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0212A - 유하 빗물 여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빗물 저류 장치 - Google Patents

유하 빗물 여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빗물 저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0212A
KR20070070212A KR1020077010983A KR20077010983A KR20070070212A KR 20070070212 A KR20070070212 A KR 20070070212A KR 1020077010983 A KR1020077010983 A KR 1020077010983A KR 20077010983 A KR20077010983 A KR 20077010983A KR 20070070212 A KR20070070212 A KR 20070070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chamber
valve
vertical pipe
distribu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0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1358B1 (ko
Inventor
세이치로 다까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토오테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토오테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토오테츠
Publication of KR20070070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0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1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1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8Down pipes; Special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8Down pipes; Special clamping means therefor
    • E04D2013/0853Valves for controlling the rain water flow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8Down pipes; Special clamping means therefor
    • E04D2013/086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496Self-proportioning or correlating systems
    • Y10T137/2559Self-controlled branched flow systems
    • Y10T137/265Plural outflows
    • Y10T137/2668Alternately or successively substituted outflow
    • Y10T137/267Control by filling auxiliary gravitating or float operating tan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496Self-proportioning or correlating systems
    • Y10T137/2559Self-controlled branched flow systems
    • Y10T137/265Plural outflows
    • Y10T137/2668Alternately or successively substituted outflow
    • Y10T137/2673Control by filling outlet tank or receiver
    • Y10T137/2675Float control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6851With casing, support, protector or static constructional insta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6851With casing, support, protector or static constructional installations
    • Y10T137/6966Static constructional installations
    • Y10T137/6969Buildings
    • Y10T137/698Wa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287Liquid level responsive or maintaining systems
    • Y10T137/7358By float controlled valve
    • Y10T137/7423Rectilinearly traveling float
    • Y10T137/7426Float co-axial with valve or port
    • Y10T137/7436Float rigid with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36Consistency respon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292System with plural openings, one a gas vent or access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저류조의 만수 레벨보다 하방의 비교적 낮은 곳에 설치할 수 있는 여과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측 연직관(21a)의 하부와 하측 연직관(21b)의 상부가 상하에서 부착되며, 빗물 유통실(23)과 밸브실(24)을 갖는 하우징(22); 빗물 유통실과 밸브실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에 수용되며, 빗물 유통실에서 하측 빗물 구멍(23b)을 봉쇄하는 비중이 1 미만인 볼 밸브(29); 빗물 유통실로부터 밸브실에 이른 빗물을 저류하는 수납실(27); 볼 밸브에 의해 봉쇄되어 밸브실을 밀폐 가능한 밸브 시트용 개구부(24b); 상승하는 볼 밸브를 빗물 유통실에서 밸브실로 안내하는 상측 안내 부재(31); 및 하강하는 볼 밸브를 밸브실에서 빗물 유통실로 안내하는 하측 안내 부재(32)를 구비한다. 밸브 시트용 개구부를 통하여 출납 가능하게 구성된 제1 스트레이너(26)가 하측 빗물 구멍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수납실에 유입하는 빗물을 여과하는 제2 스트레이너(33)가 수납실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빗물 저류, 만수 레벨, 밸브 시트, 여과, 스트레이너, 볼 밸브

Description

유하 빗물 여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빗물 저류 장치{FLOWING-DOWN RAINWATER FILTRATION DEVICE AND RAINWATER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물의 지붕 또는 옥상에 낙하하여 흘러내리는 빗물에 혼입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유하 빗물 여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빗물 저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빗물로부터 모래나 미세한 먼지를 제거하고 저류(貯留)하여 활용하는 것이 이루어져 왔다. 그리고 빗물로부터 모래나 먼지를 제거하는 빗물 여과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러한 여과 장치는 외관과 상기 외관 내에 마련되는 내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관에는 연직부가 형성되고, 외관의 상단은 빗물받이 홈통에 연결된다. 외관의 하단은 하수도(下水道) 관거(管貫渠, 배수 도랑)와 연통되는 집수거(집수 동이)에 연결된다. 내관의 상단의 외주연은 상기 연직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한다. 내관의 하단은 빗물 저류조에 연결된다. 외관의 연직부의 일부의 내경이 연속적으로 변화하여 형성되고, 내관의 상부의 위치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소정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된다. 내관의 상단 근방의 외관에는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개구부를 개폐 가능한 덮개가 마련된다.
이러한 여과 장치에서는, 빗물받이 홈통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은 외관의 연직부의 내주면에 달라붙은 채로 층을 이루어 흘러내린다. 강우 강도(mm/시간)가 하수도 관거 및 하천의 유하 능력을 초과하지 않는 중소 규모의 강우 시에는, 연직부의 내주면 상을 흘러내리는 빗물의 층의 두께가 내관의 상단의 외주연과 연직부의 내주면간 간격보다 작기 때문에, 빗물이 외관으로만 흘러내려 집수통을 거쳐 하수도 관거로 흐르고 내관으로는 흐르지 않게 된다.
강우 강도가 하수도 관거 등의 유하 능력을 초과하는 대규모의 강우 시에는 연직부의 내주면 상을 흘러내리는 빗물의 층의 두께가 상기 간격보다 커지기 때문에 내관으로도 빗물이 흘러내려 빗물 저류조로 유입된다. 그 결과, 이러한 여과 장치는 하수도 관거나 하천의 유하 능력을 초과하는 강우 강도 시에 한하여 빗물을 빗물받이 홈통에서 저류조로 분류(分流)시킬 수 있고, 간단한 구조로 기존의 빗물받이 홈통의 좁은 스페이스에 설치할 수 있으며, 나아가 빗물받이 홈통에서 들어오는 모래나 미세한 먼지를 제거하여 저류조로 빗물을 유도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소64-83738호 (특허 청구 범위, 도 1)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빗물 여과 장치를 이용하여 분류된 빗물을 저류조에 저류하는 경우에는, 상기 여과 장치를 저류조의 만수 레벨보다 상방에 설치하지 않으면 분류된 빗물이 자중으로 인해 저류조까지 도달하지 않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여과 장치를 비교적 높은 곳에 장착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여과 장치를 높은 곳에 장착하게 되면, 상기 여과 장치의 점검은 사다리 같은 디딤판을 이용하여 행할 필요가 있어 일상 점검이 비교적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류조의 만수 레벨보다 하방의 비교적 낮은 곳에 설치할 수 있는 유하 빗물 여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빗물 저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연직관(21a)과 상기 상측 연직관(21a)과 동축의 하측 연직관(21b)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상측 연직관(21a)을 흘러내리는 빗물을 여과하여 상기 하측 연직관(21b)으로 안내하는 유하 빗물 여과 장치(20)이다.
