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0818A -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0818A
KR20180050818A KR1020160147310A KR20160147310A KR20180050818A KR 20180050818 A KR20180050818 A KR 20180050818A KR 1020160147310 A KR1020160147310 A KR 1020160147310A KR 20160147310 A KR20160147310 A KR 20160147310A KR 20180050818 A KR20180050818 A KR 20180050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water level
level regulating
regulating plat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7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세
Original Assignee
박종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세 filed Critical 박종세
Priority to KR1020160147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0818A/ko
Publication of KR20180050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8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28Vertical-lift gates with slid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논둑에 설치되는 다목적 물꼬를 리모콘이나 스마트폰으로 원격 제어하고 물꼬 주변을 원격 모니터링하여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논둑에 설치되어 관로를 형성하며 제1수위 조절판과 제2수위 조절판을 설치하여 논물의 입수 및 출수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는 다목적 물꼬, 다목적 물꼬의 각 수위 조절판에 승하강 또는 회동 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1기어와 제2기어, 및 다목적 물꼬의 주변에 근접하게 설치되며 각 기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명령에 따른 각 기어 작동을 위한 제1기어 구동신호 또는 제2기어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각 기어로 전달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를 제공하여, 다목적 물꼬의 입수 또는 배수 동작을 원격에서 단계적으로 미세 조절할 수 있고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The remote water level control apparatus of a multipurpose drainage device}
본 발명은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논둑에 설치되는 다목적 물꼬의 수위 조절판에 기어를 연결하고 리모콘이나 스마트폰으로 다목적 물꼬의 입수 또는 배수 동작을 원격에서 미세 조절 가능하도록 하며, 카메라와 무선 통신수단 및 태양전지판을 설치하여 다목적 물꼬 주변의 영상 촬영과 무선 전송 및 자체 전력 생산과 공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원격 모니터링 및 상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수위 조절을 위한 물꼬 관리를 편리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한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벼가 성장하는 논에 물을 채우기 위해서는 논물을 입수 또는 배수할 수 있도록 물꼬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물꼬는 수로와 경작지를 연결하여 경작지에 물을 공급 또는 배수하는 역할을 하며, 통상 논둑에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의 물꼬는 대부분 흙으로 된 물꼬가 형성되어 있어서 물꼬 관리시 취급이 번거로우며, 물의 유속이 빠를 경우 물꼬의 일부분이 쉽게 유실될 수 있고, 수동 물꼬 관리로 인해 이앙시기부터 수확시기까지 생육시기별로 물관리에 많은 시간과 노동력을 투입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물꼬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문을 설치한 구조물로 된 물꼬가 개발 및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물로 된 물꼬는 견고하기는 하지만, 설치시 많은 자재를 필요로 하여 상당한 노동력과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고, 설치 후에도 한 장소에 고정된 상태로 사용할 수 밖에 없어 매우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적절한 입수뿐만 아니라 벼의 생육기에 적합한 배수 조절을 용이하게 하여 입수나 배수 기능을 충분치 수행할 수 있고 입수량 또는 배수량의 미세 조절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물꼬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16830호(2009.02.18 공개; 이하 '특허문헌1'이라 약칭함)에는,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1에 의하면, 양측이 개방되어 관로를 형성하는 케이스, 친환경 농법에 사용되는 생물체의 이동을 차단하는 망사 구조를 갖는 거름판, 거름판의 일측으로 케이스 내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다단 회동하는 것에 의해 관로 개방을 조절하는 수위조절판을 포함하여, 논의 물꼬에 설치되어 간편한 조작만으로도 수위 조절을 실시할 수 있고 용이하게 이전 설치할 수 있으며, 논에 방사된 우렁이나 미꾸라지와 같은 생물체의 개체수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6380호(2012.04.06 등록; 이하 '특허문헌2'라 약칭함)에는, 논물 수위조절장치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2에 의하면, 논둑에 설치되며 전방이 개방되고 상부에 눈금이 표시되고 통공이 형성되는 케이스본체, 케이스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논물이 유입되도록 유입구가 형성되는 수위조절통, 수위조절통의 후방에 연결되어 수위조절통을 통해 유입된 논물이 배수되며 일측에 자바라 형태의 주름부가 형성되는 배수관, 수위조절통과 케이스본체에 연결되어 길이 조절에 따라 수위조절통의 경사 각도를 가변시키는 길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논에 담겨진 물을 농수로나 인접한 논에 배수시킬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리모콘이나 스마트폰 등으로 물꼬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없으므로 원격 모니터링 등이 불가능하여 물꼬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KR 10-2009-0016830 A 2009.02.18. 공개 KR 10-1136380 B1 2012.04.06.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논둑에 설치되는 다목적 물꼬의 수위 조절판에 기어를 연결하고 리모콘이나 스마트폰으로 기어를 제어하여 다목적 물꼬의 입수 또는 배수 동작을 원격에서 단계적으로 미세 조절 가능하도록 하며, 카메라와 무선 통신수단을 설치하여 주변 영상을 촬영 및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하고, 아울러 태양전지판을 설치하여 자체적인 전력 생산과 공급으로 상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논둑에 설치되며 관로를 형성하는 몸체부의 일측 개방단에 승하강 가능하게 제1수위 조절판을 설치하여 논물의 입수를 조절하고 몸체부의 바닥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으로 제2수위조절판을 설치하여 논물의 출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다목적 물꼬, 다목적 물꼬의 각 수위 조절판에 종동축을 통해 직접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각 수위 조절판과 일대일 대응되게 설치되며 기어 구동신호에 따른 회전 동작을 통해 각 수위 조절판에 승하강 또는 회동 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1기어와 제2기어, 및 다목적 물꼬의 주변에 근접하게 설치되며 각 기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명령에 따른 각 기어 작동을 위한 제1기어 구동신호 또는 제2기어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각 기어로 전달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이다.
