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109B1 -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109B1
KR101437109B1 KR1020140021317A KR20140021317A KR101437109B1 KR 101437109 B1 KR101437109 B1 KR 101437109B1 KR 1020140021317 A KR1020140021317 A KR 1020140021317A KR 20140021317 A KR20140021317 A KR 20140021317A KR 101437109 B1 KR101437109 B1 KR 101437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ormwater
hydrologic
pollutant
store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번영
김남종
Original Assignee
김번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번영 filed Critical 김번영
Priority to KR1020140021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1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22Adaptations of pumping plants for lifting sewa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우수로에 설치되어 우수로를 통해 흐르는 우수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1수문유닛과, 제1수문유닛에 연결되어 제1수문유닛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우수로로 오염물질이 유입시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제1수문유닛을 작동시켜 우수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도록 스위치가 마련된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은 우수로 내의 오염물질의 유동을 차단하도록 우수로에 설치된 수문과, 오염물질을 저수할 수 있도록 설치된 집수조가 마련되고, 집수조에 저수된 오염물질을 펌프에 의해 폐수처리장 또는 처리시설로 이송시켜 처리하므로 각종 사업장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하천이나 바다로 유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Environmental pollutant effluence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업장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과, 산업단지 내에서 각종 화학사고 발생시 살수에 의해 씻겨진 오염물질과, 유류사고, 폐·하수처리시설의 이송배관 동파시 발생되는 오염물질 등이 우수로를 통해 오염물질이 하천이나 바다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염원은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구분되며 점오염원은 가정, 공공기관, 공장, 축산시설, 양식장, 폐기물 매립지 및 골프장과 같이 일정한 지점에서 발생되며, 이와 같은 점오염원에서는 인간의 생활 및 경제활동으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다양한 오염물질이 발생된다. 점오염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오염물질은 분뇨·하수처리시설, 산업폐수처리시설 및 축산폐수처리시설 등에서 처리되고 있다. 반면 비점오염원은 도시, 도로, 농지, 산지, 공사장 등과 같은 불특정장소에서 농약, 비료, 분뇨, 유류, 중금속, 타이어가루 등과 같은 불특정지역에서 불시에 오염물질이 배출되기 때문에 발생량, 배출량이 현장여건과 강수량 등의 기상조건에 크게 좌우되고 또한, 우천시 빗물에 의해 한꺼번에 발생된 비점오염물질은 오염물질처리장치를 특정하기 어렵고 유지관리가 어려우며 많은 양의 오염물질이 하천이나 바다로 들어가게 되면 수질 오염을 가중시키고, 물고기를 폐사시키거나 저서생물의 서식처를 파괴하여 수생태계를 교란시키게 된다. 또한, 비점오염물질은 강수에 의하여 하천이나 바다로 유입되기 때문에 일시적이고, 오염성분이 다양하며, 농도가 불규칙하여 발생 및 운송 메커니즘을 명확하게 규명하기 어려워 오염물질을 제어하기 어렵다. 따라서, 하천이나 바다에 미치는 영향이 양적·질적으로 매우 크다.
