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463Y1 - 렌즈연마장치의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렌즈연마장치의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463Y1
KR200420463Y1 KR2020060010353U KR20060010353U KR200420463Y1 KR 200420463 Y1 KR200420463 Y1 KR 200420463Y1 KR 2020060010353 U KR2020060010353 U KR 2020060010353U KR 20060010353 U KR20060010353 U KR 20060010353U KR 200420463 Y1 KR200420463 Y1 KR 2004204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collecting
port
lens polishing
polish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3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중
Original Assignee
이재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중 filed Critical 이재중
Priority to KR20200600103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4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4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4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3/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or polishing optical surfaces on lenses or surfaces of similar shape on other work;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2Equipment for cooling the grinding surfaces, e.g. devices for feeding coolant
    • B24B55/03Equipment for cooling the grinding surfaces, e.g. devices for feeding coolant designed as a complete equipment for feeding or clarifying coo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12Devices for exhausting mist of oil or coolant; Devices for collecting or recovering materials resulting from grinding or polishing, e.g. of precious metals, precious stones, diamond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에서는 다량의 폐기슬러지를 방출하는 안경렌즈연마장치에 장착되어 폐기슬러지의 정화효율을 극대화시키고 필터의 교체가 간편하며 집적된 폐기슬러지의 처리가 더욱 간편할 뿐더러 제작이 간단한 안경렌즈 연마장치의 정화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은 렌즈연마장치의 배출호오스와 연결되는 연결구에 여과망이 설치되어, 여과망으로부터 입체적인 여과를 수행한다.
그리고, 이러한 여과망이 장착된 필터를 하나의 필터유닛으로 복수로 배치하여, 여과표면을 최대한 확장시킴으로써 동일 점유공간에서 여과효율을 극대화시킨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필터장치는 이를 수용하는 저장조에 설치되며, 저장조에 상기 필터장치의 배치를 보유지지하는 별도의 거치대를 두어 여기에 필터장치가 거치되며, 이를 통해 필터장치의 탈장착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필터의 교체가 극히 간단하도록 배려시키고, 여과망에 집적된 폐기슬러지는 필터장치와 함께 처리함으로써, 폐기슬러지의 처리 역시 극히 간단하도록 배려시킨 것이다.
안경렌즈, 연마, 옥습기, 필터, 정화, 여과

Description

렌즈연마장치의 정화장치{Lens―Grinder―Purifier}
도 1 은 일반적인 렌즈연마장치와 종래 렌즈연마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렌즈연마장치 정화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외관설명도로서, 분해설명도와 결합설명도이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렌즈연마장치 정화장치의 일실시예로서 복수의 여과장치가 집수조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측면 및 평면설명도이다.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렌즈연마장치 정화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복수의 여과장치가 집수조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외관설명도 및 측면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렌즈연마장치, 2 - 배출호오스,
10 - 집수구, 12 - 여과망,
14 - 집수조, 16 - 거치대,
18 - 연결관, 20 - 분류구,
22 - 배출관, 24 - 분류공간,
26 - 분지관, 28 - 거치판,
본 고안은 안경렌즈 연마장치의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량의 폐기슬러지를 방출하는 안경렌즈연마장치에 장착되어 폐기슬러지의 정화효율을 극대화시키고 필터의 교체가 간편하며 집적된 폐기슬러지의 처리가 더욱 간편할 뿐더러 제작이 간단한 안경렌즈 연마장치의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렌즈는 일정한 규격을 갖는 원형의 형태로 생산된 후, 사용자의 시력과 안경테의 디자인에 맞추어 성형되어져 장착된다.
