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1634B1 - 교량에 설치되는 집수구용 비점오염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에 설치되는 집수구용 비점오염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1634B1
KR100941634B1 KR1020090090153A KR20090090153A KR100941634B1 KR 100941634 B1 KR100941634 B1 KR 100941634B1 KR 1020090090153 A KR1020090090153 A KR 1020090090153A KR 20090090153 A KR20090090153 A KR 20090090153A KR 100941634 B1 KR100941634 B1 KR 100941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artition wall
drain
sewag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재
Original Assignee
코리아이엔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이엔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이엔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0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16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점오염물질 및 나뭇잎이나 비닐봉지 등과 같은 큰 협잡물을 선별하여 각각 필터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뭇잎이나 비닐봉지 등과 같은 큰 협잡물의 경우 오수/우수의 유동에 방해가 되지 않게 처리하는 교량에 설치되는 집수구용 비점오염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교량상판(10)에 설치된 집수부(20)와 연통된 상측 배수관(30) 및 하측 배수관(40)에 구성되는 발명의 비점오염장치, 상측이 상기 상측 배수관(30)과 연통되고, 하측이 상기 하측 배수관(40)과 연통되는 배수함체(100)와; 상기 배수함체(100)의 내부에 한 쌍의 설치되어 안내공간(S1)을 형성하는 것으로, 연통된 상기 상측 배수관(30)의 직하에 구비되어 오수/우수를 안내하는 한 쌍의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110,120)과; 상기 일측의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120) 너머에 설치되되, 상부가 개방되게 하여 상류 유동안내공간(S2)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수함체(100)와 연통된 하측 배수관(40) 쪽으로 오수/우수가 유동되게 안내하는 상부 배수중계안내 구획벽(130)과; 상기 일측의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110)과 상기 상부 배수중계안내 구획벽(13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비점오염물질 제거부재(141)가 충전된 상향류 필터(140)와; 상기 타측의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120)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하부 배수안내 구획벽(150)과; 상기 상부 배수중계안내 구획벽(130)의 하부 일측벽에 연결되어 오수/우수가 안내공간(S1)에서 상류 유동안내공간(S2)으로 흐르도록 안내하여 주는 유동안내벽(160)과; 상기 유동안내벽(160)의 끝단에 힌지연결되되 그 힌지연결되는 일측에는 밀폐 체(171)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중량체(172)가 구비되어, 유입되는 오수/우수의 하중이 중량체(172)와 힌지연결된 밀폐체(171)를 하부로 회동시킬 정도의 무게이면, 상기 안내공간(S1)이 개방되어 상기 하측 배수관(40)으로 오수/우수가 직접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역류방지부재(170);로 이루어진다.
교량, 집수구, 비점오염, 수질오염, 도로

Description

교량에 설치되는 집수구용 비점오염 저감장치{THE APPARATUS OF PREVENT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IN RAINWATER FOR DRAIN TYPE}
본 발명은 비점오염물질 및 나뭇잎이나 비닐봉지 등과 같은 큰 협잡물을 선별하여 각각 필터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뭇잎이나 비닐봉지 등과 같은 큰 협잡물의 경우 오수/우수의 유동에 방해가 되지 않게 처리하는 교량에 설치되는 집수구용 비점오염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가도로를 포함하는 교량에는 통상적으로 교량 상판의 가장자리에 수직으로 집수구가 설치되어 오수 및 우수가 하천이나 강으로 배출되도록 제공한다.
이때, 교량용 집수구를 통해 배수되는 오수 및 우수에는 낙엽 및 생활쓰레기를 포함하는 협잡물과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되는데 이처럼, 포함되는 것 중 특히 비점오염물질은 자동차의 운행으로 인한 타이어 가루, 자동차 매연, 대기오염으로 인한 각종 강하분진 등의 중금속 뿐만 아니라 내분비계 장애물질(환경호르몬) 또한 포함되어 있어 이에 대한 처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도 1은 교량에 설치된 종래의 집수구용 비점오염저감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교량이나 고가도로의 가장자리 부근에 설치되는 집수구(1)와, 상기 집수구(1)의 내측 하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다수의 배출공(2a)이 형성된 받침판(2)과, 상기 받침판(2)위에 장착되며 정화부재(4)를 내장하는 필터통(3)과, 상기 집수구(1)의 내측에 삽입되면서 필터통(3)과 내측으로 이격되어 월류로(6)를 형성하는 가이드관(5)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교량용 비점오염저감장치는, 초기에 유입되는 빗물(실선 화살표)은 집수구(1)에서 모아져 가이드관(5)을 따라 유도되어 필터통(3)으로 들어가 거름망(7) 및 정화부재(4)에 의해 필터링되어 받침판(2)을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정화부재(4)에 필터링 한계치를 초과하는 빗물의 유입이 있을 때에는 빗물(점선 화살표)이 필터통(3) 및 가이드(5a) 쪽으로 차오르게 되는데, 차오르는 빗물은 필터통(3)과 가이드(5a)의 사이에 형성된 월류로(6)를 통해 필터통(3)의 바깥으로 넘어서 받침판(2)을 통해 필터링 없이 바로 배출된다.
