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374Y1 - 교량용 집수구 - Google Patents

교량용 집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374Y1
KR200490374Y1 KR2020190002201U KR20190002201U KR200490374Y1 KR 200490374 Y1 KR200490374 Y1 KR 200490374Y1 KR 2020190002201 U KR2020190002201 U KR 2020190002201U KR 20190002201 U KR20190002201 U KR 20190002201U KR 200490374 Y1 KR200490374 Y1 KR 2004903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ing
sieve
foreign matter
bridge
cat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2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효순
안혜진
Original Assignee
진효순
안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효순, 안혜진 filed Critical 진효순
Priority to KR20201900022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3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3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3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용 집수구에 관한 것으로, 집수구의 필터부로써, 집수부의 내부에서 그레이팅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그레이팅부를 통과한 통과이물질 중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대형 통과이물질을 걸러내고 유입수의 통과를 허용하는 상부거름망, 및 헤드부의 내측에 거치되고 내부에 상부거름망을 수납하여 지지하며 그레이팅부를 통과한 통과이물질 중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소형 통과이물질을 걸러내고 유입수의 통과를 허용하는 하부거름망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과 달리 집수구의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부로써 상대적으로 큰 부피의 이물질(협잡물)을 걸러내는 상부거름망과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하부거름망을 구비하고 하부거름망의 둘레면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이물질의 제거율을 향상시키며 이물질에 의한 배수관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레이팅부와 하부거름망을 클램핑하여 결속하고 그레이팅부의 마주하는 가장자리 내측면을 통해 그레이팅부와 집수부를 결속함에 따라 그레이팅부의 유실이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량용 집수구{BRIDGE DRAIN UNIT}
본 고안은 교량용 집수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집수구의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부로써 상대적으로 큰 부피의 이물질(협잡물)을 걸러내는 상부거름망과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하부거름망을 구비하고 하부거름망의 둘레면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이물질의 제거율을 향상시키며 입자가 비교적 작은 이물질에 의한 배수관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레이팅부와 하부거름망을 클램핑하여 결속하고 그레이팅부의 마주하는 가장자리 내측면을 통해 그레이팅부와 집수부를 결속함에 따라 그레이팅부의 유실이나 도난을 방지하고자 하는 교량용 집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용 집수구는 도로나 교량의 배수로에 설치되는 설비로서, 도로나 교량의 노면을 흐르는 물은 물론 아스팔트층으로 스며든 물을 배수시켜주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교량 등에 많이 설치되는 배수용 집수구를 살펴보면, 배수되는 물을 집수하기 위한 집수부와, 집수부의 상단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돌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레이팅부가 마련된다.
관련기술로는 국내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36505호(고안의 명칭: 교량용 집수구)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교량용 집수구는 쌓인 이물질을 제거 및 청소할 수 있도록 그레이팅부를 집수부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비함에 따라 그레이팅부가 도난 또는 분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 교량용 집수구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한 개 층(개)의 걸름망을 구비함으로써 비교적 입자가 작은 모래나 흙 등이 쌓여 자주 막힘에 따라 배수가 원활히 이뤄지지 않거나 유지보수공사를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집수구의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부로써 상대적으로 큰 부피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상부거름망과,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하부거름망을 각각 구비하여, 그레이팅부를 집수부로부터 분리 후 상부거름망에 걸린 비교적 큰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고, 하부거름망의 둘레면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이물질의 제거율을 향상시키면서 이물질에 의한 배수관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공사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개통 된 도로의 배수관 유지보수공사를 방지하고자 하는 교량용 집수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그레이팅부와 하부거름망을 클램핑하여 결속하고, 무두볼트로써 그레이팅부의 프레임의 마주하는 가장자리 내측면을 통해 그레이팅부와 집수부를 결속함에 따라 그레이팅부의 유실이나 도난을 방지하고자 하는 교량용 집수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집수구는: 집수를 위해 확장 상태인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헤드부보다 단면적이 작은 하측연장부를 구비하는 집수부; 상기 헤드부의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유입수가 상기 집수부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고, 이물질이 상기 집수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그레이팅부; 및 상기 그레이팅부의 하측에 해당되는 상기 집수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그레이팅부를 통과한 통과이물질을 걸러내고, 유입수의 통과를 허용하는 필터부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집수부의 내부에서 상기 그레이팅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그레이팅부를 통과한 통과이물질 중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대형 통과이물질을 걸러내고, 유입수의 통과를 허용하는 상부거름망; 및 상기 헤드부의 내측에 거치되고, 내부에 상기 상부거름망을 수납하여 지지하며, 상기 그레이팅부를 통과한 통과이물질 중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소형 통과이물질을 걸러내고, 유입수의 통과를 허용하는 하부거름망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거름망은 유입수의 역류를 안내하기 위해 슬리브를 연장 형성하고, 상기 상부거름망은 상기 슬리브를 축 삽입하기 위해 장착홀부를 통공하며, 상기 그레이팅부는 상기 슬리브에 일부 끼움되어 유입수의 역류를 안내하도록 개구홀을 갖는 조립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홀부는 마주하는 내측면에 모따기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거름망과 상기 그레이팅부는 상기 모따기홈부에 수용되는 결속클립에 의해 상호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리브는 적어도 마주하는 양측에 설치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클립은, 상기 조립부재를 감싸며 거치되는 거치부재; 상기 거치부재의 양측에서 탄성적으로 벌어지도록 연장되는 탄성브리지; 및 상기 탄성브리지 각각에 구비되어 하나의 상기 설치홀부의 양쪽 내측면에 걸리는 걸림후크를 포함한다.
