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694B1 -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 - Google Patents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694B1
KR101290694B1 KR1020100059129A KR20100059129A KR101290694B1 KR 101290694 B1 KR101290694 B1 KR 101290694B1 KR 1020100059129 A KR1020100059129 A KR 1020100059129A KR 20100059129 A KR20100059129 A KR 20100059129A KR 101290694 B1 KR101290694 B1 KR 101290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storage unit
wall
reservoi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8937A (ko
Inventor
최기재
문상욱
김완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앤엠이엔지
김완근
문상욱
최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앤엠이엔지, 김완근, 문상욱, 최기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앤엠이엔지
Priority to KR1020100059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694B1/ko
Publication of KR20110138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8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03B3/03Special vessels for collecting or storing rain-water for use in the household, e.g. water-but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022Large containers rigid in multiple arrangement, e.g. stackable, nestable, connected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7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rain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벽면에 빗물 저장통을 길게 설치하여 옥상이나 지붕에서 흘러내린 빗물을 모아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기존 건물은 물론 신축 건물에서도 별도의 추가 공간 없이 간편하게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고, 또한 건물의 각 층으로 추가 동력원 없이 빗물을 공급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Rainwater use device of the way mounted to the wall}
본 발명은 빗물을 모아 생활용수, 조경용수 등으로 활용하는 빗물이용시설에 관한 것이다.
빗물이용시설은 빗물을 모아 생활용수(청소, 화장실, 세탁, 세차 등), 조경용수, 소방용수 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빗물을 건물 옥상이나 지상에 저장하여 이용하는 시설물이다.
이러한 빗물이용시설은 최근 정부에서 빗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관련 법규를 통해 강제하는 한편 시설물 설치비용을 지원함으로써 더욱 널리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현재까지 대부분의 빗물이용시설 구조물은, 옥상에 빗물을 모아두는 탱크를 직접 설치하여 이용하거나, 지상 또는 지하 공간에 빗물을 저장하는 탱크를 설치하여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빗물이용시설물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옥상에 빗물저장탱크를 설치한 경우는, 보다 많은 양의 빗물을 저장하는데 한계가 있고, 옥상 이외의 공간 즉, 건물 내부 또는 지상 또는 지하 공간에 옥상(또는 지붕)에서 흘러내린 물을 모아서 저장하는 경우는, 별도의 저장 공간이 추가로 필요하게 되고, 지상 또는 지하 공간에 설치될 경우는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펌프 등의 전기 시설물이 추가로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빗물이용시설물은 빗물을 정화하기 위한 여러 시설물을 추가로 설치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는 빗물이용시설물의 설치비용을 크게 향상시켜, 빗물 이용 시설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건물 벽면에 직접 설치하여 옥상이나 지붕에서 흘러내린 빗물을 모아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 건물은 물론 신축 건물에서도 별도의 추가 공간 없이 간편하게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고, 또한 건물의 각 층으로 추가 동력원 없이 빗물을 공급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오염 정도가 높은 처음의 빗물은 배출하고, 이후 상대적으로 깨끗한 빗물을 모아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양질의 빗물을 간단한 구조로 모아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로 조립되는 복수 단 조립식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건물 높이에 따라 조립단수를 조정하여 용이하게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는, 건물 벽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옥상에서 배수된 빗물이 저장되는 빗물 저장통과, 이 빗물 저장통을 건물 벽면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빗물 저장통은, 옥상에서 배수된 빗물 중 처음 일정량의 빗물이 저장되는 제1우수 저장부와, 상기 제1우수 저장부와 구분되어 양질의 빗물이 저장되는 제2우수 저장부와, 상기 제1우수 저장부의 입구에 구비되어 상기 제1우수 저장부 안에 빗물이 일정량 이상 저장되면 옥상에서 배수된 빗물이 제2우수 저장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우수방향 전환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우수 저장부와 제2우수 저장부는 상기 빗물 저장통 내에 구비된 제1분리벽에 의해 좌우로 