이를 위한 성형장치로서 소위 "옥습기"라 불리우고 있는 렌즈연마장치(1)는, 예시도면 도 1 과 같이 연마유닛이 내장된 케이스형태로 마감되고, 연마유닛은 렌즈의 종류와 형태에 따라 산각 홈의 위치를 조정하게 되며, 곡률이 큰 안경테나 반무테를 위한 패턴의 경우에도 각도를 인지하고 테의 입체적인 모양에 따라 가공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통상적인 안경렌즈는 유리 또는 합성수지(폴리카보네이트)가 주종을 이루고 있어 연마시 미세한 입자형태로 분쇄되어 폐기분말이 형성되며, 연마과정에서의 연마기가 마모되어 이 역시 폐기분말을 형성시키고 있다.
한편, 안경렌즈의 연마를 보조하기 위하여 렌즈연마장치에 연마수가 공급되는데, 이러한 연마수와 폐기분말이 혼합되면 폐기슬러지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폐기슬러지를 처리하기 위한 정화수단으로는 간단하기로는 침전방식이 적용되며, 도시된 안경렌즈연마장치의 하부에 침전조(2)를 배치시키고, 배출호 오스(3)를 통해 침전조(2)에서 폐기슬러지를 침전시킨 다음, 어느 정도 여과된 폐수를 하수로 방류시키는 방식이 적용된다.
그러나, 침전을 통한 물리적 정화는 그 한계가 있음이 당연하고 침전된 폐기슬러지의 분리처리 역시 불편하며, 이러한 폐기슬러지가 렌즈연마장치로부터 발생되는 것인가의 여부를 차치하고, 폐기슬러지를 처리하는 정화(정수)장치가 공지되어 있음에 따라, 이러한 기술분야로부터 상기 렌즈연마장치에 정화장치가 나열배치될 수 있음은 자연스럽게 지득될 수 있는 사항이다.
다만, 이러한 정화장치가 렌즈연마장치에 장착될 때, 렌즈연마장치가 발생시키는 폐기물의 특성 및 사용상태에 맞추어 개량되어 조합될 것이 요구된다.
이를 고려하여 공지된 렌즈연마장치의 정화장치를 살펴보면, 예를 들어 안경렌즈 연마수의 재생장치(출원 제20-2001-0005016호)나 렌즈 연마수의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출원 제10-2001-0059496호)는 별도의 정화장치를 통해 폐수(렌즈 연마수)를 처리하고 있다.
공통적으로는 상기 렌즈연마장치의 배출호오스(2)와 정화장치가 연결되며 좀 더 상세하기로는, 상기 안경렌즈 연마수의 재생장치는 예시도면 도 1b 와 같이, 연마기로 안경렌즈를 연마하고 연마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기 위해 연마수공급관으로부터 연마수가 공급되는 렌즈연마장치에 있어서: 저면은 다수의 제 1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렌즈연마장치(1)로부터 배출되는 연마수와 이물질이 혼합된 혼합수가 유입되는 통공이 형성된 덮개가 안치되는 제 1 저장조(4)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저장조(4)의 바닥면에는 안경렌즈의 연마시 발생되는 분말입자를 여과하 여 연마수 만을 배출시키는 제 2 필터(5)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저장조(4)의 일측 모서리 부분에는 유입공를 통해 미처 침전되지 않고 부유(浮游)되는 분말입자를 여과하여 연마수 만을 배출시키는 제 1 필터(6)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저장조(4) 일측에는 임의적으로 연마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제 2 배출구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여과조와, 상면에 상기 여과조가 안치되는 안치부와 기기설치부가 형성되며 여과된 연마수를 집수하는 제 2 저장조(7)가 구비되고, 상기 기기설치부에는 상기 제 2 저장조(7)에 집수된 연마수를 연마수공급관을 통해 렌즈연마장치에 재공급하는 순환펌프가 설치되고, 상기 기기설치부에는 상기 제 2 저장조(7)에 여과되어 집수된 연마수의 정체를 방지하기 위해 스크류를 회전시켜 연마수를 교반시키는 교반모터가 설치된 연마수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를 통해 달성되는 정화장치는 렌즈연마장치에서 발생되는 폐기슬러지의 여과를 충분하게 처리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여과장치의 교환 및 폐기슬러지의 후처리가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술된 바와 같이 렌즈연마장치는 다양한 안경사이즈를 감당하는 원형의 렌즈를 연마시켜 가공하게 되며, 이 연마시 그에 상응하는 다량의 폐기분말과 이것이 연마수와 혼합되어 다량의 폐기슬러지를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폐기슬러지로부터 연마수를 정화하여 배출시키게 되면, 필터로는 다량의 폐기슬러지가 집적되므로, 필터의 수명이 짧음은 당연한 결과이고 이에 따른 필터의 잦은 교환이 필요하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필터의 손쉬운 교환을 위한 여과장치로서 구비될 필요가 있으며, 또한 다량의 폐기슬러지를 처리하기 위한 적절한 크기를 갖는 필터의 배치가 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정화장치는 필터의 교체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제 1 필터 및 제 2 필터에 집적된 폐기슬러지를 처리하기 위하여 부품을 분리하여 소제하고 다시 재장착하여야 하는데, 다수의 필터 조합과 수조에서의 필터 분해 및 폐기슬러지의 처리, 그리고 필터의 재조립 또는 교환이 불편함은 그 구조상 당연한 결과이다.