본 발명에서 다목적 물꼬는 몸체부의 일측 개방단의 상판에 제1수위 조절판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는 승강 안내홀이 형성되고 제1수위 조절판의 하강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상부 스토퍼가 제1수위 조절판의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제1기어가 동력 전달 가능하게 톱니 결합될 수 있는 기어 연결부재가 제1수위 조절판의 몸체 상측으로 돌출되게 연설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다목적 물꼬는 제1수위 조절판의 후면에 지지력 보강을 위한 다수 개의 수직 보강대와 수평 보강대가 격자형으로 부착되어 설치되며, 각 수직 보강대의 끼움 결합 및 승강 안내를 위한 다수의 보강대 안내홀이 승강 안내홀에 연설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2수위 조절판은 몸체부의 바닥면에 일측 단부가 힌지 결합으로 고정되고 다른측 단부는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자유단으로 형성되되 몸체부의 상판에 일정 높이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트립부재에 의해 그 회동 각도가 미세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스트립부재는 몸체부의 상판에 관통홀을 형성하여 그 홀을 관통하여 상부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되 몸체부의 상판 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휠에 의해 그 휠의 둘레에 형성된 톱니와 맞물려 승강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스트립부재는 구동휠과 대응되는 몸체의 일면에 구동휠의 둘레에 형성된 톱니와 맞물림 가능한 다수의 스트립 돌기가 형성되되 상단부에서 하단부의 일정 높이 이격되는 위치까지 형성되고, 몸체의 하단부에는 제2수위 조절판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핀이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제2수위 조절판은 그 상면 중앙에 스트립부재의 하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스트립 고정구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나란히 배치되어 설치되고, 스트립 고정구에는 스트립부재의 결합핀을 끼움 결합한 상태에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하는 이동 안내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구동휠은 일측 단부에 손잡이부가 구비되고, 몸체부의 상판 위에 장착된 구동휠 지지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양단이 거치되어 지지되며, 다른측 단부에 구동휠의 탄성적인 회전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상태로 와셔가 조립되어 구동휠 지지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다목적 물꼬는 몸체부의 개방단 일측 또는 양측에 관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관로 연장부재가 추가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어장치는 다목적 물꼬의 주변에 근접하게 설치되며 외부의 원격 제어기 또는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통신기기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설정신호를 무선 수신하여 주제어부로 전달하는 원격 수신부, 다목적 물꼬 및 그의 주변영상 촬영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다목적 물꼬 및 그 주변영상을 실시간 촬영하여 기록하고 주제어부로 전달하는 영상 촬영 및 기록부, 원격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설정신호에 따라 각 기어의 동작을 선택 제어하기 위한 제1기어 구동신호 또는 제2기어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각 기어 구동부로 전달하고 그에 따른 각 기어의 상태 정보와 영상신호의 무선 전송을 제어하는 주제어부, 및 각 기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 설정신호에 따라 주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제1기어 구동신호 또는 제2기어 구동신호로 각 기어의 원동축 회전동작을 각각 직접 구동하는 제1기어 구동부 및 제2기어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어장치는 주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외부 통신기기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영상 촬영 및 기록부에 의한 영상정보와 각 기어의 상태 정보를 무선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어장치는 태양광선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전력을 생산 및 저장하고 다목적 물꼬에 설치되는 각 부하에 직류 또는 교류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발전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태양광 발전부는 다수의 태양전지 모듈로 이루어지며 태양광선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전선을 통해 충방전 제어부로 전달하는 쏠라 셀, 쏠라 셀에서 변환된 직류 전원을 배터리에 충전하거나 배터리에 저장된 직류 전원의 방전을 제어하는 충방전 제어부, 충방전 제어부에서 유입되는 직류 전원을 저장하며 각 부하에 직류 동작 전원을 직접 공급하고 인버터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배터리에 충전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하나 이상의 부하에 교류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인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성 물꼬에 의하면, 논둑에 설치되는 다목적 물꼬에 태양전지판을 설치하여 자체적인 전력 생산과 공급으로 상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고 카메라와 무선 통신으로 영상을 촬영하고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거리에서도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하며, 다목적 물꼬의 수위 조절판을 전기적으로 승강 작동시키는 기어를 설치하고 리모콘이나 스마트폰으로 기어의 동작을 원격 제어하여 다목적 물꼬의 급수 또는 배수 동작을 원격에서 편리하면서도 단계적으로 미세 조절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의 구성 예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의 구성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의 구성 예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의 구성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는 다목적 물꼬(100), 제1기어(210)와 제2기어(220), 및 제어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에서 제2수위 조절판(130)의 회동 조절을 위한 제2기어(220)는 구동휠(150)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도록 손잡이부(152)의 일측에 축결합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제2기어(220)는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52)의 둘레에 톱니를 형성하고 그 톱니와 맞물려 회전하는 동작에 의해 직접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톱니를 구성하고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목적 물꼬(100)는 몸체부(110), 제1수위 조절판(120), 및 제2수위 조절판(130)을 포함하여, 논물의 입수 또는 출수를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구성된다.
