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491B1 - 기상 예보에 따른 수리 시설물 테스트 점검시스템 - Google Patents

기상 예보에 따른 수리 시설물 테스트 점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491B1
KR102307491B1 KR1020210031172A KR20210031172A KR102307491B1 KR 102307491 B1 KR102307491 B1 KR 102307491B1 KR 1020210031172 A KR1020210031172 A KR 1020210031172A KR 20210031172 A KR20210031172 A KR 20210031172A KR 102307491 B1 KR102307491 B1 KR 102307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sluice gate
limit switch
event information
repair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율
안태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엘
Priority to KR1020210031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4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22Message structure or message content, e.g. message protoc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Abstract

본 발명은 기상 예보에 따른 수리 시설물 테스트 점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우예보가 획득되고 수문이 평상시 개도율로 개방된 상태인 조건을 만족하는 테스트 조건시에 사전 저장된 테스트 매뉴얼에 따라 수리 시설물들을 시험 동작시켜 수리 시설물들의 시험 동작 상태를 파악하고, 수리 시설물별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고장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중앙 관리 서버로 제공하여 고장 이벤트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여 선제적 초동 대응으로 국지성 집중호우로부터의 피해를 저감할 수 있는 기상 예보에 따른 수리 시설물 테스트 점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상 예보에 따른 수리 시설물 테스트 점검시스템{Repair facility test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weather forecast}
본 발명은 기상 예보에 따른 수리 시설물 테스트 점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우예보가 획득되고 수문이 평상시 개도율로 개방된 상태인 조건인 테스트 조건이 충족되면, 사전 저장된 테스트 매뉴얼에 따라 수리 시설물들을 시험 동작시켜 수리 시설물들의 시험 동작 상태를 파악하고, 수리 시설물별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고장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중앙 관리 서버로 제공하여 고장 이벤트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여 선제적 초동 대응으로 국지성 집중호우로부터의 피해를 저감할 수 있는 기상 예보에 따른 수리 시설물 테스트 점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환경변화에 따라 강우가 발생하는 시점에서 시설물을 제어시 배수의 감당량을 초과하는 단기간 다량의 강우형태를 보임으로써, 기존 원격계측감시제어(TM/TC) 시스템 방식으로는 해법을 찾을 수 없고, 펌프 용량증대, 배수장 리모델링과 같은 구조적 대응의 한계에 이르게 되었다.
기존 하천의 재해관리시설물 원격관리시스템에서는 강우발생시 유입측 수위가 상승하여 관리자가 설정한 관리수위에 도달하면 시스템이 자동으로 하천 재해관리시설물의 수문 또는 펌프를 순차적으로 가동하여 배수하였으나, 배수의 감당량을 초과하는 단기간 다량의 집중호우시 침수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강우 발생시 관리수위에 도달하기 전에 수문 또는 펌프의 토출량 정보와 유입조로 유입되는 유입량 정보를 토대로 수위변화량에 따른 단계적인 유출량 자율조정 프로그램을 시스템에 탑재하여 침수피해를 줄이는 방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국지성 집중호우와 같은 긴박한 상황에서 다수의 시설물에서 발생하는 동시다발적인 기계, 통신의 문제, 현장 변수 발생에 대해 한정된 인력이 관리하기에는 어려운 현실이다.
즉, 인력에 의해 원격으로 관리되는 감시계측제어시스템의 경우 기계의 과부하로 인한 고장, 통신두절로 인한 원격제어가 불가한 상황에 있어, 집중호우 발생 현장을 관리자가 직접 가서 해결하기에는 골든타임 내에 처리할 수 없어 인명과 재산피해를 가져오게 된다.
하천의 배수시설 운영방식은 인근 지역주민을 민간 수문관리인으로 임명하고, 민간수문관리인이 직접 현장에서 조작(수동 또는 전동)하는 방식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수문관리인의 고령화, 전문성 부족, 피해 발생 시 불분명한 책임소재 등의 문제가 있었고, 특히 야간이나 기상악화 시 현장출동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위험도 상존해왔다.
따라서, 4차 산업기술을 이용한 스마트 하천관리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4차 산업혁명 시대로 인공지능이 등장하고 사물이 지능화되면서 사물들이 데이터를 수집, 비교, 분석, 판단, 조치 등 스스로 생각하고 결정함에 따라 자동화를 넘어 무인 자율화가 되고 있다.
기존 3차 산업혁명 시대와 같이 인력이 데이터를 비교, 분석, 판단, 조치하는 시스템은 효율성이 떨어져서 도태된다.