또한 상기의 정화장치는 침전 및 필터를 통한 여과방식이 적용되고 있고, 즉 중력에 의한 물의 흐름에 대하여 여기에 필터를 장착시켜 여과를 수행함으로써, 필터를 통한 여과는 입체적이지 못하고, 흐름에 대한 단면으로서의 평면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여과효율 역시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렌즈 연마수의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는 예시도면 도 1c 와 같이, 유출관과 연마구공급관의 연통 및 폐쇄를 제어하는 제1밸브(v1)를 개방하고, 유출관과 유입관의 연통 및 폐쇄를 제어하는 제2밸브(v2)를 폐쇄하여 유출관과 연마수공급관이 연통되도록 하고 펌프를 구동하여 저장조(7)에서 연마장치(1)에 연마수를 공급하는 연마수 공급단계와, 상기 연마수 공급단계에서 공급받는 연마수를 이용하여 연마기로 렌즈를 연마하는 연마단계와, 상기 연마단계에서 연마완료 후 연마수의 공급을 중지하기 위해 펌프의 구동을 정지하는 펌프중지단계와, 상기 연마종료단계 후 저장조(7)에 수용되는 혼합수의 혼탁도를 판단하여 여과여부를 제어하는 제1혼 탁도 판단단계와, 상기 제1혼탁도 판단단계에서 혼합수의 혼탁도가 기준치 이상이며 상기 제1밸브(v1)를 개방하고, 제2밸브(v2)를 폐쇄하여 유출관과 유입관이 연통되도록 하고 펌프를 구동하여 저장조(7)에서 여과조(4)에 혼합수를 공급하는 혼합수 공급단계와, 상기 여과조(4)에 유입된 혼합수를 여과필터(5)를 이용하여 혼합수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여 저장조(7)로 유출시키는 여과단계와, 상기 여과단계 후 여과된 연마수가 저장조로 유입된 후 상기 저장조(7)의 연마수의 혼탁도를 판단하여 펌프의 구동여부를 제어하는 제2혼탁도 판단단계와, 상기 제2혼탁도 판단단계에서 연마수의 혼탁도가 허용 기준치 이하일 때 연마수가 공급되는 것을 중지시키기 위해 펌프의 구동을 정지하는 제2펌프정지 단계로 이루어진 연마수 재생방법과 이를 위한 재생장치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 역시 필터의 교체 및 폐기슬러지의 처리는 전술된 이유와 마찬가지이고 평면적인 필터링 역시 마찬가지이며, 다만 연마수 정화와 사용이 연속적이지 않고 단절되며, 간헐적인 정화를 수행하는 것에 불과하다.
