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988B1 -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 Google Patents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988B1
KR102274988B1 KR1020210055554A KR20210055554A KR102274988B1 KR 102274988 B1 KR102274988 B1 KR 102274988B1 KR 1020210055554 A KR1020210055554 A KR 1020210055554A KR 20210055554 A KR20210055554 A KR 20210055554A KR 102274988 B1 KR102274988 B1 KR 102274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unit
water
unit
filtration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명옥
Original Assignee
한명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명옥 filed Critical 한명옥
Priority to KR1020210055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9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12Devices for exhausting mist of oil or coolant; Devices for collecting or recovering materials resulting from grinding or polishing, e.g. of precious metals, precious stones, diamon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 연마수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류(水留)에 의해 연마수 내 큰 입자의 슬러지를 1차 여과하는 제1여과부, 그리드부 및 필터부에 의해 중간 입자의 슬러지를 2차, 3차 여과하는 제2여과부 및 제3여과부 및 미세 입자의 슬러지를 4차 여과하는 제4여과부에 의해 다중 여과가 가능한 렌즈 연마수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Lens polishing water filtration device}
본 발명은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류(水留)에 의해 연마수 내 큰 입자의 슬러지를 1차 여과하는 제1여과부, 그리드부 및 필터부에 의해 중간 입자의 슬러지를 2차, 3차 여과하는 제2여과부 및 제3여과부 및 미세 입자의 슬러지를 4차 여과하는 제4여과부에 의해 다중 여과가 가능한 렌즈 연마수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안경렌즈는 일정한 규격을 갖는 원형의 형태로 생산되며, 안경테의 형태에 맞도록 설계 후, 이 설계된 부위를 렌즈 연마장치를 사용하여 연마함으로써 마감 처리하게 되나, 통상적으로 안경렌즈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이 주종을 이루고 있어 연마 시 미세한 입자 형태로 분쇄되어 분말이 형성되며, 연마과정에서 연마기가 마모되어 규사 등이 떨어져 나오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안경렌즈의 연마시 연마기와 렌즈간의 마찰로 인한 열의 발생을 억제하고 분말이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마수를 안경렌즈 연마장치에 공급하게 되며, 이러한 연마수와 슬러지가 혼합되어 그대로 하수구에 배출되거나, 또는 연마수 저장조에 가공된 연마수를 일정시간 방치하여 슬러지를 침전시킨 후 연마수와 슬러지를 분리하여 각각 별도로 폐기처분 하였다.
현재, 안경원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은 안경렌즈 연마장치의 하부에 연마수가 저장되는 저장조를 설치하고, 저장조에서 연마기로 연마수를 공급하는 수중펌프가 설치된 방식이다.
렌즈 분말이 물에 혼합된 연마수는 진흙처럼 슬러지화 되어 하수구를 쉽게 막히게 하고, 이로 인해 수질오염의 중요한 문제로 작용되며,또한 연마수(오폐수)를 저장하는 저장조를 설치하지 않고, 직수(수도관과 직접연결)로 에 의해 연마수를 하수도로 폐수시 이 또한 수질오염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연마수의 사용이 1회로 한정되어 물소비가 증가됨으로써 경제적인 부담을 초래하였다.
이와 같은 연마수 처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 연마수를 재생하여 연마수에서 연마분말을 제거하는 연마수 재생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개발된 연마수 재생장치 중 특허 공개 2001-35524호 등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 특허는 렌즈의 연마시 발생되는 이물질을 단순히 필터를 통한 연마수의 자유낙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연마수와 분리하는 것으로 미세한 입자 분말 형태의 이물질이 필터의 상부에 적층되어 슬러지화 되어 필터를 통한 연마수의 자유낙하를 방해하여 여과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필터의 상부에 적층되는 슬러지의 제거처리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으며 슬러지에 수분이 잔존하여 액체화함으로써 슬러지를 제거하더라도 필터에 슬러지가 남게되어 필터의 여과기능을 마비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여과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며, 연마수가 여과되지 못하고 저장조에 쌓여 넘치는 문제가 유발되거나, 집수조에 연마수가 원활하게 공급이 되지 못하여 렌즈의 연마 작업시 연마수가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점들이 발생하였다. 또한, 필터의 교체 시기 등을 알 수 없어 확실한 슬러지의 제거가 어려웠다.
