을 개방시켜서 방류시키거나, 저류수를 소방용수, 정원용수, 도로청소용수 등 사전에 설정한 용도로 펌프(72)를 구동하여 저류조하한수위(L2LL)에 도달할 때까지 펌프(72)를 구동시키며, 저류조하한수위(L2LL)에 도달하면 펌프(72) 구동을 정지시키고, 전동구동이 종료되면 안전을 위하여 방류수문(61)을 폐쇄한 후 종료하는 방류단계(S26)를 포함한 전동구동모드와,
    구동모드 판단단계(S21)에서 수동구동모드로 판단되어 수동구동모드로 전환하면 유입수문구동부(110)와 방류수문구동부(111)(112)와 펌프구동부(113)를 수동조작으로구동하므로 해당 수문과 펌프(72)를 구동하여 우수의 유입, 저류 및 방류시키는 수동구동단계(S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저류조의 용량을 극대화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유출저감장치의 구동방법.
  12. 저류조(1)의 제어부(90)에서 유기적으로 제어하도록 설정값을 초기화하는 초기화 단계(S30)와,
    초기화 단계(S30)에서 초기화된 입출력신호부(94)에서 수신한 각 수위 및 수문의 개폐정보에 근거하여 원격지관리부(105)의 원격신호에 따른 원격구동모드, 현장에서의 신호에 따른 전동구동모드 및 수동구동모드로 전환하도록 판단하는 구동모드 판단단계(S31)와,
    구동모드 판단단계(S31)에서 원격구동모드로 전환하면 배수로수문구동부(109), 유입수문구동부(110), 방류수문구동부(111)(112) 및 펌프구동부(113)를 구동하므로 해당 수문과 펌프(72)를 구동하여 우수의 유입, 저류, 침전 및 방류시키는 원격구동단계(S32)와,
    구동모드 판단단계(S31)에서 전동구동모드로 전환되어 배수로수위(L1)가 유입수로수위(L4)보다 상승하면 유입수문(52)의 유입수문구동부(110) 스위치를 구동시켜서 유입수문(52)을 수문문틀(57)과 개방하여 첨두홍수량을 저류조(1)로 유입시키고, 배수로(20)의 초기강우량(Q)을 측정하여 설정초기강우량(Q1)에 도달할 때까지는 배수로수문(46)을 수문문틀(57)에 폐쇄시켜서 첨두홍수량을 저류조(1)로 유입시켜서 저류시키는 저류단계(S33)와,
    저류단계(S33)를 거친 계통이 저류조수위(L2)가 저류조상한수위(L2HH)에 도달할 때까지 방류수문(61)을 폐쇄한 상태에서 유입수문(52)을 개방하여 저류조(1)로 유입시키고, 저류조수위(L2)가 저류조상한수위(L2HH)에 도달하거나 상승하면 유입수문(52)을 폐쇄시킴으로서 저류조(1)에 침전시키는 침전단계(S34)와,
    침전단계(S34)를 거치고 강우가 그친 후 저류조수위(L2)가 펌프구동수위(L2L)보다 상승하면 펌프(72)를 구동하여 저류조하한수위(L2LL)에 도달할 때까지 하수처리장으로 저류수를 방류시키며, 저류조하한수위(L2LL)에 도달하면 펌프(72) 구동을 정지시키고, 저류조수위(L2)가 방류수로수위(L3)보다 상승하면 방류수문(61)을 개방하여 하류로 자연방류시키고, 저류조수위(L2)가 방류수로수위(L3)보다 하강하면 방류수문(61)을 폐쇄하고 전동구동이 종료되면 안전을 위하여 방류수문(61)을 폐쇄한 후 종료하는 방류단계(S35)를 포함한 전동구동모드와,
    구동모드 판단단계(S31)에서 수동구동모드로 판단되어 수동구동모드로 전환하면 유입수문구동부(110)와 방류수문구동부(111)(112)와 펌프구동부(113)를 수동조작으로 구동하므로 해당 수문과 펌프(72)를 구동하여 우수의 유입, 저류, 침전 및 방류시키는 수동구동단계(S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비점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처리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유출저감장치의 구동방법.