분리되되, 제2우수 저장부가 제1우수 저장부보다 저장 공간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분리벽을 중심으로 제1우수 저장부의 상부에 옥상에서 배수된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실이 위치되고, 이 유입실과 제1우수 저장부 사이에 상기 우수방향 전환밸브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실과 제2우수 저장부 사이의 제1분리벽에 제2우수 유입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우수 유입구는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을 차단하는 필터 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빗물 저장통은, 상기 제1우수 저장부의 하부에 제1우수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2우수 저장부의 하부 또는 그 측면에 하나 이상의 제2우수 공급관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수방향 전환밸브는, 상기 제1우수 저장부에 고인 빗물이 일정 이상일 때 상승하는 부력체와, 이 부력체의 의해 제1우수 저장부의 입구를 차단하는 밸브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빗물 저장통은, 상기 제2우수 저장부와 제2분리벽에 의해 분리되는 월류수 배출부가 구비되고, 제2분리벽의 상측 부분에 월류수가 배출되는 월류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빗물 저장통은, 상하 방향으로 조립된 복수 단 조립식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빗물 저장통은, 상단 탱크, 하나 이상의 중간 탱크, 하단 탱크가 차례로 조립되게 구성되되, 상기 상단 탱크는, 옥상에서 배수된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실과, 상기 우수방향전환밸브, 제1우수 저장부, 제2우수 저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중간 탱크는, 상기 상단 탱크와 하단 탱크 사이에 연결되는 제1우수 저장부와 제2우수 저장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단 탱크는, 상기 중간 탱크와 연결된 제1우수 저장부와 제2우수 저장부가 구비됨과 아울러, 각 우수 저장부에 우수 배출구가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빗물 저장통은, 복수의 탱크로 분리되어 구성되되, 상측에 조립되는 탱크의 하단부에는 그 하측에 결합되는 탱크의 상단부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돌출되고, 상호 조립되는 탱크가 탱크 사이에는 누수 방지를 위해 패킹 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빗물 저장통은, 상기 제2우수 저장부는 저장 공간을 복수의 층으로 분리하는 나눔막이 설치되고, 이 나눔막에 의해 분리된 각 층에는 빗물이 일정 이상 고이면 하측의 저장 공간으로 빗물을 배출하는 오버플로우 관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또는 첨부된 '도면' 등의 예시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며,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과제 해결 수단들이 추가로 제시되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옥상 또는 지붕의 빗물 배수를 위한 홈통(배수 파이프) 대신에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장통을 설치하여 빗물을 모아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기존 건물은 물론 신축 건물에서도 별도의 추가 공간 없이 간편하게 빗물잉용시설을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고, 또한 건물의 각 층으로 추가 동력원 없이 빗물을 공급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오염 정도가 높은 처음의 빗물은 분리하고, 그 다음에 유입된 상대적으로 깨끗한 빗물을 모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양질의 빗물을 간단한 구조로 모아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단 탱크, 복수의 중간 탱크, 하단 탱크 등으로 상하로 조립되는 복수 단 조립식 구조로 구성할 경우에, 건물 높이에 따라 조립단수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간편하게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빗물 저장통을 복수의 층으로 분리하여 각 층의 공간에 빗물을 저장한 상태에서 건물 내에 층층이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할 경우에, 추가 동력원 없이 건물의 모든 공간에서 용이하게 빗물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 외벽에 설치된 빗물 저장통에 간판 구조물, 조명 장치 등을 설치할 경우에, 빗물이용시설 외에, 추가적으로 기능을 갖도록 구성하여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가 건물 외벽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가 고정부재에 의해 설치된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의 조립 상태를 보인 정면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의 조립 전 상태를 보인 정면 및 측면구성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구비되는 상단 탱크를 보여주는 정면, 측면 구성도 및 절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구비되는 중간 탱크를 보여주는 정면, 측면 구성도 및 절개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구비되는 하단 탱크를 보여주는 정면, 측면 구성도 및 절개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들의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의 정면 구성도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의 활용 예를 예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는, 건물 벽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옥상에서 배수된 빗물이 저장되는 빗물 저장통(10)이 구비된다.