결국, 연마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구현과 이것의 운영(전력소모)이 오히려 연마수를 정화시켜 배출시키는 것에 비해 과도하게 구현됨에도 불구하고 필터의 교체와 이를 통한 폐기슬러지의 처리보다는 연마수의 재생에 집중되어 정화장치로서 안출된 오류로서, 렌즈연마장치의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야기시킨는 것이며, 평면적인 여과 역시 효율적이지 못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량의 폐기 슬러지를 방출하는 안경렌즈연마장치에 장착되며 이러한 폐기슬러지의 정화효율을 극대화시키고 필터의 교체가 간편하며 집적된 폐기슬러지의 처리가 더욱 간편할 뿐더러 제작이 간단한 안경렌즈연마장치의 정화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렌즈연마장치의 배출호오스와 연결되는 연결구에 여과망이 설치되어, 여과망으로부터 입체적인 여과를 수행한다.
그리고, 이러한 여과망이 장착된 필터를 하나의 필터유닛으로 복수로 배치하여, 여과표면을 최대한 확장시킴으로써 동일 점유공간에서 여과효율을 극대화시킨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필터장치는 이를 수용하는 저장조에 설치되며, 저장조에 상기 필터장치의 배치를 보유지지하는 별도의 거치대를 두어 여기에 필터장치가 거치되며, 이를 통해 필터장치의 탈장착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필터의 교체가 극히 간단하도록 배려시키고, 여과망에 집적된 폐기슬러지는 필터장치와 함께 처리함으로써, 폐기슬러지의 처리 역시 극히 간단하도록 배려시킨 것이다.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고안의 목적, 작용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그 변화와 변경이 가능하며,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예시도면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렌즈연마장치의 정화장치를 나타낸 외관설명도로서, 분해설명도와 결합설명도이다.
그리고, 예시도면 도 3 및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렌즈연마장치 정화장치의 각 실시예로서 복수의 여과장치가 집수조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본 고안은 렌즈연마장치(1)의 오수를 방출하는 배출호오스(2)에 탈장착되게 집수구(10)가 연결되고, 이 집수구(10)에서 배출된 오수를 입체상의 점유공간을 가지고 그 경계면상에서 폐기분말을 분리하도록 여과망(12)이 설치되며, 상기 여과망(12)은 이를 수용하여 여과된 정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는 집수조(14)에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집수조(14)에는 상기 여과망(12)을 포함하는 집수구(10)가 탈장착되도록 이를 거치하는 거치대(1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연마장치의 정화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여과망(12)은 집수조(14)가 제공하는 수용공간에서 복수로 배치되며, 일실시예로서 복수의 집수구(10)가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집수구(10)가 상기 렌즈연마장치(1)의 배출호오스(2)에 직결되고 이 집수구(10)와 여기에 이웃되는 집수구(10)들은 수로를 이루는 연결관(18)으로 서로 연통되게 연결되며 각각의 집 수구에 상기 여과망(12)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각각의 집수구(10)에는 배출호오스(2)와 직결되는 집수구(10)를 포함하여 이로부터 렌즈연마장치의 오수가 균배되도록 분류구(20)가 내설되고, 이 분류구(20)에는 그 저면에 돌출되어 여과망(12)과 연통되는 배출관(22)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분류구(20)와 배출관(22)에 의해 집수구(10)의 내부에는 오수가 충진되는 분류공간(24)이 형성되고, 이 분류공간(24)의 충진수위에 연결관(18)의 수로와 배출관(22)의 입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여과망(12)은 집수조(14)가 제공하는 수용공간에서 복수로 배치되며, 다른 실시예로서 복수의 집수구(10)가 형성되어 각각의 집수구(10)에 상기 여과망(12)이 설치되고 상기 집수구(12)는 연결관(18)으로 서로 보유지지되게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복수의 집수구(12)와 렌즈연마장치의 배출호오스(2)는 상기 배출호오스(2)와 연결되고 여기서 분지되어 상기 복수의 집수구(10)와 직결되는 분지관(26)이 매개되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들에서 집수조(14)에는 복수의 여과망(12)을 수용하기 위하여 이것이 탈착되는 거치대(16)에는 이웃된 집수구(10) 사이의 공간으로 끼워져 상기 연결관(18)의 저부를 지지하는 거치판(2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량의 폐기슬러지를 방출하는 안경렌즈연마장치에 장착되어 폐기슬러지의 정화효율을 극대화시키고 필터의 교체가 간편하며 집적된 폐기슬러지의 처리가 더욱 간편할 뿐더러 제작이 간단한 안경렌즈연마장치의 정화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렌즈연마장치(1)의 배출호오스(2)에 여과망(12)이 설치된다.