즉, 하천 재해관리 시설의 상태를 계측, 수집하여 전송하면 관리자가 비교, 분석, 판단하여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식으로 인력에 의한 수동적 사물인터넷 기술이다. 이는, 통신두절이나 수문이나 펌프에 설치된 모터, 계측기 등의 문제발생시 원격에서 인력에 의해 판단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지난 2019년 2월 18일 미국 플로리다 주 올랜도에서 개최된 가트너 심포지엄/IT 엑스포에서 '2019년 주목되는 10대 전략 기술 트렌드'로 자율사물(Autonomous Things)이 제시되었고 자율사물(Autonomous Things) 기술은 향후 산업계 전반에 급속히 파급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향후 산업계는 운영체계(OS)를 탑재한 임베디드 방식의 지능형 원격단말장치(RTU)가 사물과 연결되어 자율적으로 데이터 수집, 비교, 분석, 판단, 자율제어하고 그 결과를 관리자나 관련기관에 신속하게 전달하는 방식으로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강우 예보가 발령되게 되면, 종래에는 수리시설물을 관리하는 관리자는 원시적인 방법으로 수문을 개폐시켜 보는 방법을 통해 수리 시설물들의 사전 테스트 점검을 실시하였으나, 이는 사전 테스크 점검에 상당한 시간과 인력이 투입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특히, 내 수위계는 마땅히 점검할 방법이 없어, 내 수위계 고장인 상태로 집중 호우가 발생하면, 내 수위계가 내수위를 제대로 감지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수문을 개방시키지 못해 도심지로 우수가 역류하는 문제등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하는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즉, 강우 예보가 발령되면 자동적으로 수리 시설물들의 사전 테스트 점검을 실시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선행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06300호(2007.04.04)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강우예보가 획득되고 수문이 평상시 개도율로 개방된 상태인 테스트 조건이 충족되면, 사전 저장된 테스트 매뉴얼에 따라 수리 시설물들을 시험 동작시켜 수리 시설물들의 시험 동작 상태를 파악하고, 수리 시설물별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고장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중앙 관리 서버로 제공하여 고장 이벤트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수리 시설물(100)인 수문(110), 수문마다 설치된 제내지측 내 수위계(120), 수문마다 설치된 상한 리미트 스위치(130), 수문마다 설치된 하한 리미트 스위치(140) 등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고장 발생시, 내수위계 고장 이벤트 정보, 수문 고장 이벤트 정보, 협잡물 이벤트 정보, 상한 리미트 스위치 고장 이벤트 정보, 하한 리미트 스위치 고장 이벤트 정보 등을 생성하여 중앙 관리서버로 제공하여 강우 발생전에 실시간으로 수리 시설물들의 고장 상태를 관리자가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기상 예보에 따른 수리 시설물 테스트 점검시스템은,
수위 관리를 위해 동작하도록 수관리 시설에 설치되는 수리 시설물(100)과,
테스트 조건이 충족되면, 수리 시설물의 시험 동작 테스트를 수행하고, 수행 결과에 따른 수리 시설물별 고장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중앙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테스트 점검 운영장치(200)와,
테스트 점검 운영장치(200)가 제공하는 고장 이벤트 정보에 따라 고장 이벤트 처리를 수행하는 중앙 관리 서버(300)를 포함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기상 예보에 따른 수리 시설물 테스트 점검시스템은,
강우예보가 획득되고 수문이 평상시 개도율로 개방된 상태인 조건을 만족하는 테스트 조건이 충족되면, 사전 저장된 테스트 매뉴얼에 따라 수리 시설물들을 시험 동작시켜 수리 시설물들의 시험 동작 상태를 파악하고, 수리 시설물별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고장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중앙 관리 서버로 제공하여 고장 이벤트 처리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고장난 수문, 수문마다 설치된 제내지측 내 수위계, 수문마다 설치된 상한 리미트 스위치, 수문마다 설치된 하한 리미트 스위치 등을 즉각적으로 점검하거나 교체하는 선제적 초동 대응으로 국지성 집중호우로부터의 피해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수리 시설물(100)인 수문(110), 수문마다 설치된 제내지측 내 수위계(120), 수문마다 설치된 상한 리미트 스위치(130), 수문마다 설치된 하한 리미트 스위치(140) 등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고장 발생시, 내수위계 고장 이벤트 정보, 수문 고장 이벤트 정보, 협잡물 이벤트 정보, 상한 리미트 스위치 고장 이벤트 정보, 하한 리미트 스위치 고장 이벤트 정보 등을 생성하여 중앙 관리서버로 제공하여 강우 발생전에 실시간으로 수리 시설물들의 고장 상태를 관리자가 점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상 예보에 따른 수리 시설물 테스트 점검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상 예보에 따른 수리 시설물 테스트 점검시스템의 테스트 점검 운영장치(200)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상 예보에 따른 수리 시설물 테스트 점검시스템의 점검 테스트부(210)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상 예보에 따른 수리 시설물 테스트 점검시스템의 중앙관리서버(300)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상 예보에 따른 수리 시설물 테스트 점검시스템에 의해 표시되는 이벤트 화면 예시도.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 의한 기상 예보에 따른 수리 시설물 테스트 점검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상 예보에 따른 수리 시설물 테스트 점검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기상 예보에 따른 수리 시설물 테스트 점검시스템은 크게, 수리 시설물(100), 테스트 점검 운영장치(200), 중앙 관리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인 기상 예보에 따른 수리 시설물 테스트 점검시스템은,
수위 관리를 위해 동작하도록 수관리 시설에 설치되는 수리 시설물(100)과,
테스트 조건이 충족되면, 수리 시설물의 시험 동작 테스트를 수행하고, 수행 결과에 따른 수리 시설물별 고장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중앙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테스트 점검 운영장치(200)와,
테스트 점검 운영장치(200)가 제공하는 고장 이벤트 정보에 따라 고장 이벤트 처리를 수행하는 중앙 관리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강 등에 수관리 시설이 설치 되고, 수관리 시설에는 수위를 관리하기 위하여 각종 수리 시설물(100)이 설치 운영된다.
이때, 테스트 점검 운영장치(200)는 테스트 조건이 충족되면, 수리 시설물의 시험 동작 테스트를 수행하고, 수행 결과에 따른 수리 시설물별 고장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중앙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기상 예보가 발생하게 되면 비가 오기 전에 수리 시설물의 동작을 시험하게 되는데, 이때, 테스트 점검 운영장치를 이용하여 수리 시설물의 시험 동작 테스트를 진행하고, 수행 결과에 따라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수리 시설물별 고장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중앙 관리 서버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중앙 관리 서버(300)는 테스트 점검 운영장치(200)가 제공하는 고장 이벤트 정보에 따라 고장 이벤트 처리를 수행하게 됨으로써, 관리자가 즉각적으로 고장에 따른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테스트 조건은 강우예보가 획득되는 제1 조건, 수문이 평상시 개도율로 개방된 상태인 제2 조건, 직전 수리 시설물의 시험 동작 테스트를 수행한 후 설정된 기간이 경과한 제3 조건 모두를 만족하는 조건이다.
즉, 본 발명에서 수리 시설물에 대한 시험 테스트는 강우예보가 발령되고, 수문이 평상시 개도율로 개방된 상태이고, 직전 수리 시설물의 시험 동작 테스트를 수행한 후 설정된 기간이 경과한 상태에서만 수행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설정된 기간이 30일인 경우, 강우예보가 발령되고, 수문이 평상시 개도율로 개방된 상태이고, 직전 수리 시설물의 시험 동작 테스트를 수행한 후 40일이 경과한 상태이면 수리 시설물에 대한 시험 테스트가 수행되고, 강우예보가 발령되고, 수문이 평상시 개도율로 개방된 상태이고, 직전 수리 시설물의 시험 동작 테스트를 수행한 후 20일이 경과한 상태이면 수리 시설물에 대한 시험 테스트는 수행되지 않고, 강우예보가 발령되고, 수문이 폐쇄 상태이고, 직전 수리 시설물의 시험 동작 테스트를 수행한 후 40일이 경과한 상태이면 수리 시설물에 대한 시험 테스트 역시 수행되지 않는다.