이때, 가이드관(5)은 집수구(1)로 유입된 물을 필터통(3)으로 유도하는 역할도 하면서, 많은 양의 빗물이 유입될때에 유입된 빗물을 월류시키는 역할도 하며, 월류로(6)를 넘어선 빗물이 계속 차올라 집수구(1) 밖으로 역류되는 것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집수구형 비점오염 저감장치의 경우 비점오염물질과 더불어 나뭇잎이나 비닐봉지 등과 같은 큰 협잡물 또한 오수/우수에 포함되어 유입되는데 이렇게 유입되는 큰 협잡물은 거름망(7)에 걸리게 되는데 이처럼, 퇴적되는 큰 협잡물로 인해 원활하게 배수가 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거름망(7)에 퇴적되는 큰 협잡물들로 인해 정작 필터링해야 하는 정화부재(4)를 통한 비점오염질의 필터링은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점오염물질 및 나뭇잎이나 비닐봉지 등과 같은 큰 협잡물을 선별하여 필터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뭇잎이나 비닐봉지 등과 같은 큰 협잡물의 경우 오수/우수의 유동에 방해가 되지 않게 처리하는 수단이 구비된 교량에 설치되는 집수구용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교량에 설치되는 집수구용 비점오염 저감장치는, 교량상판에 설치된 집수부와 연통된 상측 배수관 및 하측 배수관에 본 발명의 비점오염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비점오염장치는, 상측이 상기 상측 배수관과 연통되고, 하측이 상기 하측 배수관과 연통되는 배수함체와; 상기 배수함체의 내부에 한 쌍의 설치되어 안내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연통 된 상기 상측 배수관의 직하에 구비되어 오수/우수를 안내하는 한 쌍의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과; 상기 일측의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 너머에 설치되되, 상부가 개방되게 하여 상류 유동안내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수함체와 연통된 하측 배수관 쪽으로 오수/우수가 유동되게 안내하는 상부 배수중계안내 구획벽과; 상기 일측의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과 상기 상부 배수중계안내 구획벽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비점오염물질 제거부재가 충전된 상향류 필터와; 상기 타측의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하부 배수안내 구획벽과; 상기 상부 배수중계안내 구획벽의 하부 일측벽에 연결되어 오수/우수가 안내공간에서 상류 유동안내공간으로 흐르도록 안내하여 주는 유동안내벽과; 상기 유동안내벽의 끝단에 힌지연결되되 그 힌지연결되는 일측에는 밀폐체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중량체가 구비되어, 유입되는 오수/우수의 하중이 중량체와 힌지연결된 밀폐체를 하부로 회동시킬 정도의 무게이면, 상기 안내공간이 개방되어 상기 하측 배수관으로 오수/우수가 직접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역류방지부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교량에 설치되는 집수구용 비점오염 저감장치에는, 상기 상부 배수중계안내 구획벽과 상기 배수함체의 일측 내벽 사이에는 하류 유동안내공간이 형성되고, 상부 배수중계안내 구획벽과 상기 배수함체의 일측 내벽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하류 유동안내공간을 통해 유동되는 오수/우수가 상기 하측 배수관으로 유출되도록 유동로가 형성된 연결벽과; 상기 연결벽의 유동로를 폐쇄시키는 것으로 둘레를 따라 비점오염물질 제거부재가 충전된 다이아몬드형 스크린;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하류 유동안내공간을 통해 유동되는 오수/우수가 상기 다이아몬드형 스크린을 투과하여 상기 유동로를 통해 유출된다.