이처럼 우수로를 통해 오염물질이 하천이나 바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오염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우수로에 스크린 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0383호에는 우수로용 협잡물 스크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우수로용 협잡물 스크린장치는 스크린을 우수로에 가로질러 고정하도록 스크린 하부에 고정대가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직립 고정되어 초기우수에 포함된 쓰레기를 걸러내는 복수개의 일자형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 양옆에서 직립 고정되어 우수로의 수위가 상승하면 스크린이 물의 저항을 받아 쓰러지도록 구비되는 저항대와, 상기 지지부와 수직으로 고정되어 우수유입 역방향으로 설치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스크린에 걸린 쓰레기를 자동분리하는 추를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스크린장치는 다수의 걸림부에 의해 오염물질을 걸러내므로 걸림부들 사이공간보다 작은 미세한 수질 오염물질의 경우 필터링하기 어려워 비교적 다량의 오염물질이 우수로로 배출되기 때문에 오염물질의 차단효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우수로를 통해 오염물질이 하천이나 바다로 유출되지 않도록 오염물질의 유출을 차단할 수 있도록 우수로에 수문을 설치하며, 수문에 의해 유출이 차단된 오염물질을 집수할 수 있도록 우수로 측면에 집수조를 설치하고, 집수조에 집수된 오염물질은 펌프에 의해 폐수처리장 또는 처리시설로 이송되어 처리함으로써 각종 사업장에서 사고 등으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하천이나 바다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은 우수로에 설치되어 상기 우수로를 통해 흐르는 오염물질이 함유된 우수(이하, 우수라 한다.)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1수문유닛과, 상기 제1수문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제1수문유닛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우수로로 오염물질이 유입시 사업장 통제실이나 현장에서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수문유닛을 작동시켜 상기 우수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도록 스위치가 마련된 제어부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시스템은 상기 제1수문유닛의 전방측 상기 우수로에 설치되며, 상기 제1수문유닛에 의해 상기 우수의 흐름이 차단시 상기 우수로에 저수된 상기 우수를 우수처리시설(폐·하수처리시설과 저류조 등을 포함한다.)로 펌핑하는 제1펌핑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펌핑유닛은 상기 제1수문유닛의 전방측 상기 우수로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우수가 유입되는 제1유입공간이 마련된 제1배수부재와, 상기 제1배수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제1유입공간으로 유입되는 상기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제1스크린이 마련된 제1걸름부와, 상기 제1배수부재 및 우수처리시설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1배출관과, 상기 제1배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1배수부재 내의 상기 우수를 상기 우수처리시설로 펌핑하는 제1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수문유닛에 의해 상기 우수의 흐름이 차단시 상기 우수가 상기 우수처리시설로 이송되도록 상기 제1펌프를 작동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시스템은 상기 우수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제1수문유닛의 전방측 상기 우수로에 설치되며, 상기 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량을 측정하는 제1오염물질센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오염물질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오염물질 값을 토대로 상기 우수에 포함된 상기 오염물질량이 기설정된 오염물질량을 초과할 경우, 상기 우수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1수문유닛을 작동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시스템은 상기 제1수문유닛에 대해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우수로에 설치되어 상기 우수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2수문유닛과, 상기 제1 및 제2수문유닛 사이의 상기 우수로에 설치되어 상기 우수로 내의 상기 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량을 측정하는 제2오염물질센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오염물질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오염물질 값을 토대로 상기 우수에 포함된 상기 오염물질량이 기설정된 오염물질량을 초과할 경우, 상기 우수의 흐름이 차단되도록 상기 제2수문유닛을 작동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시스템은 상기 제1 및 제2수문유닛 사이의 상기 우수로에 설치되며, 상기 제2수문유닛에 의해 상기 우수의 흐름이 차단시 상기 우수로에 저수된 상기 우수를 우수처리시설로 펌핑하는 제2펌핑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펌핑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수문유닛 사이의 상기 우수로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우수가 유입되는 제2유입공간이 마련된 제2배수부재와, 상기 제2배수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제2유입공간으로 유입되는 상기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제2스크린이 마련된 제2걸름부와, 상기 제2배수부재 및 우수처리시설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2배출관과, 상기 제2배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2배수부재 내의 상기 우수를 상기 우수처리시설로 펌핑하는 제2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수문유닛이 상기 우수의 흐름을 차단시 상기 우수가 상기 우수처리시설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2펌프를 작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은 우수로 내의 오염물질의 유동을 차단하도록 우수로에 설치된 수문과, 오염물질을 저수할 수 있도록 설치된 집수조가 마련되고, 집수조에 저수된 오염물질을 펌프에 의해 폐수처리장 또는 하처리시설 등으로 이송시켜 처리하므로 각종 사업장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하천이나 바다로 유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에 대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100)은 우수로(105)에 설치되어 상기 우수로(105)를 통해 흐르는 우수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1수문유닛(200)과, 상기 제1수문유닛(200)의 전방측 상기 우수로(105)에 설치되며, 상기 제1수문유닛(200)에 의해 상기 우수의 흐름이 차단시 상기 우수로(105)에 저수된 상기 우수를 우수처리시설로 펌핑하는 제1펌핑유닛(400)과, 상기 제1수문유닛(200)에 연결되어 상기 제1수문유닛(200)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우수로(105)로 오염물질이 유입시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수문유닛(200)을 작동시켜 상기 우수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도록 스위치(505)가 마련된 제어부(500)를 구비한다.
