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1836B1 -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91836B1 KR100991836B1 KR20100009444A KR20100009444A KR100991836B1 KR 100991836 B1 KR100991836 B1 KR 100991836B1 KR 20100009444 A KR20100009444 A KR 20100009444A KR 20100009444 A KR20100009444 A KR 20100009444A KR 100991836 B1 KR100991836 B1 KR 1009918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nwater
- tank
- pipe
- storage tank
- backwas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04—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clamped between pervious fixed wa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wag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 개념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
도 4는 도 2의 b부 확대도.
도 5a 및 도 5b는 도 2의 b부 구조 예시도.
도 6은 도 1의 A-A'선 단면 개념도.
도 7은 도 1의 B-B'선 단면 개념도.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 장치 중 부가적으로 설치 가능한 침투정의 개략도이다.
20 : 침강조 30 : 저류조
40 : 여과조 50 : 역세수 저장조
60 : 방류조 70 : 침투정
Claims (13)
- 유입된 우수 중 협잡물을 제거하는 침강조(20)와,
상기 침강조(20)를 통하여 유입되는 우수를 일정 시간 체류시켜 초기 우수에 함유된 비점오염원 및 고형물을 침전시키는 저류조(30)와,
상기 저류조(30)의 배수수단(D21, D22)을 통하여 배출되는 우수가 유입되는 우수 유입 트랜치(trench : 43)와, 상기 저류조(30)에서 월류되는 우수가 유입되는 월류 우수 유입 트렌치(43')와, 상기 우수 유입 트렌치(43) 및 월류 우수 유입 트렌치(43')의 좌우에 형성된 절흔(v-notch : 45, 45')을 통하여 우수가 유입되는 여과 공간(42) 및 격벽(40a)에 의하여 구분되고 역세척에 사용된 폐수를 저류하는 역세폐수저류공간(41)을 구비하는 여과조(40)와;
상기 침강조(20), 여과조(40) 및 역세수 저장조(50)에 연결되고, 역세수 저장조(50)에 남아 있는 잔류수를 우수관으로 배수하는 역세배수관(D31)과, 상기 역세배수관(D31)의 일부에 역세배수펌프(D32)가 설치되며, 역세수 저장조(50)의 우수를 침강조(20), 저류조(30) 및 여과조(40)의 여과 공간(42)으로 공급하여 각각 역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세수 저장조(50)와;
상기 역세수 저장조(50)를 통하여 유입되는 우수를 방류하는 방류조(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우수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제1 차폐밸브(11)가 중단에 설치되고, 제1 차폐밸브(11) 전방에 분기관(12)이 연결 구성되며, 분기관(12) 중간에 제2 차폐밸브(13)가 설치되고, 분기관(12)의 분기점 전방에 강우시가 아닐 때 오염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밸브(14)가 설치된 우수유입관(1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강조(20) 및 저류조(30)에 각각 일측이 위치하며, 상기 침강조(20)에 위치하는 부분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곡관형 유공관(22)을 구비하여 입자가 큰 비점오염원을 제거하여 우수가 저류조(30)로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침강조(20)에 설치되는 역세수 배관(D31)은 상기 곡관형 유공관(22)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강조(20)와 저류조(30)를 구획하는 격벽(23) 일측 하부에 역지변이 포함된 이송관(24)이 설치되고, 격벽(20) 상부에 단턱(2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30)는 비점오염원 및 고형물이 침전된 상태에서 상층부의 우수를 여과조(40)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펌프(D22)와 배수펌프(D22)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동력원(P)을 구비하며, 저류조(30)의 지붕(R)에 접철식 배관(32)이 삽설되는 통공(31a)이 형성되어 있는 부구(31)가 승하강하도록 가이드하는 유도관(33)이 연결 설치되며, 유도관(33) 내부에 중심에 통공(31a)이 형성된 부구(31)가 삽설되고, 부구(31) 중심을 관통하여 접철식 배관(32)과 배수관(D22)이 연결 구성되고, 유도관(33)에 부구(31)의 승하강에 의하여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34, 3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31) 및 유도관(33)은 각각 돌기(PT) 또는 요홈(G)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31)가 상기 유도관(33) 내부에 삽입되어 승하강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33) 외부에 부구(31)가 도우넛과 같은 형태로 외삽되어 승하강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강조(20) 및 저류조(30)는 하부면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오수배출관(D11) 및 역지변이 포함된 이송관(24)이 설치된 부분이 가장 낮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
- 제 1 항 있어서, 상기 저류조(30)와 여과조(40)를 구획하는 격벽(37) 일측 하부에 역지변이 포함된 이송관(38)이 설치되고, 격벽(37) 상부에 단턱(3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원(P)은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킬 수 있는 태양전지판(P1), 태양전지판(P1)에서 발생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P2) 및 오수배출펌프(D12), 배수펌프(D22), 역세배수펌프(D3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P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40)의 여과 공간(42)에는 자갈층(42a) 및 자갈층(42a) 상의 모래층(42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방류조(60) 후단에는 2중관으로 구성되어 있되 내부관(71) 상부에 잔존하는 유분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포(72)가 설치되고, 외부관(73) 하부에 방류조(60)로 부터 우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우수유입구(74)가 형성되어 방류조(60)의 방류구(61)와 연결 구성되는 침투정(70)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009444A KR100991836B1 (ko) | 2010-02-02 | 2010-02-02 |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009444A KR100991836B1 (ko) | 2010-02-02 | 2010-02-02 |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91836B1 true KR100991836B1 (ko) | 2010-11-04 |