상술한 종래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부 국내 및 해외의 관련 업체에서는 여과 장치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사례가 있으나, 실제 제품화하기에는 다중 여과 구조를 구비하기 위해서 소모되는 비용이 과도하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해당 장치의 제조 단가 대비 여과 효과가 크지 않아 종래 여과 장치와 비교할 때 시장 경쟁력이 떨어져 본격 상용화된 사례는 찾아볼 수 없었다.
따라서, 상술한 것과 같이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의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종래기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4중으로 슬러지를 여과하여 정수된 연마수를 배출함으로써 수질 오염과 같은 환경 오염 방지에 이바지할 수 있는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제1여과부 내지 제4여과부가 탈착가능하게 설계됨으로써 손쉽게 필터부 교체 가능한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여과 과정 중 연마수의 역류를 방지함으로써 오작동을 방지하고, 내구성이 향상된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넷째, 시중 안경원에 합리적인 비용으로 자체제작 및 공급 가능한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둘 이상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연마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연마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유로 및 유로의 일측에 직결되어 연마수를 공급받으며, 연마수 내 슬러지를 여과하는 여과부를 포함하며, 여과부는 둘 이상의 패널이 소정의 간격마다 이격되어 배치되며, 중심부로부터 근거리에 배치되는 상기 패널의 높이가 중심부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되는 상기 패널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며, 하면 내측으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기 패널을 포함함으로써 연마수 내 큰 입자의 슬러지를 수류(水留)에 의해 1차 여과하는 제1여과부, 1차 여과가 종료된 연마수를 제1여과부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제1여과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면이 개구되며, 하면이 그리드(grid)로 형성되며, 그리드의 변의 길이가 하면의 측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할수록 증가하고, 내부에 적재된 연마수가 중심부로 포집될 수 있도록 하면의 측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할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상승함으로써 연마수 내 슬러지를 2차 여과하는 제2여과부, 2차 여과가 종료된 연마수를 제2여과부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제2여과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면이 개구되며, 제2여과부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제2여과부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하면이 그리드(grid)로 형성되며, 그리드의 변의 길이가 하면의 측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할수록 증가하고, 내부에 적재된 연마수가 중심부로 포집될 수 있도록 하면의 측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할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상승함으로써 연마수 내 슬러지를 3차 여과하는 제3여과부, 3차 여과가 종료된 연마수를 제3여과부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제3여과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면이 개구되며, 제3여과부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제3여과부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하면이 그리드(grid)로 형성되며, 제2여과부 및 제3여과부에 의해 포집된 연마수가 확산될 수 있도록 하면의 중심부로부터 측부를 향할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상승하며, 연마수가 균일하게 확산될 수 있도록 그리드의 변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연마수 내 슬러지를 4차 여과하는 제4여과부 및 제2여과부, 제3여과부 및 제4여과부의 하면에 각각 배치되어, 10nm 이상의 입자를 여과할 수 있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때, 여과부는 적어도 둘 이상이 구비되어, 하우징 내부에 다단으로 적재될 수 있다.
나아가, 여과가 종료된 연마수를 임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하면에 배치되는 적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터부를 교체할 수 있도록 여과부는 탈착 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해결수단은 아래에서 이어지는 설명에서 일부 설명될 것이고, 그 설명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지득될 수 있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을 위한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4중으로 슬러지를 여과하여 정수된 연마수를 배출함으로써 환경 오염 방지에 이바지할 수 있다.
둘째, 제1여과부 내지 제4여과부가 탈착 가능하게 설계됨으로써 손쉽게 필터부 교체 가능하다.