수리 시설물에 대한 시험 테스트를 위해 설정 기간을 설정하는 이유는 빈번한 시험 테스트로 인해 실제적인 수위 관리가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장마철에 강우예보는 거의 매일 발생하게 되는데, 매일 발생하는 강우예보에 의해 매일 시험 테스트를 하게되면 시험 테스트로 인해 장마철 수위 관리가 제대로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적정한 설정 기간을 설정하여 직전 수리 시설물의 시험 동작 테스트를 수행한 후 설정된 기간이 경과하면 시험 동작 테스트를 진행하는 것이다.
또한, 수문이 평상시 개도율로 개방된 상태가 충족되어야 시험 동작 테스트를 수행한다. 수문은 평상시 기저 유량을 하천으로 방류하기 위해 평상시 개도율로 개방되어 있게 된다. 수문이 폐쇄된 상태라는 것은 수문을 기준으로 하천의 수위가 내수위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만일 시험 동작 테스트를 위해 폐쇄된 수문을 개방하게 되면 하천의 물이 수문 내측으로 역류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반드시 시험 동작 테스트는 수문이 폐쇄된 상태가 충족되어야 수행되는 것이다.
상기 강우예보는 테스트 점검 운영장치(200)가 기상 관련 공공기관으로부터 획득하거나 중앙 관리 서버(300)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평상시 개도율이란 기저 유량을 하천으로 방류하기 위해, 필요한 수문의 개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강우예보는 테스트 점검 운영장치(200)가 기상 관련 공공기관(예 : 기상청)으로부터 획득하거나 중앙 관리 서버(300)로부터 획득하는 정보로서, 시설 환경에 따라 강우예보를 기상 관련 공공기관(예 : 기상청)이나 중앙 관리 서버(300)로부터 탄력적으로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평상시 개도율은 기저 유량을 하천으로 방류하기 위해 필요한 수문의 개도율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수문은 평상시 30% ~50 %의 개도율로 개방되어 도심지 등에서 유입되는 기저 유량을 하천으로 방류할 수 있도록 평상시 개방 상태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수리 시설물(100)은 강이나 하천 등에 설치된 수관리 시설에 설치되어 수위 관리를 위해 운영되는 구성으로서, 수문(110), 수문마다 설치된 제내지측 내 수위계(120), 수문마다 설치된 상한 리미트 스위치(130), 수문마다 설치된 하한 리미트 스위치(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기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테스트 점검 운영장치(2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테스트 점검 운영장치(200)는 테스트 조건이 충족되면, 수리 시설물의 시험 동작 테스트를 수행하고, 수행 결과에 따른 수리 시설물별 고장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중앙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테스트 점검 운영장치(200)는,
테스트 조건이 충족되면, 사전 저장된 테스트 매뉴얼에 따라 수리 시설물들을 시험 동작시켜 수리 시설물들의 시험 동작 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수리 시설물들의 시험 동작 상태에 따라 수리 시설물별 시험 동작 테스트 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수리 시설물별 시험 동작 테스트 결과정보를 이용해 수리 시설물별 고장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생성된 수리 시설물별 고장 이벤트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점검 테스트부(210)와;
테스트 매뉴얼 정보, 테스트용 디지털 관리수위 값 정보, 수리 시설물별 고장 이벤트 정보가 저장되는 정보 DB(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검 테스트부(210)는 테스트 조건(강우예보가 발령되고 수문이 평상시 개도율로 개방된 조건)이 충족되면, 사전 저장된 테스트 매뉴얼에 따라 수리 시설물들을 시험 동작시켜 수리 시설물들의 시험 동작 상태를 파악하게 된다.
예를 들어, 강우예보가 획득되고 수문이 평상시 개도율로 개방된 상태이면 시험 테스트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 사전 저장된 테스트 매뉴얼에 따라 수리 시설물들을 시험 동작시켜 수리 시설물들의 시험 동작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후, 파악된 수리 시설물들의 시험 동작 상태에 따라 수리 시설물별 시험 동작 테스트 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수리 시설물별 시험 동작 테스트 결과정보를 이용해 수리 시설물별 고장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며, 동시에 생성된 수리 시설물별 고장 이벤트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로 제공함으로써, 중앙 관리 서버의 이벤트 처리에 따라 신속하게 고장이 발생한 수리 시설물에 대한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점검 테스트부(2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정보 DB(220)에는 테스트 매뉴얼 정보, 테스트용 디지털 관리수위 값 정보, 수리 시설물별 고장 이벤트 정보가 저장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정보 DB(220)에 저장된 테스트 매뉴얼 정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정보 DB(220)에 저장된 테스트 매뉴얼은 테스트 조건이 충족되는지를 파악하는 제1 단계와 테스트 조건이 충족되면, 내수위계로 테스트용 디지털 관리수위 값을 제공하는 제2 단계와 수문으로 완전 개방 신호를 제공하여 수문이 상한 리미트 스위치를 터치하도록 수문을 완전 개방시키되, 수문이 상한 리미트 스위치에 터치된 상태가 일정 시간 유지되도록 수문의 완전 개방 상태를 일정 시간 유지하는 제3 단계와 수문의 완전 개방 상태를 일정 시간 유지한 후, 수문으로 완전 폐쇄 신호를 제공하여 수문이 하한 리미트 스위치를 터치하도록 수문을 완전 폐쇄시키되, 수문이 하한 리미트 스위치에 터치된 상태가 일정 시간 유지되도록 수문의 완전 폐쇄 상태를 일정 시간 유지하는 제4 단계와 수문의 완전 폐쇄 상태를 일정 시간 유지한 후, 수문을 평상시 개도율로 다시 개방시키는 제5 단계를 점검 테스트부(210)가 수행하도록 하는 매뉴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테스트 점검 운영장치(200)가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테스트 매뉴얼이 정보 DB(220)에 저장 관리된다.