몸체부(110)는 논둑에 설치되며, 육면체 또는 원통형 몸체, 또는 이들이 결합된 형상으로 구성되고, 몸체의 양단부가 개방되어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논물의 입수 또는 배수를 위한 관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몸체부(110)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서 나사 결합 또는 접착제 결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육면체인 경우 상판(110a)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형성하여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수위 조절 여부를 관찰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1수위 조절판(120)은 몸체부(110)의 일측 개방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승강 동작에 의해 관로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여 논물의 입수량을 미세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제1수위 조절판(120)의 높이 조절을 위해서, 몸체부(110)의 일측 개방단의 상판(110a)에는 제1수위 조절판(120)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는 승강 안내홀(111)이 형성되고, 제1수위 조절판(120)의 상단부에는 승강 안내홀(111)에 끼움 결합시 제1수위 조절판(120)의 하강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상부 스토퍼(121)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제1수위 조절판(120)으로 제1기어(210)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서, 제1수위 조절판(120)의 몸체 상부에는 제1기어(210)의 종동축이 동력 전달 가능하게 톱니 결합될 수 있는 기어 연결부재(123)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연설되고 이에 대응하여 기어 연결부재(123)의 일면에는 제1기어(210)의 종동축 톱니와 맞물림 결합될 수 있는 스트립 돌기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제1수위 조절판(120)은 승강 안내홀(111)을 통한 승강 동작시 제1수위 조절판(120)의 지지력 보강을 위한 다수 개의 수직 보강대(122a)와 수평 보강대(122b)가 제1수위 조절판(120)의 후면에 격자형으로 부착되어 설치되며, 이에 대응하여 승강 안내홀(111)에는 제1수위 조절판(120)의 승강 이동시 각 수직 보강대(122a)의 끼움 결합 및 승강 안내를 위한 다수의 보강대 안내홀(111a)이 연설되어 형성된다.
제2수위 조절판(130)은 몸체부(110)의 바닥면인 하판(110b)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설치되며,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몸체 내부에서의 회동 각도에 의해 관로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여 논물의 출수량을 미세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제2수위 조절판(130)은 일측 단부가 힌지 결합으로 몸체부(110)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다른측 단부는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도록 자유단으로 형성되되 몸체부(110)의 상판(110a)에 일정 높이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트립부재(140)에 의해 그 회동 각도가 미세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스트립부재(140)는 제2수위 조절판(130)의 회동수단으로서, 몸체부(110) 상판(110a)의 구동휠 지지구(151) 내측에 형성되는 스트립 관통홀(도면에는 미도시됨)을 통해 몸체부(110)의 상판(110a) 상부로 일측 단부가 노출되게 설치되며, 스트립 관통홀이 형성된 몸체부(110)의 상판(110a) 위에는 구동휠 지지구(151)가 장착되고 스트립부재(140)의 스트립 돌기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휠(150)이 설치된다.
따라서 제2수위 조절판(130)의 회동수단인 스트립부재(140)는 그 스트립 관통홀을 관통하여 구동휠 지지구(151)의 내측에서 상부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몸체부(110)의 상판(110a) 위의 구동휠 지지구(15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휠(150)에 의해 그 휠의 둘레에 형성된 톱니와 맞물려 승강할 수 있게 설치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스트립부재(140)는 구동휠(150)과 대응되는 몸체의 일면에 구동휠(150)의 둘레에 형성된 톱니와 맞물림 가능한 다수의 스트립돌기(141)가 형성되며, 그 단부에는 제2수위 조절판(13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핀(142)이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몸체의 하측 단부가 일측으로 절곡되어 결합핀(142)의 일방향(예를 들면 후방) 슬라이딩 동작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스트립돌기(141)는 스트립부재(140)의 몸체 상단부에서 하단부의 일정 높이 이격되는 위치까지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제2수위 조절판(130)의 상면 중앙에는 스트립부재(140)의 하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스트립 고정구(131)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나란히 배치되어 설치되고, 스트립 고정구(131)에는 스트립부재(140)의 결합핀(142)을 끼움 결합한 상태에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하는 이동 안내홀(131a)이 형성된다.