셋째, 여과 과정 중 연마수의 역류를 방지함으로써 오작동을 방지하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시중 안경원에 합리적인 비용으로 자체제작 및 공급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제1여과부의 상세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 들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단지 명세서를 용이하게 작성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나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렌즈 연마수(10) 여과 장치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면, 렌즈 연마수(10) 여과 장치는 하우징(50), 유로(60) 및 여과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60)는 연마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연마수(10)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우징(5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경 렌즈는 안경테의 형태에 맞도록 설계 후, 이 설계된 부위를 렌즈 연마장치를 사용하여 연마함으로써 마감 처리는데, 연마 과정에서 미세한 입자 형태로 분쇄되어 분말이 형성되며, 연마과정에서 연마기가 마모되어 규사 등이 빈번하게 분사된다.
특히, 안경렌즈의 연마시 연마기와 렌즈간의 마찰로 인한 열의 발생을 억제하고 분말이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마수(10)를 안경렌즈 연마장치에 공급하게 되는데 연마수(10)는 슬러지(11) 등을 포함하게 되므로 여과 없이 배수하는 경우 환경 오염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를 따르는 렌즈 연마수(10) 여과장치의 유로(60)는 렌즈 연마 장치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연마수(10)를 포집하기 위한 장치이다.
유로(60)는 도 1및 도 2와 같이 하우징(50)의 상단에 배치되나 이와 달리 하우징(5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50) 및 유로(60)는 형상이 변하지 않는 강체(rigid body, 예를 들어 철, 알루미늄, 구리 등과 같은 금속 또는 폴리스티렌(PS), ABS, 폴리아세탈(POM),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카프로락톤(PCL), 및 폴리프로필렌(PP) 등과 같은 합성수지가 선택될 수 있다)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과부(100)는 유로(60)의 일측에 직결되어 연마수(10)를 공급받으며, 연마수(10) 내 슬러지(11)를 여과할 수 있다. 이하 여과부(100)의 여과 프로세스를 상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렌즈 연마수(10) 여과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제1여과부(110)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를 따르는 렌즈 연마수(10) 여과 장치의 여과부(100)는 제1여과부(110), 제2여과부(120), 제3여과부(130), 제4여과부(140) 및 필터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여과부(100)는 4중에 걸친 여과 과정에 의해 연마수(10) 내 슬러지(11)를 제거하여 정수된 연마수(10)를 배출함으로써 수질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여과부(110)는 소정의 간격마다 이격되어 배치되는 둘 이상의 패널(111)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111)은 제1여과부(110)의 중심부로부터 근거리에 배치되는 패널(111)의 높이가 중심부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되는 상기 패널(111)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패널(111)은 제1여과부(110)의 하면 내측으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로(60)부터 배출되는 연마수(10)는 자중에 의해 제1여과부(110)로 이동할 수 있다. 제1여과부(110)에는 그 하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패널(11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마수(10) 내 가장 큰 입자의 슬러지(11)(여기서는, 패널(111)과 제1여과부(110)의 이격 거리보다 큰 입자의 슬러지(11)를 의미함)는 패널(111)과 제1여과부(110) 이격 공간을 통과할 수 없다. 따라서 제1여과부(110)는 연마수(10) 내 큰 입자의 슬러지(11)를 수류(水留)에 의해 1차 여과할 수 있다.
한편, 패널(111)은 제1여과부(110)의 중심부로부터 확산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연마수(10)를 양측으로 분배하기 위함이며, 제1여과부(110)의 하단에 배치되는 제2여과부(120)에 공급되는 연마수(10)의 양을 양방향에 고르게 분배하기 위함이다.
제2여과부(120)는 1차 여과가 종료된 연마수(10)를 제1여과부(110)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제1여과부(1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여과부(120)는 상면이 개구되며, 하면이 그리드(grid)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여과부(110)로부터 제2여과부(120)의 양측에 동일한 양으로 공급되는 연마수(10)는 제2여과부(120)의 중심부로 포집될 수 있도록 하면의 측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할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상승하며, 제2여과부(120)에에서 제2여과부(120)의 하단에 배치되는 필터부(150)에 의해 연마수(10) 내 슬러지(11)가 2차 여과될 수 있다.