빗물 저장통(10)은 그 상측부분에 옥상에서 배수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배수 파이프(5)(홈통)가 연결되고, 하측 부분에 필요시 빗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관 등이 연결되어 구성된다.
특히, 빗물 저장통(10)은 옥상에서 배수된 빗물 중 상대적으로 더러운 처음 일정량의 빗물이 저장되는 제1우수 저장부(20)와, 이 제1우수 저장부(20)와 구분되어 양질의 빗물이 저장되는 제2우수 저장부(30)로 나누어져 구성된다. 이러한 빗물 저장통(10)은, 옥상에 비가 내리면서 처음 옥상의 먼지 등과 함께 유입된 초기 빗물은 제1우수 저장부(20)에 저장되고, 이 제1우수 저장부(20)가 다 찬 후에 어느 정도 깨끗해진 빗물이 제2우수 저장부(30)에 저장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빗물 저장통(10)은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탱크가 조립된 복수 단 조립식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빗물 저장통(1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복수 단 조립식 구성은 다음에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빗물 저장통(10)의 설치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로서, 브래킷 등의 고정부재(6)를 이용하여 건물 벽면에 빗물 저장통(10)을 부착 고정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도 2에서 도면 부호 7은 빗물 저장통(10)을 지지하는 브래킷이고, 8은 브래킷(7)을 건물 벽면에 고정하는 볼트를 나타낸다.
도 2에 예시된 고정부재(6)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통체형 구조를 갖는 빗물 저장통(10)을 건물 벽면에 지지시켜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이면, 공지의 다양한 고정 구조물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벽면에 고정부재를 고리형으로 설치하고, 빗물 저장통(10)에 홈을 형성하거나 브래킷을 달아서 벽면의 고리형 고정부재에 벽걸이 방식으로 빗물 저장통을 설치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제,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한 빗물 저장통(1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빗물 저장통(10)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체 빗물 저장통(10)의 구조를 먼저 설명하고, 이후 복수 단 조립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빗물 저장통(10)은, 전체적으로 제1우수 저장부(20), 제2우수 저장부(30), 우수방향 전환밸브(40), 월류수 배출부(50)로 이루어진다.
제1우수 저장부(20)는, 옥상 또는 지붕 등에서 배수된 빗물 중에서 처음 상대적으로 더러운 빗물이 저장되는 공간이다.
제2우수 저장부(30)는 제1우수 저장부(20)와 구분되어 제1우수 저장부(20)가 다 찬 다음에 유입되는 양질의 빗물이 저장되는 공간이다.
여기서, 제1우수 저장부(20)와 제2우수 저장부(30)는 상기 빗물 저장통(10) 내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1분리벽(13)에 의해 좌우로 분리되어 각각 구성되고, 양질의 빗물이 저장되는 제2우수 저장부(30)가 초기 오염된 빗물이 저장되는 제1우수 저장부(20)보다 저장 공간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우수방향 전환밸브(40)는, 제1우수 저장부(20)의 입구에 구비되어 상기 제1우수 저장부(20) 안에 빗물이 일정량 이상 저장되면 옥상에서 배수된 빗물이 제2우수 저장부(30)로 유입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분리벽(13)을 중심으로 제1우수 저장부(20)의 상부에 옥상에서 배수된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실(25)이 위치되고, 이 유입실(25)과 제1우수 저장부(20) 사이에 상기 우수방향 전환밸브(40)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실(25)과 제2우수 저장부(30) 사이의 제1분리벽(13)에 제2우수 유입구(14)가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3 등에서 도면부호 11은, 도 1의 배수 파이프(5)와 연결되는 유입구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제2우수 유입구(14)에는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을 차단하는 필터 부재(15)가 구비될 수 있다. 