이러한 유하 빗물 여과 장치의 특징 있는 구성은 상기 상측 연직관(21a)의 하부와 상기 하측 연직관(21b)의 상부가 상하 방향에서 부착되며, 상기 상측 연직관(21a)과 상기 하측 연직관(21b) 사이에 개재되는 빗물 유통실(23)과 상기 빗물 유통실(23)에 인접하는 밸브실(24)을 갖는 하우징(22); 상기 빗물 유통실(23)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빗물 유통실(23)을 상기 상측 연직관(21a)에 연통시켜 상기 상측 연직관(21a)을 흘러내리는 빗물을 상기 빗물 유통실(23)로 유입시키는 상측 빗물 구멍(23a); 상기 빗물 유통실(23)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빗물 유통실(23)을 상기 하측 연직관(21b)에 연통시켜 상기 빗물 유통실(23)로 유입된 빗물을 상기 하측 연직관(21b)으로 유하시키는 하측 빗물 구멍(23b); 상기 빗물 유통실(23)과 상기 밸브실(24)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22)에 수용되며, 상기 빗물 유통실(23) 내의 빗물이 소정량 미만이어서 상기 빗물 유통실(23)에 위치할 때 상기 하측 빗물 구멍(23b)을 봉쇄하는 비중이 1 미만인 볼 밸브(29); 상기 밸브실(24)에 연통되어 상기 하우징(22)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빗물 유통실(23)로부터 상기 밸브실(24)에 이른 빗물을 저류하는 수납실(27); 상기 수납실(27)에 대향하는 하우징(22)의 상부에 상기 밸브실(24)을 개방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빗물 유통실(23) 내의 빗물이 소정량 이상이어서 상기 볼 밸브(29)가 상기 밸브실(24)에 위치할 때 상기 볼 밸브(29)에 의해 봉쇄되어 상기 밸브실(24)을 밀폐 가능한 밸브 시트용 개구부(24b); 상기 빗물 유통실(23)에 마련되며 상기 빗물 유통실(23)에서 상승하는 상기 볼 밸브(29)를 상기 빗물 유통실(23)에서 상기 밸브실(24)로 안내하는 상측 안내 부재(31); 및 상기 밸브실(24)에 마련되며, 상기 밸브실(24)에서 하강하는 상기 볼 밸브(29)를 상기 밸브실(24)에서 상기 빗물 유통실(23)로 안내하는 하측 안내 부재(3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유하 빗물 여과 장치에서는, 비가 내리기 시작하였을 때에는 빗물 유통실(23) 내의 빗물이 소정량 미만이므로 볼 밸브(29)가 하측 안내 부재(32)에 의해 밸브실(24)에서 빗물 유통실(23)로 안내되어 상기 빗물 유통실(23)에서 하측 빗물 구멍(23b)을 봉쇄하고 있다. 따라서, 비가 내리기 시작하였을 때의 초기 빗물에는 비교적 많은 먼지가 포함되어 있지만, 이와 같이 먼지가 비교적 많이 포함되는 초기 빗물이 빗물 유통실(23)에서 하측 빗물 구멍(23b)을 경유하여 하측 연직관(21b)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초기 빗물은 빗물 유통실(23)에서 밸브실(24)을 경유하여 수납실(27)로 흘러내려 상기 수납실(27)에 저류(저장)된다.
한편, 상기 수납실(27)이 빗물로 채워진 후에는, 빗물 유입실(23) 및 밸브실(24)에 빗물이 고이기 시작하고, 수위가 상승하면 비중 1 미만인 볼 밸브(29)가 부상하여 하측 빗물 구멍(23b)이 개방되고, 그 후 상측 연직관(21a)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비교적 먼지가 적은 깨끗한 빗물이 빗물 유통실(23)에서 상기 하측 빗물 구멍(23b)을 경유하여 하측 연직관(21b)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위가 더 상승하면 볼 밸브(29)는 상측 안내 부재(31)에 의해 빗물 유통실(23)에서 밸브실(24)로 안내되고, 밸브 시트용 개구부(24b)를 봉쇄하여 밸브실(24)을 밀폐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여과 장치(20)를 저류조(11)의 빗물 취입구(11a)보다 하방에 위치시켜도 빗물이 여과 장치(20)의 밸브 시트용 개구부(24b)로부터 새나가지 않아 빗물을 저류조(11)로 유입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으로서, 밸브 시트용 개구부(24b)를 통하여 출입 가능하게 구성되고, 빗물 유통실(23)의 빗물을 여과하여 하측 연직관(21b)으로 유하시키는 제1 스트레이너(strainer, 26)가 하측 빗물 구멍(23b)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며; 수납실(27)이 볼 밸브(29)를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고; 하측 안내 부재(32)가 접을 수 있게 구성되어, 펼쳐진 상태에서는 밸브실(24)에서 하강하는 상기 볼 밸브(29)를 상기 밸브실(24)에서 빗물 유통실(23)로 안내하고, 접힌 상태에서는 상기 밸브실(24)과 상기 수납실(27) 사이의 상기 볼 밸브(29)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청구항 2에 기재된 유하 빗물 여과 장치에서는, 하측 빗물 구멍(23b)을 경유하여 하측 연직관(21b)으로 유입되는 빗물에 혼입되는 이물질을 제1 스트레이너(26)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제1 스트레이너(26)에는 이물질이 축적되는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안내 부재(32)를 접어 볼 밸브(29)를 수납실(27) 내로 낙하시키면, 밸브 시트용 개구부(24b)를 통하여 제1 스트레이너(26)를 빗물 유통실(23)로부터 빼낼 수 있고, 여과 장치(20)를 점검 작업이 용이한 비교적 낮은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제1 스트레이너(26)의 점검이 용이해진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으로서, 밸브 시트용 개구부(24b)를 통하여 출입 가능하게 구성되고, 빗물 유통실(23)에서 밸브실(24)을 경유하여 수납실(27)로 유입되는 빗물을 여과하는 제2 스트레너(33)가 상기 수납실(27)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수납실(27)로 유입된 빗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소직경 구멍(27b)이 상기 수납실(27)의 하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청구항 3에 기재된 유하 빗물 여과 장치에서는, 수납실(27)로 유입되는 초기 빗물에 혼입되는 이물질을 제2 스트레이너(33)에 의해 포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스트레이너(33)에는 비교적 많은 이물질이 축적되는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안내 부재(32)를 접으면 밸브 시트용 개구부(24b)를 통하여 제2 스트레이너(33)를 수납실(27)로부터 빼낼 수 있고, 여과 장치(20)를 점검 작업이 용이한 비교적 낮은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제2 스트레이너(33)의 점검이 용이해진다. 또한 초기 빗물에 비교적 많이 존재하는 먼지로 인해 수납실(27)은 비교적 오염되기가 쉬우나, 상기 제2 스트레이너(33)를 설치함으로써 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소직경 구멍(27b)을 수납실(27)의 하부에 형성하므로, 수납실(27)로 유입되어 저류된 초기 빗물은 상기 소직경 구멍(27b)으로부터 서서히 외부로 배출되어, 비가 그친 후에도 수납실(27)에 빗물이 저류되는 사태를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2 또는 3에 따른 발명으로서, 하측 빗물 구멍(23b)의 내주연에 링형의 돌기(25)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돌기(25)의 상부 가장자리에 제1 스트레이너(26)의 주연(peripheral edge)이 위치하여 상기 제1 스트레이너(26)가 상기 하측 빗물 구멍(23b)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청구항 4에 기재된 유하 빗물 여과 장치에서는, 비가 내리기 시작하였을 때의 비교적 먼지를 많이 포함하는 초기 빗물을 돌기(25)의 주변에서 밸브실(22)을 경유하여 수납실(27)에 저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스트레이너(26)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비교적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상기 제1 스트레이너(26)를 빗물 유통실(23)로부터 빼낼 수 있어 점검 작업을 비교적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여과 장치(20); 상기 여과 장치(20)보다 상방에 빗물 취입구(11a)를 갖는 빗물 저류조(11); 및 하측 연직관(21b)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빗물 취입구(11a)에 연결된 빗물 안내관(16);을 구비하며, 상측 연직관(21a)의 상단이 상기 빗물 취입구(11a)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빗물 저류 장치이다.