상기 그레이팅부는 평면상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대각 방향으로 대응되는 코너 부위를 보강대로 연결함으로써 구획되는 각 구역에 대응되는 가장자리와 나란한 제 1유입홀을 통공하며, 상기 상부거름망은, 가장자리에서 중앙방향으로 장방형을 이루는 제 2유입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거름망은 걸러진 소형 통과이물질을 중앙 부위에 모으기 위해 둘레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레이팅부는, 상기 헤드부 내측에 안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적어도 마주하는 내부 양측을 통해 결속부재에 의해 상기 헤드부와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집수구는 종래 기술과 달리 집수구의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부로써 상대적으로 큰 부피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상부거름망과,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하부거름망을 각각 구비하여, 그레이팅부를 집수부로부터 분리 후 상부거름망에 걸린 비교적 큰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고, 하부거름망의 둘레면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이물질의 제거율을 향상시키면서 이물질에 의한 배수관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공사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개통 된 도로의 배수관 유지보수공사를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그레이팅부와 하부거름망을 클램핑하여 결속하고, 무두볼트로써 그레이팅부의 프레임의 마주하는 가장자리 내측면을 통해 그레이팅부와 집수부를 결속함에 따라 그레이팅부의 유실이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집수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집수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집수구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집수구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집수구에서 유입수가 월류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집수구의 그레이팅부와 필터부의 결속을 위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집수구의 결속클립을 장착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집수구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집수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집수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집수구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집수구의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집수구에서 유입수가 월류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집수구의 그레이팅부와 필터부의 결속을 위한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집수구의 결속클립을 장착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집수구(10)는 집수부(20), 그레이팅부(30), 필터부(100) 및 결속클립(200)을 포함한다.
집수부(20)는 교량의 배수를 위해 교량상판(도시하지 않음)에 매립된다. 이때, 집수부(20)는 집수를 위해 확장 상태인 헤드부(22)와, 헤드부(22)에서 연장되고 헤드부(22)보다 단면적이 작은 하측연장부(24)를 포함한다. 특히, 헤드부(22)가 교량의 상판 내부에 지지됨으로써, 집수부(20)는 교량의 상판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아울러, 헤드부(22)는 평면상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편의상 사각 형상인 것으로 도시한다.
그레이팅부(30)는 헤드부(22)의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다. 특히, 헤드부(22)는 내측면을 따라 안착턱(23)을 형성하고, 그레이팅부(30)는 가장자리가 안착턱(23)에 안착됨으로써 집수부(20)의 내측에 지지된다.
그리고, 그레이팅부(30)는 교량의 상판에 모이거나 상판에서 흐르는 유입수가 배출을 위해 집수부(20)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고, 아주 큰 이물질이 집수부(20)로 유입되는 것을 1차적으로 막는 역할을 한다.
이때, 그레이팅부(30)는 프레임(31), 보강대(32) 및 제 1유입홀(33)을 포함한다.
프레임(31)은 헤드부(22)의 안착턱(23)에 안착된다. 특히, 프레임(31)은 단면상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헤드부(22)의 내측면과 안착턱(23)에 안정적으로 접촉함으로써 흔들림이 방지된다.