본 발명의 교량에 설치되는 집수구용 비점오염 저감장치에는, 상기 타측의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과 상기 배수함체의 타측 내벽 사이에는 협잡물 거름용 안내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협잡물 거름용 안내공간에 놓여지는 것으로, 상부측면이 개방된 협잡물 거름망과; 협잡물 거름망의 개방된 상부측면과 마주보는 쪽의 상기 타측의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에는 협잡물 안내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에 형성된 협잡물 안내구멍 부근의 안내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거름대들이 협잡물이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의 간격으로 설치되고, 그 설치된 거름대들의 양측으로 개구되어 상기 상측 배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우수에 포함되는 협잡물은 거름대들을 따라 상기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에 형성된 협잡물 안내구멍 쪽으로 안내되게 하는 계단식 협잡물 안내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교량에 설치되는 집수구용 비점오염 저감장치는, 교량상판에 설치된 집수부와 연통된 상측 배수관 및 하측 배수관에 비점오염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비점오염장치는, 상측이 상기 상측 배수관과 연통되고, 하측이 상기 하측 배수관과 연통되는 배수함체와; 상기 배수함체의 내부에 한 쌍의 설치되어 안내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연통된 상기 상측 배수관의 직하에 구비되어 오수 및 우수를 안내하는 한 쌍의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과; 상기 일측의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 너머에 설치되어 수평 유동안내공간이 형성되고, 하단부분이 개방되어 상기 배수함체와 연통된 하측 배수관 쪽으로 오수/우수가 유동되게 안내하는 수평 배수중계안내 구획벽과; 상기 수평 배수중계안내 구획벽의 하단부에 개방된 부분을 폐쇄시키는 것으로 내부에 비점오염물질 제거부재가 충전된 수평형 필터와; 상기 타측의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하부 배수안내 구획벽과; 상기 수평 배수중계안내 구획벽의 하단 벽에 연결되어 오수/우수가 안내공간에서 수평 유동안내공간으로 흐르도록 안내하여 주는 유동안내벽과; 상기 유동안내벽의 끝단에 힌지연결되되 그 힌지연결되는 일측에는 밀폐체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중량체가 구비되어, 유입되는 오수/우수의 하중이 중량체와 힌지연결된 밀폐체를 하부로 회동시킬 정도의 무게이면, 상기 안내공간이 개방되어 상기 하측 배수관으로 오수/우수가 직접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역류방지부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교량에 설치되는 집수구용 비점오염 저감장치에는, 상기 상부 배수중계안내 구획벽과 상기 배수함체의 일측 내벽 사이에는 하류 유동안내공간이 형성되고, 상부 배수중계안내 구획벽과 상기 배수함체의 일측 내벽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하류 유동안내공간을 통해 유동되는 오수/우수가 상기 하측 배수관으로 유출되도록 유동로가 형성된 연결벽과; 상기 연결벽의 유동로를 폐쇄시키는 것으로 둘레를 따라 비점오염물질 제거부재가 충전된 다이아몬드형 스크린;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하류 유동안내공간을 통해 유동되는 오수/우수가 상기 다이아몬드형 스크린을 투과하여 상기 유동로를 통해 유출되게 제공한다.
본 발명은 비점오염물질 및 나뭇잎이나 비닐봉지 등과 같은 큰 협잡물을 선별하여 각각 필터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뭇잎이나 비닐봉지 등과 같은 큰 협 잡물의 경우 오수/우수의 유동에 방해가 되지 않게 처리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우선 각 도면 상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에 대해 소정의 도면부호를 부가한다. 다만, 실시예 별로 다른 도면 상에 도시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함과 더불어 그 구성의 설명 중 중복되는 설명은 가능한한 생략되었음을 명기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교량에 설치되는 집수구용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인 교량에 설치되는 집수구용 비점오염 저감장치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상판(도시하지 않음)의 집수부(도시하지 않음)와 연통된 종 배수관(50), 상기 종 배수관(50)과 연통된 상측 배수관(30) 및 하측 배수관(40)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비점오염장치의 구성은 크게 배수함체(100), 한 쌍의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110,120), 상부 배수중계안내 구획벽(130), 상향류 필터(140), 하부 배수안내 구획벽(150), 유동안내벽(160), 역류방지부재(17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수함체(100)는 교량상판의 하부 즉, 교각 밑에 구비되는 교량점검대(A)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측이 상측 배수관(30)과 연통되고, 하측이 하측 배수관(40)과 연통되는 함체로서, 비점오염물질의 필터링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각 구성부품들이 구비된 하우징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배수함체(100)의 재질은 녹슬거나 내구성이 저하되지 않으며, 강도가 우수함과 더불어 경량 등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SUS(Steel Use Stainless) 계열 또는 GRP(Glass Reinforced Plastic)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배수함체(100)에 구비되는 비점오염물질의 제거하기 위한 각 구성으로 먼저, 상기 한 쌍의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110,120)은 배수함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안내공간(S1)을 형성하는 것으로, 연통된 상기 상측 배수관(30)의 직하에 구비되어 오수/우수를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상부 배수중계안내 구획벽(130)은 배수함체(100)의 내부에 있는 일측의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120) 너머에 설치되되, 상부가 개방되게 하여 상류 유동안내공간(S2)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배수함체(100)와 연통된 하측 배수관(40) 쪽으로 오수/우수가 유동되게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상향류 필터(140)는 배수함체(100)의 내부에 있는 일측의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110)과 상기 상부 배수중계안내 구획벽(13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비점오염물질 제거부재(141)가 충전되어 비점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비점오염물질 제거부재(141)로 자갈이나 모래 등의 여재나 생물막이 형성된 표면에 호기성 미생물이 활성화되면서 오수/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인 유기물질들을 제거하는 메디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배수안내 구획벽(150)은 배수함체(100)의 내부에 있는 타측의 상 부 배수안내 구획벽(120)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선단에 회동제한대(151)가 절곡구비되어 후술되는 역류방지부재(170)의 밀폐체(171)가 더 회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준다.