상기 청구항 5에 기재된 빗물 저류 장치에서는, 여과 장치(20)에서 여과되어 하측 연직관(21b) 및 빗물 안내관(16)의 각 내부에 저류된 빗물은 수위가 상승하여 빗물 취입구(11a)에 도달함으로써 상기 취입구(11a)에서 저류조(11)의 내부로 유입되어 저류되며, 필요에 따라 꺼내어 사용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으로서, 상측 연직관(21a)과 하측 연직관(21b) 및 빗물 안내관(16)의 각 내부에 존재하는 빗물을 외부로 배출 가능한 드레인 밸브(17)가 상기 하측 연직관(21b) 또는 상기 빗물 안내관(16)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청구항 6에 기재된 빗물 저류 장치에서는, 여과 장치(20)에 의해 대부분의 먼지는 제거되지만, 장기적으로 이러한 여과 장치(20)를 사용하면, 상기 여과 장치(20)를 미량이나마 통과한 이물질이 침강하여 하측 연직관(21b) 및 빗물 안내관(16)의 각 내부에 침전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하측 연직관(21b) 및 빗물 안내관(16)의 각 내부는 소정 기간마다 세정할 필요가 있다. 상기 청구항 6에 따른 빗물 저류 장치에서는 드레인 밸브(17)를 개방함으로써 하측 연직관(21b) 및 빗물 안내관(16)의 각 내부로 물을 유통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하측 연직관(21b) 및 빗물 안내관(16)의 각 내부에 침전된 이물질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청구항 7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5 또는 6에 따른 발명으로서, 도 9에 표시하였듯이 하측 연직관(21b)의 하단 또는 빗물 안내관(16)에 상기 빗물 안내관(16)에서 상기 하측 연직관(21b)으로 빗물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41)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청구항 7에 따른 빗물 저류 장치에서는, 하측 연직관(21b)에서 여과 장치(20)를 통하여 상측 연직관(21a)에 연통되어 있는 빗물 안내관(16)의 일단의 수위가 빗물 저류조(11)에 연통되어 있는 빗물 안내관(16)의 타단의 수위보다 낮아져도 빗물 안내관(16)에서 하측 연직관(21b)으로 빗물이 역류하지 않으므로, 빗물 취입구(11a)를 빗물 저류조(11)의 낮은 위치, 예를 들어 바닥 가까이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상기 빗물 취입구(11a)에 타단이 연결되어 지표면에 노출되는 빗물 안내관(16)의 길이를 짧게 하여 장치 전체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하 빗물 여과 장치에서는 빗물 유통실과 밸브실을 갖는 하우징과, 빗물 유통실과 밸브실과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에 수용되며, 빗물 유통실에 위치할 때 하측 빗물 구멍을 봉쇄하는 비중이 1 미만인 볼 밸브와, 빗물 유통실로부터 밸브실에 이른 빗물을 저류하는 수납실과, 볼 밸브가 밸브실에 위치할 때 볼 밸브에 의해 봉쇄되어 밸브실을 밀폐 가능한 밸브 시트용 개구부와, 상승하는 볼 밸브를 빗물 유통실에서 밸브실로 안내하는 상측 안내 부재와, 하강하는 볼 밸브를 밸브실에서 빗물 유통실로 안내하는 하측 안내 부재를 구비하였으므로, 볼 밸브가 하측 빗물 구멍을 봉쇄하여 먼지가 비교적 많이 포함되는 초기 빗물이 빗물 유통실에서 하측 연직관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초기 빗물로 수납실이 채워진 후에 볼 밸브가 떠오르고, 그 후 상측 연직관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비교적 먼지가 적은 깨끗한 빗물을 하측 빗물 구멍을 통하여 하측 연직관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한편, 수위가 상승하면 볼 밸브는 밸브 시트용 개구부를 봉쇄하여 밸브실을 밀폐한다. 따라서, 상기 여과 장치를 저류조의 빗물 취입구보다 하방에 위치시켜도 빗물이 여과 장치의 밸브 시트용 개구부로부터 새나가지 않아 빗물을 저류조로 유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스트레이너를 하측 빗물 구멍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하면 하측 빗물 구멍을 통하여 하측 연직관으로 유입되는 빗물에 혼입되는 이물을 제1 스트레이너에 의해 제거할 수 있고, 제2 스트레너를 수납실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하면 초기 빗물에 혼입되는 이물을 제2 스트레너에 의해 포집할 수 있다. 나아가 이들 제1 및 제2 스트레이너를 밸브 시트용 개구부를 통하여 탈착 가능하게 부착함으로써 점검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여과 장치와, 여과 장치보다 상방에 빗물 취입구를 갖는 빗물 저류조와, 하측 연직관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빗물 취입구에 연결된 빗물 안내관을 구비하며, 상측 연직관의 상단이 빗물 취입구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빗물 저류 장치에서는, 여과 장치에서 여과되어 하측 연직관 및 빗물 안내관의 각 내부에 고인 빗물은 수위가 상승하여 빗물 취입구에 도달함으로써 상기 취입구에서 저류조의 내부로 유입되어 저류되며, 필요에 따라 꺼내어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여과 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응하는 단면도로서, 상기 볼 밸브가 밸브 시트용 개구부를 봉쇄하여 밸브실을 밀폐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대응하는 단면도로서, 상기 하측 안내 부재를 접은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대응하는 단면도로서, 상기 볼 밸브가 수납실 내로 낙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도 8에 도시한 빗물 저류 장치에 사용된 여과 장치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대직경 구멍이 중앙 구멍의 축심에 직교하는 드레인 밸브를 도시한 도 1의 D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대응하는 단면도로서, 대직경 구멍이 중앙 구멍의 축심에 일치하는 드레인 밸브를 도시한 이다.