우선, 테스트 메뉴얼에 따라 점검 테스트부(210)는 테스트 조건이 충족되는지를 파악하는 제1 단계를 수행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강우예보가 발명되어 강우예보가 획득되었는지, 수문이 평상시 개도율로 개방된 상태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후, 테스트 메뉴얼에 따라 점검 테스트부(210)는 강우예보가 획득되고 수문이 평상시 개도율로 개방된 상태인 테스트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되면, 내수위계로 정보 DB(220)에 저장된 테스트용 디지털 관리수위 값을 제공하는 제2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내수위계의 관리수위가 2M이고, 2M에 해당하는 테스트용 디지털 관리 수위값이 '23500'이라면, 내수위 감지센서인 내수위계로 '23500'이라는 디지털 값을 제공하여 내수위계의 시험 동작 테스트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테스트 메뉴얼에 따라 점검 테스트부(210)는 수문으로 완전 개방 신호를 제공하여 수문이 상한 리미트 스위치를 터치하도록 수문을 완전 개방시키되, 수문이 상한 리미트 스위치에 터치된 상태가 일정 시간 유지되도록 수문의 완전 개방 상태를 일정 시간 유지하는 제3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수문이 상한 리미터 스위치에 터치된 상태를 30초 ~ 1분 정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 테스트 메뉴얼에 따라 점검 테스트부(210)는 수문의 완전 개방 상태를 일정 시간 유지한 후, 수문으로 완전 폐쇄 신호를 제공하여 수문이 하한 리미트 스위치를 터치하도록 수문을 완전 폐쇄시키되, 수문이 하한 리미트 스위치에 터치된 상태가 일정 시간 유지되도록 수문의 완전 폐쇄 상태를 일정 시간 유지하는 제4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수문이 하한 리미트 스위치에 터치된 상태를 30초 ~ 1분 정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 테스트 메뉴얼에 따라 점검 테스트부(210)는 수문의 완전 폐쇄 상태를 일정 시간 유지한 후, 수문을 평상시 개도율로 다시 개방시키는 제5 단계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수문의 완전 폐쇄 상태를 30초 정도를 유지하도록 있다가, 수문을 평상시 개도율인 30%로 다시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정보 DB(220)에 저장된 테스트용 디지털 관리수위 값 정보는 내 수위계를 테스트 하기 위한 용도의 디지털 값으로서, 관리수위에 따라 각기 다른 값을 갖는다. 상기 관리수위란 수문을 완전 개방 시키기 위한 수위로서, 도심지로부터의 우수 유입에 의해 내수위가 관리수위가 되면, 도심지로부터 유입된 우수의 원활한 방류를 위해 수문을 완전 개방 시켜야 하는데, 수문의 완전 개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가 관리수위인 것이다.
예를 들어, 관리수위가 2M로 설정되어 있고, 관리수위인 2M에 해당하는 테스트용 디지털 관리 수위값이 '23500'이라고 하면, 상기 정보 DB(220)에는 테스트용 디지털 관리수위 값으로 '23500'이 저장되는 것이고, 관리수위가 3M로 설정되어 있고, 관리수위인 3M에 해당하는 테스트용 디지털 관리 수위값이 '31800'이라고 하면, 상기 정보 DB(220)에는 테스트용 디지털 관리수위 값으로 '31800'이 저장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정보 DB(220)에는 수리 시설물별 고장 이벤트 정보가 저장되는데, 저장되는 수리 시설물별 고장 이벤트 정보는 내수위계 고장 이벤트 정보, 수문 고장 이벤트 정보, 협잡물 이벤트 정보, 상한 리미트 스위치 고장 이벤트 정보, 하한 리미트 스위치 고장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테스트 매뉴얼대로 테스트 점검을 실시한 결과, 특정 수리 시설물에 고장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고장이 발생된 해당 수리 시설물의 고장 이벤트 정보가 생성되는데, 생성된 해당 수리 시설물의 고장 이벤트 정보가 저장 관리되고, 저장된 수리 시설물의 고장 이벤트 정보는 취합되어 중앙 관리 서버(300)로 제공되어 고장 이벤트 정보별 후속 고장 이벤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점검 테스트부(2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점검 테스트부(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 저장된 테스트 매뉴얼에 따라 테스트용 디지털 관리수위 값을 내수위계에 제공하고, 제공된 테스트용 디지털 관리수위 값에 대한 응답 신호를 내수위계로부터 획득하고, 획득된 응답 신호가 제공된 디지털 관리수위 값을 기준으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변동하는 디지털 값인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내수위계가 제공하는 디지털 응답 신호가 제공된 디지털 관리수위 값을 기준으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변동하는 값이면 정상으로 판단하고, 변동하지 않는 고정된 값 이거나 허용 오차 범위를 벗어난 값이면 내수위계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여 내수위계 고장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생성된 내수위계 고장 이벤트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제1 테스트부(211)와;
사전 저장된 테스트 매뉴얼에 따라 완전 개방 신호를 수문으로 제공하고, 완전 개방 신호 제공 후, 상한 리미트 스위치가 접촉 감지 신호를 제공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한 리미트 스위치가 접촉 감지 신호를 제공하면 정상으로 판단하고, 상한 리미트 스위치가 접촉 감지 신호를 제공하지 않으면 수문의 권양기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여 수문 고장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생성된 수문 고장 이벤트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제2 테스트부(212)와;
상한 리미트 스위치가 접촉 감지 신호를 제공하면 사전 저장된 테스트 매뉴얼에 따라 완전 폐쇄 신호를 수문으로 제공하고, 완전 폐쇄 신호 제공 후, 하한 리미트 스위치가 접촉 감지 신호를 제공하면 정상으로 판단하고, 하한 리미트 스위치가 접촉 감지 신호를 제공하지 않으면서 권양기에 임계치 이상을 초과하는 과전류가 발생하면 해당 수문에 협잡물과 같은 이물질이 끼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협잡물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생성된 협잡물 이벤트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제3 테스트부(213);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테스트부(211)는 사전 저장된 테스트 매뉴얼에 따라 테스트용 디지털 관리수위 값을 내수위계에 제공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내수위계에 사전 설정된 관리수위가 2M 이고, 2M에 해당하는 테스트용 디지털 관리 수위값이 '23500'인 경우, '23500'이라는 테스트용 디지털 관리 수위값을 내수위계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즉, 실제 내수위가 0.5M이지만 내수위계가 현재 내수위가 관리수위인 2M로 모의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테스트용 디지털 관리 수위값인 '23500'을 제공하는 것이다. 테스트 시점에서 현재 실제 내수위인 0.5M를 당장 2M가 되도록 할 수 없기 때문에 모의적 상황을 연출하기 위해 테스트용 디지털 관리 수위값인 '23500'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제공된 '23500'이라는 테스트용 디지털 관리수위 값에 의해 내수위계는 현재 내수위가 관리수위인 2M인 것으로 오인하고,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제1 테스트부(211)로 제공하게 된다.