상기 유동안내벽(160)은 배수함체(100)의 내부에 있는 상부 배수중계안내 구획벽(130)의 하부 일측벽에 연결되어 오수/우수가 안내공간(S1)에서 상류 유동안내공간(S2)으로 흐르도록 안내하여 줌으로써, 장마나 호우가 아닌 즉, 오수/우수의 유동량이 작을 때에, 그 유동되는 오수/우수가 상향류 필터(140) 및 후술되는 다이아몬드형 스크린(190)에 투과되어 비점오염물질이 필터링 될 수 있도록 유로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역류방지부재(170)는 배수함체(100)의 내부에 있는 유동안내벽(160)의 끝단에 힌지연결되되 그 힌지연결되는 일측에는 밀폐체(171)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중량체(172)가 구비되어, 유입되는 오수/우수의 하중이 중량체(172)와 힌지연결된 밀폐체(171)를 하부로 회동시킬 정도의 무게이면, 상기 안내공간(S1)이 개방되어 하측 배수관(40)으로 오수/우수가 직접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장마나 호우로 인해 오수/우수의 유동량이 많을 때에는 선별적으로, 그 유동되는 오수/우수가 상측 배수관(30)에서 하측 배수관(40)으로 직접 유동이 되도록 제어하여 준다.
이때, 일측의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110)의 끝단에는 회동제한대(111)가 돌출되게 구비되어 역류방지부재(170)의 중량체(172)가 더 회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준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교량에 설치되는 집수구용 비점오염 저감장치에는 상향류 필터(140)를 통해 비점오염물질이 1차 필터링된 오수/우수를 재차 필터링 함으로써 남아 있는 비점오염물질을 최대한 제거하고자 상부 배수중계안내 구획벽(130)과 배수함체(100)의 일측 내벽 사이에는 하류 유동안내공간(S3)이 형성되고, 상부 배수중계안내 구획벽(130)과 배수함체(100)의 일측 내벽 사이를 연결하되, 하류 유동안내공간(S3)을 통해 유동되는 오수/우수가 하측 배수관(40)으로 유출되도록 유동로(181)가 형성된 연결벽(180)과; 그 연결벽(180)의 유동로(181)를 폐쇄시키는 것으로 둘레를 따라 비점오염물질 제거부재(191)가 충전된 다이아몬드형 스크린(190);을 포함함으로써, 하류 유동안내공간(S3)을 통해 유동되는 오수/우수가 다이아몬드형 스크린(190)을 투과하여 상기 유동로(181)를 통해 유출되도록 제공한다.
이때, 다이아몬드형 스크린(190)에 충전된 비점오염물질 제거부재(191)도 자갈이나 모래 등의 여재나 생물막이 형성된 표면에 호기성 미생물이 활성화되면서 오수/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인 유기물질들을 제거하는 메디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교량에 설치되는 집수구용 비점오염 저감장치에는 나뭇잎, 비닐봉지 등과 같은 협잡물들도 선별하여 필터링 할 수 있도록 배수함체(100)의 내부에 있는 타측의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120)과 배수함체(100)의 타측 내벽 사이에는 협잡물 거름용 안내공간(S4)이 형성되고, 그 협잡물 거름용 안내공간(S4)에 놓여지는 것으로 상부측면이 개방된 협잡물 거름망(210)과, 협잡물 거름망(210)의 개 방된 상부측면과 마주보는 쪽의 타측의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120)에는 협잡물 안내구멍이 형성되며,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120)에 형성된 협잡물 안내구멍 부근의 안내공간(S1)에 설치되는 것으로 거름대들이 협잡물이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의 간격으로 설치되고, 그 설치된 거름대들의 양측으로 개구되어, 상측 배수관(30)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우수에 포함되는 협잡물은 거름대들을 따라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120)에 형성된 협잡물 안내구멍 쪽으로 안내되게 하고, 오수/우수는 양측이 개구된 계단 쪽으로 유출되는 계단식 협잡물 안내부재(220);를 포함하여 제공한다.