도 8은 상기 여과 장치를 이용한 빗물 저류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9는 상기 여과 장치를 이용한 다른 빗물 저류 장치의 블럭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 빗물 저류 장치 11 : 빗물 저류조
11a : 빗물 취입구 16 : 빗물 안내관
17 : 드레인 밸브 20 : 여과 장치
21a : 상측 연직관 21b : 하측 연직관
22 : 하우징 23 : 빗물 유통실
23a : 상측 빗물 구멍 23b : 하측 빗물 구멍
24 : 밸브실 24b : 밸브 시트용 개구부
25 : 돌기 26 : 제1 스트레이너
27 : 수납실 27b : 소직경 구멍
29 : 볼 밸브 31 : 상측 안내 부재
32 : 하측 안내 부재 33 : 제2 스트레너
41 : 체크 밸브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빗물 저류 장치(10)는, 빗물을 저류하는 빗물 저류조(11)와, 상기 빗물 저류조(11)에 빗물을 공급하는 빗물 유입관(12)과, 상기 빗물 유입관(12)의 하단에 상단이 접속된 상측 연직관(21a)과, 상기 상측 연직관(21a)과 동축의 하측 연직관(21b)과, 상측 연직관(21a)과 하측 연직관(21b) 사이에 개재된 유하 빗물 여과 장치(20)를 구비한다. 도면에 도시한 빗물 유입관(12)은 가옥(13)의 지붕(13a)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빗물받이 홈통(14)에 상단이 접속된 통상물(筒狀物)로서, 가옥(13)의 지붕(13a)으로 떨어진 비가 빗물받이 홈통(14)으로 유입되어 모이고, 모여진 빗물은 빗물받이 홈통(14)에서 빗물 유입관(12)으로 진입하여 상측 연직관(21a)으로 흘러내리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여과 장치(20)는 상측 연직관(21a)을 흘러내리는 빗물을 여과하여 하측 연직관(21b)으로 안내하는 것으로서, 하측 연직관(21b)의 하단과 저류조(11)는 빗물 안내관(16)에 의해 접속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과 장치(20)는 상측 연직관(21a)의 하부와 하측 연직관(21b)의 상부가 상하에서 부착된 하우징(22)을 구비한다. 하우징(22)은 상방에서 보았을 때 장경이 연직관(21a, 21b)의 외경의 약 2배이고 단경이 연직관(21a, 21b)의 외경보다 약간 큰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고(도 5), 수지 성 형품으로 이루어지는 하측 덮개(22b)를 상측 덮개(22a)의 주위로 끼워넣음으로써 조립된다. 하우징(22)의 일단의 상부에는 상측 연직관(21a)의 하부가 삽입되는 상측 단관(22c)이 마련되고, 상기 상측 단관(22c)에 대향하는 하우징(22)의 일단의 하부에는 하측 연직관(21b)의 상부가 끼워지는 하측 단관(22d)이 마련된다. 상기 상측 단관(22c)에 상측 연직관(21a)의 하부를 삽입하고 하측 단관(22d)에 하측 연직관(21b)의 상부를 끼움으로써 이들 상측 및 하측 연직관(21a, 21b)이 하우징(22)에 상하방향에서 부착된다. 그리고, 하우징(22)의 내부에는 상측 연직관(21a)과 하측 연직관(21b) 사이에 개재되는 빗물 유통실(23), 및 상기 빗물 유통실(23)에 인접하는 밸브실(24)이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빗물 유통실(23)의 상부에는 상기 빗물 유통실(23)을 상측 연직관(21a)에 연통시켜 상측 연직관(21a)을 흘러내리는 빗물을 빗물 유통실(23)로 유입시키는 상측 빗물 구멍(23a)이 형성된다. 한편, 빗물 유통실(23)의 하부에는 상기 빗물 유통실(23)을 하측 연직관(21b)에 연통시켜 빗물 유통실(23)로 유입된 빗물을 하측 연직관(21b)로 유하시키는 하측 빗물 구멍(23b)이 형성된다. 하측 빗물 구멍(23b)의 내주연에는 링형의 돌기(25)가 상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돌기(25)의 상부 가장자리에 제1 스트레이너(26)의 주연이 위치하여 상기 제1 스트레이너(26)가 하측 빗물 구멍(23b)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본 실시 형태의 제1 스트레이너(26)는 철망을 바닥 있는 원통형으로 성형한 것으로서, 바닥 있는 원통형의 스트레이너(26)의 외경은 링형의 돌기(25)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고, 스트레이너(26)의 개구부의 주연에는 돌기(25)의 상단에 설치 가능한 플랜지(26a)가 형성된다. 상기 스트레이너(26)는, 상기 플랜지(26a)를 돌기(25)에 설치하고 바닥 있는 원통부를 하측 빗물 구멍(23b)에 삽입함으로써 하측 빗물 구멍(23b)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한편, 하우징(22)의 타단의 하부에는 하측 단관(22d)에 인접하여 다른 단관(22e)이 마련된다. 상기 다른 단관(22e)에는 내부가 수납실(27)을 형성하는 바닥 있는 원통형의 수납 케이스(27a)가 하방에서 끼워져서 상기 수납 케이스(27a)가 하우징(22)의 하부에 마련된다. 밸브실(24)의 하부에는 상기 밸브실(24)을 수납실(27)에 연통시켜 빗물 유통실(23)로부터 밸브실(24)에 도달한 빗물을 수납실(27)로 더 유하시켜 상기 수납실(27)에 저류시키는 유입 구멍(24a)이 형성된다. 그리고 수납실(27)의 바닥부에는 상기 수납실(27)로 유입된 빗물을 배출하는 드레인 밸브(28)와 빗물을 미량이나마 배출시키는 소직경 구멍(27b)이 마련된다.