필터 부재(15)는 메쉬 구조를 갖는 거름망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우수방향 전환밸브(40)는, 제1우수 저장부(20)에 고인 물이 일정 이상일 때 상승하는 부력체(41)와, 이 부력체(41)의 의해 제1우수 저장부(20)의 입구를 차단하는 밸브판(4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우수방향 전환밸브(40)는 부력체(41)를 이용한 밸브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제1우수 저장부(20)에 일정량의 물이 고이면, 빗물이 제2우수 저장부(30)로 유입되도록 하는 삼방밸브 방식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우수 저장부(20)에 물의 저장 높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제2우수 저장부(30) 쪽으로 빗물을 유도하는 전자식 삼방밸브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빗물 저장통(10)의 하부 구조는, 제1우수 저장부(20)의 하부 쪽에 제1우수 배출구(21) 및 나사식 마개(23)가 구비되고, 제2우수 저장부(30)의 하부 쪽에 제2우수 공급관(31)이 구비된다. 또한 제2우수 공급관(31)은 제2우수 저장부(30)의 하부 쪽만 아니라, 건물의 각 층에 양질의 우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제2우수 저장부(30)의 중간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2우수 공급관(31')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빗물 저장통(10)은, 제2우수 저장부(30)와 제2분리벽(16)에 의해 분리되는 월류수 배출부(50)가 구비될 수 있고, 이때 제2분리벽(16)의 상측 부분에는 월류수가 배출되는 월류구(17)가 구비된다. 그리고 월류수 배출부의 하부에는 월류수가 배출되는 월류수 퇴수관(51)이 구비된다.
도 3 등에 예시된 월류수 배출부(50)는 빗물 저장통(10) 안에 제2분리벽(16)으로 분할되어 구성된 실시예를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월류구(17)에 연결된 별도의 월류수 배출 파이프(도 12의 도면부호 '51' 참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빗물 저장통(10)의 복수 단 조립식 구조 및 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탱크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빗물 저장통(10)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탱크(110), 복수의 중간 탱크(120), 하단 탱크(130)가 차례로 조립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단 탱크(110) 및 각 중간 탱크(120)는 그 하측에 결합되는 중간 탱크(120) 또는 하단 탱크(130)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삽입부(140)들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삽입부(140)는 빗물 저장통(10)이 제1분리벽(13) 및 제2분리벽(16)에 의해 제1우수 저장부(20), 제2우수 저장부(30), 월류수 배출부(50)로 나누어져 있으므로, 삽입부(140)도 각각 돌출되어 아래쪽 탱크의 제1우수 저장부(20), 제2우수 저장부(30), 월류수 배출부(50)에 삽입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삽입부(140)가 조립되는 부분에는 누수 방지를 위해 패킹 부재(15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층 방식으로 조립되는 각 탱크(110, 120, 130)의 상호 고정은 억지 끼움 방식, 접착제를 이용한 부착 방식, 클램프 등 연결부재를 이용한 상호 결합 방식 등으로 공지의 복수 단 탱크 결합 방식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구성 가능하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조립식 빗물 저장통(10)을 구성하는 각각의 탱크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단 탱크(110)는, 도 6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제1분리벽(13) 및 제2분리벽(16)에 의해 제1우수 저장부(20), 제2우수 저장부(30), 월류수 배출부(50)로 나누어져 구성되며, 특히 제1우수 저장부(20)의 상부에는 옥상으로부터 배수된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실(25)이 구비되는데, 이 유입실(25)에는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됨과 아울러, 유입실(25)과 제1우수 저장부(20) 사이에 우수방향 전환밸브(40)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1분리벽(13)과 제2분리벽(16)에는 제2우수 유입구(14)와 월류구(17)가 각각 형성되고, 제2우수 유입구(14)에는 필터 부재(15)가 설치된다.
이러한 상단 탱크(110)는 상부는 막히고, 하부는 중간 탱크(120)와 통하도록 개방되어 각각의 삽입부(140)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단 탱크(110)에서 유입실(25)의 상부는 개폐 가능한 뚜껑(12)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유입실(25) 내부의 우수방향 전환밸브(40) 및 필터 부재(15) 등을 수리 또는 교환하거나, 필터 부재(15)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뚜껑(12)이 설치되는 것이다.
