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936B1 - 초기우수 분리장치 및 그것이 구비된 빗물 저류탱크 - Google Patents

초기우수 분리장치 및 그것이 구비된 빗물 저류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936B1
KR101313936B1 KR1020130065970A KR20130065970A KR101313936B1 KR 101313936 B1 KR101313936 B1 KR 101313936B1 KR 1020130065970 A KR1020130065970 A KR 1020130065970A KR 20130065970 A KR20130065970 A KR 20130065970A KR 101313936 B1 KR101313936 B1 KR 101313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initial
stopper
tank
initial excell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5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승
Original Assignee
(주) 삼정디씨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삼정디씨피 filed Critical (주) 삼정디씨피
Priority to KR1020130065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03B3/03Special vessels for collecting or storing rain-water for use in the household, e.g. water-but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high-level t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F2201/10Dividing the first rain flush out of the stormwater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18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closed when a rising liquid reaches a predetermined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 등을 통하여 집수되는 우수를 생활용수로 사용하기 위하여 먼지와 같은 오염물이 함유된 초기우수와 나중에 집수되는 깨끗한 우수를 집수과정에서 서로 분리함으로써 깨끗한 우수만을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초기우수 분리장치 및 그것이 구비되는 빗물 저류탱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초기우수 분리장치 및 그것이 구비되는 빗물 저류탱크는 초기우수를 저장용기에 저장하기 전(前) 단계에서 분리하여 유출시킬 수 있으므로 나중에 유입되는 깨끗한 우수만을 저장하여 생활용수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고, 초기우수탱크 상단에 소량의 초기우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초기우수탱크 퇴수유도관이 빗물 저류탱크와 연결되어 있어, 비가 그칠 시 초기우수탱크에 수위가 낮아지면서 초기우수탱크 하단에 위치한 마개가 열려 저장되어 있는 초기우수탱크의 우수가 이를 통하여 배출되므로 부패가 발생하지 않으며 다음 비에 대비할 수 있고, 초기우수 분리장치 및 그것이 구비되는 빗물 저류탱크의 구조가 간단하고 무인으로 작동될 수 있으므로 제작 및 유지관리비를 크게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초기우수 분리장치 및 그것이 구비된 빗물 저류탱크{First Flush Water Diverter And Rainwater Storage Tank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초기우수 분리장치 및 그것이 구비된 빗물 저류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옥상 등을 통하여 집수되는 우수를 세척수나 중수도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먼지와 같은 오염물이 함유된 초기우수와 나중에 집수되는 깨끗한 우수를 집수과정에서 서로 분리함으로써 깨끗한 우수만을 저장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초기우수 분리장치 및 그것이 구비된 빗물 저류탱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급격한 도시화 및 집중화 현상에 따른 포장 지표면의 확대로 인하여 빗물의 유출량이 하천의 우수수용한계를 초과하여 그 피해의 위험성이 커지고 있으며, 이상기후 현상과 국지성 호우로 인하여 대도시에서 침수 피해가 반복되고 있다.
또한 도로 및 교량에는 차량의 빈번한 주행으로 인하여 발생된 먼지, 오일류, 타이어 분진 및 협잡물 등으로 토양이 오염되고 있으며, 우천 시에는 산성(酸性)을 띄고 있는 비점오염물질이 다량 함유된 우수가 배수로를 통해 다량으로 하천, 호수, 특히 식수원이나 청정수역은 물론 지하수맥으로 유입되어 수질을 오염시킨다.
따라서 폭우로 인한 침수도 방지하고, 우수를 모아 적절히 처리한 후에 생활용수, 조경용수, 소방용수 등으로 이용하는 것은 수자원의 확보는 물론 침수피해 방지에 대처할 수 있는 관리대책이라 할 수 있다.