제2여과부(120)의 하면에 형성된 그리드의 변의 길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의 측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할수록 증가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달리, 그리드의 변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변의 길이를 갖는 그리드 영역이 적어도 세 개 이상의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여과부(120)의 높이가 점진적으로 상승하고, 하면의 그리드의 변의 길이가 중심부를 향할수록 증가하는 것은 연마수(10)의 유속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1여과부(110)로부터 제2여과부(120)로 공급되는 연마수(10)의 양이 제2여과부(120)에 의해 여과되는 연마수(10)의 양을 초과하는 경우, 제2여과부(120)에 여과되지 않고 적재되는 연마수(10)가 역류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3여과부(130)는 2차 여과가 종료된 연마수(10)를 제2여과부(120)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제2여과부(1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과부는 제2여과부(120)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제2여과부(120)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제3여과부(130)는 상면이 개구되며, 하면이 그리드(grid)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여과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연마수(10)는 제3여과부(130)의 중심부로 포집될 수 있도록 하면의 측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할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상승하며, 제3여과부(130)에에서 제3여과부(130)의 하단에 배치되는 필터부(150)에 의해 연마수(10) 내 슬러지(11)가 3차 여과될 수 있다.
제3여과부(130)의 하면에 형성된 그리드의 변의 길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의 측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할수록 증가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달리, 그리드의 변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변의 길이를 갖는 그리드 영역이 적어도 세 개 이상의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3여과부(130)의 높이가 점진적으로 상승하고, 하면의 그리드의 변의 길이가 중심부를 향할수록 증가하는 것은 연마수(10)의 유속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2여과부(120)로부터 제3여과부(130)로 공급되는 연마수(10)의 양이 제3여과부(130)에 의해 여과되는 연마수(10)의 양을 초과하는 경우, 제3여과부(130)에 여과되지 않고 적재되는 연마수(10)가 역류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4여과부(140)는 3차 여과가 종료된 연마수(10)를 제3여과부(130)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제3여과부(1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4여과부(140)는 상면이 개구되며, 제3여과부(130)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제3여과부(130)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하면이 그리드(grid)로 형성될 수 있다.
제4여과부(140)에 형성되는 그리부는 제2여과부(120) 및 제3여과부(130)에 의해 포집된 연마수(10)가 고르게 확산될 수 있도록 하면의 중심부로부터 측부를 향할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상승하며, 연마수(10)가 균일하게 확산될 수 있도록 그리드의 변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연마수(10) 내 슬러지(11)를 4차 여과할 수 있다.
필터부(150)는 제2여과부(120), 제3여과부(130) 및 제4여과부(140)의 하면에 각각 배치되어, 10nm 이상의 입자를 여과할 수 있다.
필터부(150)는 레이온을 포함하는 인조 섬유로(60) 형성될 수 있으며, 직조의 밀도가 높은 것으로서 원단의 공극이 10~100nm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필터부(150)는 제2여과부(120)의 하단에 배치되는 필터부(150)는 원단의 공극이 10~100 μm이며, 제3여과부(130)의 하단에 배치되는 필터부(150)는 원단의 공극이 100~10000nm이며, 제4여과부(140)의 하단에 배치되는 필터부(150)는 원단의 공극이 10~100nm 인 것을 형성되어 10mm 이상의 큰 입자의 슬러지(11)에서부터 10nm 이상의 작은 입자의 슬러지(11)까지 점진적으로 미세한 입자의 슬러지(11)를 여과함으로써 여과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상술한 필터부(150)의 원단 공극의 수치는 점진적으로 미세한 입자의 슬러지(11)를 여과하기 위해 표현한 예시에 불과하므로, 원단 공극의 수치는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례를 따르는 여과부는 필터부(150)를 교체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다.