상기 여과망(12)은 배출호오스(2)와 연결되는 집수구(10)를 매개로 설치되며, 집수구(10)에 배출호오스(2)가 삽탈됨으로써, 이와 간단하게 착탈된다.
상기 집수구(10)와 여과망(12)은 조임밴드로 장착되며, 집수구(10)와 상기 배출호오스(2)를 분리시킴으로써, 여과망(12)에 집적된 폐기슬러지를 별도로 수거하여 처리할 필요없이 여과망(12)에 집적된 폐기슬러지를 집수구(10)와 함께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여과망(12)은 렌즈연장치를 통해 발생되는 폐기분말의 입도 이하의 메시를 갖는 것으로서, 직조망이나 예를 들어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지된 여과망(12)은 그 제조가 간편하며, 이러한 여과망(12)은 그 자체로 입체적인 여과를 수행한다.
즉, 상기 여과망(12)은 이것이 차지하는 점유공간의 경계면이 모두 여과면으로서 작용하며, 연마수의 흐름에 대하여 자중에 의한 하방 뿐만아니라, 이를 둘러싸는 측면모두 여과면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폐기슬러지가 집적되더라도, 그 집적된 하부의 여과면 뿐만아니라 측면으로 흐르는 경계면에서도 여과를 수행하여, 오수를 정화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여과망(12)이 장착된 필터를 하나의 필터유닛으로 복수로 배치하여, 여과표면을 최대한 확장시킴으로써 동일 점유공간에서 여과효율을 극대화시킨 것이다.
복수의 필터유닛이 점유하는 하나의 크기를 갖는 대용량의 필터와 상기 복수의 필터유닛을 대비해 보면, 복수의 필터유닛은 그 하나 하나가 입체적인 필터표면을 갖게 되고, 이것이 복수개로 배치될 경우, 하나의 대용량의 것보다 필터표면적이 증가된다.
즉, 입체상의 여과망(12) 표면에 의한 정화효율의 증가와 이것의 복수 배치에 의한 상승효과에 의해 최대한의 정화가 수행되도록 한 것으로, 복수의 여과망(12) 배치에 의해 여과면적을 증가시켜 정수방류효율을 최대화시킨 것이다.
이러한 복수의 여과망(12) 배치와 이것의 전체 수거처리, 그리고 복수 여과망(12)에서의 오수의 균등처리를 위해 상기 집수구(10)는 서로 연결된다.
일실시예로서, 집수구(10) 중 어느 하나 바람직하기로는 중앙의 연결구가 배출호오스(2)와 직결되고, 나머지 이웃된 집수구(10)는 연결관으로 서로 연통되는 수로를 가지고 연결된다.
그리고, 각각의 집수구(10)에는 배출호오스(2)와 직결되는 집수구(10)를 포함하여 이로부터 렌즈연마장치(1)의 오수가 균배되도록 분류구(20)가 내설된다.
상기 분류구(20)는 집수구(10)의 통로를 폐쇄하여 소정의 오수가 충진되는 분류공간(24)을 제공하며, 그 충진수위에 연결구의 수로와 배출관(22)의 입구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기로는 배출관(22)의 입구가 연결구의 수로보다 조금 높게 형성되며,배출호오스(2)와 직결된 배출관(22)의 입구가 조금 더 높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배출호오스(2)와 직결된 오수가 이것의 분류공간(24)으로 충진된 다음 연결구를 통해 서로 이웃된 집수구(10)의 분류공간(24)으로 충진된다.