소직경 구멍(27b)은 단면이 원형이고 직경이 0.8 내지 1.5mm이다. 상기 소직경 구멍(27b)은, 수납실(27)에 유입되어 저류된 초기 빗물을 서서히 외부로 배출하다가 비가 그친 후에 상기 수납실(27)을 비워, 비가 그친 후에도 수납실(27)에 빗물이 저류되는 사태를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여과 장치(20)는 상기 소직경 구멍(27b)의 존재로 인해 일단 비가 그친 후에 다시 비가 내린 경우의 초기 빗물을 수납실(27)에 확실하게 저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단, 상기 소직경 구멍(27b)은 비교적 막히기 쉬우므로, 이러한 막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직경 구멍(27b)을 상방에서 덮어씌우는 세로로 긴 그물(27c)이 수납실(27)에 마련된다. 이 그물(27c)은 세로로 길게 함으로써 여과 면적을 확대시켜 그물(27c)의 막힘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레인 밸브(28)는, 원통체(28a)와, 상기 원통체(28a)의 하측 빗물 구멍(28b)을 차단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회전 밸브(28c)를 구비한다. 하측 빗물 구멍(28b)은 단면이 원형이고 직경이 8 내지 15mm의 구멍이다. 회전 밸브(28c)에는 하측 빗물 구멍(28b)과 동일한 직경의 대직경 구멍(28d)이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 밸브(28)는, 회전 밸브(28c)를 회전시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직경 구멍(28d)의 축심을 하측 빗물 구멍(28b)의 축심과 직교시킴으로써 수납실(27)로 유입된 빗물을 상기 수납실(27)에 저류시키고, 회전 밸브(28c)를 회전시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직경 구멍(28d)의 축심을 하측 빗물 구멍(28b)의 축심에 일치시킴으로써 수납실(27)에 저류된 빗물을 상기 대직경 구멍(28d)을 통하여 비교적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22)에는 빗물 유통실(23)과 밸브실(24) 사이를 이동 가능한 볼 밸브(29)가 수용된다. 상기 볼 밸브(29)는 비중이 1 미만인 볼이며, 상기 볼 밸브(29)에 의해 봉쇄되어 밸브실(24)을 밀폐 가능한 밸브 시트용 개구부(24b)가 수납실(27)에 대향하는 하우징(22)의 상부에 밸브실(24)을 개방하도록 형성된다. 밸브 시트용 개구부(24b)의 가장자리에는 패킹(30)이 끼워지며, 볼 밸브(29)는 빗물 유통실(23) 내의 빗물이 소정량 이상인 경우에 밸브실(24) 내에서 떠올라 패킹(30)에 접촉함으로써 볼 밸브(29)는 밸브 시트용 개구부(24b)를 봉쇄하여 상기 밸브실(24)을 밀폐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밸브 시트용 개구부(24b)는 제1 스트레이너(26)가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고, 하우징(22) 의 상면에는 상기 밸브 시트용 개구부(24b)를 덮도록 덮개(22f)가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며, 덮개에는 작업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22g)가 형성된다.
또한 빗물 유통실(23)에는 상기 빗물 유통실(23)에서 상승하는 볼 밸브(29)를 상기 빗물 유통실(23)에서 밸브실(24)로 안내하는 상측 안내 부재(31)가 마련되고, 밸브실(24)에는 상기 밸브실(24)에서 하강하는 볼 밸브(29)를 상기 밸브실(24)에서 빗물 유통실(23)로 안내하는 하측 안내 부재(32)가 마련된다. 상측 안내 부재(31)는 빗물 유입실(23)의 상부에 상기 빗물 유입실(23)을 가로질러 밸브실(24)에 대하여(향하여) 상방으로 기울어지는 판재이다(도 5). 한편, 하측 안내 부재(32)는 밸브실(24)의 하부에 상기 밸브실(24)을 가로질러 빗물 유입실(23)에 대하여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판재로서, 접을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하측 안내판(32)은, 펼쳐진 상태에서는 밸브실(24)에서 하강하는 볼 밸브(29)를 밸브실(24)에서 빗물 유통실(23)로 안내하고, 접힌 상태에서는 밸브실(24)과 수납실(27) 사이의 볼 밸브(29)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수납실(27)은 볼 밸브(29)를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며, 밸브실(24)에서 수납실(27)로 유입되는 빗물을 여과하는 바닥 있는 원통형의 제2 스트레이너(33)가 수납실(27)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제2 스트레이너(33)는 밸브 시트용 개구부(24b)를 관통 가능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납실(27)을 상하로 구획하는 수평한 평판(34)이 마련되며, 상기 평판(34) 상에 형성된 중앙 구멍(34a)에 제2 스트레이너(33)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제2 스트레이너(33)는 철망을 바닥 있는 원통형으로 성형한 것으로서, 그 외경은 중앙 구멍(34a)의 내경보 다 약간 작게 형성되고, 제2 스트레이너(33)의 개구부의 주연에는 중앙 구멍(34a)의 구멍 가장자리에 부착 가능한 플랜지(33a)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스트레이너(33)는 바닥 있는 원통부를 중앙 구멍(34a)에 삽입하여 상기 플랜지(33a)를 중앙 구멍(34a)의 구멍 가장자리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수납실(27)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빗물 저류조(11)의 상부 측벽에는 빗물 취입구(11a)가 형성되고, 상기 빗물 취입구(11a)는 여과 장치(20)보다 상방에 형성된다. 상측 연직관(21a)의 상단은 빗물 취입구(11a)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하측 연직관(21b)의 하단에는 빗물 안내관(16)의 일단이 연결되고, 빗물 안내관(16)의 타단은 빗물 취입구(11a)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측 연직관(21a), 하측 연직관(21b) 및 빗물 안내관(16)의 각 내부에 빗물이 고이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상측 연직관(21a), 하측 연직관(21b) 및 빗물 안내관(16)의 각 내부에 존재하는 빗물을 외부로 배출 가능한 드레인 밸브(17)가 연직관(21)의 하단에 마련된다.
다음, 이와 같이 구성된 빗물 저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비가 가옥(13)의 지붕(13a) 위로 떨어지면, 비는 상기 지붕(13a)의 경사를 따라 흘러 빗물받이 홈통(14)으로 유입되어 모인다. 모여진 빗물은 빗물받이 빗물 유입관(12)으로 진입하여 상기 빗물 유입관(12)의 내부를 흘러내리고, 상측 연직관(21a)을 경유하여 여과 장치(20)에 도달한다. 비가 내리기 시작할 때의 여과 장치(20)에서는 빗물 유통실(23) 내의 빗물이 소정량 미만이므로, 도 1에 도시한 바 와 같이 볼 밸브(29)는 하측 안내 부재(32)에 의해 밸브실(24)에서 빗물 유통실(23)로 안내되어 상기 빗물 유통실(23)에서 하측 빗물 구멍(23b)을 봉쇄한다. 따라서, 상측 연직관(21a)에서 빗물 유입실(23)로 빗물이 유입되고, 비가 내리기 시작하였을 때의 초기 빗물의 대부분은 링형의 돌기(25)의 둘레면에 의해 받아져서 밸브실(24)로 유도되어 수납실(27)로 더 흘러내린다. 따라서, 비가 내리기 시작하였을 때의 초기 빗물은 비교적 많은 먼지가 포함되어 있지만, 이와 같이 먼지가 비교적 많이 포함되는 초기 빗물이 빗물 유통실(23)에서 하측 빗물 구멍(23b)을 경유하여 하측 연직관(21b)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초기 빗물에 포함되는 비교적 많은 먼지는 수납실(27)에 마련된 제2 스트레이너(33)에 포집되고, 여과된 빗물이 수납실(27)의 바닥부에 이르러 상기 수납실(27)에 저류된다.
비가 계속 내려 빗물 유입관(12)의 내부를 흘러내리는 빗물의 양이 수납실(27)에 형성된 소직경 구멍(27b)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양을 초과하여 증가하면, 수납실(27) 밖으로 빗물이 넘쳐흘러 빗물 유입실(23) 및 밸브실(24)에 고이기 시작하고, 모여진 빗물의 수위가 링형의 돌기(25)의 상단을 넘게 되면 비중이 1 미만인 볼 밸브(29)는 떠오르고, 그 후 상측 연직관(21a)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비교적 먼지가 적은 깨끗한 빗물이 빗물 유통실(23)에서 상기 하측 빗물 구멍(23b)을 경유하여 하측 연직관(21b)으로 유입된다. 여기서, 하측 빗물 구멍(23b)에는 상기 하측 빗물 구멍(23b)을 봉쇄하도록 제1 스트레이너(26)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트레이너(26)에 의해 하측 빗물 구멍(23b)을 경유하여 하측 연직관(21b)으로 유입되는 빗물로부터 혼입된 이물질이 제거된다.