여과부는 슬러지(11) 여과율을 높일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여과부가 구비되어 하우징(50) 내부에 다단으로 적재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여과부는 단층으로 형성되거나 적어도 둘 이상의 복수의 여과부가 다단으로 적재될 수 있다.
나아가, 여과부는 여과가 종료된 연마수(10)를 임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우징(50)의 하면에 배치되는 적재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재부(200)는 그 내부에 정수된 연마수(10)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렌즈 가공 장치의 연마수(10) 공급부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연마수
11 - 슬러지
50 - 하우징
60 - 유로
100 - 여과부
110 - 제1여과부
111 - 패널
120 - 제2여과부
130 - 제3여과부
140 - 제4여과부
150 - 필터부
200 - 적재부

Claims (8)

  1. 둘 이상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안경 렌즈 연마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연마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유로; 및
    상기 유로의 일측에 직결되어 상기 유로 내 연마수를 공급받으며, 연마수 내 슬러지를 여과하는 여과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부는,
    둘 이상의 패널이 소정의 간격마다 이격되어 배치되며, 중심부로부터 근거리에 배치되는 상기 패널의 높이가 중심부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되는 상기 패널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며, 하면 내측으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기 패널을 포함함으로써 연마수 내 큰 입자의 슬러지를 수류(水留)에 의해 1차 여과하는 제1여과부;
    1차 여과가 종료된 연마수를 상기 제1여과부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1여과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면이 개구되며, 하면이 그리드(grid)로 형성되며, 그리드의 변의 길이가 하면의 측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할수록 증가하고, 내부에 적재된 연마수가 중심부로 포집될 수 있도록 하면의 측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할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상승함으로써 연마수 내 슬러지를 2차 여과하는 제2여과부;
    2차 여과가 종료된 연마수를 상기 제2여과부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2여과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면이 개구되며, 상기 제2여과부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여과부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하면이 그리드(grid)로 형성되며, 그리드의 변의 길이가 하면의 측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할수록 증가하고, 내부에 적재된 연마수가 중심부로 포집될 수 있도록 하면의 측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할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상승함으로써 연마수 내 슬러지를 3차 여과하는 제3여과부;
    3차 여과가 종료된 연마수를 상기 제3여과부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3여과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면이 개구되며, 상기 제3여과부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3여과부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하면이 그리드(grid)로 형성되며, 상기 제2여과부 및 제3여과부에 의해 포집된 연마수가 확산될 수 있도록 하면의 중심부로부터 측부를 향할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상승하며, 연마수가 균일하게 확산될 수 있도록 그리드의 변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연마수 내 슬러지를 4차 여과하는 제4여과부; 및
    상기 제2여과부, 제3여과부 및 제4여과부의 하면에 각각 배치되어, 10nm 이상의 입자를 여과할 수 있는 필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부는 적어도 둘 이상이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다단으로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여과가 종료된 연마수를 임시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배치되는 적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필터부를 교체할 수 있도록 여과부는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에 정수된 연마수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적재부와 렌즈 가공 장치의 연마수 공급부가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탄성의 성질을 가지는 인조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직조의 밀도가 높은 것으로서 원단의 공극이 10~1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2여과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상기 필터부의 원단의 공극이 상기 제3여과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상기 필터부의 원단의 공극보다 크며, 상기 제3여과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상기 필터부의 원단의 공극이 상기 