응답 신호를 획득한 제1 테스트부(211)는 획득된 응답 신호가 제공된 디지털 관리수위 값을 기준으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변동하는 디지털 값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만일, 내수위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상태라면 응답신호는 제공된 디지털 관리수위 값인 23500을 기준으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변동하는 값이어야 한다. 만약, 내수위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상태라면 응답신호는 변동하지 않는 고정된 값 이거나 허용 오차 범위를 벗어난 값이 된다.
예를 들어, 테스트용 디지털 관리수위 값 '23500' 이고 허용 오차 범위가 '±5%'로 설정되어 있다면, 응답신호가 '22325 ~ 24675' 의 범위 내에서 변동하는 디지털 값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판단결과, 내수위계가 제공하는 디지털 응답 신호가 제공된 디지털 관리수위 값을 기준으로 허용 오차 범위인 '22325 ~ 24675' 내에서 변동하는 값이면 정상으로 판단하고, 변동하지 않는 고정된 값이거나 허용 오차 범위 '22325 ~ 24675'를 벗어난 값이면 내수위계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내수위계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되면 내수위계 고장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생성된 내수위계 고장 이벤트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로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ID:1-RTU#ID:1-Water level SENSOR#ERROR_event#2021-02-22-09:01'이라는 내수위계 고장 이벤트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중앙 관리 서버가 고장이 발생한 내수위계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도록, 제1 테스트부(211)는 상기 내수위계 고장 이벤트 정보에 내수위계 고유식별정보가 포함되도록 하여 전송한다.
상기 제2 테스트부(212)는 사전 저장된 테스트 매뉴얼에 따라 완전 개방 신호를 수문으로 제공하고, 완전 개방 신호 제공 후, 상한 리미트 스위치가 접촉 감지 신호를 제공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즉, 완전 개방 신호를 수문을 동작시키는 권양기로 제공하게 되고, 권양기 동작에 따라 수문이 상한 리미트 스위치에 접촉됨에 따라 상한 리미트 스위치가 접촉 감지 신호를 제공하는 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판단결과, 상한 리미트 스위치가 접촉 감지 신호를 제공하면 정상으로 판단하고, 상한 리미트 스위치가 접촉 감지 신호를 제공하지 않으면 수문이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여 수문 고장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생성된 수문 고장 이벤트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로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한 리미트 스위치가 접촉 감지 신호를 제공하지 않으면 수문이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여 '#ID:1-RTU#ID:1-Water gate motor#ERROR_event#2021-02-22-09:01'이라는 수문 고장 이벤트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중앙 관리 서버가 고장이 발생한 수문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도록, 제2 테스트부(212)는 상기 수문 고장 이벤트 정보에 수문 고유식별정보가 포함되도록 하여 전송한다.
상기 제3 테스트부(213)는 상한 리미트 스위치가 접촉 감지 신호를 제공하면 사전 저장된 테스트 매뉴얼에 따라 완전 폐쇄 신호를 수문으로 제공하고, 완전 폐쇄 신호 제공 후, 하한 리미트 스위치가 접촉 감지 신호를 제공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즉, 상한 리미트 스위치가 접촉 감지 신호를 제공한다는 것은 상술한 완전 개방 신호에 의해 수문이 정상적으로 동작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수문은 일단 정상적이라고 판단하게 되는 것이며, 정상 동작하는 수문에 완전 폐쇄 신호를 제공하여 수문을 내리고 하한 리미트 스위치가 접촉 감지 신호를 제공하는지를 판단해 수문에 협잡물과 같은 이물질이 끼어 있는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만일, 완전 폐쇄 신호를 해당 수문으로 제공한 후, 하한 리미트 스위치가 접촉 감지 신호를 제공하지 않으면서 권양기에 임계치 이상을 초과하는 과전류가 발생하면 해당 수문에 협잡물과 같은 이물질이 끼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정상 동작하는 수문에 협잡물 같은 이물질이 없으면 정상적으로 내려져 하한 리미트 스위치가 접촉 감지 신호를 제공하게 되는데, 만일, 수문에 협잡물 같은 이물질이 끼어 있으면 수문은 더 이상 내려가지 않아 하한 리미트 스위치가 접촉 감지 신호를 제공하지 않음과 동시에 권양기에는 임계치 이상의 과전류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황이 되면 수문에 협잡물과 같은 이물질이 끼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하한 리미트 스위치가 접촉 감지 신호를 제공하지 않으면서 권양기에 임계치 이상을 초과하는 과전류가 발생하면 해당 수문에 협잡물과 같은 이물질이 끼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협잡물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생성된 협잡물 이벤트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로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ID:1-RTU#ID:1-Water gate motor#Pinch_event#2021-02-22-09:01'이라는 협잡물 이벤트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중앙 관리 서버가 협잡물이 끼인 수문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도록, 제3 테스트부(213)는 상기 협잡물 고장 이벤트 정보에 수문 고유식별정보가 포함되도록 하여 전송한다.