집수과정에서 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이 함유된 초기우수를 분리한 후에 생활용수로 적합한 우수만을 저장하는 선행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9869호에는 도1과 같이 건물의 옥상으로부터 집수유도관(3)을 설치하고 상기 집수유도관(3)과 우수저장탱크(1)를 연결함에 있어서, 집수유도관(3)을 소정의 위치에서 양쪽으로 나누어 한쪽은 우천시 산성도가 높은 초기우수를 저장하도록 초기우수저장탱크(2)와 연결하고 다른 한쪽에는 우수저장탱크(1)와 연결하며, 집수유도관(3)이 양분되어 초기우수저장탱크(2)와 연결되는 부분에 부구(5)의 승·하강에 의해서 마개(6)가 유출구(7)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밸브장치(4)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장탱크의 초기우수 분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집수유도관이 양쪽으로 분리되는 부분에 전기적 신호를 받아 개폐되는 밸브와 유량계를 연결하여 계산된 일정량의 우수를 통과시킨 후에 밸브에 신호를 보내 잠거지게 하거나, 또는 밸브를 산성도 측정장치와 연결하여 산성도가 소정의 수치 이하로 낮아지면 밸브에 신호를 보내 잠거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인위적인 조작을 통해 밸브를 개폐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제작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집수면적에 따라 초기우수 유출량을 환산하여 최소 1~5mm 정도의 오염물을 별도로 분리할 수 있도록 초기우수탱크의 용량을 결정하고, 초기우수탱크에 별도의 장치나 인위적인 조작 없이 무동력, 무인력으로 작동될 수 있는 자동개폐수단을 구비하여, 초기우수를 빗물 저류탱크에 저장하기 전(前) 단계에서 분리하여 유출시키고, 나중에 유입되는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우수만을 저장하여 생활용수로 재활용할 수 있는 초기우수 분리장치 및 그것이 구비된 빗물 저류탱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해결수단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이나 지붕으로부터 우수를 유입할 수 있는 집수관(201)이, 상기 집수관(201)이 분기되는 곳의 하부에는 초기우수를 저장할 수 있는 초기우수탱크(206)가, 상기 집수관(201)의 우측 말단에는 저장할 우수를 유입할 수 있는 우수 유입관(203)이, 상기 초기우수탱크(206)의 하단 중앙에는 초기우수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207)가 각각 연결 설치되는 초기우수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기우수탱크(206)와 상기 배출구(207)에는 상기 초기우수의 흐르는 방향을 전환시키는 자동개폐수단(204)이 설치되되, 상기 자동개폐수단(204)은 초기우수의 부력에 의하여 떠오르는 부구(205), 부구지지대(212), 마개(208) 및 마개 개폐용 퇴수유도관(20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구(205)의 승,하강에 따라 움직이는 상기 마개(208)에 의하여 자동으로 상기 배출구(207)를 개폐(開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부구(205)가 상,하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초기우수탱크(206)의 상부에 부구지지대(212)가 설치되고, 상기 초기우수탱크(206)의 상부에 소량의 우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빗물 저류탱크(211)와 연결되는 마개 개폐용 퇴수유도관(20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분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이나 지붕으로부터 초기우수를 유입할 수 있는 집수관(201)이, 상기 집수관(201)이 분기되는 곳의 하부에는 초기우수를 저장할 수 있는 초기우수탱크(206)가, 상기 집수관(201)의 우측 말단에는 저장할 우수를 유입할 수 있는 우수 유입관(203)이, 상기 초기우수탱크(206)의 하단 중앙에는 초기우수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207)가 각각 연결 설치되는 초기우수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기우수탱크(206)와 상기 배출구(207) 사이에는 상기 초기우수의 흐르는 방향을 전환시키는 자동개폐수단(204)이 설치되되, 상기 자동개폐수단(204)은 초기우수의 부력에 의하여 떠오르는 부구(205), 마개(208) 및 마개지지대(209)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구(205)의 승,하강에 따라 움직이는 상기 마개(208)에 의하여 자동으로 상기 배출구(207)를 개폐(開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마개(208)가 상,하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207)의 상부에 마개지지대(209)가 설치되고, 상기 초기우수탱크(206)의 상부에 소량의 초기우수탱크(206) 내의 우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마개 개폐용 퇴수유도관(20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분리장치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기 초기우수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우수 유입관(203)과 상기 마개 개폐용 퇴수유도관(202)의 우측에는 우수를 저장하기 위한 빗물 저류탱크(211)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류탱크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한 초기우수 분리장치 및 그것이 구비된 빗물 저류장치는 초기우수를 초기우수탱크에 저장하기 전(前) 단계에서 분리하여 유출시킬 수 있으므로 나중에 유입되는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우수만을 저장하여 생활용수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
