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2455B1 - 고지배수로 - Google Patents

고지배수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455B1
KR101502455B1 KR20140056553A KR20140056553A KR101502455B1 KR 101502455 B1 KR101502455 B1 KR 101502455B1 KR 20140056553 A KR20140056553 A KR 20140056553A KR 20140056553 A KR20140056553 A KR 20140056553A KR 101502455 B1 KR101502455 B1 KR 101502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channel
channel
inclined surface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56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준
이동섭
윤광석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20140056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24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고지배수로는 고지대에서 발생하는 물을 하천에 자연배수하는 제1수로와, 상기 제1수로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물의 유량을 분배함으로써 상기 물의 수위를 안정시키는 제2수로와, 상기 제2수로와 상기 제1수로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물이 제2수로로 분배될 시 상기 물의 흐름을 안정화시키고 배수효율을 향상시키는 연결체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지배수로{DRAINAGE HIGHLAND}
본 발명은 고지배수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시 물의 흐름을 안정화시키고 배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지배수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빈번한 이상강우 및 급격한 도시화 또는 산업화에 따른 급격한 개발사업으로 인해 홍수유출량 및 토사유출량이 증가하고 사면의 불안정 등 재해 가중요인이 증가함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방재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의 요구에 따른 방재대책으로써 일반적으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08598호(2003. 03. 28)"와 같은 슬루스(sluice)식 수문이나 횡월류위어(side-weir)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종래의 상기 기술들은 물이 유입되는 경우 상류에서 흘러 내려오는 부유물이 그대로 유입되어 사각 또는 원형 배수로 내부에 쌓여 흐름을 지체시키거나 단면적을 감소시켜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배수로의 배수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배수로에 단순히 횡월류위어나 슬루식 수문을 연결할 경우 흐름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흐름 교란이 발생하여 유입효율이 저하되어 애초 목표했던 배수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
특히, 고지배수로의 경우, 일반 횡월류위어에 유입되거나 슬루스식 수문을 통하여 유입되는 흐름은 기존의 배수로와 연결되는 고지배수로의 상단에 큰 에너지를 가지는 고유속 흐름과 도수(hydraulic jump)로 대표되는 흐름 교란에 의해 강한 와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배수로 내부에서 안정적인 흐름의 형성을 방해하여 결국 배수로의 효율을 떨어뜨리게 되며, 연결부의 유입폭을 단순 증가시키는 경우 연결부의 시공비가 증가하여 시설의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효율 및 홍수방지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지배수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는 고지배수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와류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고지배수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고지배수로는 고지대에서 발생하는 물을 하천에 자연배수하는 제1수로와, 상기 제1수로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물의 유량을 분배함으로써 상기 물의 수위를 안정시키는 제2수로와, 상기 제2수로와 상기 제1수로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물이 제2수로로 분배될 시 상기 물의 흐름을 안정화시키고 배수효율을 향상시키는 연결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수로는 상기 연결체와 연결되는 측면에 상기 물이 월류되도록 하는 제1월류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수로는 상기 연결체와 연결되는 측면에 상기 제1월류부를 통해 월류된 상기 물이 유입되는 제2월류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체는 양단이 상기 제1월류부의 일측과 상기 제2월류부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한 쌍의 측벽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물이 상기 제1수로에서 상기 제2수로로 원활하게 월류하도록 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물이 상기 제1수로에서 상기 제2수로로 월류할 시 상기 물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을 거르는 스크린과, 상기 경사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물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제2수로에 유입될 시 발생하는 와류를 방지하는 와류방지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오지(ogee)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상기 한 쌍의 측벽 사이에 위치하고 지면으로부터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와, 상기 제2수로의 내부에 위치하고 지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상기 제2수로로 유입되는 상기 물의 흐름을 지체시키지 