제4여과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상기 필터부의 원단의 공극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2여과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상기 필터부는 원단의 공극이 10~100 μm이며, 상기 제3여과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상기 필터부는 원단의 공극이 100~10000nm이며, 상기 제4여과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상기 필터부는 원단의 공극이 10~100n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KR1020210055554A 2021-04-29 2021-04-29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KR102274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554A KR102274988B1 (ko) 2021-04-29 2021-04-29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554A KR102274988B1 (ko) 2021-04-29 2021-04-29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988B1 true KR102274988B1 (ko) 2021-07-08

Family

ID=76893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554A KR102274988B1 (ko) 2021-04-29 2021-04-29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9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7606A (ko) * 2021-07-28 2023-02-06 한명옥 여과율이 향상된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KR20230029304A (ko) 2021-08-24 2023-03-03 이대호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2466A (ja) * 2001-10-15 2002-07-10 Sumitomo Shoji Chemicals Co Ltd 化学的機械的平坦化装置の研磨液再利用システム
KR20080012618A (ko) * 2006-08-04 2008-02-12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빗물받이 또는 수로용 여과장치 케이스 겸용 구조물
KR100958756B1 (ko) * 2009-07-23 2010-05-18 김경숙 절삭유 여과장치
KR101807185B1 (ko) * 2017-03-17 2017-12-08 주식회사 케이엔텍 다수의 필터를 이용한 복합 여과 시스템
CN108939642A (zh) * 2018-07-10 2018-12-07 合肥市禾兴生态养殖科技有限公司 一种园林雨水收集过滤设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2466A (ja) * 2001-10-15 2002-07-10 Sumitomo Shoji Chemicals Co Ltd 化学的機械的平坦化装置の研磨液再利用システム
KR20080012618A (ko) * 2006-08-04 2008-02-12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빗물받이 또는 수로용 여과장치 케이스 겸용 구조물
KR100958756B1 (ko) * 2009-07-23 2010-05-18 김경숙 절삭유 여과장치
KR101807185B1 (ko) * 2017-03-17 2017-12-08 주식회사 케이엔텍 다수의 필터를 이용한 복합 여과 시스템
CN108939642A (zh) * 2018-07-10 2018-12-07 合肥市禾兴生态养殖科技有限公司 一种园林雨水收集过滤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7606A (ko) * 2021-07-28 2023-02-06 한명옥 여과율이 향상된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KR102523443B1 (ko) * 2021-07-28 2023-04-20 한명옥 여과율이 향상된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KR20230029304A (ko) 2021-08-24 2023-03-03 이대호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KR102634896B1 (ko) 2021-08-24 2024-02-07 이대호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4988B1 (ko)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JP4237816B1 (ja) 眼鏡レンズの研磨水の再生及びスラッジの除去装置
KR100740655B1 (ko) 안경 렌즈의 연마 폐수 처리 장치
KR102231821B1 (ko) 안경렌즈 연마수의 여과장치
JP7249063B2 (ja) レンズ研磨廃水用濾過装置および研磨廃水還元システム
CN209835784U (zh) 一种研磨废水及废除油剂净化回用系统
KR100419351B1 (ko) 렌즈 연마수의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CN102407492A (zh) 印刷电路板研磨生产线用铜粉回收设备
KR102326838B1 (ko) 안경렌즈 연마가공폐수 자동처리장치
KR200437636Y1 (ko) 렌즈연마기의 정화장치
CN204543770U (zh) 一种污水过滤器
KR20010035524A (ko) 안경렌즈 연마수의 재생장치
KR200420463Y1 (ko) 렌즈연마장치의 정화장치
KR20110109653A (ko) 자동배출장치가 구비된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 장치
CN208132571U (zh) 一种用于生产机械刀具的磨床
KR102523443B1 (ko) 여과율이 향상된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CN212553192U (zh) 双工位磨抛除尘设备
CN210159318U (zh) 一种玻璃磨削过滤水箱
KR200260480Y1 (ko) 렌즈 연마수의 재생장치
CN206706981U (zh) 一种用于操场污水过滤处理装置
KR200294716Y1 (ko) 렌즈 연마수 재생장치
CN215884840U (zh) 一种基于玻璃打磨用废水收集装置
KR102481082B1 (ko) 옥습기용 폐수정화장치 및 연마폐수 처리시스템
CN220990017U (zh) 一种用于轧辊磨床磨削泥分级沉淀过滤装置
CN105036426A (zh) 一种含滤清装置的电化学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