한편, 점검 테스트부(210)는 제4 테스트부(214)와 제5 테스트부(21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검 테스트부(210)는,
사전 저장된 테스트 매뉴얼에 따라 수문으로 제공된 완전 개방 신호에 따라 수문이 상한 리미트 스위치에 일정 시간 터치된 상태에서, 상한 리미트 스위치가 제공하는 접촉 감지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한 리미트 스위치가 제공하는 접촉 감지 신호의 상태가 접촉 및 비접촉을 반복하는 접불 신호이면 상한 리미트 스위치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한 리미트 스위치 고장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생성된 상한 리미트 스위치 고장 이벤트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제4 테스트부(214)와;
사전 저장된 테스트 매뉴얼에 따라 수문으로 제공된 완전 폐쇄 신호에 따라 수문이 하한 리미트 스위치에 일정 시간 터치된 상태에서, 하한 리미트 스위치가 제공하는 접촉 감지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하한 리미트 스위치가 제공하는 접촉 감지 신호의 상태가 접촉 및 비접촉을 반복하는 접불 신호이면 하한 리미트 스위치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여 하한 리미트 스위치 고장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생성된 하한 리미트 스위치 고장 이벤트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제5 테스트부(21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4 테스트부(214)는 사전 저장된 테스트 매뉴얼에 따라 수문으로 제공된 완전 개방 신호에 따라 수문이 상한 리미트 스위치에 일정 시간 (예를 들어, 30초 ~ 1분)터치된 상태에서, 상한 리미트 스위치가 제공하는 접촉 감지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상한 리미트 스위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으면, 수문이 상한 리미트 스위치에 터치된 일정 시간 (예를 들어, 30초 ~ 1분) 동안, 지속적인 접촉 감지 신호를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판단결과, 수문이 상한 리미트 스위치에 터치된 일정 시간 (예를 들어, 30초 ~ 1분)동안 상한 리미트 스위치가 제공하는 접촉 감지 신호의 상태가 접촉과 비접촉을 반복하는 접불 신호이면 상한 리미트 스위치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한 리미트 스위치 고장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생성된 상한 리미트 스위치 고장 이벤트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수문이 상한 리미트 스위치에 터치된 일정 시간인 30초 동안 지속적이고 일정한 접촉 감지 신호를 제공해야 하는데, 10초 동안은 접촉 감지 신호 제공, 이후 10초 동안은 비접촉 감지 신호 제공, 이후 10초 동안은 접촉 감지 신호 제공이라는 접촉과 비접촉이 반복되는 접불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 상한 리미트 스위치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여, '#ID:1-RTU#ID:1-Water gate_Upper limit switch#poor_contact_event#2021-02-22-09:01'이라는 상한 리미트 스위치 고장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생성된 상한 리미트 스위치 고장 이벤트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중앙 관리 서버가 고장이 발생한 상한 리미트 스위치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도록, 제4 테스트부(214)는 상기 상한 리미트 고장 이벤트 정보에 상한 리미트 스위치 고유식별정보가 포함되도록 하여 전송한다.
상기 제5 테스트부(215)는 사전 저장된 테스트 매뉴얼에 따라 수문으로 제공된 완전 폐쇄 신호에 따라 수문이 하한 리미트 스위치에 일정 시간 (예를 들어, 30초 ~ 1분)터치된 상태에서, 하한 리미트 스위치가 제공하는 접촉 감지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하한 리미트 스위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으면, 수문이 하한 리미트 스위치에 터치된 일정 시간 (예를 들어, 30초 ~ 1분) 동안, 지속적인 접촉 감지 신호를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판단결과, 수문이 하한 리미트 스위치에 터치된 일정 시간 (예를 들어, 30초 ~ 1분)동안 하한 리미트 스위치가 제공하는 접촉 감지 신호의 상태가 접촉과 비접촉을 반복하는 접불 신호이면 하한 리미트 스위치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여 하한 리미트 스위치 고장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생성된 하한 리미트 스위치 고장 이벤트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수문이 하한 리미트 스위치에 터치된 일정 시간인 30초 동안 지속적이고 일정한 접촉 감지 신호를 제공해야 하는데, 10초 동안은 접촉 감지 신호 제공, 이후 10초 동안은 비접촉 감지 신호 제공, 이후 10초 동안은 접촉 감지 신호 제공이라는 접촉과 비접촉이 반복되는 접불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 하한 리미트 스위치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여, '#ID:1-RTU#ID:1-Water gate_Lower limit switch#poor_contact_event#2021-02-22-09:01'이라는 하한 리미트 스위치 고장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생성된 하한 리미트 스위치 고장 이벤트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중앙 관리 서버가 고장이 발생한 하한 리미트 스위치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도록, 제5 테스트부(215)는 상기 하한 리미트 고장 이벤트 정보에 하한 리미트 스위치 고유식별정보가 포함되도록 하여 전송한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관리서버(300)는,
테스트 점검 운영장치(200)로부터 수리 시설물별 고장 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경우, 고장 이벤트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고장이 발생된 대상의 고유식별정보와 사전 저장된 설치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고장이 발생된 대상과 고장이 발생된 대상이 설치된 수관리 시설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수관리 시설의 위치와 고장이 발생된 대상 정보를 지형도 기반의 화면에 표시하는 고장위치표시부(310)와;
상기 고장위치표시부(310)에 의해 파악된 수관리 시설의 위치와 고장이 발생된 대상에 대한 경고음을 생성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는 고장경고음처리부(320)와;
상기 고장위치표시부(310)에 의해 파악된 수관리 시설의 위치와 고장이 발생된 대상에 대한 문자메세지를 생성하여 해당 수관리 시설을 관리하는 관리기관의 관리자단말기(400)로 발송 처리하는 고장메세지처리부(330)를 포함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장위치표시부(310)는 테스트 점검 운영장치(200)로부터 수리 시설물별 고장 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경우, 고장 이벤트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고장이 발생된 대상의 고유식별정보와 사전 저장된 설치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고장이 발생된 대상과 고장이 발생된 대상이 설치된 수관리 시설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수관리 시설의 위치와 고장이 발생된 대상 정보를 도 5와 같이, 지형도 기반의 화면에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ID:1-RTU#ID:1-Water level SENSOR#ERROR_event#2021-02-22-09:01'이라는 내수위계 고장 이벤트 정보를 테스트 점검 운영장치(200)로부터 획득하게 되면, 고유 식별정보인 ID:1을 추출하고, 고유 식별정보 ID:1 인 내수위계가 설치된 수관리 시설 A(예: 영산강 하류에 설치된 수관리 시설인 1번 갑문)의 위치를 사전 저장된 설치위치정보(수리시설물 고유식별 정보와 해당 수리시설물이 설치된 수관리 시설의 위치 정보가 매칭된 정보)를 이용해 파악하고, 파악된 수관리 시설 A의 위치(예: 영산강 하류에 설치된 수관리 시설인 1번 갑문의 위치)와 고장이 발생된 대상인 내수위계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형도 기반의 화면에 매칭시켜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고장경고음처리부(320)는 상기 고장위치표시부(310)에 의해 파악된 수관리 시설의 위치와 고장이 발생된 대상에 대한 경고음을 생성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영산강 하류에 설치된 수관리 시설인 1번 갑문의 내수위계가 고장났으므로 이에 따른 고장 처리를 취하길 바랍니다.'라는 경고음을 생성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는 것이다.