아울러, 결속부재(35)가 프레임(31)의 내측면을 통해 프레임(31)과 헤드부(22)에 결속된다. 즉, 결속부재(35)는 헤드부(22)의 내측면 방향으로 프레임(31)의 내측면에 나사 결합되거나 프레임(31)에 삽입 후, 헤드부(22)의 내측면을 가압하거나 헤드부(22)의 내측면에 결속된다.
이를 통해, 결속부재(35)가 프레임(31)의 상면을 통해 프레임(31)과 헤드부(22)를 결속하는 기존 대비 외부 노출이 최소화됨으로써, 그레이팅부(30)를 헤드부(2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없음에 따라, 그레이팅부(30)의 도난 및 분실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결속부재(35)는 볼트헤드가 존재하지 않는 무두볼트인 것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31)과 헤드부(22)의 내측면 사이로 유입되는 유입수가 원활히 헤드부(22)를 통해 하측연장부(24)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안착턱(23)을 향하는 프레임(31)의 하측에 배수안내홈부(36)를 형성한다. 이때, 배수안내홈부(3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개수와 크기에 한정하지 않는다.
보강대(32)는 평면상 사각 형상인 프레임(31)의 4 코너(corner) 중, 대각 방향으로 대응되는 코너끼리를 연결함으로써, 프레임(31)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보강대(3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프레임(31)은 평면상 대략 중앙 부위에 원형 또는 다각형의 기둥 형상인 조립부재(34)를 구비한다. 이로써, 프레임(31)의 각 코너에서 연장되는 보강대(32)는 조립부재(34)에 연결되어 조립부재(34)를 지지한다.
조립부재(34)는 축 방향(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개구홀(38)을 통공한다.
개구홀(38)은 유입수의 역류를 허용하고, 결속클립(200)을 내측에 배치하며, 원활한 유입수의 하부 배출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 1유입홀(33)은 유입수의 유입을 허용하는 것으로서, 프레임(31)의 내측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보강대(32) 사이에 형성된다. 아울러, 격벽(37)이 보강대(32) 사이의 영역에서 대응되는 프레임(31)의 테두리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그래서, 제 1유입홀(33)은 평면상 프레임(31)에 원주 궤적 또는 사각 궤적을 따라 비연속되게 형성된다.
제 1유입홀(33)은 격벽(37)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사방에서 유입되는 유입수는 대응되는 제 1유입홀(33)의 넓은 폭(가로너비)에 의해 프레임(31)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된다.
이때, 격벽(37) 각각은, 유입되는 유입수가 하측연장부(24) 측으로 유동 안내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유입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개구솔(38)로 바로 이동하지 않도록 조립부재(34)보다 격벽(37)의 높이가 낮게 형성된다. 물론, 격벽(37)의 크기와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필터부(100)는 집수부(20)의 헤드부(22) 내부에 구비되고, 그레이팅부(30)의 하측에 위치하여, 그레이팅부(30)의 제 1유입홀(33)을 통과한 통과이물질을 걸러내고, 유입수의 통과를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필터부(100)는 상부거름망(110) 및 하부거름망(120)을 포함한다.
상부거름망(110)은 집수부(20)의 헤드부(22)의 내부에서 그레이팅부(30)의 하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부거름망(110)은 그레이팅부(30)의 제 1유입홀(33)을 통과한 통과이물질 중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대형 통과이물질(2)을 걸러내고, 유입수의 통과를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하부거름망(120)은 헤드부(22)의 내측에 거치되고, 상부거름망(110)을 수납하여 지지한다. 그리고, 하부거름망(120)은 상부거름망(110)의 제 2유입홀(116)을 통과한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소형 통과이물질(4)을 걸러내고, 유입수의 통과를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하부거름망(120)이 헤드부(22)의 안착턱(23)에 접하여 거치되고, 그레이팅부(30)의 프레임(31)이 안착턱(23)에 안착된 하부거름망(120)의 가장자리를 눌러 고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상부거름망(110)은 하부거름망(120)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부거름망(110)은 제 2유입홀(116)의 크기보다 현저히 작은 타공홀(124)을 둘레면에 복수 개 형성한다. 그래서, 유입수는 타공홀(124)을 통해 배출되고, 소형 통과이물질(4)은 걸러지게 된다.
