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7987B1 - 빗물받이 또는 수로용 여과장치 케이스 겸용 구조물 - Google Patents

빗물받이 또는 수로용 여과장치 케이스 겸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7987B1
KR100807987B1 KR1020060073706A KR20060073706A KR100807987B1 KR 100807987 B1 KR100807987 B1 KR 100807987B1 KR 1020060073706 A KR1020060073706 A KR 1020060073706A KR 20060073706 A KR20060073706 A KR 20060073706A KR 100807987 B1 KR100807987 B1 KR 100807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iltration
filtering
filtration device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3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2618A (ko
Inventor
정순우
한형근
윤여진
이재철
오종민
추연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정순우
한국토지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정순우, 한국토지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Priority to KR1020060073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7987B1/ko
Publication of KR20080012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2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series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2Loose filtering material, e.g. loose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18Non-wove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장치 케이스 겸용 구조물 및 여과장치를 거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 케이스 겸용 구조물은 상면이 개방되고 하부에 배수 수단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 공간에 여과장치가 수납되도록 상기 여과장치를 거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 내부 측면에 구비된 다수 개의 지지부재 고정수단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지지부재와, 상면이 개방되고 오염된 물을 여과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에 거치됨으로써 상기 본체의 하부 공간에 위치되는 여과부재 및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어 외부 유입수를 상기 본체의 상부 공간에 거치되는 여과장치 위로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수류유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빗물받이 또는 수로용 구조물 자체를 상부에 여과장치가 설치되기 용이하도록 제작함으로써 별도의 여과장치 설치를 위한 케이스의 제작과 설치가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케이스, 여과장치, 지지부재, 구조물

Description

빗물받이 또는 수로용 여과장치 케이스 겸용 구조물 {STRUCTURE FUNCTIONING AS A CASE OF FILTRATION DEVICE FOR A GUTTER AND A WATERWA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도측 빗물받이로 사용되는 여과장치 케이스 겸용 구조물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여과장치 케이스 겸용 구조물의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여과장치 케이스 겸용 구조물의 단면도.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도 2a 및 2b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도 2a 및 2b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수류유도수단을 나타낸 평면도.
도 4b는 도 4b의 A-A'선을 따라 자른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여과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여과부재를 나타낸 평면도.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여과부재를 나타낸 정면도.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여과부재를 나타낸 측면도.
도 5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여과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여과부재를 나타낸 평면도.
도 5g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여과부재를 나타낸 정면도.
도 5h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여과부재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로로 사용되는 여과장치 케이스 겸용 구조물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1: 배수구
12: 투수공 21, 22: 지지부재 고정수단
30: 지지부재 40: 수류유도수단
50: 여과부재 100: 여과장치
본 발명은 여과장치 케이스 겸용 구조물 및 여과장치 거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빗물받이용 또는 수로용 구조물 등의 내부 공간에 여과장치가 탈착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되어 구조물과 별도로 여과장치 케이스를 제작하여 조립할 필요가 없는 여과장치 케이스 겸용 구조물 및 여과장치 거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처리를 위한 여과장치는 처리를 요하는 물의 특성에 따라 폐수 또는 오수를 처리하는 경우와 빗물을 처리하는 경우로 나뉘는데, 빗물의 경우에는 별다른 처리 없이 방류수역으로 배출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정화되지 못한 빗물에 함유된 오염물질이 수로를 타고 그대로 하천 등에 방류됨으로서 수역의 오염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우수와 함께 본체 내로 유입되는 부유물질 및 흙, 모래 등이 처리되지 않고 유입되어 배수로 내에 침전됨으로써 배수로가 막히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빗물받이나 수로의 문제점은 빗물받이나 수로의 상부에 모듈화된 여과장치를 필요한 개수만큼 적재 설치하여 개방된 상면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이 하부에 도달하기 전에 여과장치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만약 빗물받이의 하부 공간을 여과장치가 차지하게 되면 빗물받이의 배출구가 막히게 되어 빗물이 빠져나갈 수 없고, 수로의 하부 공간을 여과장치가 차지하게 되면 하부면을 타고 물을 흘려보내는 수로의 기능이 제대로 발휘될 수 없으므로 빗물받이나 수로의 하부 공간을 여과 장치가 차지해서는 안된다.