한편, 빗물 유입관(12)의 내부를 흘러내리는 빗물의 양이 증가하면 밸브실(24)의 내부에 빗물이 고여 수위가 상승하고, 이에 따라 빗물 유통실(23)의 내부에서 볼 밸브(29)가 떠오르게 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빗물 유통실(23)의 내부에서 떠오른 볼 밸브(29)는 상측 안내 부재(31)에 의해 빗물 유통실(23)에서 밸브실(24)로 안내되고, 밸브실(24)에서 밸브 시트용 개구부(24b)에 하방에서 접촉하여 밸브실(24)을 밀폐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과 장치(20)를 저류조(11)의 빗물 취입구(11a)보다 하방에 위치시켜도 빗물이 저류조(11)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밸브실(24)의 밸브 시트용 개구부(24b)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사태는 회피된다. 그리고, 상측 연직관(21a), 하측 연직관(21b) 및 빗물 안내관(16)의 각 내부에는 빗물의 수위가 상승하여 빗물 취입구(11a)에 도달한 시점에서 빗물이 상기 취입구(11a)에서 저류조(11)의 내부로 유입되어 저류된다. 저류조(11)에 저류된 빗물은 수도 꼭지(11b)로부터 필요에 따라 유출되어 급수나 세차 용수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측 연직관(21a)의 상단은 빗물 취입구(11a)보다 상방에 위치하므로, 빗물이 저류조(11)로 유입되지 않고 상측 연직관(21a)의 상단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사태는 회피된다.
여기서, 제거된 이물질은 여과 장치(20)의 제1 및 제2 스트레이너(26, 33)에 축적된다. 따라서, 소정 기간마다 이들 스트레이너(26, 33)를 빼내어 세정할 필요가 있다. 이들 스트레이너(26, 33)를 빼낼 때에는 비가 내리지 않을 때 덮개(22f)를 제거하여 밸브 시트용 개구부(24b)를 노출시킨다. 그러면, 볼 밸브(29)는 하측 안내 부재(32)에 의해 안내되어 빗물 유통실(23)에서 하측 통수 구멍(23b)을 봉쇄하고 있으므로, 밸브 시트용 개구부(24b)는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밸브 시트용 개구부(24b)를 통하여 하측 안내 부재(32)를 접으면, 밸브 시트용 개구부(24b)를 통하여 제2 스트레이너(33)를 수납실(27)로부터 빼낼 수 있다. 또한 하측 안내 부재(32)를 접어 하측 통수 구멍(23b)을 봉쇄하고 있는 볼 밸브(29)를 수납실(27) 내로 낙하시키면 밸브 시트용 개구부(24b)를 통하여 제1 스트레이너(36)를 빗물 유통실(23)로부터 빼낼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스트레이너(26, 33)를 하우징(22)으로부터 빼내기가 용이하여, 점검 및 청소를 비교적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비가 그친 직후로서, 덮개(24f)를 제거한 단계에서 볼 밸브(29)가 밸브 시트용 개구부(24b)를 봉쇄하고 있다면, 드레인 밸브(28)의 회전 밸브(28c)를 회전시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직경 구멍(28d)의 축심을 하측 빗물 구멍(28b)의 축심에 일치시킨다. 그리고, 수납실(27) 내부의 빗물을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켜 밸브 시트용 개구부(24b)를 개방시키고, 상기 개구부(24b)를 통하여 제1 및 제2 스트레이너(26, 33)를 빼낼 수 있다. 또한 드레인 밸브(28)를 개방하면 수납실(27) 내부의 빗물을 상기 수납실(27)에 존재하는 먼지와 함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더욱이 비가 그친 후에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수납실(27)의 빗물이 소직경 구멍(27b)에서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수납실(27)이 비어 있으므로, 밸브 시트용 개구부(24b)로부터 양동이 또는 물뿌리개 등을 이용하여 상기 수납실(27)로 물을 부어넣고 드레인 밸브(28)를 개방함으로써 먼지를 빗물과 함 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부 측벽에 빗물 취입구(11a)가 형성된 빗물 저류조(11)로 구성되는 빗물 저류 장치를 설명하였으나,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빗물 취입구(11a)는 빗물 저류조(11)의 하부 측벽에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빗물 저류조(11)의 내부의 빗물의 수위가 여과 장치(20)보다 높을 때에는 빗물이 빗물 취입구(11a)에서 빗물 안내관(16)으로 역류되고, 여과 장치(20)의 소직경 구멍(27b)을 경유하여 외부로 유출되게 된다. 따라서, 하측 연직관(21b)의 하단 또는 빗물 안내관(16)에 빗물 안내관(16)에서 하측 연직관(21b) 쪽으로 빗물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역류 방지 밸브(41)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도 9에 도시한 역류 방지 밸브(41)는, 중앙에 둥근 구멍(41b)이 형성된 밸브 시트(41a)와, 밸브 시트(41a)보다 하방에 마련되며 둥근 구멍(41b)을 밀봉 가능한 볼 밸브(41c)를 구비하고, 볼 밸브(41c)가 둥근 구멍(41b)을 밀봉함으로써 빗물 안내관(16)에서 하측 연직관(21b) 쪽으로 빗물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역류 방지 밸브(41)를 마련하면, 빗물 취입구(11a)를 빗물 저류조(11)의 낮은 위치, 예를 들어 바닥 가까이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빗물 취입구(11a)를 빗물 저류조(11)의 낮은 위치에 배치하면, 상기 빗물 취입구(11a)에 타단이 연결되어 지표면에 노출되는 빗물 안내관(16)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상기 빗물 안내관(16)이 비교적 길게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 전체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빗물받이 홈통(14)에 연결된 빗물 유입관(12) 의 하단을 상측 연직관(21a)의 상단에 연결하는 경우를 개시하였으나, 빗물받이 홈통(14)에 직접 상측 연직관(21a)의 상단을 연결할 수도 있다.