그리고, 하부거름망(120)은 유입수의 역류를 안내하기 위해 슬리브(121)를 연장 형성한다. 슬리브(121)는 하부거름망(120)의 평면상 중앙 부위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슬리브(121)는 하부거름방의 상측보다 높게 배치되고, 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되는 통과홀(122)을 형성한다.
그래서, 집수구(10)를 통해 역류되는 오염수 또는 유입수가 슬리브(121)를 통해 토출된 후 그레이팅부(30)의 제 1유입홀(33)과 상부거름망(110)의 제 2유입홀(116) 및 하부거름망(120)의 타공홀(124)을 통과하면서, 협잡물이나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물론, 슬리브(121)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유입수가 슬리브(121)의 통과홀(122)을 통해 집수부(20)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또한, 상부거름망(110)은 슬리브(121)를 축 삽입하기 위해 장착홀부(112)를 통공한다.
이에 따라, 상부거름망(110)은 슬리브(121)를 축 삽입하여 하부거름망(120) 내부에 위치 고정된 채 수납된다.
그리고, 그레이팅부(30)의 조립부재(34)는 슬리브(121)의 내측에 일부 축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그래서, 슬리브(121)의 통과홀(122)과 조립부재(34)의 개구홀(38)이 연통된다. 이에 따라, 집수부(20) 내부의 유입수가 역류시 안내한다. 물론, 슬리브(121)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이때, 슬리브(121)와 조립부재(34)의 끼움 조립으로 인해, 헤드부(22) 내부의 상부거름망(110)과 하부거름망(120)이 수압 등으로 인해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레이팅부(30)가 집수구(10)의 외부로 이탈되거나 분실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결속클립(200)으로써, 하부거름망(120)과 상부거름망(110) 및 그레이팅부(30)가 상호 구속되어 전체 하중이 증가하도록 한다.
즉, 하부거름망(120)과 그레이팅부(30)는 결속클립(200)에 의해 상호 결속된다. 이때, 결속클립(200)은 상부거름망(110)의 장착홀부(112)로 삽입된 채, 하측이 하부거름망(120)에 결속되고, 상측이 그레이팅부(30)에 결속된다.
특히, 결속클립(200)이 장착홀부(112)의 내측면을 따라 움직임으로써, 그레이팅부(30)와 하부거름망(120)의 결속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장착홀부(112)는 마주하는 내측면에 모따기홈부(114)를 형성하고, 결속클립(200)은 모따기홈부(114) 내측에 견고하게 위치 고정된다.
한편, 하부거름망(120)의 슬리브(121)는 적어도 마주하는 양측 특히 모따기홈부(114)에 대응되는 둘레면에 설치홀부(123)를 형성한다.
그리고, 결속클립(200)은 거치부재(210), 탄성브리지(220) 및 걸림후크(230)를 포함한다.
거치부재(210)는 조립부재(34)의 외측면에서 상측면과 내측면으로 각각 절곡되게 연장되어 조립부재(34)의 상부 가장자리를 탄성적으로 감싸는 역할을 한다. 물론, 거치부재(2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탄성브리지(220)는 거치부재(210)의 양측에서 탄성적으로 벌어지도록 연장된다. 이 한 쌍의 탄성브리지(220)가 모따기홈부(114)의 마주하는 양측면에 탄성적으로 접함으로써, 결속클립(200)이 상부거름망(110)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물론, 탄성브리지(2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걸림후크(230)는 탄성브리지(220) 각각에 구비되어 하나의 설치홀부(123)의 양쪽 내측면에 걸리는 역할을 한다. 물론, 걸림후크(23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하부거름망(120)에 상부거름망(110)을 안착 후, 하부거름망(120)의 슬리브(121)와 그레이팅부(30)의 조립부재(34)를 끼움 조립한다. 그리고 나서, 작업자는 결속클립(200)의 걸림후크(230)와 탄성브리지(220)를 모따기홈부(114)로 삽입 후 설치홀부(123)에 끼운다. 이 후, 작업자는 결속클립(200)의 거치부재(210)를 조립부재(34)의 상측에 걸어 고정한다.
이로써, 그레이팅부(30)와 필터부(100)가 견고하게 조립 완성된다.
그리고, 상부거름망(110)은 가장자리에서 중앙방향으로 장방형을 이루는 제 2유입홀(116)을 형성한다. 즉, 제 1유입홀(33)의 장축 방향과 제 2유입홀(116)의 장축 방향이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로써, 유입수는 4방향에서 대응되는 제 1유입홀(33)을 통해 원활하게 유입된 후, 제 2유입홀(116)을 통해 하부거름망(120)의 평면상 중앙 부위로 흐름이 유도된다.