Family
ID=43409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00009444A Expired - Fee Related KR100991836B1 (ko) | 2010-02-02 | 2010-02-02 |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91836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4122B1 (ko) | 2012-11-29 | 2013-03-15 | (주)이앤씨 |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
KR101305207B1 (ko) | 2013-06-12 | 2013-09-12 | (주)나래엔지니어링 | 비점오염원저감장치 |
KR101532191B1 (ko) * | 2015-01-20 | 2015-06-29 | (주) 한길산업 |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역세척 기능이 가능한 여과블록 시스템 및 그의 시공방법 |
KR101562757B1 (ko) * | 2015-01-15 | 2015-10-30 | 주식회사 젠스텍 | 비점오염저감시설 |
KR101596640B1 (ko) * | 2015-08-24 | 2016-02-23 | 임민지 | 초기우수 처리장치 |
KR20160028071A (ko) * | 2014-09-02 | 2016-03-11 | (주)워터소루션텍 | 우수 처리 장치 |
KR101771942B1 (ko) * | 2016-04-28 | 2017-08-28 | (주)이앤씨 | 태양광을 이용한 자동역세형 비점오염 저감시설 |
-
2010
- 2010-02-02 KR KR20100009444A patent/KR100991836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4122B1 (ko) | 2012-11-29 | 2013-03-15 | (주)이앤씨 |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
KR101305207B1 (ko) | 2013-06-12 | 2013-09-12 | (주)나래엔지니어링 | 비점오염원저감장치 |
KR20160028071A (ko) * | 2014-09-02 | 2016-03-11 | (주)워터소루션텍 | 우수 처리 장치 |
KR101637562B1 (ko) | 2014-09-02 | 2016-07-07 | 주식회사 워터솔루션텍 | 우수 처리 장치 |
KR101562757B1 (ko) * | 2015-01-15 | 2015-10-30 | 주식회사 젠스텍 | 비점오염저감시설 |
KR101532191B1 (ko) * | 2015-01-20 | 2015-06-29 | (주) 한길산업 |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역세척 기능이 가능한 여과블록 시스템 및 그의 시공방법 |
KR101596640B1 (ko) * | 2015-08-24 | 2016-02-23 | 임민지 | 초기우수 처리장치 |
KR101771942B1 (ko) * | 2016-04-28 | 2017-08-28 | (주)이앤씨 | 태양광을 이용한 자동역세형 비점오염 저감시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91836B1 (ko) |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 | |
KR101033859B1 (ko) | 초기우수 분리형 저류조 | |
KR101002809B1 (ko) |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방법 | |
KR101381402B1 (ko) | 초기빗물 배제장치 | |
KR101495675B1 (ko) | 비점오염 저감장치 및 비점오염 물질 저감방법 | |
US20110168612A1 (en) | Storm water filter basket with floating bypass panels | |
KR102203152B1 (ko) | 비점오염저감시설 | |
KR101608197B1 (ko) | 건축 지붕의 빗물 재활용 시스템 | |
KR20120106047A (ko) | 초기우수 처리장치 | |
KR101878395B1 (ko) | 강우수 정화장치 | |
KR101872911B1 (ko) |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 |
KR101562757B1 (ko) | 비점오염저감시설 | |
KR100912708B1 (ko) | 비점오염 침전분리 침투형 정화장치 | |
KR100673075B1 (ko) | 생태 연못의 수질 정화 시스템 및 수질 정화 방법 | |
KR101086019B1 (ko) | 초기 우수처리장치 | |
CN205709989U (zh) | 一种油田污水除油除砂沉降系统 | |
JP3306635B2 (ja) | 雨水の浄化処理槽 | |
KR101608043B1 (ko) | 비점오염 처리 시설 | |
CN207761000U (zh) | 具有沉淀和过滤功能的在线处理系统 | |
KR100704901B1 (ko) | 강우의 특성을 고려한 우수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 |
KR101195091B1 (ko) | 지중침투형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 |
KR101203059B1 (ko) | 초기 우수 처리장치 | |
KR100958442B1 (ko) |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 |
KR102118557B1 (ko) | 우수의 처리를 위한 여과 장치 | |
KR20120062449A (ko) | 초기우수배제형 빗물 저류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2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0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007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5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007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005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100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007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007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005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0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0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