각자의 분류공간(24)으로 오수가 충진이 완료되면 오수는 여기서 범람하기 시작하며, 이에 의해 각자의 여과망(12)으로 여과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복수의 집수구(10)는 분지관(26)을 매개하여 배출호오스(2)와 균등하게 직결되며, 복수의 집수구(10)를 매개하는 연결구는 단지 집수구(10)들의 설치를 보유지지하는 지지구조물로서의 역활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복수의 여과망(12) 배치에 있어서, 필터장치의 구조를 더욱 단순화시킬 수 있다.
즉, 본 고안에서는 폐기슬러지의 처리가 여과망(12) 및 집수구(10)를 함께 처리하게 되는데, 이러한 소모품을 형성함에 있어서 집수구(10)를 이루는 분류구(20)와 연결관의 수로처리를 삭제하여 그 구조를 더욱 단순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설치공간에 있어서, 상하의 컴팩트한 배치에 대해서는 손실이 뒤따르게 된다.
상기 어느 실시예를 통하여서도 복수의 여과망(12) 배치는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여과면적의 증대로 여과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복수의 여과장치는 이를 수용하는 집수조에 장착되어 정수된 오수가 집수조에 충진된 다음 배출되며, 상기 집수조에서 여과장치의 분해 및 조립의 용이성을 위해 거치대가 설치된다.
거치대는 집수조에서 복수의 여과장치를 단순하게 보유지지하기 위해 설치 되며, 상기 연결관과 간섭되는 가로구조물과 이 거치패널을 집수조의 내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수직구조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관은 상기 가로구조물인 동시에 집수조에 장착된 여과장치를 탈거하기 위한 파지손잡이의 역활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배출호오스와 집수구(10)를 연결하고 이것을 거치대에 간단하게 장착하게 되면 정화장치의 설치가 완료되어 렌즈연마장치(1)의 오수를 정화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여과망(12)의 교체가 필요할 정도로 폐기슬러지가 집적되면, 배출호오스와 집수구(10)를 분리하고, 거치대에서 집수구(10)를 포함하여 여과망(12)을 분리하면 간단한 분리수거가 수행되며 재장착 역시 매우 간단하게 수행되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렌즈연마장치의 오수를 방출하는 배출호오스에 탈장착되게 집수구가 연결되고, 이 집수구에서 배출된 오수를 입체상의 점유공간을 가지고 그 경계면상에서 폐기분말을 분리하도록 여과망이 설치되어 여과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 여과망이 복수로 배치되어 여과표면이 더욱 증대되면 여과효율이 더욱 향상되며, 이러한 여과장치가 거치대를 통해 간단하게 탈착됨으로써, 폐기슬러지를 별도로 처리할 필요없이 여과망의 수거처리에 의해 폐기슬러지의 처리가 간단하고, 여과망(여과장치)의 재설치가 간단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렌즈연마장치(1)의 오수를 방출하는 배출호오스(2)에 탈장착되게 집수구(10)가 연결되고, 이 집수구(10)에서 배출된 오수를 입체상의 점유공간을 가지고 그 경계면상에서 폐기분말을 분리하도록 여과망(12)이 설치되며, 상기 여과망(12)은 이를 수용하여 여과된 정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는 집수조(14)에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집수조(14)에는 상기 여과망(12)을 포함하는 집수구(10)가 탈장착되도록 이를 거치하는 거치대(1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연마장치의 정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여과망(12)은 집수조(14)가 제공하는 수용공간에서 복수로 배치되며, 복수의 집수구(10)가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집수구(10)가 상기 렌즈연마장치(1)의 배출호오스(2)에 직결되고 이 집수구(10)와 여기에 이웃되는 집수구(10)들은 수로를 이루는 연결관(18)으로 서로 연통되게 연결되며 각각의 집수구에 상기 여과망(12)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각각의 집수구(10)에는 배출호오스(2)와 직결되는 집수구(10)를 포함하여 이로부터 렌즈연마장치의 오수가 균배되도록 분류구(20)가 내설되고, 이 분류구(20)에는 그 저면에 돌출되어 여과망(12)과 연통되는 배출관(22)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분류구(20)와 