다음, 중간 탱크(120)도, 상기 상단 탱크(110)와 대응되는 제1분리벽(13) 및 제2분리벽(16)에 의해 제1우수 저장부(20), 제2우수 저장부(30), 월류수 배출부(50)로 나누어져 구성된다.
이러한 중간 탱크(120)는 상부 및 하부가 모두 개방된 구조를 갖고, 하부에는 중간 탱크(120) 또는 하단 탱크(130)와 조립되도록 각각의 삽입부(140)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중간 탱크(120)는, 건물의 높이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조립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제2우수 저장부(30)에서 각 층으로 우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제2우수 공급관(31')이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음, 하단 탱크(130)는, 상측에 조립되는 중간 탱크(120)와 대응되는 제1분리벽(13) 및 제2분리벽(16)에 의해 제1우수 저장부(20), 제2우수 저장부(30), 월류수 배출부(50)로 나누어져 구성된다.
이러한 하단 탱크(130)는 상부만 개방된 구조를 갖고, 제1우수 저장부(20), 제2우수 저장부(30), 월류수 배출부(50)는 빗물을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데, 제1우수 저장부(20)는 제1우수 배출구(21)가 연결되고, 제2우수 저장부(30)는 제2우수 공급관(31)이 연결되며, 월류수 배출부(50)는 월류수 퇴수관(51)이 연결된다.
여기서 제1우수 배출구(21)는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개방시켜서 빗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우수 배출구(21)에 나사 결합식 마개(23) 또는 통상의 개폐 밸브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물론, 비가 멈춰서 더 이상 빗물 저장통(10)에 빗물이 유입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개방되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에는 센서와 이 센서에 의해 개방되는 자동개폐밸브가 구성될 수 있다.
제2우수 공급관(31)도 건물 내부의 잡용수, 청소수, 건물 외부의 조경용수 등으로 이용하기 위한 빗물 사용처까지 연결된 공급 라인 상에 개폐 밸브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월류수 퇴수관(51)은 항상 빗물이 배출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들의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의 정면 구성도들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들의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에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 및 도 13에 예시된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는, 제2우수 저장부(30)가 나눔막(160)을 통해 복수의 층으로 분리되어, 상측에 위치된 제2우수 저장부(30)에 빗물이 일정 이상 고이면 오버플로우 관(170)을 통해 하측에 위치된 제2우수 저장부(30)로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각 층으로 분할된 제2우수 저장부(30)에서 제2우수 공급관(31')을 통해 저장된 수량만큼 각 층에서 지속적으로 빗물을 공급받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단 탱크(110)와 중간 탱크(120)에서 제2우수 저장부(30)의 하부가 나눔막(160)에 의해 막힌 구조로 이루어지고, 오버플로우 관(170)을 통해서 상하로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물론, 제1우수 저장부(20)의 하부는 위에서 설명한 삽입부(140)가 그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2는 파이프 형태로 오버플로우 관(170)이 구성된 실시예를 보여주고, 도 13은 분리벽 형태의 오버플로우 관(170)이 구성된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12에서와 같이 상측과 하측의 오버플로우 관(170)이 동일 위치에 배치된 경우에, 오버플로우 관(170) 상부에 위에서 떨어진 물이 오버플로우 관으로 바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캡(175)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서와 같이 좌우로 교번적으로 설치된 경우에는 캡(175)을 설치하지 않고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도 14에 예시된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는, 빗물 저장통(10)이 조립식 구조가 아닌 일체식 구조로 이루어진 실시예이다.
즉, 상기한 여러 실시예들에서는 빗물 저장통(10)이 상하로 조립가능하게 분할되어 상호 조립되었으나, 도 14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분할되지 않고, 빗물 저장통(10) 내부에 제1우수 저장부(20), 제2우수 저장부(30), 월류수 배출부(50)가 수직으로 나누어져 구성된다. 물론 빗물 저장통(10)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구성은, 위의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한 상단 탱크(110) 및 하단 탱크(130)의 기본 구성과 분리된 구성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구성된다.