이때, 하부 배수안내 구획벽의 하단에도 유동구멍을 형성하여 협잡물 거름용 안내공간에 잔존하는 오수/우수가 하측 배수관(40) 쪽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또한, 배수함체(100)의 상측에는 협잡물 거름망(210), 상향류 필터(140) 및 다이아몬드형 스크린(190)의 입출을 수행할 수 있도록 덮개(101,102,103) 들이 구비되어 제공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교량에 설치되는 집수구용 비점오염 저감장치는 장마나 호우로 인해 오수/우수의 유동량이 많을 때에는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비점오염물질의 필터링 없이 바로 하천이나 강으로 방류되도록 하고, 오수/우수의 유동량이 많지 않은 일상의 경우에는 오수/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이중으로 필터링하여 하천이나 강으로 방류되도록 제어하여 준다.
즉, 오수/우수의 유동량이 많지 않은 일상의 경우에는 교량상판(10)에 구비된 집수부(20)를 통해 유입되는 오수/우수는 상측 배수관(30)을 통해 배수함 체(100)의 안내공간(S1)으로 유동된다.
이때, 안내공간(S1) 쪽으로 유동되는 오수/우수에 나뭇잎이나 비닐봉지 등가 같은 협잡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오수/우수에 포함된 협잡물은 계단식 협잡물 안내부재(220)에 걸려 타측의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120)에 형성된 협잡물 안내구멍 쪽으로 안내되어 협잡물 거름망(210) 내로 투하되어 오수/우수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고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처럼, 안내공간(S1) 쪽으로 유동되는 오수/우수는 상류 유동안내공간(S2)에 수용되면서 차오르게 되고, 그 차오르는 오수/우수는 상향류 필터(140)를 통과하면서 일차적으로 비점오염물질이 제거된다.
이후, 상부 배수중계안내 구획벽(130)의 개방된 상부까지 차오른 오수/우수는 하류 유동안내공간(S3)으로 유동되어, 하류 유동안내공간(S3)에 배치된 다이아몬드형 스크린(190)을 투과하면서 재차 비점오염물질이 제거되고, 재차 비점오염물질이 제거된 오수/우수는 연결벽(180)의 유동로(181)를 통해 유동되어 배수함체(100)의 하측에 연통된 하측 배수관(40) 쪽으로 유출되면서 강이나 하천으로 방류된다.
이때, 안내공간(S1) 및 상류 유동안내공간(S2)에 수용된 오수/우수의 하중은 역류방지부재(170)를 회동시킬 정도의 무게가 안되기 때문에 오수/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이 충분이 제거될 수 있도록 이중의 비점오염물질 필터링을 제공하여 준다.
반면에, 장마나 폭우로 인해 오수/우수의 유동량이 많은 경우에는 교량상 판(10)에 구비된 집수부(20)를 통해 유입되는 많은 양의 오수/우수가 상측 배수관(30)을 통해 배수함체(100)의 안내공간(S1)으로 유동되는데 이때, 유동되는 오수/우수의 유동량이 안내공간(S1), 상류 유동안내공간(S2) 및 하류 유동안내공간(S3)에 차오를 경우 연결벽(180)의 유동로(181) 쪽으로 필터링되어 유동되는 오수/우수의 양은 제한된다.
이로 인해, 배수함체(100)에 수용되는 오수/우수의 양은 증가하게 되어, 상측 배수관(30)에 까지 차오르게 되는데 이처럼, 차오르는 오수/우수의 하중이 역류방지부재(170)를 회동시킬 정도의 무게가 되면 역류방지부재(170)를 구성하는 밀폐체(171)이 개방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안내공간(S1)이 개방되고, 그 개방된 안내공간(S1)의 직하에는 하측 배수관(40)이 위치되어 있어, 오수/우수의 배출이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역류를 최대한 예방하여 준다.