더욱이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철망을 바닥 있는 원통형으로 성형한 제1 및 제2 스트레이너(26, 33)를 설명하였으나, 제1 및 제2 스트레이너(26, 33)는 빗물을 여과할 수 있다면, 예를 들어 수지로 된 그물을 봉지 상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유연성이 있는 수지에 의해 제1 및 제2 스트레이너(26, 33)를 형성하면, 제1 및 제2 스트레이너(26, 33)를 변형시킨 상태에서 밸브 시트용 개구부(24b)로부터 빼낼 수 있게 되어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저류조의 만수 레벨보다 하방의 비교적 낮은 곳에 유하 빗물 여과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Claims (7)

  1. 상측 연직관(21a)과 상기 상측 연직관(21a)과 동축의 하측 연직관(21b)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상측 연직관(21a)을 흘러내리는 빗물을 여과하여 상기 하측 연직관(21b)으로 안내하는 유하 빗물 여과 장치(20)로서,
    상기 상측 연직관(21a)의 하부와 상기 하측 연직관(21b)의 상부가 상하에서 부착되며, 상기 상측 연직관(21a)과 상기 하측 연직관(21b) 사이에 개재되는 빗물 유통실(23)과 상기 빗물 유통실(23)에 인접하는 밸브실(24)을 갖는 하우징(22);
    상기 빗물 유통실(23)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빗물 유통실(23)을 상기 상측 연직관(21a)에 연통시켜 상기 상측 연직관(21a)을 흘러내리는 빗물을 상기 빗물 유통실(23)로 유입시키는 상측 빗물 구멍(23a);
    상기 빗물 유통실(23)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빗물 유통실(23)을 상기 하측 연직관(21b)에 연통시켜 상기 빗물 유통실(23)로 유입된 빗물을 상기 하측 연직관(21b)으로 유하시키는 하측 빗물 구멍(23b);
    상기 빗물 유통실(23)과 상기 밸브실(24)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22)에 수납되며, 상기 빗물 유통실(23) 내의 빗물이 소정량 미만이어서 상기 빗물 유통실(23)에 위치할 때 상기 하측 빗물 구멍(23b)을 봉쇄하는 비중이 1 미만인 볼 밸브(29);
    상기 밸브실(24)에 연통되어 상기 하우징(22)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빗물 유통실(23)로부터 상기 밸브실(24)에 이른 빗물을 저류하는 수납실(27);
    상기 수납실(27)에 대향하는 하우징(22)의 상부에 상기 밸브실(24)을 개방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빗물 유통실(23) 내의 빗물이 소정량 이상이어서 상기 볼 밸브(29)가 상기 밸브실(24)에 위치할 때 상기 볼 밸브(29)에 의해 봉쇄되어 상기 밸브실(24)을 밀폐 가능한 밸브 시트용 개구부(24b);
    상기 빗물 유통실(23)에 마련되며 상기 빗물 유통실(23)에서 상승하는 상기 볼 밸브(29)를 상기 빗물 유통실(23)에서 상기 밸브실(24)로 안내하는 상측 안내 부재(31); 및
    상기 밸브실(24)에 마련되며, 상기 밸브실(24)에서 하강하는 상기 볼 밸브(29)를 상기 밸브실(24)에서 상기 빗물 유통실(23)로 안내하는 하측 안내 부재(3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하 빗물 여과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밸브 시트용 개구부(24b)를 통하여 출입 가능하게 구성되고, 빗물 유통실(23)의 빗물을 여과하여 하측 연직관(21b)으로 유하시키는 제1 스트레이너(26)가 하측 빗물 구멍(23b)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며;
    수납실(27)이 볼 밸브(29)를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고;
    하측 안내 부재(32)가 접을 수 있게 구성되어, 펼쳐진 상태에서는 밸브실(24)에서 하강하는 상기 볼 밸브(29)를 상기 밸브실(24)에서 빗물 유통실(23)로 안내하고, 접힌 상태에서는 상기 밸브실(24)과 상기 수납실(27) 사이의 상기 볼 밸브(29)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하 빗물 여과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밸브 시트용 개구부(24b)를 통하여 출입 가능하게 구성되고, 빗물 유통실(23)에서 밸브실(24)을 경유하여 수납실(27)로 유입되는 빗물을 여과하는 제2 스트레너(33)가 상기 수납실(27)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수납실(27)로 유입된 빗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소직경 구멍(27b)이 상기 수납실(27)의 하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하 빗물 여과 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하측 빗물 구멍(23b)의 내주연에 링형의 돌기(25)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돌기(25)의 상부 가장자리에 제1 스트레이너(26)의 주연이 위치하여 상기 제1 스트레이너(26)가 상기 하측 빗물 구멍(23b)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하 빗물 여과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여과 장치(20);
    상기 여과 장치(20)보다 상방에 빗물 취입구(11a)를 갖는 빗물 저류조(11); 및
    하측 연직관(21b)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빗물 취입구(11a)에 연결된 빗물 안내관(16);을 구비하며,
    상측 연직관(21a)의 상단이 상기 빗물 취입구(11a)보다 상방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류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측 연직관(21a)과 하측 연직관(21b) 및 빗물 안내 관(16)의 각 내부에 존재하는 빗물을 외부로 배출 가능한 드레인 밸브(17)가 상기 하측 연직관(21b) 또는 상기 빗물 안내관(16)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류 장치.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하측 연직관(21b)의 하단 또는 빗물 안내관(16)에 상기 빗물 안내관(16)에서 상기 하측 연직관(21b)으로 빗물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 밸브(41)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류 장치.