한편,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은 일체형 빗물 저장통(10) 구조에서, 제1우수 저장부(20), 제2우수 저장부(30), 월류수 배출부(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리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우수 저장부(20)와 제2우수 저장부(30)는 하나의 통에 함께 구성하고, 월류수 배출부(50)는 별도의 통 또는 파이프로 구성하여 연결 조립하는 방식, 또는 제1우수 저장부(20)와 제2우수 저장부(30)를 별도의 통으로 구성하여 상호 연결하여 조립하는 방식 등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의 다양한 활용예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빗물 저장통(10)의 바깥쪽에 간판 구조물(200)을 설치하거나, 빗물 저장통(10)의 외면에 직접 LED 등의 조명기구들을 설치하여 간판 또는 광고 구조물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가 건물 외벽에 노출되게 설치된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건물 외벽의 일부를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건물 매립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빗물 저장통(10)을 수평 방향으로 그 크기를 확장하여 구성하는 경우에, 건물의 외벽 일부를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빗물 저장통(10)은 건물 외벽을 이룰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갖는 소재(예를 들면, 고강도 플라스틱, 또는 철판 구조물 등)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빗물 저장통(10)을 건물의 외벽에 마감부재 대신에 설치하여 마감부재 대용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빗물 저장통은 건물 외벽에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두께를 얇고 슬림하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건물 벽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옥상에서 배수된 빗물이 저장되는 빗물 저장통과, 이 빗물 저장통을 건물 벽면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빗물 저장통은, 옥상에서 배수된 빗물 중 처음 일정량의 빗물이 저장되는 제1우수 저장부와, 상기 제1우수 저장부와 구분되어 양질의 빗물이 저장되는 제2우수 저장부와, 상기 제1우수 저장부의 입구에 구비되어 상기 제1우수 저장부 안에 빗물이 일정량 이상 저장되면 옥상에서 배수된 빗물이 제2우수 저장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우수방향 전환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1우수 저장부와 제2우수 저장부는 상기 빗물 저장통 내에 구비된 제1분리벽에 의해 좌우로 분리되되, 제2우수 저장부가 제1우수 저장부보다 저장 공간이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제1분리벽을 중심으로 제1우수 저장부의 상부에 옥상에서 배수된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실이 위치되고, 이 유입실과 제1우수 저장부 사이에 상기 우수방향 전환밸브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실과 제2우수 저장부 사이의 제1분리벽에 제2우수 유입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제2우수 유입구는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을 차단하는 필터 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빗물 저장통은, 상기 제1우수 저장부의 하부에 제1우수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2우수 저장부의 하부 또는 그 측면에 하나 이상의 제2우수 공급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우수방향 전환밸브는, 상기 제1우수 저장부에 고인 빗물이 일정 이상일 때 상승하는 부력체와, 이 부력체의 의해 제1우수 저장부의 입구를 차단하는 밸브판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
  7.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빗물 저장통은, 상기 제2우수 저장부와 제2분리벽에 의해 분리되는 월류수 배출부가 구비되고, 제2분리벽의 상측 부분에 월류수가 배출되는 월류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
  8. 청구항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저장통은, 상하 방향으로 조립된 복수 단 조립식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
  9. 청구항8에 있어서,
    상기 빗물 저장통은, 상단 탱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간 탱크, 하단 탱크가 차례로 조립되게 구성되되,
    상기 상단 탱크는, 옥상에서 배수된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실과, 상기 우수방향전환밸브, 제1우수 저장부, 제2우수 저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중간 탱크는, 상기 상단 탱크와 하단 탱크 사이에 연결되는 제1우수 저장부와 제2우수 저장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단 탱크는, 상기 중간 탱크와 연결된 제1우수 저장부와 제2우수 저장부가 구비됨과 아울러, 각 우수 저장부에 우수 배출구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
  10. 청구항8에 있어서,