이때, 상부거름망(110)은 대형 통과이물질(2)이 비교적 고르게 배치되면서 걸러질 수 있도록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거름망(120)은 제 2유입홀(116)을 통과하는 소형 통과이물질(4)이 평면상 중앙 부위로 모이도록 하부 방향으로 뾰족한 대략 원뿔 또는 다각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하부거름망(120)은 걸러진 소형 통과이물질(4)을 중앙 부위에 모으기 위해 둘레에 경사면(125)을 형성한다. 경사면(125)을 통해, 모래 알갱이 등 소형 통과이물질(4)이 하부거름망(120)의 중앙 부위로 집중됨에 따라, 유입수는 하부거름망(120)의 중앙 이외의 둘레면에 형성된 타공홀(124)을 통해 원활히 배출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대형 통과이물질 4: 소형 통과이물질
10: 집수구 20: 집수부
22: 헤드부 23: 안착턱
24: 하측연장부 30: 그레이팅부
31: 프레임 32: 보강대
33: 제 1유입홀 34: 조립부재
35: 결속부재 38: 개구홀
100: 필터부 110: 상부거름망
112: 장착홀부 114: 모따기홈부
116: 제 2유입홀 120: 하부거름망
121: 슬리브 122: 통과홀
123: 설치홀부 124: 타공홀
200: 결속클립 210: 거치부재
220: 탄성브리지 230: 걸림후크

Claims (7)

  1. 집수를 위해 확장 상태인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헤드부보다 단면적이 작은 하측연장부를 구비하는 집수부; 상기 헤드부의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유입수가 상기 집수부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며, 이물질이 상기 집수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그레이팅부; 및 상기 그레이팅부의 하측에 해당되는 상기 집수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그레이팅부를 통과한 통과이물질을 걸러내고, 유입수의 통과를 허용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집수부의 내부에서 상기 그레이팅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그레이팅부를 통과한 통과이물질 중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대형 통과이물질을 걸러내고, 유입수의 통과를 허용하는 평판 형상의 상부거름망; 및 상기 헤드부의 내측에 거치되고, 상기 상부거름망을 수납하여 지지하며, 상기 그레이팅부를 통과한 통과이물질 중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소형 통과이물질을 걸러내고, 유입수의 통과를 허용하는 하부거름망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거름망은 유입수의 역류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하부거름망의 상측보다 높도록 슬리브를 연장 형성하고, 상기 상부거름망은 상기 슬리브를 축 삽입하기 위해 장착홀부를 통공하며,
    상기 그레이팅부는 상기 슬리브에 일부 끼움되어 유입수의 역류를 안내하도록 개구홀을 갖는 조립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장착홀부는 마주하는 내측면에 모따기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거름망과 상기 그레이팅부는 상기 모따기홈부에 수용되는 결속클립에 의해 상호 결속되어, 상기 결속클립은 상기 모따기홈부에 위치 설정된 채 하측이 상기 슬리브에 끼워져 결속되고 상측이 상기 조립부재에 탄성적으로 걸리게 되며,
    상기 그레이팅부와 상기 헤드부 사이의 내측면으로 유입수를 유입하여 상기 하측연장부로 배출 허용하도록, 상기 그레이팅부는 둘레면 하측에 배수안내홈부를 통공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집수구.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적어도 마주하는 양측에 설치홀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속클립은, 상기 조립부재를 감싸며 거치되는 거치부재;
    상기 거치부재의 양측에서 탄성적으로 벌어지도록 연장되는 탄성브리지; 및
    상기 탄성브리지 각각에 구비되어 하나의 상기 설치홀부의 양쪽 내측면에 걸리는 걸림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집수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부는, 평면상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대각 방향으로 대응되는 코너 부위를 보강대로 연결함으로써 구획되는 각 구역에 대응되는 가장자리와 나란한 제 1유입홀을 통공하며,
    상기 상부거름망은, 가장자리에서 중앙방향으로 장방형을 이루는 제 2유입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집수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거름망은 걸러진 소형 통과이물질을 중앙 부위에 모으기 위해 둘레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집수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부는, 상기 헤드부 내측에 안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적어도 마주하는 내부 양측을 통해 결속부재에 의해 상기 헤드부와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집수구.