상기 고장메세지처리부(330)는 상기 고장위치표시부(310)에 의해 파악된 수관리 시설의 위치와 고장이 발생된 대상에 대한 문자메세지를 생성하여 해당 수관리 시설을 관리하는 관리기관의 관리자단말기(400)로 발송 처리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영산강 하류에 설치된 수관리 시설인 1번 갑문의 내수위계가 고장났으므로 이에 따른 고장 처리를 취하길 바랍니다.'라는 문자메세지를 생성하여 해당 수관리 시설을 관리하는 관리기관의 관리자단말기(400)인 '010-1234-****'로 생성된 문자메세지를 발송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수리 시설물
200 : 테스트 점검 운영장치
300 : 중앙 관리 서버
400 : 관리자단말기

Claims (8)

  1. 기상 예보에 따른 수리 시설물 테스트 점검시스템에 있어서,
    수위 관리를 위해 동작하도록 수관리 시설에 설치되는 수리 시설물(100)과,
    테스트 조건이 충족되면, 수리 시설물의 시험 동작 테스트를 수행하고, 수행 결과에 따른 수리 시설물별 고장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중앙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테스트 점검 운영장치(200)와,
    테스트 점검 운영장치(200)가 제공하는 고장 이벤트 정보에 따라 고장 이벤트 처리를 수행하는 중앙 관리 서버(300)를 포함하되,

    상기 수리 시설물(100)은 수문(110), 수문마다 설치된 제내지측 내 수위계(120), 수문마다 설치된 상한 리미트 스위치(130), 수문마다 설치된 하한 리미트 스위치(140)를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 조건은,
    강우예보가 획득되는 제1 조건, 수문이 평상시 개도율로 개방된 상태인 제2 조건, 직전 수리 시설물의 시험 동작 테스트를 수행한 후 설정된 기간이 경과한 제3 조건 모두를 만족하는 조건이고,
    상기 강우예보는 테스트 점검 운영장치(200)가 기상 관련 공공기관으로부터 획득하거나 중앙 관리 서버(300)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평상시 개도율이란 기저 유량을 하천으로 방류하기 위해, 필요한 수문의 개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 예보에 따른 수리 시설물 테스트 점검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점검 운영장치(200)는,
    테스트 조건이 충족되면, 사전 저장된 테스트 매뉴얼에 따라 수리 시설물들을 시험 동작시켜 수리 시설물들의 시험 동작 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수리 시설물들의 시험 동작 상태에 따라 수리 시설물별 시험 동작 테스트 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수리 시설물별 시험 동작 테스트 결과정보를 이용해 수리 시설물별 고장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생성된 수리 시설물별 고장 이벤트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점검 테스트부(210)와;
    테스트 매뉴얼 정보, 테스트용 디지털 관리수위 값 정보, 수리 시설물별 고장 이벤트 정보가 저장되는 정보 DB(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 예보에 따른 수리 시설물 테스트 점검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DB(220)에 저장된 테스트 매뉴얼은,
    테스트 조건이 충족되는지를 파악하는 제1 단계;
    테스트 조건이 충족되면, 내수위계로 테스트용 디지털 관리수위 값을 제공하는 제2 단계;
    수문으로 완전 개방 신호를 제공하여 수문이 상한 리미트 스위치를 터치하도록 수문을 완전 개방시키되, 수문이 상한 리미트 스위치에 터치된 상태가 일정 시간 유지되도록 수문의 완전 개방 상태를 일정 시간 유지하는 제3 단계;
    수문의 완전 개방 상태를 일정 시간 유지한 후, 수문으로 완전 폐쇄 신호를 제공하여 수문이 하한 리미트 스위치를 터치하도록 수문을 완전 폐쇄시키되, 수문이 하한 리미트 스위치에 터치된 상태가 일정 시간 유지되도록 수문의 완전 폐쇄 상태를 일정 시간 유지하는 제4 단계;
    수문의 완전 폐쇄 상태를 일정 시간 유지한 후, 수문을 평상시 개도율로 다시 개방시키는 제5 단계;를 점검 테스트부(210)가 수행하도록 하는 매뉴얼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정보 DB(220)에 저장된 수리 시설물별 고장 이벤트 정보는,
    내수위계 고장 이벤트 정보, 수문 고장 이벤트 정보, 협잡물 이벤트 정보, 상한 리미트 스위치 고장 이벤트 정보, 하한 리미트 스위치 고장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 예보에 따른 수리 시설물 테스트 점검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 테스트부(210)는,
    사전 저장된 테스트 매뉴얼에 따라 테스트용 디지털 관리수위 값을 내수위계에 제공하고, 제공된 테스트용 디지털 관리수위 값에 대한 응답 신호를 내수위계로부터 획득하고, 획득된 응답 신호가 제공된 디지털 관리수위 값을 기준으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변동하는 디지털 값인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내수위계가 제공하는 디지털 응답 신호가 제공된 디지털 관리수위 값을 기준으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변동하는 값이면 정상으로 판단하고, 변동하지 않는 고정된 값 이거나 허용 오차 범위를 벗어난 값이면 내수위계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여 내수위계 고장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생성된 내수위계 고장 이벤트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제1 테스트부(211)와;

    사전 저장된 테스트 매뉴얼에 따라 완전 개방 신호를 수문으로 제공하고, 완전 개방 신호 제공 후, 상한 리미트 스위치가 접촉 감지 신호를 제공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한 리미트 스위치가 접촉 감지 신호를 제공하면 정상으로 판단하고, 상한 리미트 스위치가 접촉 감지 신호를 제공하지 않으면 수문의 권양기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여 수문 고장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생성된 수문 고장 이벤트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제2 테스트부(212)와;

    상한 리미트 스위치가 접촉 감지 신호를 제공하면 사전 저장된 테스트 매뉴얼에 따라 완전 폐쇄 신호를 수문으로 제공하고, 완전 폐쇄 신호 제공 후, 하한 리미트 스위치가 접촉 감지 신호를 제공하면 정상으로 판단하고, 하한 리미트 스위치가 접촉 감지 신호를 제공하지 않으면서 권양기에 임계치 이상을 초과하는 과전류가 발생하면 해당 수문에 협잡물과 같은 이물질이 끼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협잡물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생성된 협잡물 이벤트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제3 테스트부(2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 예보에 따른 수리 시설물 테스트 점검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 테스트부(210)는,
    사전 저장된 테스트 매뉴얼에 따라 수문으로 제공된 완전 개방 신호에 따라 수문이 상한 리미트 스위치에 일정 시간 터치된 상태에서, 상한 리미트 스위치가 제공하는 접촉 감지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한 리미트 스위치가 제공하는 접촉 감지 신호의 상태가 접촉 및 비접촉을 반복하는 접불 신호이면 상한 리미트 스위치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한 리미트 스위치 고장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생성된 상한 리미트 스위치 고장 이벤트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제4 테스트부(214)와;