도 5는 본 발명인 교량에 설치되는 집수구용 비점오염 저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배수함체(100) 내부로 유입되는 오수/우수가 장기간 수용되지 않고 유입될 때마다 신속히 방출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고자, 교량상판(도시하지 않음)의 집수부(도시하지 않음)와 연통된 종 배수관(50), 상기 종 배수관(50)과 연통된 상측 배수관(30) 및 하측 배수관(40)에 설치되는다른 실시예인 본 발명의 비점오염장치는, 상측이 상기 상측 배수관(30)과 연통되고, 하측이 상기 하측 배수관(40)과 연통되는 배수함체(100)와; 상기 배수함체(100)의 내부에 한 쌍의 설치되어 안내공간(S1)을 형성하는 것으로, 연통된 상기 상측 배수관(30)의 직하에 구비되어 오수 및 우수를 안내 하는 한 쌍의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110,120)과; 상기 일측의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120) 너머에 설치되어 수평 유동안내공간(S5)이 형성되고, 하단부분이 개방되어 상기 배수함체(100)와 연통된 하측 배수관(40) 쪽으로 오수/우수가 유동되게 안내하는 수평 배수중계안내 구획벽(230)과; 상기 수평 배수중계안내 구획벽(230)의 하단부에 개방된 부분을 폐쇄시키는 것으로 내부에 비점오염물질 제거부재(241)가 충전된 수평형 필터(240)와; 상기 타측의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120)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하부 배수안내 구획벽(150)과; 상기 수평 배수중계안내 구획벽(230)의 하단 벽에 연결되어 오수/우수가 안내공간(S1)에서 수평 유동안내공간(S5)으로 흐르도록 안내하여 주는 유동안내벽(160)과; 상기 유동안내벽(160)의 끝단에 힌지연결되되 그 힌지연결되는 일측에는 밀폐체(171)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중량체(172)가 구비되어, 유입되는 오수/우수의 하중이 중량체(172)와 힌지연결된 밀폐체(171)를 하부로 회동시킬 정도의 무게이면, 상기 안내공간(S1)이 개방되어 상기 하측 배수관(40)으로 오수/우수가 직접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역류방지부재(170)와; 상기 상부 배수중계안내 구획벽(130)과 상기 배수함체(100)의 일측 내벽 사이에는 하류 유동안내공간(S3)이 형성되고, 상부 배수중계안내 구획벽(130)과 상기 배수함체(100)의 일측 내벽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하류 유동안내공간(S3)을 통해 유동되는 오수/우수가 상기 하측 배수관(40)으로 유출되도록 유동로(181)가 형성된 연결벽(180)과; 상기 연결벽(180)의 유동로(181)를 폐쇄시키는 것으로 둘레를 따라 여재(191)가 충전된 다이아몬드형 스크린(1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집수구형 비점오염 저감장치는 오수/우수의 유동량이 많지 않은 일상의 경우, 교량상판(10)에 구비된 집수부(20)를 통해 유입되는 오수/우수는 상측 배수관(30)을 통해 배수함체(100)의 안내공간(S1)으로 유동되면, 그 유동되는 오수/우수는 수평구조로 이루어진 수평 유동안내공간(S5)으로 유동된다.
이후, 수평 유동안내공간(S5)으로 유동된 오수/우수는 수평형 필터(240)를 통과하면서 비점오염물질이 일차적으로 필터링 되고, 일차적으로 비점오염물질이 필터링된 오수/우수는 수평 배수중계안내 구획벽(230)의 개방된 하단을 통해 바로 하류 유동안내공간(S3)으로 수평 유동되어 하류 유동안내공간(S3)에 배치된 다이아몬드형 스크린(190)을 투과하면서 재차 비점오염물질이 제거되고, 재차 비점오염물질이 제거된 오수/우수는 연결벽(180)의 유동로(181)를 통해 유동되어 배수함체(100)의 하측에 연통된 하측 배수관(40) 쪽으로 유출되면서 강이나 하천으로 방류된다.
그리고 장마나 폭우 등과 같이 오수/우수의 유동량이 많을 때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집수구형 비점오염 저감장치의 작동기능은 앞에서 언급한 본발명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언급을 제외하기로 한다.