둘째, 초기우수탱크의 상부에는 소량의 초기우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초기우수탱크 퇴수유도관이 빗물 저류탱크와 연결되어 있어, 소량의 우수가 배출되면 초기우수탱크의 수위가 낮아지고 수위가 낮아지면 자연히 부구가 내려와 부구와 연동되는 하부의 마개(208)가 열려 일정시간이 지나면 초기우수탱크에 저장됐던 우수가 완전히 배출되어 잔류에 의한 부패를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다음에 내릴 비에 대비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초기우수 분리장치 및 그것이 구비된 빗물 저류탱크는 구조가 간단하므로 제작비를 크게 낮출 수 있고, 특히 무인 자동으로 작동되므로 유지관리비를 크게 낮출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초기우수의 분리장치를 나타낸 개략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초기우수 분리장치 중 부구지지대가 설치된 상태에서 초기우수가 유입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초기우수 분리장치 중 부구지지대가 설치된 상태에서에 초기우수가 초기우수탱크에 충분히 유입된 상태를 내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초기우수 분리장치 중 마개지지대가 설치된 상태에서 초기우수가 유입되기 전의 상태를 내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초기우수 분리장치 중 마개지지대가 설치된 상태에서 초기우수가 충분히 유입된 상태를 내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초기우수 분리장치가 구비된 빗물 저류탱크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효과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구성 및 작동 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분리장치를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개괄적으로 설명하면, 건물의 옥상이나 지붕으로부터 초기우수를 유입할 수 있는 집수관(201)이, 상기 집수관(201)이 분기되는 곳의 하부에는 초기우수를 저장할 수 있는 초기우수탱크(206)가, 상기 집수관(201)의 우측 말단에는 저장할 우수를 유입할 수 있는 우수 유입관(203)이, 상기 초기우수탱크(206)의 하단 중앙에는 초기우수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207)가 각각 연결 설치되는 초기우수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기우수탱크(206)와 상기 배출구(207)에는 상기 초기우수의 흐르는 방향을 전환시키는 자동개폐수단(204)이 설치되되, 상기 자동개폐수단(204)은 초기우수의 부력에 의하여 떠오르는 부구(205), 부구지지대(212), 마개(208) 및 마개 개폐용 퇴수유도관(20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구(205)의 승,하강에 따라 움직이는 상기 마개(208)에 의하여 자동으로 상기 배출구(207)를 개폐(開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부구(205)가 상,하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초기우수탱크(206)의 상부에 부구지지대(212)가 설치되고, 상기 초기우수탱크(206)의 상부에 소량의 초기우수탱크(206) 내의 우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마개 개폐용퇴수유도관(20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초기우수 분리장치는 도 2 내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건물의 옥상이나 지붕으로부터 모아진 초기우수를 유입할 수 있는 집수관(201)이 설치되고, 상기 집수관(201)이 분기되는 곳의 하부에는 초기우수를 저장할 수 있는 초기우수탱크(206)가, 상기 집수관(201)의 우측 말단에는 저장할 우수를 유입할 수 있는 우수 유입관(203)이, 상기 초기우수탱크(206)의 하단 중앙에는 초기우수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207)가 각각 연결 설치된다.
이어서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초기우수탱크(206)에는 초기우수의 부력에 의하여 떠오르는 부구(205), 상기 부구(205)를 지지하기 위한 부구지지대(212) 및 상기 배출구(207)를 개폐(開閉)하기 위한 마개(208) 및 마개 개폐용 퇴수유도관(202)으로 이루어지는 자동개폐수단(204)을 설치한다. 즉, 상기 부구(205)의 승,하강에 따라 움직이는 상기 마개(208)에 의하여 자동으로 상기 배출구(207)를 개폐(開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부구(205)가 상,하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초기우수탱크(206)의 상부에 부구지지대(212)가 설치된다.
초기우수가 집수관(201)의 하부로 흘러 초기우수탱크(206)에 유입되는 초기우수의 양이 상기 배출구(207)를 통해 배출되는 초기우수의 양보다 많아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초기우수탱크(206)의 초기우수 유입구(215)보다 배출구(207)의 직경이 작게 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렇게 하여 상기 초기우수탱크(206)의 수위가 높아지면, 상기 부구(205)가 부상하기 시작하고, 상기 부구(205)가 부상되고 있는 동안에는 상기 마개(208)가 상기 배출구(207)를 막기 전까지 초기우수를 배출하게 된다.
즉, 비가 내리는 동안에 초기의 우수는 흘려보내고 비가 점점 많이 내리면 나중에 수집되는 맑은 우수를 받아쓰는 원리이고, 또한 우수의 재활용 용도도 중요하지만 폭우시 재난방지의 역할도 중요하므로 설계시 그 용도에 맞게 버리는 양을 결정한다.