    사전 저장된 테스트 매뉴얼에 따라 수문으로 제공된 완전 폐쇄 신호에 따라 수문이 하한 리미트 스위치에 일정 시간 터치된 상태에서, 하한 리미트 스위치가 제공하는 접촉 감지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하한 리미트 스위치가 제공하는 접촉 감지 신호의 상태가 접촉 및 비접촉을 반복하는 접불 신호이면 하한 리미트 스위치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여 하한 리미트 스위치 고장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생성된 하한 리미트 스위치 고장 이벤트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제5 테스트부(2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 예보에 따른 수리 시설물 테스트 점검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내수위계 고장 이벤트 정보는 내수위계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문 고장 이벤트 정보와 협잡물 이벤트 정보는 수문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상한 리미트 스위치 고장 이벤트 정보는 상한 리미트 스위치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하한 리미트 스위치 고장 이벤트 정보는 하한 리미트 스위치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 예보에 따른 수리 시설물 테스트 점검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리서버(300)는,
    테스트 점검 운영장치(200)로부터 수리 시설물별 고장 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경우, 고장 이벤트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고장이 발생된 대상의 고유식별정보와 사전 저장된 설치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고장이 발생된 대상과 고장이 발생된 대상이 설치된 수관리 시설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수관리 시설의 위치와 고장이 발생된 대상 정보를 지형도 기반의 화면에 표시하는 고장위치표시부(310)와;
    상기 고장위치표시부(310)에 의해 파악된 수관리 시설의 위치와 고장이 발생된 대상에 대한 경고음을 생성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는 고장경고음처리부(320)와;
    상기 고장위치표시부(310)에 의해 파악된 수관리 시설의 위치와 고장이 발생된 대상에 대한 문자메세지를 생성하여 해당 수관리 시설을 관리하는 관리기관의 관리자단말기(400)로 발송 처리하는 고장메세지처리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 예보에 따른 수리 시설물 테스트 점검 시스템.
KR1020210031172A 2021-03-10 2021-03-10 기상 예보에 따른 수리 시설물 테스트 점검시스템 KR102307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172A KR102307491B1 (ko) 2021-03-10 2021-03-10 기상 예보에 따른 수리 시설물 테스트 점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172A KR102307491B1 (ko) 2021-03-10 2021-03-10 기상 예보에 따른 수리 시설물 테스트 점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491B1 true KR102307491B1 (ko) 2021-09-30

Family

ID=77920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172A KR102307491B1 (ko) 2021-03-10 2021-03-10 기상 예보에 따른 수리 시설물 테스트 점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4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468B1 (ko) * 2023-04-06 2023-11-09 주식회사 이엘 물관리 시설물의 상태를 자율 점검하는 물관리 시설물 자율점검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8590A (ko) * 1995-11-17 1997-06-24 가네꼬 히사시 테스트 패턴 생성 방법 및 테스트 패턴 생성 시스템
KR100706300B1 (ko) 2006-09-01 2007-04-13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 관리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KR101074449B1 (ko) * 2011-05-27 2011-10-17 김상국 우수유출저감장치 및 그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8590A (ko) * 1995-11-17 1997-06-24 가네꼬 히사시 테스트 패턴 생성 방법 및 테스트 패턴 생성 시스템
KR100706300B1 (ko) 2006-09-01 2007-04-13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 관리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KR101074449B1 (ko) * 2011-05-27 2011-10-17 김상국 우수유출저감장치 및 그 구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468B1 (ko) * 2023-04-06 2023-11-09 주식회사 이엘 물관리 시설물의 상태를 자율 점검하는 물관리 시설물 자율점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8708B1 (ko) 지능형 원격단말장치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하천 재해 감시 및 시설물 자율 점검 시스템
KR101017746B1 (ko) 지능형 물관리 자동화시스템
KR101418707B1 (ko)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기능 물관리자동화시스템
KR102418897B1 (ko) 침수 예상지역의 출입통제 시스템
KR102458424B1 (ko) 전문가 평가를 이용하여 재난대응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는 시스템
KR102138340B1 (ko) 지능형 원격단말장치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관내 시설물 자율 점검 및 고장 알림 운영시스템
JP2019525076A (ja) スマート高保全性保護システム
KR102307491B1 (ko) 기상 예보에 따른 수리 시설물 테스트 점검시스템
KR102356340B1 (ko) 지하차도의 진입차단을 위한 통합 제어시스템
KR20200039194A (ko) 인버터 제어 방식을 이용한 펌프 일체형 수문 제어 시스템
KR20110123534A (ko) 실시간 수위 예측을 이용한 웹기반 배수갑문 제어시스템 및 배수갑문 제어방법
KR20130059041A (ko) 시설물 유지관리시스템
KR102345859B1 (ko)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문화재 안전관리 시스템
KR102389673B1 (ko) 우수 및 홍수 조절지에 설치된 물관리 시설의 모듈 타입 운영 및 관리 장치
JP2007263888A (ja) 建造物診断システム
KR102561110B1 (ko) 지능형 rtu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20170014094A (ko) 스마트 빗물 펌프장의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KR102298001B1 (ko) 배수통관 수위계를 설치할 수 없는 도심 내 수문 운영시스템
JP4427509B2 (ja) 雨水貯留施設運用システム
Piatyszek et al. Fault detection on a sewer network by a combination of a Kalman filter and a binary sequential probability ratio test
KR102384969B1 (ko) 수문이 설치된 물관리 시설의 자율운영과 비상점검을 위한 모듈 타입 운영 및 관리 장치
CA31922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al-time prioritization and management of heat trace circuit alarms
KR102384974B1 (ko) 수문이 설치된 물관리 시설의 모듈 타입 운영 및 관리 장치
KR101647585B1 (ko) 기상청 정보를 활용한 수문 원격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600468B1 (ko) 물관리 시설물의 상태를 자율 점검하는 물관리 시설물 자율점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