도 1은 교량에 설치된 종래의 집수구용 비점오염저감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인 교량에 설치되는 집수구용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인 교량에 설치되는 집수구용 비점오염 저감장치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교량에 설치되는 집수구용 비점오염 저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교량상판 20 : 집수부
30 : 상측 배수관 40 : 하측 배수관
50 : 종 배수관 100 : 배수함체
101,102,103 : 덮개 110,120 :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
111,151 : 회동제한대 130 : 상부 배수중계안내 구획벽
140 : 상향류 필터
141,191,241 : 비점오염물질 제거부재
150 : 하부 배수안내 구획벽 160 : 유동안내벽
170 : 역류방지부재 171 : 밀폐체
172 : 중량체 180 : 연결벽
181 : 유동로 190 : 다이아몬드형 스크린
210 : 협잡물 거름망 220 : 계단식 협잡물 안내부재
230 : 수평 배수중계안내 구획벽 240 : 수평형 필터
S1 : 안내공간 S2 : 상류 유동안내공간
S3 : 하류 유동안내공간 S4 : 협잡물 거름용 안내공간
S5 : 수평 유동안내공간
A : 교량점검대

Claims (5)

  1. 교량상판(10)에 설치된 집수부(20)와 연통된 상측 배수관(30) 및 하측 배수관(40)에 비점오염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비점오염장치는,
    상측이 상기 상측 배수관(30)과 연통되고, 하측이 상기 하측 배수관(40)과 연통되는 배수함체(100)와;
    상기 배수함체(100)의 내부에 한 쌍의 설치되어 안내공간(S1)을 형성하는 것으로, 연통된 상기 상측 배수관(30)의 직하에 구비되어 오수/우수를 안내하는 한 쌍의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110,120)과;
    상기 일측의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120) 너머에 설치되되, 상부가 개방되게 하여 상류 유동안내공간(S2)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수함체(100)와 연통된 하측 배수관(40) 쪽으로 오수/우수가 유동되게 안내하는 상부 배수중계안내 구획벽(130)과;
    상기 일측의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110)과 상기 상부 배수중계안내 구획벽(13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비점오염물질 제거부재(141)가 충전된 상향류 필터(140)와;
    상기 타측의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120)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하부 배수안내 구획벽(150)과;
    상기 상부 배수중계안내 구획벽(130)의 하부 일측벽에 연결되어 오수/우수가 안내공간(S1)에서 상류 유동안내공간(S2)으로 흐르도록 안내하여 주는 유동안내벽(160)과;
    상기 유동안내벽(160)의 끝단에 힌지연결되되 그 힌지연결되는 일측에는 밀폐체(171)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중량체(172)가 구비되어, 유입되는 오수/우수의 하중이 중량체(172)와 힌지연결된 밀폐체(171)를 하부로 회동시킬 정도의 무게이면, 상기 안내공간(S1)이 개방되어 상기 하측 배수관(40)으로 오수/우수가 직접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역류방지부재(1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에 설치되는 집수구용 비점오염 저감장치.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배수중계안내 구획벽(130)과 상기 배수함체(100)의 일측 내벽 사이에는 하류 유동안내공간(S3)이 형성되고,
    상부 배수중계안내 구획벽(130)과 상기 배수함체(100)의 일측 내벽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하류 유동안내공간(S3)을 통해 유동되는 오수/우수가 상기 하측 배수관(40)으로 유출되도록 유동로(181)가 형성된 연결벽(180)과;
    상기 연결벽(180)의 유동로(181)를 폐쇄시키는 것으로 둘레를 따라 비점오염물질 제거부재(191)가 충전된 다이아몬드형 스크린(190);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하류 유동안내공간(S3)을 통해 유동되는 오수/우수가 상기 다이아몬드형 스크린(190)을 투과하여 상기 유동로(181)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에 설치되 는 집수구용 비점오염 저감장치.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의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120)과 상기 배수함체(100)의 타측 내벽 사이에는 협잡물 거름용 안내공간(S4)이 형성되고,
    상기 협잡물 거름용 안내공간(S4)에 놓여지는 것으로, 상부측면이 개방된 협잡물 거름망(210)과;
    협잡물 거름망(210)의 개방된 상부측면과 마주보는 쪽의 상기 타측의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120)에는 협잡물 안내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120)에 형성된 협잡물 안내구멍 부근의 안내공간(S1)에 설치되는 것으로, 거름대들이 협잡물이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의 간격으로 설치되고, 그 설치된 거름대들의 양측으로 개구되어 상기 상측 배수관(30)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우수에 포함되는 협잡물은 거름대들을 따라 상기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120)에 형성된 협잡물 안내구멍 쪽으로 안내되게 하는 계단식 협잡물 안내부재(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에 설치되는 집수구용 비점오염 저감장치.
  4. 교량상판(10)에 설치된 집수부(20)와 연통된 상측 배수관(30) 및 하측 배수 관(40)에 비점오염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비점오염장치는,
    상측이 상기 상측 배수관(30)과 연통되고, 하측이 상기 하측 배수관(40)과 연통되는 배수함체(100)와;
    상기 배수함체(100)의 내부에 한 쌍의 설치되어 안내공간(S1)을 형성하는 것으로, 연통된 상기 상측 배수관(30)의 직하에 구비되어 오수 및 우수를 안내하는 한 쌍의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110,120)과;
    상기 일측의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120) 너머에 설치되어 수평 유동안내공간(S5)이 형성되고, 하단부분이 개방되어 상기 배수함체(100)와 연통된 하측 배수관(40) 쪽으로 오수/우수가 유동되게 안내하는 수평 배수중계안내 구획벽(230)과;
    상기 수평 배수중계안내 구획벽(230)의 하단부에 개방된 부분을 폐쇄시키는 것으로 내부에 비점오염물질 제거부재(241)가 충전된 수평형 필터(240)와;
    상기 타측의 상부 배수안내 구획벽(120)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하부 배수안내 구획벽(150)과;
    상기 수평 배수중계안내 구획벽(230)의 하단 벽에 연결되어 오수/우수가 안내공간(S1)에서 수평 유동안내공간(S5)으로 흐르도록 안내하여 주는 유동안내벽(160)과;
    상기 유동안내벽(160)의 끝단에 힌지연결되되 그 힌지연결되는 일측에는 밀폐체(171)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중량체(172)가 구비되어, 유입되는 오수/우수의 하중이 중량체(172)와 힌지연결된 밀폐체(171)를 하부로 회동시킬 정도의 무게이 면, 상기 안내공간(S1)이 개방되어 상기 하측 배수관(40)으로 오수/우수가 직접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역류방지부재(1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에 설치되는 집수구용 비점오염 저감장치.