구동휠(150)은 몸체부(110)의 상판(110a) 위에 장착된 구동휠 지지구(15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양단이 거치되어 지지되며, 일측 단부에는 손잡이부(152)가 구비되고, 다른측 단부에는 구동휠(150)의 탄성적인 회전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탄성부재(153)가 삽입되며, 와셔(154)에 의해 조립되어 구동휠 지지구(151)에 고정된다.
한편, 이와 같은 제2수위 조절판(130)과 스트립 부재(140) 및 구동휠(150)로 구성되는 수위 조절수단은 실시 예의 한 형태를 예시한 것이 불과하며, 이러한 수위 조절수단은 다양하게 변형된 형태로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스트립 부재의 양면에 스트립돌기를 각각 형성하고 2조의 구동휠 사이에 스트립 부재를 통과하게 하는 구성 등으로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구동휠 지지구나 손잡이부의 요소들은 생략 가능하거나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목적 물꼬(100)는 논둑의 너비가 넓을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몸체부(110)의 개방단 일측(전방 또는 후방) 또는 양측(전방과 후방)에 관로의 전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관로 연장부재(160)가 추가로 부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로 연장부재(160)는 원통 관로가 일체로 연결된 결합판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원통 관로의 길이를 조정하여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관로 연장부재(160)에서 원통 관로와 결합판의 결합부는 실리콘 실링 등으로 긴밀하게 마감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1기어(210)는 정, 역회전하는 원동축과, 원동축의 회전속도를 감속비에 따라 감속시키는 종동축으로 구성되며, 다목적 물꼬(100)의 제1수위 조절판(120)에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제1수위 조절판(120)과 일대일 대응되게 설치되되 제1수위 조절판(120)의 상단부 일측에 상부로 돌출되게 연설된 기어 연결부재(123)에 종동축을 통해 직접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어장치(300)의 제1기어 구동신호에 따라 원동축을 정,역회전 구동시키고 종동축을 통해 제1수위 조절판(120)의 승하강 운동을 위한 동력을 기어연결부재(123)의 스트립 돌기에 전달한다.
제2기어(220)는 정,역회전하는 원동축과, 원동축의 회전속도를 감속비에 따라 감속시키는 종동축으로 구성되며, 다목적 물꼬(100)의 제2수위 조절판(130)에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제2수위 조절판(130)과 일대일 대응되게 설치되되 제2수위 조절판(130)의 회동 수단인 스트립부재(140)와 맞물려 작동하는 구동휠(150)에 종동축을 통해 직접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어장치(300)의 제2기어 구동신호에 따라 원동축을 정, 역회전 구동시키고 종동축을 통해 제2수위 조절판(130)의 회동 운동을 위한 동력을 구동휠(150), 스트립부재(140)에 차례로 전달한다. 이를 위하여 제2기어(220)는 도 2에 실선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구동휠(150)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도록 손잡이부(152)의 바깥측에서 수직하게 축결합되되 구동휠(150)의 회전축과 일직선상으로 축결합되어 설치되거나, 또는 도 2에 점선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52)의 둘레에 형성된 톱니와 종동축의 톱니가 면접촉되면서 서로 맞물려 회전하도록 손잡이부(152) 둘레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장치(300)는 영상 촬영 및 기록수단을 구비하여 주변 영상을 상시 촬영하여 기록 및 전송하면서 외부의 원격 제어기(410) 또는 통신기기(420)에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여 그에 따라 각 기어(210,220)의 원동축을 정,역회전 작동시키는 제1기어 구동신호 또는 제2기어 구동신호를 생성하고, 각 기어(210,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기어 구동신호 또는 제2기어 구동신호를 각 기어(210,220)로 직접 전달한다. 여기서 제1기어 구동신호 및 제2기어 구동신호 각각은 각 기어(210,220)의 원동축을 정회전 작동시키는 신호와 역회전 작동시키는 신호로 각각 구별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기어(210)의 원동축이 정회전 작동하는 경우 제1수위 조절판이 상승 동작하고 역회전 작동하는 경우 제1수위 조절판이 하강 동작하도록 설치되며, 제2기어(220)의 원동축이 정회전 작동하는 경우 제2수위 조절판이 하강동작하고 역회전 작동하는 경우 제2수위 조절판이 상승 동작하도록 설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러한 제어장치(300)는 자체 발전수단을 구비하여 제어장치 및 다목적 물꼬의 각 부하에서 필요로 하는 직류 또는 교류의 동작 전원을 상시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어장치(300)는 다목적 물꼬(100)에 근접하게 설치되되 그 주변의 영상 촬영이 가능하면서도 빗물 등에 의한 침수 또는 누전 방지를 위해 다목적 물꼬(100)의 몸체와 분리되고 지지대 또는 거치대 등을 이용하여 지면으로부터 상부로 일정 높이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지그비 또는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 등의 외부 통신기기(420), 또는 적외선 송신이 가능한 적외선 송신기 등과 같은 원격 제어기(410) 등에서 송출되는 전파의 수신과 송신 및 태양광의 입사에 방해를 받지 않는 장소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어장치(300)는 원격 수신부(310), 영상 촬영 및 기록부(320), 주제어부(330), 제1기어 구동부(340a) 및 제2기어 구동부(34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무선 통신부(350) 및 태양광 발전부(3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원격 수신부(310)는 다목적 물꼬(100)의 주변에 근접하게 설치되며, 외부의 원격 제어기(410) 또는 지그비 또는 블루투스 등으로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통신기기(42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설정신호를 무선 수신하여 주제어부(330)로 전달한다.