또한 도 3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초기우수가 상기 초기우수탱크(206)에 충분히 채워져 부구(205)가 최대한 부상하면 마개는 배출구(207)을 막게 되고 집수관(201)으로 들어오던 빗물은 우수를 저류하기 위해 우수 유입관(203)을 통해별도로 설치된 빗물 저류탱크(211)에 저장되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오염물질이 다량 함유된 초기우수는 유입량이 적은 초기에는 배출구(207)를 통하여 배출되다가 유입량이 유출량 보다 커지면 부구(205)가 상승되면서 마개(208)가 배출구(207)를 막아 초기우수탱크(206)에 가득히 저장될 수 있게 되고, 나중에 유입되는 우수는 이미 초기우수탱크(206)가 가득히 채워져 더 이상 초기우수탱크(206)에 유입될 수 없게 되므로 상기 우수의 방향이 바뀌어 우수를 유입할 수 있는 우수 유입관(203)을 통하여 빗물 저류탱크(211)에 저장되도록 한다.
따라서 초기에 유입되는 초기우수와 나중에 유입되는 우수를 각각 다른 장소인 초기우수탱크(206)와 빗물 저류탱크(211)에 각각 저장하여 서로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마개 개폐용 퇴수유도관(202)으로 흐르는 소량의 우수가 빗물 저류탱크(211)로 유입되게 되는데 그 우수는 이미 초기 우수가 아닌 저류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우수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초기우수탱크(206)의 상부 중앙에는 초기우수의 부력에 의하여 떠오르는 부구(205) 및 부구지지대(212)를 설치하는데, 상기 부구(205)는 초기우수의 유입 및 유출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오르내림을 하게 된다. 즉,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초기우수가 유입되지 않아 초기우수탱크(206) 내에 전혀 채워지지 않고 비워있을 때는 상기 부구(205)가 상기 부구지지대(212)의 하단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초기우수가 초기우수탱크(206)로 유입되기 시작하고 점점 비의 양이 많아져 배출구(207)로 나가는 양보다 초기우수 유입구(215)로 들어오는 양이 많아지면 수위가 점점 높아져, 상기 부구(205)가 부력에 의하여 상승과 동시에 그 하부에 부착된 마개(208)도 같이 상승하게 되며, 이때까지는 상기 배출구(207)가 아직 막혀진 상태가 아니므로 이를 통하여 유입된 초기우수는 배출되게 된다. 도 3에서와 같이, 계속하여 초기우수가 다량 유입되어 상기 부구(205)의 부력이 더욱 커지게 되면, 마침내 상기 마개(208)가 상기 배출구(207)를 막게 되므로 초기우수는 상기 초기우수탱크(206)에 가득히 채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부구(205)의 부력이 상기 마개(208)의 부력보다 커야만 초기우수의 유입시 상기 부구(205)가 상기 마개(208)를 위로 끌어올릴 수 있으므로 상기 부구(205)의 부력의 크기를 상기 마개(208)가 받는 압력보다 크게 설계해야 한다.
도 6에서와 같이, 초기우수탱크(206) 상부에는 소량의 초기우수탱크의 우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마개 개폐용 퇴수유도관이(202) 빗물 저류탱크(211)와 연결되어 있는데, 이때 초기우수탱크(206)의 크기는 집수면적, 집수요구량, 집수량을 계산하여 설계하게 된다.
집수면적 100㎡, 집수요구량 - 초기우수 3㎜일 때
집수량은 100㎡×0.003m = 0.3㎥(톤),
∴ 초기우수탱크(206)의 크기 : 0.3㎥(톤)
또한 초기우수탱크(206)의 크기에 따라 마개 개폐용 퇴수유도관(202)의 직경을 설정하고, 비가 그친 후에 초기우수를 배출하고자 원하는 시간차에 따라 마개 개폐용 퇴수유도관(202)에 장착된 배출밸브(214)를 통하여 배출되는 유량을 설정한 다음 그 설정된 시간에 따라 배출하게 된다.