제1수문유닛(200)은 수문틀(210), 제1수문(220) 및 수문구동부(230)를 구비한다.
수문틀(210)은 우수로(105) 상에 설치되며, 상호 이격되어 수직상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수직프레임(211,212)과, 제1 및 제2수직프레임(211,212)을 상단에서 상호 연결하는 상부 프레임(213)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수직프레임(211,212)의 내측면은 제1수문(22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이탈을 억제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가이드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수직프레임(211,212)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수면의 측면에 대향되는 측면부분과, 상기 측면부분의 양단에서 중앙부분을 향해 돌출된 날개부분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1수문(220)은 사각형태로 형성되며, 상단은 후술되는 수문구동부(230)의 랙기어(231)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제1수문(220)은 제1 및 제2수직프레임(211,212)의 슬라이딩 가이드 홈과 대향되는 양단에는 수밀을 위한 고무소재의 패킹부재(미도시)가 전후면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제1수문(220)은 성형성이 우수하며, 소정의 강도를 갖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문구동부(230)는 랙기어(231), 피니언기어, 웜휠, 웜기어 및 구동모터를 구비한다.
랙기어(231)는 하단이 제1수문(220)의 상면 중앙에 결합되고, 상단은 상부 프레임(213) 중앙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된다. 랙기어(231)는 상부 프레임(213) 중앙에 설치된 메인 하우징(232)을 관통하게 수직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후면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따라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다.
메인 하우징(232) 내부에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롤러, 피니언 기어, 웜휠 및 웜기어가 설치되어 있다. 웜휠은 상부 프레임(213) 상에 설치된 메인 하우징(232) 내에 랙기어(231)와 치합되어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과 동축 상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웜기어는 웜휠과 치합되게 메인 하우징(232)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웜기어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은 일단이 메인 하우징(23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타단은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있다. 구동모터는 제어부(500)에 작동되어 제1수문(220)을 승하강시킨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제1수문유닛(200)은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제1수문(220)에 의해 우수의 흐름을 차단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제1수문유닛(200)은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우수로(105)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전도게이트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제1펌핑유닛(400)은 제1배수부재(410), 제1걸름부(420), 제1배출관(430) 및 제1펌프(440)를 구비한다.
제1배수부재(410)는 우수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제1수문유닛(200)에 대해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우수로(105)에 연통되게 설치된 제1집수조(411) 및 제2집수조(412)를 구비한다.
제1집수조(411)는 배수로의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제1유입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면은 개방되게 형성되거나 사업장 여건을 고려하여 상부 덮개로 덮을 수도 있다. 제2집수조(412)는 제1연결관(413)에 의해 제1집수조(411)에 연통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오염물질이 포함된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제1보조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제1집수조(411)에 설치된 제1걸름부(420)에 의해 협잡물이 걸러진 우수는 제1연결관(413)을 통해 제2집수조(412) 내부에 수용된다.
제1걸름부(42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제1배수부재(410)의 제1집수조(411) 내부에 설치되는 제1스크린과, 제1스크린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제1레이크 유닛과, 상기 제2레이크 유닛을 제1스크린을 따라 무한 궤도상으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부를 구비한 제1취출유닛을 구비한다.
제1스크린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우수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다수의 스트립을 구비한다. 제1취출유닛은 제1스크린과 인접된 제1집수조(411)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호 평행한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 하부에 설치되는 제1구동축과, 상기 제1구동축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스프로킷과, 상기 제1스프로킷과 대응되는 제1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체인가이드와, 각각의 제1스프로킷과 제1체인 가이드에 걸리는 제1체인들과, 상기 제1구동축을 구동시키는 제1구동모터를 가진 제1이송부를 포함한다.
