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502Y1 - 수문의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수문의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1502Y1
KR200301502Y1 KR2019960040182U KR19960040182U KR200301502Y1 KR 200301502 Y1 KR200301502 Y1 KR 200301502Y1 KR 2019960040182 U KR2019960040182 U KR 2019960040182U KR 19960040182 U KR19960040182 U KR 19960040182U KR 200301502 Y1 KR200301502 Y1 KR 2003015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gate
pinion
feed shaft
flood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01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5958U (ko
Inventor
한상관
Original Assignee
한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관 filed Critical 한상관
Priority to KR20199600401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1502Y1/ko
Publication of KR9700059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9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15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15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04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with auxiliary non-electric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문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문을 개폐시키는 구성을 기계적으로 간단히 구성하여 종래의 수문의 고장원인을 보완하므로써 홍수시와 같은 긴급한 상황시 전기나 엔진의 힘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의 힘을 빌리지 않고 수동으로도 수문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수문의 배면 중앙 소정의 위치에 힌지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힌지브라켓에는 일측면에 랙크가 형성된 이송축의 한쪽 끝부분이 회동되게 결합되며, 상기 이송축의 다른쪽 끝부분은 상기 받침대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하여 관통된 후 랙크가 받침대의 저면에 설치되는 구동장치상의 피니언의 치형과 맞물리도록 결합되는 한편, 상기 피니언이 결합된 구동장치의 축에는 상기 이송축의 랙크가 피니언과 맞물려 상하이동될 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지지대가 설치되며, 상기 이탈방지지지대에는 이송축상의 랙크가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롤러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수문을 개폐시키는 구성을 기계적으로 간단히 구성하여 종래의 유압식 수문의 고장원인을 보완하므로써 수문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되며, 또한, 홍수시와 같은 긴급한 상황이나 정전시 용이하게 수문을 개폐할 수 있게된다.

Description

수문의 개폐장치
본 고안은 수문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문을 개폐시키는 구성을 기계적으로 간단히 구성하여 전기나 유압의 힘을 빌리지 않고 수동으로도 수문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수문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문은 저장수의 수위를 조절하여 홍수시와 같은 천재지변에 대비해야 하는 것이므로 고장의 배제를 위해 수시로 점검해야 하며, 이러한 수문에는 전기 또는 엔진의 힘에 의해 유압으로 수로를 개폐시키는 방식의 유압식 수문이 주종을 이루었다.
상기한 종래의 유압식 수문중 길이가 긴 수문의 경우에 , 여러개의 피스톤이 필요했고 이 피스톤의 설치높이에 약간의 오차가 있을 경우 유압피스톤에 일정한 유압이 전달되지 못하여 수문이 뒤틀려 고장의 원인이 되기도 하여 수문의 수명이 단축된다는 등의 문제점이 생기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장이 홍수시와 같은 상황에서 발생될 경우 수문을 조절하여 주지 못할 경우 엄청난 피해를 초래하여야만 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수문을 개폐시키는 구성을 기계적으로 간단히 구성하여 종래의 수문의 고장원인을 보완하므로써 홍수시와 같은 긴급한 상황시 전기나 엔진의 힘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의 힘을 빌리지 않고 수동으로도 수문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수문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문의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문의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문 12 : 받침대
14 : 힌지브라켓 15 : 이송축
15a : 랙크 16 : 구동장치
17 : 피니언 18 : 이탈방지지대
19 : 롤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수로를 개폐시키는 수문에 있어서, 상기 수문의 배면 중앙 소정의 위치에 힌지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힌지브라켓에는 일측면에 랙크가 형성된 이송축의 한쪽 끝부분이 회동되게 결합되며, 상기 이송축의 다른쪽 끝부분은 상기받침대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하여 관통된 후 랙크가 받침대의 저면에 설치되는 구동장치상의 피니언의 치형과 맞물리도록 결합되는 한편, 상기 피니언이 결합된 구동장치의 축에는 상기 이송축의 랙크가 피니언과 맞물려 상하이동될 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지지대가 설치되며, 상기 이탈방지지지대에는 이송축상의 랙크가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롤러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문의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지시부호(10)은 수문으로서, 이 수문(10)의 일측에는 회동축(11)이 형성되어 수로의 받침대(12)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축조된 구조물인 벽체(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문(10)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열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수문(10)의 배면 중앙 소정 위치에는 힌지브라켓(14)이 설치되고, 일측면에 랙크(15a)가 형성된 이송축(15)의 일측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이송축(15)의 다른쪽 끝부분은 침대(12)에 형성된 관통구멍(12a)을 통하여 관통된 후 랙크(15a)가 받침대의 저면에 설치되는 구동장치(16)상의 피니언(17)의 치형과 맞물리도록 결합된다.
또, 상기 피니언(17)이 결합된 구동장치(16)의 축에는 상기 이송축(15)의 랙크(15a)가 피니언(17)과 맞물려 상하이동될 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지지대(18)가 설치되며, 상기 이탈방지지지대(18)에는 이송축(15)상의 랙크(15a)가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롤러(19)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수문의 개폐장치를 이용하여 수문(10)을 개폐시키고자 하는 경우, 먼저 받침대(12)의 저면에 설치된 구동장치(16)를 작동시켜 이 구동장치(16)에 설치된 피니언(17)이 회전하면 상기 피니언(17)의 치형과 맞물려 있는 이송축(15)의 랙크(15a)가 상측이나 하측으로 움직이게 되고, 상기 이송축(15)의 움직임에 의해 수문(10)이 회동축(11)을 중심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움직이면서 수로를 개폐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이송축(15)의 랙크(15a)는 이탈방지지지대(18)에 설치된 롤러(19)에 의해 상하로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문의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수문의 개폐장치와 기술적 구성은 동일하되, 수문(10)의 회동축(11)이 벽체(13)의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측에서 하측으로 열리는 구성의 수문(10)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수문을 개폐시키는 구성을 기계적으로 간단히 구성하여 종래의 유압식 수문의 고장원인을 보완하므로써 수문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되며, 또한, 홍수시와 같은 긴급한 상황이나 정전시 용이하게 수문을 개폐할 수 있게된다.