영상 촬영 및 기록부(320)는 다목적 물꼬(100) 및 그의 주변영상 촬영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다목적 물꼬(100) 및 그 주변영상을 실시간 촬영하여 기록하고 주제어부(330)로 전달한다.
주제어부(330)는 원격 수신부(31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설정신호에 따라 각 기어(210,220)의 동작을 선택 제어하기 위한 제1기어 구동신호 또는 제2기어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각 기어 구동부(340a,340b)로 전달하고, 제1기어 구동신호 또는 제2기어 구동신호에 따른 각 기어의 구동 상태정보를 저장하며, 그에 따른 각 기어의 상태 정보와 영상 신호의 무선 전송을 제어한다.
제1기어 구동부(340a)는 제1기어(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 설정신호에 따라 주제어부(330)에서 전달되는 제1기어 구동신호로 제1기어(210)의 원동축 회전동작을 직접 구동한다. 제2기어 구동부(340b)는 제2기어(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 설정신호에 따라 주제어부(330)에서 전달되는 제2기어 구동신호로 제2기어(220)의 원동축 회전동작을 직접 구동한다.
무선 통신부(350)는 주제어부(330)에 의해 제어되어 미리 지정된 URL의 서버 또는 외부 통신기기(420)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영상 촬영 및 기록부(320)에 의한 영상정보와 각 기어의 상태 정보를 무선 전송한다.
태양광 발전부(360)는 태양광선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전력을 자체 생산 및 저장하고, 제어장치(300) 또는 다목적 물꼬(100)에 설치되는 각 부하에 직류 또는 교류의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부(360)는 쏠라 셀(361), 충방전 제어부(362), 배터리(363), 및 인버터(36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쏠라 셀(361)은 다수의 태양전지 모듈로 이루어지며 태양광선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전선을 통해 충방전 제어부(362)로 전달한다.
충방전 제어부(362)는 쏠라 셀(361)에서 변환된 직류 전원을 배터리(363)에 충전하거나 배터리(363)에 저장된 직류 전원의 방전을 제어한다. 이러한 충방전 제어부(362)는 태양광에서 발전된 전기에너지가 배터리(363)에 안전하게 충전되도록 제어하면서 배터리(363)에 저장된 전기에너지의 방전시 과방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어하여 배터리(363c)의 손상을 방지한다.
배터리(363)는 충방전 제어부(362)에서 유입되는 직류 전원을 저장하며, 각 부하에 직류 동작 전원을 직접 공급하고 인버터(364)에 직류 전원을 공급한다.
인버터(364)는 배터리(363)에 충전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각 기어의 원동축 등과 같이 회전 제어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부하에 교류의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의 상세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태양광 발전부(360)에서 태양광선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전력을 생산 및 저장하면서 배터리(363)와 인버터(364)를 통해 제어장치(300) 및 다목적 물꼬(100)의 각 부하로 직류 또는 교류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제어장치(300)의 주제어부(330)는 영상 촬영 및 기록부(320)를 통해 다목적 물꼬(100)의 주변 영상을 실시간 촬영하여 기록하면서 기저장된 각 기어의 상태 정보를 촬영된 실시간 주변 영상 정보와 함께 미리 지정된 URL의 서버 또는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외부 통신기기(420)로 무선 전송한다.