제1레이크 유닛은 다수개가 무한궤도상의 체인들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1레이크 유닛은 체인들에 양단부가 지지되는 제1지지바와, 상기 제1지지바에 형성되며, 단부가 제1스크린의 스트립들 사이로 삽입되는 다수의 제1삽입바를 구비한다. 제1취출유닛에 의해 레이크 유닛이 제1스크린을 따라 이동하며, 제1스크린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을 제1스크린으로부터 수거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걸름부(420)는 레이크 유닛에 의해 수거된 협잡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함 또는 상기 협잡물을 처리시설로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컨베이어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제1배출관(430)은 제1배수부재(410)의 제2집수조(412) 및 폐수처리시설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내부에 우수가 유동하는 내부유로가 마련되어 있다. 제1펌프(440)는 상기 제1배출관(430)에 설치되어 상기 제1배수부재(410) 내의 상기 오염물질을 상기 폐수처리시설로 펌핑하며, 제어부(50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제어부(500)는 우수로(105) 내에 오염물질이 유입시 관리자가 작동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다. 우수로(105)로 오염물질이 배출되면 관리자는 스위치를 작동시켜 차단신호를 발생시키고, 제어부(500)는 상기 우수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1수문유닛(200)을 작동시킨다. 또한, 제어부(500)는 상기 제1수문유닛(200)에 의해 상기 우수의 흐름이 차단시 상기 우수가 상기 우수처리시설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1펌프(440)를 작동시킨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10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우수로(105)로 오염물질이 배출되면 관리자는 스위치를 작동시켜 차단신호를 발생시키고, 제어부(500)는 제1수문(220)이 하강하여 우수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제1수문유닛(200)의 수문구동부(230)를 작동시킨다. 이때, 제1수문(220)에 의해 우수는 유동이 차단되어 하천 및 바다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1수문(220)에 의해 폐수의 흐름이 차단되면, 제어부(500)는 우수로(105)에 저수된 우수를 우수처리시설로 펌핑할 수 있도록 제1펌프(440)를 작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100)은 제1오염물질센서부(300)를 통해 우수 내의 오염물질이 감지되면 제1수문유닛(200)을 통해 우수의 흐름을 차단하므로 오염물질이 하천이나 바다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100)은 우수로(105) 내의 오염물질의 유동을 차단하도록 우수로에 설치된 제1수문유닛(200)과, 오염물질을 저수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1집수조(411)가 마련되고, 제1집수조(411)에 저수된 오염물질을 제1펌프(440)에 의해 폐수처리장 또는 처리시설로 이송시켜 처리하므로 각종 사업장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이 하천이나 바다로 유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150)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시스템(150)은 상기 우수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제1수문유닛(200)의 전방측 상기 우수로(105)에 설치되며, 상기 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량을 측정하는 제1오염물질센서부(300)를 더 구비한다. 이때, 제어부(500)는 기 제1오염물질센서부(300)에 의해 측정된 오염물질 값을 토대로 상기 우수에 포함된 상기 오염물질량이 기설정된 오염물질량을 초과할 경우, 상기 우수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1수문유닛(200)을 작동시킨다.
제1오염물질센서부(300)는 우수로(105)의 내측면 하부에 설치되어 우수 내의 오염물질을 측정하는 다수의 센서를 구비한다. 상기 제1오염물질센서부(30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우수의 수소이온농도를 측정하는 PH센서, 다이옥신과 같은 유해물질을 측정하는 화학물질센서, 화학적 산소요구량을 측정하는 COD측정센서 등을 구비하여 우수의 오염 상태를 측정한다.
제어부(500)는 상기 제1오염물질센서부(300)에 의해 측정된 오염물질 값을 토대로 상기 우수에 포함된 상기 오염물질량이 기설정된 오염물질량을 초과할 경우, 상기 우수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1수문유닛(200)을 작동시킨다. 또한, 제어부(500)는 상기 제1수문유닛(200)에 의해 상기 우수의 흐름이 차단시 상기 우수가 상기 우수처리시설로 이송되도록 상기 제1펌프(440)를 작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150)은 제1오염물질센서부(300)를 통해 우수 내의 오염물질이 감지되면 제1수문유닛(200)을 통해 우수의 흐름을 차단하므로 오염물질이 하천이나 바다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6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600)은 상기 제1수문유닛(200)에 대해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우수로(105)에 설치되어 상기 우수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2수문유닛(610)과, 상기 제1 및 제2수문유닛(200,610) 사이의 상기 우수로(105)에 설치되어 상기 우수로(105) 내의 상기 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량을 측정하는 제2오염물질센서부(620)와, 상기 제1 및 제2수문유닛(200,610) 사이의 상기 우수로(105)에 설치되며, 상기 제2수문유닛(610)에 의해 상기 우수의 흐름이 차단시 상기 우수로(105)에 저수된 상기 우수를 우수처리시설로 펌핑하는 제2펌핑유닛(630)을 구비한다.