  5.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배수중계안내 구획벽(130)과 상기 배수함체(100)의 일측 내벽 사이에는 하류 유동안내공간(S3)이 형성되고,
    상부 배수중계안내 구획벽(130)과 상기 배수함체(100)의 일측 내벽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하류 유동안내공간(S3)을 통해 유동되는 오수/우수가 상기 하측 배수관(40)으로 유출되도록 유동로(181)가 형성된 연결벽(180)과;
    상기 연결벽(180)의 유동로(181)를 폐쇄시키는 것으로 둘레를 따라 비점오염물질 제거부재(191)가 충전된 다이아몬드형 스크린(190);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하류 유동안내공간(S3)을 통해 유동되는 오수/우수가 상기 다이아몬드형 스크린(190)을 투과하여 상기 유동로(181)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에 설치되는 집수구용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20090090153A 2009-09-23 2009-09-23 교량에 설치되는 집수구용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0941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153A KR100941634B1 (ko) 2009-09-23 2009-09-23 교량에 설치되는 집수구용 비점오염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153A KR100941634B1 (ko) 2009-09-23 2009-09-23 교량에 설치되는 집수구용 비점오염 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1634B1 true KR100941634B1 (ko) 2010-02-12

Family

ID=42083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153A KR100941634B1 (ko) 2009-09-23 2009-09-23 교량에 설치되는 집수구용 비점오염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16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397B1 (ko) 2016-12-21 2017-03-09 황성규 교량용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KR20220095871A (ko) * 2020-12-30 2022-07-07 에코피스주식회사 교량용 인공폭포 수질정화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118Y1 (ko) 2006-02-28 2006-05-11 고혜미 우, 오수받이.
KR100718719B1 (ko) 2006-03-10 2007-05-15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118Y1 (ko) 2006-02-28 2006-05-11 고혜미 우, 오수받이.
KR100718719B1 (ko) 2006-03-10 2007-05-15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397B1 (ko) 2016-12-21 2017-03-09 황성규 교량용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KR20220095871A (ko) * 2020-12-30 2022-07-07 에코피스주식회사 교량용 인공폭포 수질정화장치
KR102491864B1 (ko) * 2020-12-30 2023-01-27 에코피스주식회사 수질정화가 가능한 교량용 인공폭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6452B1 (ko) 빗물역류와 악취방지 및 비점오염 여과기능을 갖는 집수정
KR100920689B1 (ko) 집수구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US6733665B1 (en) Storm drain system for preventing and filtering debris, trash and hydrocarbons with removable inserts
KR100800559B1 (ko) 카트리지 나선형 스크린을 포함하는 초기우수처리장치
KR20070070212A (ko) 유하 빗물 여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빗물 저류 장치
KR101545448B1 (ko) 초기우수의 수처리 시스템
KR100741409B1 (ko) 교량의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KR100943022B1 (ko) 필터 카트리지를 이용한 비점오염원 초기 강우수 정화처리장치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683816B1 (ko)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904287B1 (ko)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KR100690380B1 (ko) 교량의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KR100941634B1 (ko) 교량에 설치되는 집수구용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0638526B1 (ko) 교량용 초기우수 정수장치
KR102131749B1 (ko)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KR200393332Y1 (ko) 교량의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KR100762981B1 (ko) 도수로의 비점오염 저감장치
KR20070061500A (ko) 부유형 오물수거장치에 의한 하천정화공법
KR101652669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053674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614766B1 (ko) 초기우수 처리기능을 가진 도로노면 배수처리장치
US20130043171A1 (en) Storm water pollution full capturing system
CN113209687A (zh) 一种废液废渣分离装置
KR101884307B1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역세시스템이 구비된 침지형 여과장치
KR101749320B1 (ko) 스크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