따라서 미리 지정된 URL의 서버 또는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외부 통신기기(420)의 관리자는 상기 전송된 각 기어의 상태 정보와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논둑에 설치된 다목적 물꼬(100)에서 제1수위 조절판(120) 및 제2수위 조절판(130)에 의해 현재 관리되고 있는 논물의 입수 또는 출수 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후, 미리 지정된 URL의 서버 또는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외부 통신기기(420)의 관리자가 해당 다목적 물꼬(100)를 이용하여 논물을 관리하고자, 외부의 원격 제어기(410) 또는 통신기기(420)를 통해 논물의 입수 또는 출수 명령을 입력하게 되면, 제어장치(300)의 원격 수신부(310) 또는 무선 통신부(350)가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여 주제어부(330)로 전달하며, 주제어부(330)에서는 그에 따라 해당 기어의 정,역회전 작동을 위한 제1기어 구동신호 또는 제2기어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각 기어 구동부(340a 또는 340b)를 통해 해당 기어(210 또는 220)로 직접 전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주제어부(330)에서 제1기어(210)의 정회전 작동을 위한 제1기어 구동신호를 생성하게 되면 제1기어(210)가 정회전 동작하면서 기어 연결부재(123)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되며, 반대로 주제어부(330)에서 제1기어의 역회전 작동을 위한 제1기어 구동신호를 생성하게 되면 제1기어(210)가 역회전 동작하면서 기어 연결부재(123)를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어 연결부재(123)에 연결된 제1수위 조절판(120)이 몸체부(110)의 상판(110a)에 형성된 승강 안내홀(111)을 통해 상부로 상승하거나 하강 가능하게 되며, 이러한 승강 동작에 의해 관로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여 논물의 입수량을 원격으로 미세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수위 조절판(120)이 승강 안내홀(111)에 끼움 결합되어 그 최하단부로 하강하게 되는 경우 상부 스토퍼(121)가 제1수위 조절판(120)의 하강 동작을 제한하게 되면서 더 이상의 하강 동작이 멈추게 되며, 아울러 이러한 제1수위 조절판(120)은 그 후면에 격자형의 배치된 다수의 수직 보강대(122a)와 수평 보강대(122b)가 설치되어 있게 되므로, 관로의 전방에서 후방쪽으로 가해지는 수압에도 견고하게 견딜 수 있게 된다.
한편, 주제어부(330)에서 제2기어(220)의 역회전 작동을 위한 제2기어 구동신호를 생성하게 되면 제2기어(220) 및 구동휠(150)이 역회전 동작하게 되면서 구동휠(150)과 맞물려 있는 스트립부재(140)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되며, 반대로 주제어부(330)에서 제2기어의 정회전 작동을 위한 제2기어 구동신호를 생성하게 되면 제2기어(220) 및 구동휠(150)이 정회전 동작하면서 구동휠(150)과 맞물려 있는 스트립부재(140)를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스트립부재(140)의 하단부는 결합핀(142)의 후방측 슬라이딩 동작이 용이하도록 일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제2수위 조절판(130)의 상면 중앙에 설치된 스트립 고정구(131)에 결합핀(14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결합핀(142)은 스트립 고정구(131)의 이동 안내홀(131a)에 의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어 있고, 아울러 제2수위 조절판(130)은 그 일측 단부가 몸체부(110)의 바닥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게 되므로, 구동휠(150)의 역회전 동작에 의해 스트립부재(140)가 구동휠(150)과 맞물려 상부쪽으로 당겨지게 되면 스트립 고정구(131)의 이동 안내홀(131a)에 끼움 결합된 스트립부재(140)의 결합핀(142)이 이동 안내홀(131a)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하게 되면서 제2수위 조절판(130)의 자유단 측이 바닥면에서 상부쪽으로 상승하게 되며, 반대로 구동휠(150)의 정회전 동작에 의해 스트립부재(140)가 구동휠(150)과 맞물려 하부쪽으로 밀리게 되면 스트립 고정구(131)의 이동 안내홀(131a)에 끼움 결합된 스트립부재(140)의 결합핀(142)이 이동 안내홀(131a)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하게 되면서 제2수위 조절판(130)의 자유단이 바닥면쪽으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스트립부재(140)가 상승 동작하는 경우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제2수위 조절판(130)의 회동 각도가 증가하게 되어 관로의 개방량을 감소시키고, 스트립부재(140)가 하강 동작하는 경우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제2수위 조절판(130)의 회동 각도가 감소하게 되어 관로의 개방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스트립부재(140)의 승강 동작에 의해 제2수위 조절판(130)에 의한 관로 개방량을 조절하여 논물의 출수량을 원격으로 미세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논둑에 설치되는 다목적 물꼬의 수위 조절판에 기어를 연결하고 리모콘이나 스마트폰으로 기어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게 되므로, 다목적 물꼬의 입수 또는 배수 동작을 원격에서 단계적 및 미세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물꼬를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와 무선 통신수단을 설치하여 다목적 물꼬 주변의 영상을 촬영 및 기록하고 무선 전송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태양전지판을 설치하여 자체적인 전력 생산과 공급이 가능하게 되므로 상시 동작이 가능하게 하여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을 통해 다목적 물꼬 관리 및 그에 의한 논물의 수위 조절을 편리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다목적 물꼬 110 : 몸체부
110a : 상판 110b : 하판
111 : 승강 안내홀 111a : 보강대 안내홀
120 : 제1수위 조절판 121 : 상부 스토퍼
122a : 수직 보강대 122b : 수평 보강대
123 : 기어 연결부재 130 : 제2수위 조절판
131 : 스트립 고정구 131a : 이동 안내홀
140 : 스트립부재 141 : 스트립돌기
142 : 결합핀 150 : 구동휠
151 : 구동휠 지지구 152 : 손잡이부
153 : 탄성부재 154 : 와셔
210,220 : 기어 300 : 제어장치
310 : 원격 수신부 320 : 영상 촬영 및 기록부
330 : 주제어부 340a,340b : 기어 구동부
350 : 무선 통신부 360 : 태양광 발전부
361 : 솔라 쎌 362 : 충방전 제어부
363 : 배터리 364 : 인버터
410 : 원격 제어기 420 : 통신기기

Claims (12)