제2수문유닛(610)은 우수로(105)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2수문(611)과, 상기 제2수문(611)을 회동시키는 회동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제2수문(611)은 우수로(105)의 좌우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제2수문(611)은 힌지축(미도시)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회동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2수문(611)의 힌지축에 설치되어 제2수문(611)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구비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제2수문유닛(610)은 회동되는 제2수문(611)이 마련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제2수문유닛(610)은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1수문유닛(200)과 같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수문을 구비할 수도 있다.
제2오염물질센서부(620)는 제1수문유닛(200) 및 제2수문유닛(610) 사이의 우수로(105)의 내측면 하부에 설치되어 우수 내의 오염물질을 측정하는 다수의 센서를 구비한다. 상기 제2오염물질센서부(62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우수의 수소이온농도를 측정하는 pH센서, 다이옥신과 같은 화학물질을 측정하는 화학물질센서, 화학적 산소요구량을 측정하는 COD 측정센서 등을 구비하여 우수의 오염 상태를 측정한다.
제2펌핑유닛(630)은 제2배수부재(631), 제2걸름부(632), 제2배출관(633) 및 제2펌프(634)를 구비한다.
제2배수부재(631)는 제1수문유닛(200) 및 제2수문유닛(610) 사이의 우수로(105)에 연통되게 설치된 제3집수조(641) 및 제4집수조(642)를 구비한다.
제3집수조(641)는 배수로의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제2유입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면은 개방되거나 사업장 여건을 고려하여 상부 덮개로 덮을 수도 있다. 제4집수조(642)는 제2연결관(643)에 의해 제4집수조(642)에 연통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오염물질이 포함된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제2보조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제3집수조(641)에 설치된 제2걸름부(632)에 의해 협잡물이 걸러진 우수는 제2연결관(643)을 통해 제4집수조(642) 내부에 집수된다.
제2걸름부(632)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제2배수부재(631)의 제3집수조(641)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스크린과, 제2스크린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제2레이크 유닛과, 상기 제2레이크 유닛을 제2스크린을 따라 무한 궤도상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부를 구비한 제2취출유닛을 구비한다.
제2스크린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우수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다수의 스트립을 구비한다. 제2취출유닛은 제2스크린과 인접된 제3집수조(641)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호 평행한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하부에 설치되는 제2구동축과, 상기 제2구동축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스프로킷과, 상기 제2스프로킷과 대응되는 제2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체인가이드와, 각각의 제2스프로킷과 제2체인 가이드에 걸리는 제2체인들과, 상기 제2구동축을 구동시키는 제2구동모터를 가진 제2이송부를 포함한다.
제2레이크 유닛은 다수개가 무한궤도상의 체인들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2레이크 유닛은 체인들에 양단부가 지지되는 제2지지바와, 상기 제2지지바에 형성되며, 단부가 제2스크린의 스트립들 사이로 삽입되는 다수의 제2삽입바를 구비한다. 제2취출유닛에 의해 레이크 유닛이 제2스크린을 따라 이동하며, 제1스크린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을 제2스크린으로부터 수거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2걸림부는 레이크 유닛에 의해 수거된 협잡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함 또는 상기 협잡물 처리시설로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컨베이어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제2배출관(633)은 제2배수부재(631)의 제4집수조(642) 및 폐·하수처리시설 등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내부에 우수가 유동하는 내부유로가 마련되어 있다. 제2펌프(634)는 상기 제2배출관(633)에 설치되어 상기 제2배수부재(631) 내의 상기 우수를 상기 우수처리시설로 펌핑하며, 제어부(50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이때, 제어부(500)는 상기 제2오염물질센서부(620)에 의해 측정된 오염물질 값을 토대로 상기 우수에 포함된 상기 오염물질량이 기설정된 오염물질량을 초과할 경우, 상기 우수의 흐름이 차단되도록 상기 제2수문유닛(610)을 작동시킨다. 또한, 제어부(500)는 상기 제2수문유닛(610)이 상기 우수의 흐름을 차단시 상기 우수가 상기 우수처리시설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2펌프(634)를 작동시킨다.