KR2020190002201U 2019-05-29 2019-05-29 교량용 집수구 KR2004903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201U KR200490374Y1 (ko) 2019-05-29 2019-05-29 교량용 집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201U KR200490374Y1 (ko) 2019-05-29 2019-05-29 교량용 집수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374Y1 true KR200490374Y1 (ko) 2019-11-04

Family

ID=68531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201U KR200490374Y1 (ko) 2019-05-29 2019-05-29 교량용 집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374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090B1 (ko) 2020-05-28 2020-11-27 (주)한길산업 교량의 배수를 위한 집수장치
CN112012099A (zh) * 2020-09-10 2020-12-01 贾玉 高架桥路段用集中排水处理系统
KR102265280B1 (ko) 2020-04-29 2021-06-15 태은이엔지 주식회사 교량용 집수구
KR102439694B1 (ko) 2021-10-07 2022-09-02 주식회사 브리오 채수방지용 집수구
CN117966586A (zh) * 2024-03-29 2024-05-03 太原市政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道路桥梁排水装置
KR20240094193A (ko) 2022-12-15 2024-06-25 한국가로수보호 주식회사 막힘제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신속배수가 가능한 3분할 집수·배수 그레이팅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3370A (ja) * 2002-12-04 2004-07-02 Nagashima Imono Kk 地下構造物用集塵中蓋及び集水集塵装置
KR20060118044A (ko) * 2005-05-16 2006-11-23 김원주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
KR101277785B1 (ko) * 2010-07-13 2013-07-26 (주)태성종합기술 거름망이 구비된 우수받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3370A (ja) * 2002-12-04 2004-07-02 Nagashima Imono Kk 地下構造物用集塵中蓋及び集水集塵装置
KR20060118044A (ko) * 2005-05-16 2006-11-23 김원주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
KR101277785B1 (ko) * 2010-07-13 2013-07-26 (주)태성종합기술 거름망이 구비된 우수받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280B1 (ko) 2020-04-29 2021-06-15 태은이엔지 주식회사 교량용 집수구
KR102184090B1 (ko) 2020-05-28 2020-11-27 (주)한길산업 교량의 배수를 위한 집수장치
CN112012099A (zh) * 2020-09-10 2020-12-01 贾玉 高架桥路段用集中排水处理系统
KR102439694B1 (ko) 2021-10-07 2022-09-02 주식회사 브리오 채수방지용 집수구
KR20240094193A (ko) 2022-12-15 2024-06-25 한국가로수보호 주식회사 막힘제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신속배수가 가능한 3분할 집수·배수 그레이팅 시스템
CN117966586A (zh) * 2024-03-29 2024-05-03 太原市政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道路桥梁排水装置
CN117966586B (zh) * 2024-03-29 2024-05-31 太原市政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道路桥梁排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0374Y1 (ko) 교량용 집수구
US6217757B1 (en) Storm drain filter with vertical screens
US8034237B2 (en) Backwashing filter basket
US7132045B1 (en) Sanitary, storm and catch basin trap with filter insert
US6793811B1 (en) Runoff drain filter with separately removable cartridges
US6533941B2 (en) Flow through drain filter for a stormwater or wastewater catch basin
KR101400257B1 (ko) 물로부터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KR100896015B1 (ko)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KR101277785B1 (ko) 거름망이 구비된 우수받이
KR100681845B1 (ko) 도로의 배수박스구조
KR102141759B1 (ko) 침투 집수정
KR20110006299A (ko) 교량 집수구의 오물 수거 장치
KR100683119B1 (ko)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
KR101355448B1 (ko) 우수 처리장치
JP4508986B2 (ja) 雨水浸透ます
KR100891940B1 (ko)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765132B1 (ko) 스크린 맨홀
KR102072963B1 (ko)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 포집장치
KR20080105855A (ko) 쓰레기 걸름 장치
KR20210026717A (ko) 그레이팅에 설치되는 복합형 이물질 수거 장치
KR200440804Y1 (ko) 개량 우수받이
KR100807987B1 (ko) 빗물받이 또는 수로용 여과장치 케이스 겸용 구조물
KR200414156Y1 (ko) 배수구의 협잡물 걸름망체
KR100883616B1 (ko) 협잡물 거름용 스크린을 구비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194025B1 (ko) 배수구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