KR1020077010983A 2004-11-25 2005-11-01 유하 빗물 여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빗물 저류 장치 KR1008413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39708A JP4180044B2 (ja) 2004-11-25 2004-11-25 流下雨水の濾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雨水貯留装置
JPJP-P-2004-00339708 2004-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0212A true KR20070070212A (ko) 2007-07-03
KR100841358B1 KR100841358B1 (ko) 2008-06-26

Family

ID=36497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0983A KR100841358B1 (ko) 2004-11-25 2005-11-01 유하 빗물 여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빗물 저류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775232B2 (ko)
EP (1) EP1816268B1 (ko)
JP (1) JP4180044B2 (ko)
KR (1) KR100841358B1 (ko)
CN (1) CN101065544B (ko)
AU (1) AU2005308286B2 (ko)
CA (1) CA2587220C (ko)
WO (1) WO20060571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0341B2 (ja) * 2007-05-07 2012-03-07 株式会社トーテツ 流下雨水の濾過装置
US20090229689A1 (en) * 2008-03-17 2009-09-17 Graham Roy Booth Water diversion device
KR101051133B1 (ko) * 2008-10-15 2011-07-2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유출 빗물 자동채집기
WO2010124037A1 (en) * 2009-04-23 2010-10-28 Eckman Environmental Corporation Grey water recycling apparatus and methods
US8033058B2 (en) 2009-04-28 2011-10-11 Fiskars Brands, Inc. Apparatus for diverting rainwater
US8528263B2 (en) * 2009-08-21 2013-09-10 Oatey Co. Rainwater diverter
AU2009354647B2 (en) 2009-10-29 2013-01-17 Totetu Mfg. Co. Ltd. Rainwater filtering device for inflow path
KR101290694B1 (ko) * 2010-06-22 2013-07-31 주식회사 케이앤엠이엔지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
US8496810B2 (en) 2011-05-04 2013-07-30 Rainflex, Llc Rainwater collection, storage, and distribution system
US20130233443A1 (en) * 2012-03-01 2013-09-12 Bret Allen Kuehneman Water Diverter/Collector System
US8950123B1 (en) * 2013-10-16 2015-02-10 Chongqing University Rainwater head
US10017920B1 (en) * 2015-04-07 2018-07-10 Charles Jacob (CJ) Huxford Conveyance drain emitter
CN105396347B (zh) * 2015-12-15 2017-03-22 志峰(北京)环境科技集团有限公司 雨水排放处理装置
CN106703305A (zh) * 2017-01-21 2017-05-24 广东省第建筑工程有限公司 机械式浮球弃流装置、雨水收集系统及屋面降温结构
CN107687230B (zh) * 2017-10-14 2023-04-11 毛啸宇 一种基于房屋排水管的雨水收集处理系统
CA3022988A1 (en) * 2017-11-02 2019-05-02 Southside Landscaping Co. Irrigation water recirculation system
CN108522236B (zh) * 2018-06-08 2023-07-14 宁夏农林科学院固原分院 农田用集雨保墒器
KR101933459B1 (ko) * 2018-08-10 2018-12-28 주식회사 지알티(Grt) 빗물 재활용 시스템
US11454029B2 (en) * 2018-12-21 2022-09-27 Xiang Liu Rain gutter dredger and use thereof
CN110274087B (zh) * 2019-07-17 2020-09-22 上海标一阀门有限公司 一种阀门
CN111197386A (zh) * 2020-01-13 2020-05-26 中铁六局集团有限公司 建筑物屋顶雨水收集及利用系统
CN112982564B (zh) * 2021-04-14 2022-08-30 烟台奥星电器设备有限公司 一种海绵城市用雨水回渗收储设备
CN113668783B (zh) * 2021-09-24 2022-08-02 浙江豪城建设有限公司 一种房屋建筑排水结构
CN114319504B (zh) * 2021-11-16 2022-11-25 广州山水怡人园林生态有限公司 一种屋顶雨水净化回用装置
US11471796B1 (en) * 2022-03-25 2022-10-18 Robert Sherwood Filtration system for a water drainag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6184A (en) * 1885-04-21 Apparatus for delivering clean water into cisterns from roofs of buildings
US1312738A (en) * 1919-08-12 Planoopapii co
US807332A (en) * 1905-03-03 1905-12-12 George S Stuart Cistern cut-off.
US1124458A (en) * 1914-06-01 1915-01-12 John Kessler Automatic cut-off for eaves-trough spouts.
US1950682A (en) * 1931-05-25 1934-03-13 Malsbary Job Fordyce Milk can filler
US2292764A (en) * 1941-03-03 1942-08-11 Floyd D Levering Flow control mechanism
US3489164A (en) * 1966-11-29 1970-01-13 Katsuji Fujiwara Free float type steam trap
US4428394A (en) * 1981-06-01 1984-01-31 Charlotte M. Wright, executrix Baffle mechanism and insert unit for downspout
US5114594A (en) * 1991-02-26 1992-05-19 Rosebrock Linda L Rainwater diverter
US5873383A (en) * 1993-05-21 1999-02-23 Totetu Mfg. Co., Ltd. General service water storing equipment
JP3596553B2 (ja) * 1994-07-26 2004-12-02 株式会社トーテツ 流下雨水の分流管
JPH08158416A (ja) * 1994-12-02 1996-06-18 Sekisui Chem Co Ltd 雨水の自動貯水装置及び自動貯水方法
US5533303A (en) * 1995-04-18 1996-07-09 Harvey; Robert B. Downspout water conservation diversion adaptor
JPH0978639A (ja) * 1995-09-20 1997-03-25 Tootetsu:Kk 流下雨水の異物除去構造及び流下雨水の分流管構造
AUPO334196A0 (en) * 1996-10-31 1996-11-21 Hart, George Henry Rain water vessel
US5863151A (en) * 1996-12-30 1999-01-26 Chapotelle; Dan Rainwater saver system
US5985158A (en) * 1997-11-06 1999-11-16 Tiderington; Kenneth M. Removable downspout debris trap assembly
US6397526B1 (en) * 2000-02-29 2002-06-04 Gregory W. Saul Rain gutter clean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A2325728A1 (en) * 2000-11-10 2002-05-10 Gaston Doiron Flow control mechanism for an eaves trough downspout
DE20102390U1 (de) * 2001-02-10 2001-05-17 Gaus Karl Flüssigkeitshöhenstandsregler für Auffangbehälter von Regenwasser o.dgl.
US6647670B1 (en) * 2002-05-31 2003-11-18 Michael Dran Automatic down spout extension
CN1176278C (zh) * 2002-11-18 2004-11-17 朱自强 雨雪集聚水水质自动分离装置
CN2617826Y (zh) * 2002-11-29 2004-05-26 林国冲 建筑物天面雨水储蓄利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80044B2 (ja) 2008-11-12
EP1816268A4 (en) 2013-04-03
CN101065544B (zh) 2010-12-08
AU2005308286B2 (en) 2008-10-30
AU2005308286A1 (en) 2006-06-01
EP1816268A1 (en) 2007-08-08
CA2587220A1 (en) 2006-06-01
US7775232B2 (en) 2010-08-17
WO2006057137A1 (ja) 2006-06-01
JP2006144504A (ja) 2006-06-08
CA2587220C (en) 2010-02-02
US20080105306A1 (en) 2008-05-08
CN101065544A (zh) 2007-10-31
EP1816268B1 (en) 2013-10-02
KR100841358B1 (ko) 200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358B1 (ko) 유하 빗물 여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빗물 저류 장치
KR101222885B1 (ko) 초기 우수를 배제한 우수 포집장치
KR101721439B1 (ko) 하수여과스크린
KR101004047B1 (ko) 스크린을 갖춘 와류형 우수분리기
KR100998514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JP3211250U (ja) 雨水貯留装置
KR20110029658A (ko) 오수받이
JP4890341B2 (ja) 流下雨水の濾過装置
AU2005316557B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s from a fluid stream
CN210103598U (zh) 一种旋流除污器
CN110054312B (zh) 一种旋流除污器
KR20100050279A (ko) 초기강우 여과장치
AU715503B2 (en) Easyflow rainwater filter
JP2000303508A (ja) 雨水等の貯留槽
KR102035118B1 (ko)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
JP2009046840A (ja) 雨水浄化案内装置
JP2009108563A (ja) ます内に配置されるフィルター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フィルターます
JP2005016044A (ja) 流下雨水の濾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雨水貯留装置
JP6526616B2 (ja) 固液分離処理装置
JP2009127369A (ja) 雨水取り出し装置
JP6542746B2 (ja) 固液分離処理装置
KR100981422B1 (ko) 와류형 협잡물 거름 스크린
JP2006028954A (ja) 雨水濾過貯水装置
KR930005724Y1 (ko) 악취 역류 방지용 오수 여과장치
KR20160017801A (ko) 악취를 차단하는 우수받이 거름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