제1오염물질센서부(300)에 의해 측정된 우수 내의 오염물질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1차적으로 제1수문(220)이 하강하여 우수의 흐름을 차단한다. 이때, 제1수문(220)을 범람하거나 제1수문(220)이 하강시 유출된 우수는 제어부(500)에 의해 작동된 제2수문유닛(610)에 의해 2차적으로 흐름이 차단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제1수문유닛(200) 및 제2수문유닛(610)에 의해 오염물질이 포함된 우수의 흐름을 다단으로 차단하므로 하천이나 바다로 방류되는 오염물질의 유입율을 보다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
200: 제1수문유닛
210: 수문틀
211: 제1수직프레임
212: 제2수직프레임
213: 상부프레임
220: 제1수문
230: 수문구동부
231: 랙기어
232: 메인 하우징
400: 제1펌핑유닛
410: 제1배수부재
420: 제1걸름부
430: 제1배출관
440: 제1펌프
500: 제어부

Claims (7)

  1. 우수로에 설치되어 상기 우수로를 통해 흐르는 우수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1수문유닛과;
    상기 제1수문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제1수문유닛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우수로로 오염물질이 유입시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수문유닛을 작동시켜 상기 우수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도록 스위치가 마련된 제어부와;
    상기 제1수문유닛의 전방측 상기 우수로에 설치되며, 상기 제1수문유닛에 의해 상기 우수의 흐름이 차단시 상기 우수로에 저수된 상기 우수를 우수처리시설로 펌핑하는 제1펌핑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펌핑유닛은
    상기 제1수문유닛의 전방측 상기 우수로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우수가 유입되는 제1유입공간이 마련된 제1배수부재와,
    상기 제1배수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제1유입공간으로 유입되는 상기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제1스크린이 마련된 제1걸름부와,
    상기 제1배수부재 및 우수처리시설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1배출관과,
    상기 제1배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1배수부재 내의 상기 우수를 상기 우수처리시설로 펌핑하는 제1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수문유닛에 의해 상기 우수의 흐름이 차단시 상기 우수가 상기 우수처리시설로 이송되도록 상기 제1펌프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우수로에 설치되어 상기 우수로를 통해 흐르는 우수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1수문유닛과;
    상기 제1수문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제1수문유닛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우수로로 오염물질이 유입시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수문유닛을 작동시켜 상기 우수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도록 스위치가 마련된 제어부와;
    상기 우수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제1수문유닛의 전방측 상기 우수로에 설치되며, 상기 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량을 측정하는 제1오염물질센서부와;
    상기 제1수문유닛에 대해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우수로에 설치되어 상기 우수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2수문유닛과;
    상기 제1 및 제2수문유닛 사이의 상기 우수로에 설치되어 상기 우수로 내의 상기 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량을 측정하는 제2오염물질센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오염물질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오염물질 값을 토대로 상기 우수에 포함된 상기 오염물질량이 기설정된 오염물질량을 초과할 경우, 상기 우수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1수문유닛을 작동시키고, 상기 제2오염물질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오염물질 값을 토대로 상기 우수에 포함된 상기 오염물질량이 기설정된 오염물질량을 초과할 경우, 상기 우수의 흐름이 차단되도록 상기 제2수문유닛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수문유닛 사이의 상기 우수로에 설치되며, 상기 제2수문유닛에 의해 상기 우수의 흐름이 차단시 상기 우수로에 저수된 상기 우수를 우수처리시설로 펌핑하는 제2펌핑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펌핑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수문유닛 사이의 상기 우수로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우수가 유입되는 제2유입공간이 마련된 제2배수부재와,
    상기 제2배수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제2유입공간으로 유입되는 상기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제2스크린이 마련된 제2걸름부와,
    상기 제2배수부재 및 우수처리시설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2배출관과,