않는 단면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고지배수로는 고지대에서 발생하는 물을 하천에 자연배수하는 제1수로와, 상기 제1수로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물의 유량을 분배함으로써 상기 물의 수위를 안정시키는 제2수로와, 상기 제2수로와 상기 제1수로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물이 제2수로로 분배될 시 상기 물의 흐름을 안정화시키고 배수효율을 향상시키는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수로를 통해 흐르는 상기 물의 양을 감지하는 유량감지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체는 양단이 상기 제1월류부의 일측과 상기 제2월류부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한 쌍의 측벽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물이 상기 제1수로에서 상기 제2수로로 원활하게 원류하도록 하는 오지(ogee)형의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물이 상기 제1수로에 상기 제2수로로 월류할 시 상기 물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을 거를 수 있는 스크린과, 상기 경사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물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제2수로에 유입될 시 발생하는 와류를 방지할 수 있는 와류방지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상기 한 쌍의 측벽 사이에 위치하고 지면으로부터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와, 상기 제2수로의 내부에 위치하고 지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볼록부와 오목부는 각각 상기 유량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유량에 따라 위치가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연결체는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지배수로에 의하면, 경사면을 오지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유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기둥으로 이루어진 스크린을 구비함으로써 부유물이 배수로 내부에 퇴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와류방지체를 구비함으로써 와류의 발생이 억제되고 배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지배수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지배수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지배수로의 연결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지배수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지배수로의 경사면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지배수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지배수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지배수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지배수로(10)는 제1수로(100), 제2수로(200) 및 연결체(3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수로(100)는 고지대에 설치되어 평상시에 고지대에서 발생하는 물이 평지의 하천으로 자연배수하는 관으로써 일반적인 하수관거와 동일한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수로(100)는 상면이 개방되어 있어, 우천시 빗물을 받아 하천으로 자연배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수로(100)가 사각형태인 것을 보였으나, 상기 제1수로(100)는 설치위치나 물의 유입량에 따라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수로(100)의 측면에는 상기 제2수로(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수로(200)는 상기 제1수로(100)를 따라 흐르는 물의 유량을 분배하여 상기 제1수로(100)를 통해 흐르는 물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수로(200)에 의해 상기 제1수로(100)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일 수 있어 물의 유량에 의한 상기 제1수로(100)의 사용수명 단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홍수 시 급격하게 늘어난 유량을 상기 제1수로(100) 및 상기 제2수로(200)가 각각 분배하기 때문에 상기 제1수로(100)만을 통해 배수할 때보다 상대적으로 배수효율을 높일 수 있어 물이 범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수로(200)가 사각형태인 것을 보였으나, 상기 제2수로(200)는 설치위치나 물의 유입량에 따라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수로(200)의 크기 또한 설치위치나 물의 유입량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수로(100)와 상기 제2수로(200) 사이에는 상기 제1수로(100)와 상기 제2수로(200)를 연결하는 연결체(3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체(300)는 상기 제1수로(100)의 측면과 상기 제2수로(200)의 측면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수로(100)와 상기 제2수로(2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체(300)에 의해 상기 제1수로(100)를 통해 흐르던 물이 상기 제2수로(200)로 분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체(300)와 연결된 상기 제1수로(100)의 측면에는 상기 제1수로(100)를 통해 흐르던 물이 상기 연결체(300)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월류부(11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체(300)와 연결된 상기 제2수로(200)의 측면에는 상기 연결체(300)를 통해 이동된 물이 상기 제2수로(200)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2월류부(210)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수로(100)를 