그러나 종래의 빗물받이와 수로는 중간에 여과장치가 걸려서 상부에 떠 있는 채로 있을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종래의 빗물받이나 수로에 여과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여과장치 수납 및 고정을 위한 케이스를 제작하여 이 케이스를 빗물받이나 수로에 장착해야 하나 이러한 방법은 많은 비용과 노력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빗물받이 또는 수로용 구조물 자체를 상부에 여과장치가 설치되기 용이하도록 제작함으로써 별도의 여과장치 설치를 위한 케이스의 제작과 설치가 필요하지 않은 여과장치 케이스 겸용 구조물 및 여과장치 거치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 케이스 겸용 구조물 및 여과장치 거치 방법은 상면이 개방되고 하부에 배수 수단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 공간에 여과장치가 수납되도록 상기 여과장치를 거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 내부 측면에 구비된 다수 개의 지지부재 고정수단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지지부재와, 상면이 개방되고 오염된 물을 여과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에 거치됨으로써 상기 본체의 하부 공간에 위치되는 여과부재 및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어 외부 유입수를 상기 본체의 상부 공간에 거치되는 여과장치 위로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수류유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여과부재는 부직포, 망형 부재 또는 여과재를 포함한 투수성 여과모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 거치 방법은 구조물 내에 지지부재를 돌출되게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구조물 내에 여과장치를 거치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도측 빗물받이로 사용되는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본체(10)는 콘크리트나 합성수지를 재료로 한다. 본체(10)의 하부에는 배수관이 연결되는 배수구(11)이나 투수공(1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개구부 내측 주연벽을 따라 턱이 형성되고 이 턱에 도 4a 및 4b에 나타낸 것과 같은 형상의 수류유도수단(40)의 바깥 부분이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된다. 수류유도수단(40)은 가장자리로부터 흘러들어오는 유입수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하여 수류유도수단(40)의 안쪽 부분이 본체(10) 내부 공간을 향하는 쪽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본체(10) 내부 공간 쪽으로 기울어진 끝 부분이 본체(10)의 내측 벽면보다 더 안쪽까지 연장되어 가장자리로 흘러들어오는 유입수가 본체(10)의 내측 벽면을 타고 흘러내리지 않도록 한다.
본체(10)의 상부 공간에 수납되는 여과장치(100)와 본체(10)의 내측 벽면 사이에는 틈이 생기는데, 이 경우 수류유도수단(40)이 없으면 유입수가 상기 틈을 통해 흘러내려가서 유입수가 여과장치(100)를 거치지 않게 되므로 이러한 수류유도수단(40)이 필요하다.