  1. 논둑에 설치되며 몸체의 양단부가 개방되어 관로를 형성하는 몸체부(110)와, 몸체부(110)의 일측 개방단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논물의 입수를 조절하는 제1수위 조절판(120)과, 몸체부(110)의 바닥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논물의 출수를 조절하는 제2수위 조절판(130)을 포함하여, 논물의 입수 또는 출수를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는 다목적 물꼬(100);
    상기 다목적 물꼬(100)의 각 수위 조절판(120,130)에 종동축을 통해 직접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각 수위 조절판(120,130)과 일대일 대응되게 설치되며, 기어 구동신호에 따른 회전 동작을 통해 상기 각 수위 조절판(120,130)에 승하강 또는 회동 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1기어(210) 및 제2기어(220); 및
    상기 다목적 물꼬(100)의 주변에 근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각 기어(210,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명령에 따른 상기 각 기어(210,220)의 작동을 위한 제1기어 구동신호 또는 제2기어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각 기어(210,220)로 전달하는 제어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 물꼬(100)는,
    상기 제1수위 조절판(120)의 높이 조절을 위해 몸체부(110)의 일측 개방단의 상판(110a)에 상기 제1수위 조절판(120)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는 승강 안내홀(1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위 조절판(120)의 상단부에는 상기 승강 안내홀(111)에 끼움 결합시 제1수위 조절판(120)의 하강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상부 스토퍼(121)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수위 조절판(120)의 몸체 상부에는 제1기어(210)가 동력 전달 가능하게 톱니 결합될 수 있는 기어 연결부재(123)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연설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 물꼬(100)는,
    상기 승강 안내홀(111)을 통한 승강 동작시 제1수위 조절판(120)의 지지력 보강을 위한 다수 개의 수직 보강대(122a)와 수평 보강대(122b)가 제1수위 조절판(120)의 후면에 격자형으로 부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1수위 조절판(120)의 승강 이동시 상기 각 수직 보강대(122a)의 끼움 결합 및 승강 안내를 위한 다수의 보강대 안내홀(111a)이 승강 안내홀(111)에 연설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위 조절판(130)은,
    몸체부(110)의 바닥면에 일측 단부가 힌지 결합으로 고정되고 다른측 단부는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자유단으로 형성되되 몸체부(110)의 상판(110a)에 일정 높이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트립부재(140)에 의해 그 회동 각도가 미세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부재(140)는,
    몸체부(110)의 상판(110a)에 관통홀을 형성하여 그 홀을 관통하여 상부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되, 몸체부(110)의 상판(110a) 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휠(150)에 의해 그 휠의 둘레에 형성된 톱니와 맞물려 승강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부재(140)는 상기 구동휠(150)과 대응되는 몸체의 일면에 구동휠(150)의 둘레에 형성된 톱니와 맞물림 가능한 다수의 스트립 돌기(141)가 형성되되 상단부에서 하단부의 일정 높이 이격되는 위치까지 형성되고, 몸체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2수위 조절판(13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핀(142)이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수위 조절판(130)은 그 상면 중앙에 상기 스트립부재(140)의 하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스트립 고정구(131)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나란히 배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스트립 고정구(131)에는 스트립부재(140)의 결합핀(142)을 끼움 결합한 상태에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하는 이동 안내홀(13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150)은,
    일측 단부에는 손잡이부(152)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110)의 상판(110a) 위에 장착된 구동휠 지지구(15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양단이 거치되어 지지되며, 다른측 단부에는 구동휠(150)의 탄성적인 회전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탄성부재(153)가 삽입되는 상태로 와셔(154)가 조립되어 구동휠 지지구(15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 물꼬(100)는,
    상기 몸체부(110)의 개방단 일측 또는 양측에 관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관로 연장부재(160)가 추가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300)는,
    다목적 물꼬(100)의 주변에 근접하게 설치되며, 외부의 원격 제어기(410) 또는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통신기기(42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설정신호를 무선 수신하여 주제어부(330)로 전달하는 원격 수신부(310);
    다목적 물꼬(100) 및 그의 주변영상 촬영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다목적 물꼬(100) 및 그 주변영상을 실시간 촬영하여 기록하고 주제어부(330)로 전달하는 영상 촬영 및 기록부(320);
    상기 원격 수신부(31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설정신호에 따라 각 기어(210,220)의 동작을 선택 제어하기 위한 제1기어 구동신호 또는 제2기어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각 기어 구동부(340a,340b)로 전달하고, 그에 따른 각 기어의 상태 정보와 영상신호의 무선 전송을 제어하는 주제어부(330); 및
    상기 각 기어(210,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 설정신호에 따라 상기 주제어부(330)에서 전달되는 제1기어 구동신호 또는 제2기어 구동신호로 상기 각 기어(210,220)의 원동축 회전동작을 각각 직접 구동하는 제1기어 구동부(340a) 및 제2기어 구동부(34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300)는,