한편, 비가 그칠 경우에는 초기우수탱크(206)에 저장된 초기우수를 속히 배출하여야만 하는데, 만약 저장된 초기우수가 배출되지 않고 오랫동안 초기우수탱크(206)에 저장하게 되면, 일정기간이 지나 초기우수탱크(206)안에 있던 우수는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부패하게 되고, 다음에 비가 왔을 때 초기우수탱크(206)가 채워져 있으므로 초기우수를 분리할 수 없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위와 같이 비가 그치면 집수관(201)으로 들어오던 우수가 줄게 되고 초기우수탱크 내에 있던 우수는 마개 개폐용 퇴수유도관(202)을 통하여 소량의 우수가 배출되어, 초기우수탱크(206)의 수위가 낮아지고, 상기부구(205)가 하강하면서 동시에 초기우수탱크(206) 하부에 위치한 마개(208)가 우수의 압력에 의해 열리게 된다. 그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초기우수탱크(206)에 저장된 초기우수가 완전히 배출되어 잔류에 의한 초기우수의 부패를 방지하고 다음 비를 대비할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3과 다르게 하여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서 원리는 같으나 상기 부구지지대(212)를 상기 초기우수탱크(206)의 상부에 설치하는 대신에 배출구(207) 위에 마개지지대(209)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부구(205)의 상,하 운동에 따라 상기 마개(208)에 의하여 상기 배출구(207)를 간단하게 개폐(開閉)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도 6에서와 같이, 집수과정에서 분리된 깨끗한 우수만을 저장하여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초기우수 분리장치에, 상기 우수를 유입 할 수 있는 우수 유입관(203) 및 상기 마개 개폐용 퇴수유도관(202)의 우측에는 우수를 저장하기 위한 빗물 저류탱크(211)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류탱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201 : 집수관 202 : 마개 개폐용 퇴수유도관
203 : 우수 유입관 204 : 자동개폐수단
205 : 부구 206 : 초기우수탱크
207 : 배출구 208 : 마개
209 : 마개지지대 210 : 배출관
211 : 빗물 저류탱크 212 : 부구지지대
213 : 배출밸브 214 : 월류관
215 : 초기우수 유입구

Claims (3)

  1. 삭제
  2. 건물의 옥상이나 지붕으로부터 초기우수를 유입할 수 있는 집수관(201)이, 상기 집수관(201)이 분기되는 곳의 하부에는 초기우수를 저장할 수 있는 초기우수탱크(206)가, 상기 집수관(201)의 우측 말단에는 저장할 우수를 유입할 수 있는 우수 유입관(203)이 상기 초기우수탱크(206)의 하단 중앙에는 초기우수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207)가 각각 연결 설치되는 초기우수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기우수탱크(206)와 상기 배출구(207) 사이에는 상기 초기우수의 흐르는 방향을 전환시키는 자동개폐수단(204)이 설치되되,
    상기 자동개폐수단(204)은 초기우수의 부력에 의하여 떠오르는 부구(205), 마개(208) , 마개지지대(209) 및 마개 개폐용 퇴수유도관(20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구(205)의 승,하강에 따라 움직이는 상기 마개(208)에 의하여 자동으로 상기 배출구(207)를 개폐(開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마개(208)가 상,하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207)의 상부에 마개지지대(209)가 설치되고,
    상기 초기우수탱크(206)의 상부에 소량의 초기우수탱크(206) 내의 우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마개 개폐용퇴수유도관(20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분리장치.
  3. 건물의 옥상이나 지붕으로부터 초기우수를 유입할 수 있는 집수관(201)이, 상기 집수관(201)이 분기되는 곳의 하부에는 초기우수를 저장할 수 있는 초기우수탱크(206)가, 상기 집수관(201)의 우측 말단에는 저장할 우수를 유입할 수 있는 우수 유입관(203)이, 상기 초기우수탱크(206)의 하단 중앙에는 초기우수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207)가 각각 연결 설치되는 초기우수 분리장치;
    상기 초기우수탱크(206)와 상기 배출구(207) 사이에는 상기 초기우수의 흐르는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자동개폐수단(204);
    상기 자동개폐수단(204)은 초기우수의 부력에 의하여 떠오르는 부구(205), 마개(208) , 마개지지대(209) 및 마개 개폐용 퇴수유도관(20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구(205)의 승,하강에 따라 움직이는 상기 마개(208)에 의하여 자동으로 상기 배출구(207)를 개폐(開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마개(208)가 상,하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207)의 상부에 마개지지대(209)가 설치되고,
    상기 초기우수탱크(206)의 상부에 소량의 초기우수탱크(206) 내의 우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마개 개폐용퇴수유도관(202)이 형성되며,
    상기 우수 유입관(203)과 상기 마개 개폐용 퇴수유도관(202)의 우측에는 우수를 저장하기 위한 빗물 저류탱크(211)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류탱크.