도 2a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도측 빗물받이로 사용되는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본체(10)의 상부 공간에 수납되는 여과장치(100)는 본체(10)의 내부 측면의 중간에 구비된 지지부재 고정수단(21, 22)에 결합되어 본체(10)의 내부 공간을 향 해 돌출되는 지지부재(30)에 걸려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예의 여과장치(100)는 다층 모듈형 여과장치로서 동일한 크기와 형태의 모듈형 여과장치가 일정 개수만큼 쌓인 것이다. 이러한 다층 모듈형 여과장치의 장점은 여과장치의 내부에 우수가 발생하는 장소적 특성에 맞게 다양한 여과재 중 1종 이상을 선택적으로 충진하여 구성함으로써 초기 여과과정에서부터 우수에 포함될 수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각종 수역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여과장치가 모듈화되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모듈을 적절하게 적층하여 설치할 수 있어 수처리가 필요한 현장의 특성에 맞게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과기능이 떨어진 경우에는 기능이 떨어진 모듈만의 보수, 교체를 가능하게 하여 제작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는 것이다. 여과장치 내부에 충진되는 여과재는 모래, 자갈, 활성탄, 합성화합물질로 구성된 여재, 다공성 물질 등으로서 수처리를 요하는 물의 종류 또는 특성이나 현장의 특성에 따라 1종만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체(10)의 내부 측면에는 배수구(11)보다 위쪽에 지지부재 고정수단(21, 22)이 결합되어 있으며, 이때 다수 개의 지지부재 고정수단(21, 22)이 다양한 높이로 고정되는데 이는 지지부재 고정수단(21, 22)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30)의 고정 부위의 높이를 여과장치(100) 모듈들이 적층되어 형성된 높이에 맞게 변경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면이 개방된 주머니 형태로서, 상단부가 지지부재(3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일정한 높이에 매달리도록 고안된 여과부재(50)가 본체(10) 내부에 거치된 다. 여과부재(50)는 부직포나 망사 등의 투수성 부재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러한 여과부재(50)는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층 모듈형 여과장치(100)와 함께 사용되거나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층 모듈형 여과장치(100) 없이 단독으로 사용되어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여과부재(50)는 도 5a 내지 5d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이룰 수도 있고, 도 5e 내지 5h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을 이룰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바닥에는 일정한 크기의 투수공(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투수공(12)이 있는 경우에는 여과된 물 일부가 본체(10) 바닥을 통해 빠져나가 땅으로 스며들어 지하수로 유입된다.
도 3a 및 3b는 지지부재(30) 및 이와 결합되는 지지부재 고정수단(21, 22)의 확대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실시 예에서의 지지부재 고정수단(21)은 앵커볼트 및 너트이다. 앵커볼트는 일부가 본체(10)의 내벽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지며, 지지부재(30)는 ‘ㄱ’자형 부재로서 수직한 면에는 앵커볼트가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재(30)를 고정하는 방법은 본체(10)의 내벽에 구멍을 낸 다음 이 구멍에 앵커볼트를 꽂고 앵커볼트가 지지부재(30)의 관통구멍을 관통하도록 지지부재(30)를 앵커볼트에 끼운 다음, 너트를 앵커볼트에 체결시키는 것이다. 지지부재 고정수단(21)은 일측에 2개, 그 반대쪽 일측에 2개가 결합된다. 지지부재(30)의 위치를 변경하려면 너트를 풀고 지지부재 및 앵커볼트를 떼어낸 다음, 다른 위치에 상기 방법으로 고정하면 된다.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실시 예에서의 지지부재 고정수단(22)은 접착층이다. 접착층은 접착제를 본체(10)의 내벽 일정 부위에 바르는 것으로 형성되며, 지지부재(30)를 접착층에 붙임으로써 지지부재(30)가 고정된다. 접착제로 고정된 지지부재(30)라도 일정 강도 이상의 힘을 가하여 지지부재(30)를 본체(10)로부터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지지부재(30)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재(30)와 지지부재 고정수단(21, 22)은 그 형태과 구조, 결합 위치, 개수 등에 있어서 상기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실시 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구조물은 차도측 빗물받이용이 아닌 수로용으로 제작된 것으로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차도측 빗물받이용 구조물과의 차이점은 본체(10)의 구조에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수로용 구조물의 본체(10)는 U자형 채널로서 마주 보는 양 측면이 개방되어 필요한 수만큼의 본체(10)를 양 개방된 측면이 서로 통하도록 이어붙이면, 상면을 통해 유입되어 여과장치(100)를 거쳐 본체(10)의 하부 공간에 들어가는 물이 서로 통해 있는 측면을 지나면서 흘러나가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장치 케이스 겸용 구조물 및 여과장치 거치 방법에 의하면 다층 모듈형 여과장치의 적층된 두께가 달라져도 이에 맞게 여과장치가 수납될 수 있으며, 여과장치의 설치를 위해 별도의 케이스를 제작할 필요 없이 기존 구조물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고, 정화되지 못한 빗물에 함유된 오염물질이 수로를 타고 그대로 하천 등에 방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우수와 함께 본체 내로 유입되는 부유물질 및 흙, 모래 등을 배수로에 도달하기 전에 걸러줌으로써 배수로에 침전물질이 쌓임으로 인한 배수로 막힘을 방지할 수 있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삭제