    상기 주제어부(330)에 의해 제어되어 외부 통신기기(420)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영상 촬영 및 기록부(320)에 의한 영상정보와 각 기어의 상태 정보를 무선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3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300)는,
    태양광선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전력을 생산 및 저장하고, 다목적 물꼬(100)에 설치되는 각 부하에 직류 또는 교류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발전부(3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부(360)는,
    다수의 태양전지 모듈로 이루어지며 태양광선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전선을 통해 충방전 제어부(362)로 전달하는 쏠라 셀(361);
    상기 쏠라 셀(361)에서 변환된 직류 전원을 배터리(363)에 충전하거나 배터리(363)에 저장된 직류 전원의 방전을 제어하는 충방전 제어부(362);
    상기 충방전 제어부(362)에서 유입되는 직류 전원을 저장하며, 각 부하에 직류 동작 전원을 직접 공급하고 인버터(364)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63); 및
    상기 배터리(363)에 충전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하나 이상의 부하에 교류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인버터(36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
KR1020160147310A 2016-11-07 2016-11-07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 KR201800508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310A KR20180050818A (ko) 2016-11-07 2016-11-07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310A KR20180050818A (ko) 2016-11-07 2016-11-07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818A true KR20180050818A (ko) 2018-05-16

Family

ID=62451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7310A KR20180050818A (ko) 2016-11-07 2016-11-07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08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79133A (zh) * 2019-08-30 2019-10-25 中国农业科学院农田灌溉研究所 一种圩垸区涝灾预警装置
CN116289799A (zh) * 2023-04-20 2023-06-23 南水北调江苏泵站技术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用便于调节水流量的闸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1530A (ko) * 1998-07-10 2000-02-25 프리돌린 클라우스너, 롤란드 비. 보레르 디,엘-알파-토코페롤의제조방법
KR200301502Y1 (ko) * 1996-11-13 2003-04-18 한상관 수문의개폐장치
JP2004173378A (ja) * 2002-11-19 2004-06-17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農舎における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100472081B1 (ko) * 2003-06-13 2005-03-14 안종율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KR100848186B1 (ko) * 2007-10-05 2008-07-28 김상현 무언체 전도 수문
KR101437109B1 (ko) * 2014-02-24 2014-09-02 김번영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1502Y1 (ko) * 1996-11-13 2003-04-18 한상관 수문의개폐장치
KR20000011530A (ko) * 1998-07-10 2000-02-25 프리돌린 클라우스너, 롤란드 비. 보레르 디,엘-알파-토코페롤의제조방법
JP2004173378A (ja) * 2002-11-19 2004-06-17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農舎における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100472081B1 (ko) * 2003-06-13 2005-03-14 안종율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KR100848186B1 (ko) * 2007-10-05 2008-07-28 김상현 무언체 전도 수문
KR101437109B1 (ko) * 2014-02-24 2014-09-02 김번영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79133A (zh) * 2019-08-30 2019-10-25 中国农业科学院农田灌溉研究所 一种圩垸区涝灾预警装置
CN116289799A (zh) * 2023-04-20 2023-06-23 南水北调江苏泵站技术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用便于调节水流量的闸门
CN116289799B (zh) * 2023-04-20 2023-11-03 南水北调江苏泵站技术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用便于调节水流量的闸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0818A (ko)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
CN209608772U (zh) 一种多功能太阳能供电4g传输的工程用无线监控装置
CN204119126U (zh) 自适应便携式太阳能光伏供电系统
CN117348453A (zh) 一种基于光伏板的智能阳台控制装置、系统和方法
KR101847244B1 (ko) 블라인드 착탈식 전동 개폐 장치
CN203490538U (zh) 太阳能电池板跟踪装置
KR20200071810A (ko) 딥러닝을 이용한 벼농사 물 관리 스마트팜 IoT 시스템
CN213576349U (zh) 一种海洋牧场监测装置
CN108233841A (zh) 一种组装便捷的光伏发电系统
CN106285442A (zh) 智能化建筑遮阳系统
CN107948492B (zh) 一种视频监控系统
CN203873504U (zh) 太阳能电源红外模块遥控和光控窗帘
CN110481372A (zh) 一种新能源汽车用充电桩
CN203538560U (zh) 自动太阳伞
CN208028833U (zh) 一种智能追日系统
CN206888892U (zh) 一种太阳能发电窗帘
CN109765941A (zh) 田间水位控制装置
CN206743976U (zh) 基于app智能控制的阳台种菜系统
CN218970772U (zh) 一种野外远程控制遮雨棚
CN205793053U (zh) 管道机器人及管道视频信号采集传输装置
CN109660185A (zh) 一种水利工程用风光互补型充电桩装置
KR102543724B1 (ko) 농경지 배수 조절 시스템
CN220421734U (zh) 一种屋顶太阳能发电装置
CN216477063U (zh) 一种可自动化控制的百叶窗装置
CN212992481U (zh) 一种节能型轨道式农业监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