통해 흐르던 물은 상기 제1월류부(110)를 통해 상기 연결체(300)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연결체(300)로 이동된 물은 상기 제2월류부(210)를 통해 상기 제2수로(200)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월류부(110)는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월류부(210)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여 제1월류부(110)를 통해 연결체(300)방향으로 이동된 물이 자연스럽게 상기 제2월류부(210)를 통해 상기 제2수로(200)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연결체(3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지배수로의 연결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지배수로(10)의 연결체(300)는 측벽(310), 경사면(320), 스크린(330) 및 와류방지체(3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측벽(310)은 한 쌍으로 구비되고, 양단이 상기 제1월류부(110)의 일측과 상기 제2월류부(210)의 일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측벽(310)은 상기 제1수로(100)와 상기 제2수로(2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제1수로(100)와 상기 제2수로(200)의 간격을 결정하는 역할 또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측벽(310)은 상기 고지배수로(10)가 설치되는 위치나 환경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측벽(310) 사이에는 물이 상기 제1수로(100)의 제1월류부(110)를 통해 상기 연결체(300)로 이동된 물이 상기 제2월류부(210)를 통해 상기 제2수로(200)로 원활하게 월류되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3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320)은 오지(ogee)형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물이 상기 제1수로(100)에서 상기 제2수로(200)로 이동될 시 수표면형의 교란을 방지하고, 상기 연결체(300)에서 발생할 수 있는 흐름 지체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제1수로(100)와 상기 제2수로(200) 모두에 물이 흐를 시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상기 고지배수로(10)의 배수효율 및 홍수방지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면(320)은 상기 한 쌍의 측벽(310) 사이에 위치하는 볼록부(321)와, 상기 제2수로(2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오목부(322)를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볼록부(321)는 상단이 상기 제1월류부(110)와 맞대어지고 하단이 상기 제2월류부(210)와 맞대어진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322)는 상단이 상기 제2월류부(210)가 형성된 상기 제2수로(200)의 측면과 맞대어지고 하단이 상기 제2수로(200)의 바닥면과 맞대어진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322)의 측면에는 상기 오목부(322)가 상기 제2수로(200)를 통해 흐르는 물의 유속이나 상기 볼록부(321)로부터 낙하하는 충격으로부터 상기 오목부(322)를 보호하는 한 쌍의 보조 측벽(3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볼록부(321)는 지면으로부터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상기 제1월류부(110)에 이동된 물이 중력에 의해 빠르게 오목부(322)방향으로 흐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322)는 지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빠르게 이동되는 물의 속도를 완화시켜 물이 자연스럽게 상기 제2수로(200)에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사면(320)의 상부에는 스크린(3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330)은 상기 경사면(32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월류부(110)와 동일면에 기립한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330)은 물이 상기 제1월류부(110)를 통해 제1수로(100)에서 상기 제2수로(200)로 원활하게 월류하도록 함과 동시에 물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을 거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하기 위해 상기 스크린(330)은 물의 흐름을 지체시키지 않는 단면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기둥(331)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기둥(331)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경사면(32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수로(200)를 통해 흐르는 물의 흐름이 지체되거나 상기 제2수로(200)의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고지배수로(10)의 배후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부유물이 상기 제2수로(200) 내부에 퇴적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고지배수로(10)의 유지관리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기둥(331)의 단면이 사각형태인 것을 보였으나, 상기 기둥(331)의 단면은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사면(320)의 하부에는 와류방지체(3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류방지체(340)는 상기 제2수로(200)의 바닥면으로부터 솟아오른 형태로 구비되어 고 유속으로 상기 경사면(320)을 타고 제1수로(100)로부터 이동하는 물의 속도를 늦추고 상기 경사면(320)을 타고 이동된 물을 분산시켜 상기 제1수로(100)를 통해 유입된 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도수 현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제2수로(200)에서의 와류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수로(200)를 통해 흐르는 물의 흐름을 안정화시키고 배수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류방지체(34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2수로(200)의 사용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와류방지체(340)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 상기 경사면(320)을 타고 제1수로(100)로부터 이동하는 물의 유속은 고 유속이기 때문에 그 힘 또한 고에너지를 내포할 수 있다. 