  2. 상면이 개방되고 하부에 배수 수단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 공간에 수납되는 다층 모듈형 여과장치;
    상기 여과장치를 거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 내부 측면에 다양한 높이로 구비되는 다수 개의 지지부재 고정수단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지지부재;
    상면이 개방되고 오염된 물을 여과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에 거치됨으로써 상기 본체의 하부 공간에 위치되는 여과부재; 및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어 외부 유입수를 상기 본체의 상부 공간에 거치되는 여과장치 위로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수류유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또는 수로용 여과장치 케이스 겸용 구조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는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또는 수로용 여과장치 케이스 겸용 구조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는 망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또는 수로용 여과장치 케이스 겸용 구조물.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는 여과재를 포함한 투수성 여과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또는 수로용 여과장치 케이스 겸용 구조물.
  6. 삭제
KR1020060073706A 2006-08-04 2006-08-04 빗물받이 또는 수로용 여과장치 케이스 겸용 구조물 KR100807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706A KR100807987B1 (ko) 2006-08-04 2006-08-04 빗물받이 또는 수로용 여과장치 케이스 겸용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706A KR100807987B1 (ko) 2006-08-04 2006-08-04 빗물받이 또는 수로용 여과장치 케이스 겸용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618A KR20080012618A (ko) 2008-02-12
KR100807987B1 true KR100807987B1 (ko) 2008-02-28

Family

ID=39340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3706A KR100807987B1 (ko) 2006-08-04 2006-08-04 빗물받이 또는 수로용 여과장치 케이스 겸용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79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24548A (zh) * 2014-11-28 2015-02-04 山东林安热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反冲洗过滤器的密封结构
KR101884876B1 (ko) * 2017-12-08 2018-08-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모듈형 여과 장치를 구비한 비점오염 처리 시설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988B1 (ko) * 2021-04-29 2021-07-08 한명옥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292Y1 (ko) * 1987-02-27 1990-02-20 신영수 정수기의 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292Y1 (ko) * 1987-02-27 1990-02-20 신영수 정수기의 여과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24548A (zh) * 2014-11-28 2015-02-04 山东林安热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反冲洗过滤器的密封结构
KR101884876B1 (ko) * 2017-12-08 2018-08-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모듈형 여과 장치를 구비한 비점오염 처리 시설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618A (ko) 2008-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6592B2 (en) Filter for removing sediment from water
US6649048B2 (en) Filter cartridge with regulated surface cleaning mechanism
KR101287539B1 (ko) 물로부터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US8658044B2 (en) Stormwater filt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7517450B2 (en) Pre-assembled flow control structured and related media filtration system
KR101235008B1 (ko) 비점 오염 저감 시설
JP5677939B2 (ja) 雨水排出ます
KR101136385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및 초기 우수 처리방법
KR101277785B1 (ko) 거름망이 구비된 우수받이
KR100673075B1 (ko) 생태 연못의 수질 정화 시스템 및 수질 정화 방법
KR100807987B1 (ko) 빗물받이 또는 수로용 여과장치 케이스 겸용 구조물
KR100681933B1 (ko) 저류지에서의 수질 정화 증대 장치
KR20090033680A (ko) 우수처리시스템 및 우수처리방법
KR101177714B1 (ko) 노면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0752402B1 (ko) 수처리를 위한 여과장치모듈
KR101159474B1 (ko) 비점오염물질 정화 장치
KR101127489B1 (ko)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장치
KR101366607B1 (ko) 모듈형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여과형 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