    상기 빗물 저장통은, 복수의 탱크로 분리되어 구성되되, 상측에 조립되는 탱크의 하단부에는 그 하측에 결합되는 탱크의 상단부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돌출되고, 상호 조립되는 탱크와 탱크 사이에는 누수 방지를 위해 패킹 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
  11. 청구항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저장통의 제2우수 저장부는 저장 공간을 복수의 층으로 분리하는 나눔막이 설치되고, 이 나눔막에 의해 분리된 각 층에는 빗물이 일정 이상 고이면 하측의 저장 공간으로 빗물을 배출하는 오버플로우 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
KR1020100059129A 2010-06-22 2010-06-22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 KR101290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129A KR101290694B1 (ko) 2010-06-22 2010-06-22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129A KR101290694B1 (ko) 2010-06-22 2010-06-22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937A KR20110138937A (ko) 2011-12-28
KR101290694B1 true KR101290694B1 (ko) 2013-07-31

Family

ID=45504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129A KR101290694B1 (ko) 2010-06-22 2010-06-22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6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32910B (en) * 2012-09-07 2017-03-01 Hummingwood Ltd Apparatus and water butt for holding plants and storing liquid
ES2618371B2 (es) * 2015-12-17 2018-09-26 Universitat Politécnica de Catalunya Sistema de distribución equitativa de agua de lluvia en casas de piso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6116A (en) * 1994-08-10 1998-11-17 Widmann; Roland Tank system
KR20050003330A (ko) * 2003-07-22 2005-01-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초기 우수를 배제한 청정 우수 포집 장치
US20080105306A1 (en) * 2004-11-25 2008-05-08 Totetu Mfg. Co., Ltd. Flowing-Down Rainwater Filtration Device and Rainwater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KR20110043135A (ko) * 2009-10-21 2011-04-27 장동원 우수저장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우수저장시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6116A (en) * 1994-08-10 1998-11-17 Widmann; Roland Tank system
KR20050003330A (ko) * 2003-07-22 2005-01-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초기 우수를 배제한 청정 우수 포집 장치
US20080105306A1 (en) * 2004-11-25 2008-05-08 Totetu Mfg. Co., Ltd. Flowing-Down Rainwater Filtration Device and Rainwater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KR20110043135A (ko) * 2009-10-21 2011-04-27 장동원 우수저장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우수저장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937A (ko) 201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2885B1 (ko) 초기 우수를 배제한 우수 포집장치
WO2016200140A1 (ko) 이물질이 함유된 초기빗물을 배제한 우수 집수장치
KR101461655B1 (ko)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
KR100612249B1 (ko) 빗물정화가 가능한 조립식 콘크리트 수조
KR20160121741A (ko) 빗물 집수 설비와 이동식 빗물 저장탱크 및 빗물 수상 이동 방법
KR101290694B1 (ko) 벽면 설치형 빗물이용장치
JP2014109141A (ja) 雨水貯溜配管構造
TWI522514B (zh) 雨水收集及分配系統
CN103161192B (zh) 一种无动力雨水收集装置
KR20110059335A (ko) 누임형 저수 구조물을 이용한 저수장치
KR20200129797A (ko) 우수관의 비점 오염물을 포함하는 빗물의 오염물을 정화하여 비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빗물을 저장하는 장치
CN113187078A (zh) 一种雨水处理装置
CN210737746U (zh) 一种干湿通用防臭地漏
JP2011038295A (ja) 雨水排水構造
CN201080462Y (zh) 软连接组合式化粪池
PL176565B1 (pl) Budowla przenośna z elementów prefabrykowanych z żelbetu lub z materiału zastępczego
CN103541423A (zh) 一种自洁式污水提升装置
KR20120011088A (ko) 지중 매설되는 빗물용 저수조의 조경구조
JP5315045B2 (ja) 雨水貯溜及び流出抑制のためのタンク
KR200358265Y1 (ko) 침전물 제거가 용이한 배수관 구조
WO2009100467A1 (en) Rain water recirculation
CN218562536U (zh) 一种用于无边界水池的排水系统
CN213709823U (zh) 一种景观水池给排水系统
CN213143348U (zh) 一种调蓄池
JP2013023996A (ja) 液体貯留壁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