KR1020130065970A 2013-06-10 2013-06-10 초기우수 분리장치 및 그것이 구비된 빗물 저류탱크 KR101313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970A KR101313936B1 (ko) 2013-06-10 2013-06-10 초기우수 분리장치 및 그것이 구비된 빗물 저류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970A KR101313936B1 (ko) 2013-06-10 2013-06-10 초기우수 분리장치 및 그것이 구비된 빗물 저류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3936B1 true KR101313936B1 (ko) 2013-10-01

Family

ID=49637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5970A KR101313936B1 (ko) 2013-06-10 2013-06-10 초기우수 분리장치 및 그것이 구비된 빗물 저류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393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245B1 (ko) 2018-11-26 2019-06-12 신도산업 주식회사 우수 침투 저류 바스켓 및 그 설치방법
KR102175809B1 (ko) 2019-09-09 2020-11-10 신도산업 주식회사 우수 침투 저류 보도블록
KR20210030196A (ko) 2020-08-11 2021-03-17 신도산업 주식회사 우수 침투 저류 보도블록
CN114263080A (zh) * 2021-12-27 2022-04-01 苏州净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管线高压冲洗疏通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869Y1 (ko) 2003-07-25 2003-10-10 (주식회사)문창 빗물저장탱크의 초기빗물분리장치
KR20050003330A (ko) * 2003-07-22 2005-01-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초기 우수를 배제한 청정 우수 포집 장치
KR20100093194A (ko) * 2009-02-16 2010-08-25 김기중 와류와 여과기능을 갖춘 빗물 저류설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3330A (ko) * 2003-07-22 2005-01-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초기 우수를 배제한 청정 우수 포집 장치
KR200329869Y1 (ko) 2003-07-25 2003-10-10 (주식회사)문창 빗물저장탱크의 초기빗물분리장치
KR20100093194A (ko) * 2009-02-16 2010-08-25 김기중 와류와 여과기능을 갖춘 빗물 저류설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245B1 (ko) 2018-11-26 2019-06-12 신도산업 주식회사 우수 침투 저류 바스켓 및 그 설치방법
KR102175809B1 (ko) 2019-09-09 2020-11-10 신도산업 주식회사 우수 침투 저류 보도블록
KR20210030196A (ko) 2020-08-11 2021-03-17 신도산업 주식회사 우수 침투 저류 보도블록
CN114263080A (zh) * 2021-12-27 2022-04-01 苏州净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管线高压冲洗疏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360068U (zh) 一种雨水弃流过滤收集池
CN207048020U (zh) 一种城建管道井
KR101313936B1 (ko) 초기우수 분리장치 및 그것이 구비된 빗물 저류탱크
CN202017224U (zh) 分流式屋面雨水自动弃流装置
CN110984346B (zh) 海绵城市雨水分流排放装置
CN207812864U (zh) 一种雨水回收装置
KR101096768B1 (ko) 빗물이용장치
KR101348418B1 (ko) 우수와 토사의 배출이 가능한 우수토실
KR101224277B1 (ko) 저류조를 이용한 오수 및 계곡수 분리용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KR100991836B1 (ko)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
KR20080112531A (ko) 빗물 저장 탱크
KR101887530B1 (ko) 우·오수 분리불가 가옥을 위한 우·오수 자동분리장치
CN102926453B (zh) 防倒灌的窨井盖
CN105064452A (zh) 雨水弃流收集存储与溢流、防倒流一体控制装置
KR101301042B1 (ko) 하수관거를 이용한 초기우수 저류장치
CN205369377U (zh) 自动弃流、蓄水、溢流一体化雨水收集系统
CN209494027U (zh) 一种雨污分离构筑物
WO2011030180A1 (en) Rainwater collection and dispensation system
KR101267377B1 (ko) 자연담수 홍수방지 저류 시스템
CN110258323A (zh) 一种旧桥桥面排水应急改造系统及桥梁
CN109653333A (zh) 海绵城市居民雨水生态系统
CN205839924U (zh) 一种带自动启闭闸门的初雨分离池
CN104631612A (zh) 雨水调蓄池冲洗系统
CN108360646A (zh) 综合管廊雨水过滤排污调蓄装置
CN201137169Y (zh) 雨水的除叶除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