따라서, 고 유속의 물이 상기 제2수로(200)의 측면이나 바닥면에 직접 부딪힐 경우 충격이 그대로 전달되어 상기 제2수로(200)의 측면과 바닥면이 파손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상기 경사면(320) 하부에 와류방지체(340)를 구비할 경우, 상기 와류방지체(340)에 의해 고 유속의 물은 분산되기 때문에 내포되어 있는 에너지 또한 분산되어 상기 제2수로(200)의 측면이나 바닥면이 받는 충격을 줄일 수 있으므로 상기 제2수로(200)의 사용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지배수로(1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지배수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지배수로의 경사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지배수로(10)는 고지대에서 발생하는 물을 하천에 자연배수하는 제1수로(100)와, 상기 제1수로(100)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물의 유량을 분배함으로써 상기 물의 수위를 안정시키는 제2수로(200)와, 상기 제2수로(200)와 상기 제1수로(100)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물이 제2수로(200)로 분배될 시 상기 물의 흐름을 안정화시키고 배수효율을 향상시키는 연결체(300)와, 상기 연결체(300)에 구비되어 상기 제1수로(100)를 통해 흐르는 상기 물의 양을 감지하는 유량감지센서(4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량감지센서(400)는 상기 제1수로(100)를 통해 흐르는 물의 유량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유량감지센서(400)에 저장되어 있는 제한 유량보다 많은 유량이 흐를 경우, 상기 경사면(320)을 조작하여 상기 연결체(300)의 높이를 낮춰 보다 이른 수위에서부터 상기 제1수로(100)를 통해 흐르는 물을 상기 제2수로(200)로 분배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면(320) 즉, 상기 볼록부(321)와 상기 오목부(322)는 상기 연결체(300)에 구비되는 제어부(3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고지배수로(10)는 상기 연결체(300)가 오지형의 상기 경사면(320)을 구비함으로써 물의 유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기둥(331)으로 이루어진 상기 스크린(330)을 구비함으로써 부유물이 배수로 내부에 퇴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와류방지체(340)를 구비함으로써 와류의 발생이 억제되고 배수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지배수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고지배수로 100: 제1수로
200: 제2수로 300: 연결체
400: 유량감지센서

Claims (12)

  1. 고지대에서 발생하는 물을 하천에 자연배수하는 제1수로와,
    상기 제1수로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물의 유량을 분배함으로써 상기 물의 수위를 안정시키는 제2수로와,
    상기 제2수로와 상기 제1수로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물이 제2수로로 분배될 시 상기 물의 흐름을 안정화시키고 배수효율을 향상시키는 연결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수로는 상기 연결체와 연결되는 측면에 상기 물이 월류되도록 하는 제1월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수로는 상기 연결체와 연결되는 측면에 상기 제1월류부를 통해 월류된 상기 물이 유입되는 제2월류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체는 양단이 상기 제1월류부의 일측과 상기 제2월류부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한 쌍의 측벽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물이 상기 제1수로에서 상기 제2수로로 원활하게 월류하도록 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물이 상기 제1수로에서 상기 제2수로로 월류할 시 상기 물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을 거르는 스크린과, 상기 경사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물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제2수로에 유입될 시 발생하는 와류를 방지하는 와류방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면은 상단이 상기 제1월류부와 맞대어지고 하단이 상기 제2월류부와 맞대어지도록 상기 한 쌍의 측벽 사이에 위치하고 지면으로부터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와, 상단이 상기 제2월류부가 형성된 상기 제2수로의 측면과 맞대어지고 하단이 상기 제2수로의 바닥면과 맞대어지도록 상기 제2수로의 내부에 위치하고 지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의 측면에는 상기 오목부가 상기 제2수로를 통해 흐르는 물의 유속이나 상기 볼록부로부터 낙하하는 충격으로부터 상기 오목부를 보호하는 한 쌍의 보조 측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배수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오지(ogee)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배수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제2수로로 유입되는 상기 물의 흐름을 지체시키지 않는 단면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기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배수로.