    상기 제2배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2배수부재 내의 상기 우수를 상기 우수처리시설로 펌핑하는 제2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수문유닛이 상기 우수의 흐름을 차단시 상기 우수가 상기 우수처리시설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2펌프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


KR1020140021317A 2014-02-24 2014-02-24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 KR101437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317A KR101437109B1 (ko) 2014-02-24 2014-02-24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317A KR101437109B1 (ko) 2014-02-24 2014-02-24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7109B1 true KR101437109B1 (ko) 2014-09-02

Family

ID=51759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317A KR101437109B1 (ko) 2014-02-24 2014-02-24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10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818A (ko) * 2016-11-07 2018-05-16 박종세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
KR101939692B1 (ko) * 2018-04-13 2019-04-08 거야건설 주식회사 박스 하수관용 수문형 물막이 시공방법
KR102081354B1 (ko) * 2018-11-21 2020-02-25 김번영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
KR102186651B1 (ko) 2019-06-26 2020-12-04 울산과학기술원 유해화학물질 화학사고 기준 농도 설정을 통한 유입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049B1 (ko) * 2002-08-02 2004-09-07 코스모스산업 주식회사 우수토실 제어 시스템
KR101074449B1 (ko) * 2011-05-27 2011-10-17 김상국 우수유출저감장치 및 그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049B1 (ko) * 2002-08-02 2004-09-07 코스모스산업 주식회사 우수토실 제어 시스템
KR101074449B1 (ko) * 2011-05-27 2011-10-17 김상국 우수유출저감장치 및 그 구동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818A (ko) * 2016-11-07 2018-05-16 박종세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
KR101939692B1 (ko) * 2018-04-13 2019-04-08 거야건설 주식회사 박스 하수관용 수문형 물막이 시공방법
KR102081354B1 (ko) * 2018-11-21 2020-02-25 김번영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
KR102186651B1 (ko) 2019-06-26 2020-12-04 울산과학기술원 유해화학물질 화학사고 기준 농도 설정을 통한 유입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7109B1 (ko)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
KR100897258B1 (ko)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 처리 장치
KR101441852B1 (ko) 점 오염원과 비점오염원에서 발생 되는 하천수와 빗물에 함유된 각종 쓰레기들과 협잡물들을 완벽하게 처리하여 저장하거나 깨끗하게 정수하는 점 오염원과 비점오염원 처리시스템
KR101191304B1 (ko) 초기우수 분리용 개폐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CN107761900A (zh) 一种带有双翻板闸门的分流井、包括该分流井的排水系统及排水控制方法
KR101332781B1 (ko) 교량 및 우수맨홀 초기우수처리장치
CA2606648A1 (en) Storm drain filter
KR100562168B1 (ko) 초기우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100750461B1 (ko)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
WO2015161339A1 (en) A filtration device for filtering polluted drainage water
KR100750495B1 (ko)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
CN106714927A (zh) 沉积物过滤设备、方法和系统
JP2017094303A (ja) 貯留浄化システム
JPH09209434A (ja) 越流雨水の除塵装置
KR101676378B1 (ko) 하천하상 계류순환 시스템
KR101546784B1 (ko) 역세척과 배수기능을 갖춘 비점오염 저감장치
US20150307162A1 (en) Mobile floating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KR102081354B1 (ko)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
KR101574480B1 (ko) 하천으로 흘러들어오는 빗물 또는 하천수에 함유된 오염물질들과 협잡물들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로 정수하여주는 친환경 수질정화용 가동보 수문 시스템
KR102507157B1 (ko)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수로용 수질정화 시스템
CN207436179U (zh) 一种带有双翻板闸门的分流井及包括该分流井的排水系统
KR20050080009A (ko) 오염된 하천수만을 선별처리 하도록 구성되는 오염물질선별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처리하는하수처리 공법
KR101635966B1 (ko)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생태수로
US20130043171A1 (en) Storm water pollution full capturing system
KR100632438B1 (ko) 우수토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