KR1020110050501A 2011-05-27 2011-05-27 우수유출저감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074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501A KR101074449B1 (ko) 2011-05-27 2011-05-27 우수유출저감장치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501A KR101074449B1 (ko) 2011-05-27 2011-05-27 우수유출저감장치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4449B1 true KR101074449B1 (ko) 2011-10-17

Family

ID=45032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501A KR101074449B1 (ko) 2011-05-27 2011-05-27 우수유출저감장치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444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639B1 (ko) 2013-08-20 2013-12-09 이문기 강우감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수제어시스템
KR101377161B1 (ko) * 2013-11-13 2014-03-24 주식회사 한국종합환경 수처리용 침전 및 저류 시스템
KR101437109B1 (ko) * 2014-02-24 2014-09-02 김번영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
KR101502455B1 (ko) * 2014-05-12 2015-03-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고지배수로
KR20200038773A (ko) * 2018-10-04 2020-04-14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천변저류시설 및 배수펌프장 가동을 위한 교육용 장치
KR102307491B1 (ko) * 2021-03-10 2021-09-30 주식회사 이엘 기상 예보에 따른 수리 시설물 테스트 점검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860B1 (ko) * 2011-03-09 2011-04-22 신명옥 저류조를 이용한 인공습지형 비점오염원 저감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860B1 (ko) * 2011-03-09 2011-04-22 신명옥 저류조를 이용한 인공습지형 비점오염원 저감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639B1 (ko) 2013-08-20 2013-12-09 이문기 강우감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수제어시스템
KR101377161B1 (ko) * 2013-11-13 2014-03-24 주식회사 한국종합환경 수처리용 침전 및 저류 시스템
KR101437109B1 (ko) * 2014-02-24 2014-09-02 김번영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
KR101502455B1 (ko) * 2014-05-12 2015-03-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고지배수로
KR20200038773A (ko) * 2018-10-04 2020-04-14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천변저류시설 및 배수펌프장 가동을 위한 교육용 장치
KR102126072B1 (ko) 2018-10-04 2020-06-25 대한민국 천변저류시설 및 배수펌프장 가동을 위한 교육용 장치
KR102307491B1 (ko) * 2021-03-10 2021-09-30 주식회사 이엘 기상 예보에 따른 수리 시설물 테스트 점검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4449B1 (ko) 우수유출저감장치 및 그 구동방법
CA2929096C (en) Closed flow sewer system
CN108396850A (zh) 截流倍数可调防止过量雨水进入污水管的智能截污井
KR102140058B1 (ko) 도시 물순환 터미널을 이용한 비산 미세먼지 감축시스템
CN205637036U (zh) 一种城市街道雨水收集弃流过滤存储渗漏系统
CN205421504U (zh) 一种弃流式雨水口
CN207392409U (zh) 一种多功能型截流井系统
CN105672444B (zh) 基于合流制管网的雨水分区处理系统
CN107447807A (zh) 一种地下雨水收集系统及其施工方法
KR20080112531A (ko) 빗물 저장 탱크
KR100783747B1 (ko) 터널내의 배수로 구조
KR100885534B1 (ko) 우수 유출 저감시설
KR101923707B1 (ko) 비점오염저감 및 우수저류장치
CN108661152A (zh) 一种雨污分流型雨水口结构
CN106638919B (zh) 一种城市道路雨水回用系统及施工方法
KR101865202B1 (ko) 우수 배수시설의 전처리장치
KR100984372B1 (ko)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
CN107034766B (zh) 公路污水处理结构及其处理方法
CN110644596B (zh) 一种智能雨水井系统
CN211285799U (zh) 一种分散式低能耗雨水收集及处理系统
KR101740555B1 (ko) 빗물 저장 제어장치와 이를 구비한 물탱크
CN207295943U (zh) 一种道路排水系统
CN210482518U (zh) 一种预制式截流闸
CN207959463U (zh) 截留倍数可调的塑料混凝土混合结构智能截污井
KR101154026B1 (ko)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