  8. 고지대에서 발생하는 물을 하천에 자연배수하는 제1수로와,
    상기 제1수로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물의 유량을 분배함으로써 상기 물의 수위를 안정시키는 제2수로와,
    상기 제2수로와 상기 제1수로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물이 제2수로로 분배될 시 상기 물의 흐름을 안정화시키고 배수효율을 향상시키는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수로를 통해 흐르는 상기 물의 양을 감지하는 유량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체는 양단이 상기 제1수로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체와 연결되는 측면에 상기 물이 월류되도록 하는 제1월류부의 일측과 상기 제2수로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체와 연결되는 측면에 상기 제1월류부를 통해 월류된 상기 물이 유입되는 제2월류부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한 쌍의 측벽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물이 상기 제1수로에서 상기 제2수로로 원활하게 원류하도록 하는 오지(ogee)형의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물이 상기 제1수로에 상기 제2수로로 월류할 시 상기 물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을 거를 수 있는 스크린과, 상기 경사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물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제2수로에 유입될 시 발생하는 와류를 방지할 수 있는 와류방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면은 상단이 상기 제1월류부와 맞대어지고 하단이 상기 제2월류부와 맞대어지도록 상기 한 쌍의 측벽 사이에 위치하고 지면으로부터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와, 상단이 상기 제2수로의 측면과 맞대어지고 하단이 상기 제2수로의 바닥면과 맞대어지도록 상기 제2수로의 내부에 위치하고 지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의 측면에는 상기 오목부가 상기 제2수로를 통해 흐르는 물의 유속이나 상기 볼록부로부터 낙하하는 충격으로부터 상기 오목부를 보호하는 한 쌍의 보조 측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배수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배수로.
KR20140056553A 2014-05-12 2014-05-12 고지배수로 KR101502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6553A KR101502455B1 (ko) 2014-05-12 2014-05-12 고지배수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6553A KR101502455B1 (ko) 2014-05-12 2014-05-12 고지배수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2455B1 true KR101502455B1 (ko) 2015-03-13

Family

ID=53027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56553A KR101502455B1 (ko) 2014-05-12 2014-05-12 고지배수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24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8571A (ja) * 2002-06-12 2004-03-04 Shiga Pref Gov 魚類遡上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水路部材
KR101074449B1 (ko) * 2011-05-27 2011-10-17 김상국 우수유출저감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20040878A (ko) * 2010-10-20 2012-04-30 박계연 자체 토사 조절기능을 갖는 사방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8571A (ja) * 2002-06-12 2004-03-04 Shiga Pref Gov 魚類遡上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水路部材
KR20120040878A (ko) * 2010-10-20 2012-04-30 박계연 자체 토사 조절기능을 갖는 사방댐
KR101074449B1 (ko) * 2011-05-27 2011-10-17 김상국 우수유출저감장치 및 그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78037A1 (en) Debris flow drainage canal based on cascade antiscour notched sill group and application thereof
CN109555088B (zh) 一种整流防涡装置
JP4137832B2 (ja) 減勢構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排出路
CN206625200U (zh) 一种改善弯道水流流态的导流墙
CN103074934A (zh) 一种下水道井盖
CN104863098A (zh) 一种消力池下游消能工除险改造方法
CN103243684B (zh) 透水式砌石拦渣坝结构
JP5774890B2 (ja) 法面排水溝
CN103195016B (zh) 一种控制水渠弯道水流超高的导流坎
CN106930199B (zh) 改善弧形排水箱涵出水流态的整流装置
CN209323659U (zh) 一种房屋建筑用排水沟结构
KR101502455B1 (ko) 고지배수로
CN106869090B (zh) 挡渣坎组合件和导流隧洞拦渣排渣方法
KR101887359B1 (ko) 복합 스크린 콘크리트 사방댐
CN108824380A (zh) 一种可调节消力池尾坎高度的消能结构及其调节方法
CN205636681U (zh) 放水底孔挑流鼻坎
CN104358304A (zh) 实现城市有序排水防涝的蜗壳装置
CN209538021U (zh) 一种桥梁排水装置
CN101413327A (zh) 用于对一个面进行排水的紧急排放装置
KR102180455B1 (ko) 집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배수 구조
KR101973572B1 (ko) 사방댐 구조물
JP4104492B2 (ja) 減勢工
CN208167660U (zh) 一种防冲刷截水沟
KR20140004865A (ko) 비탈면 배수로의 유속 조절 및 비산 방지 구조
KR200401253Y1 (ko) 유속 감소 풀륨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