Claims (1)

  1. 회동축(11)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수로를 개폐시키는 수문(10)에 있어서,
    상기 수문(10)의 배면 중앙 소정의 위치에 힌지브라켓(14)이 설치되고, 상기 힌지브라켓(14)에는 일측면에 랙크(15a)가 형성된 이송축(15)의 한쪽 끝부분이 회동되게 결합되며, 상기 이송축(15)의 다른쪽 끝부분은 상기 받침대(12)에 형성된 관통구멍(12a)을 통하여 관통된 후 랙크(15a)가 받침대(12)의 저면에 설치되는 구동장치(16)상의 피니언(17)의 치형과 맞물리도록 결합되는 한편, 상기 피니언(17)이 결합된 구동장치(16)의 축에는 상기 이송축(15)의 랙크(15a)가 피니언(17)과 맞물려 상하이동될 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지지대(18)가 설치되며, 상기 이탈방지지지대(18)에는 이송축(15)상의 랙크(15a)가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롤러(19)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의 개폐장치.
KR2019960040182U 1996-11-13 1996-11-13 수문의개폐장치 KR2003015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182U KR200301502Y1 (ko) 1996-11-13 1996-11-13 수문의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182U KR200301502Y1 (ko) 1996-11-13 1996-11-13 수문의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958U KR970005958U (ko) 1997-02-21
KR200301502Y1 true KR200301502Y1 (ko) 2003-04-18

Family

ID=49399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0182U KR200301502Y1 (ko) 1996-11-13 1996-11-13 수문의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15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818A (ko) * 2016-11-07 2018-05-16 박종세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818A (ko) * 2016-11-07 2018-05-16 박종세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958U (ko) 199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707356A (ko) 변기 시트-비데 조립체(toilet seat-bidet assembly)
KR20100122341A (ko) 유압식 자동 전도 수문장치
KR100908079B1 (ko) 핀 랙 가동보 수문
KR100597602B1 (ko) 저수지 비상 방수문의 개폐 안전장치
KR200301502Y1 (ko) 수문의개폐장치
US5349703A (en) Toilet lid for flushing a toilet
JP2008184813A (ja) 起倒式水防装置
KR100432521B1 (ko) 안전 스크린이 구비된 하단 배출 겸용 전도식 자동수문
KR100327394B1 (ko) 자연 수문 개폐 장치
KR19980071879A (ko) 회전기능을 구비한 자동문
JP2001348848A (ja) 水門扉
KR200377424Y1 (ko) 하천수량에 따라 배수량조절이 가능한 수문장치
JP4317464B2 (ja) 防水板装置
GB2308399A (en) Tracked canopy door with motor driven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KR0154527B1 (ko) 경사수문장치
KR200464234Y1 (ko) 권양기 캐노피
KR200377423Y1 (ko) 수압차를 이용한 자동개폐식 하천 배수문
KR19990022163U (ko) 하수맨홀용개폐밸브
JP2001200523A (ja) 水路用ゲート装置
JP3248069B2 (ja) 水門の開閉装置
KR100368486B1 (ko) 자동개폐수문
KR100381662B1 (ko) 도어 체크
JPS5920438Y2 (ja) 地下構造物用蓋の蝶番揺動防止構造
KR100233749B1 (ko) 완전 자동 개폐 수문
KR100246843B1 (ko) 누수방지 겸 대량 수량확보 수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