배출관(22)에 의해 집수구(10)의 내부에는 오수가 충진되는 분류공간(24)이 형성되고, 이 분류공간(24)의 충진수위에 연결관(18)의 수로와 배출관(22)의 입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연마장치의 정화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여과망(12)은 집수조(14)가 제공하는 수용공간에서 복수로 배치되며, 복수의 집수구(10)가 형성되어 각각의 집수구(10)에 상기 여과망(12)이 설치되고 상기 집수구(12)는 연결관(18)으로 서로 보유지지되게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복수의 집수구(12)와 렌즈연마장치의 배출호오스(2)는 상기 배출호오스(2)와 연결되고 여기서 분지되어 상기 복수의 집수구(10)와 직결되는 분지관(26)이 매개되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연마장치의 정화장치.
  4.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집수조(14)에는 복수의 여과망(12)을 수용하기 위하여 이것이 탈착되는 거치대(16)에는 이웃된 집수구(10) 사이의 공간으로 끼워져 상기 연결관(18)의 저부를 지지하는 거치판(2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연마장치의 정화장치.
KR2020060010353U 2006-04-18 2006-04-18 렌즈연마장치의 정화장치 KR2004204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353U KR200420463Y1 (ko) 2006-04-18 2006-04-18 렌즈연마장치의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353U KR200420463Y1 (ko) 2006-04-18 2006-04-18 렌즈연마장치의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463Y1 true KR200420463Y1 (ko) 2006-07-04

Family

ID=41769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353U KR200420463Y1 (ko) 2006-04-18 2006-04-18 렌즈연마장치의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46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902B1 (ko) 2018-06-20 2019-01-07 월드시스템주식회사 모듈형 연마 폐수 처리장치
KR102280912B1 (ko) * 2020-10-28 2021-07-26 주식회사 로덱 렌즈 연마폐수용 여과장치 및 연마폐수 환원시스템
KR20220141380A (ko) * 2021-04-12 2022-10-20 주식회사 매직워터 옥습기용 정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902B1 (ko) 2018-06-20 2019-01-07 월드시스템주식회사 모듈형 연마 폐수 처리장치
KR102280912B1 (ko) * 2020-10-28 2021-07-26 주식회사 로덱 렌즈 연마폐수용 여과장치 및 연마폐수 환원시스템
KR20220141380A (ko) * 2021-04-12 2022-10-20 주식회사 매직워터 옥습기용 정수장치
KR102642842B1 (ko) * 2021-04-12 2024-03-06 주식회사 매직워터 옥습기용 정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3899B1 (ko) 안경 렌즈 연마수 재생 및 슬러지 제거 장치
JP2008542008A (ja) モジュラ型水処理ユニット
KR200420463Y1 (ko) 렌즈연마장치의 정화장치
KR20190083289A (ko)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의 부유물질 제거를 위한 여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0740655B1 (ko) 안경 렌즈의 연마 폐수 처리 장치
JP7249063B2 (ja) レンズ研磨廃水用濾過装置および研磨廃水還元システム
KR101468655B1 (ko) 수처리용 여과장치
KR200437636Y1 (ko) 렌즈연마기의 정화장치
KR101198248B1 (ko) 자동배출장치가 구비된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 장치
KR20010035524A (ko) 안경렌즈 연마수의 재생장치
KR20030026492A (ko) 렌즈 연마수의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CN206417937U (zh) 一种水净化前处理设备
KR20220070591A (ko) 안경렌즈 연마기용 정화장치
JP4094115B2 (ja) 玉摺機の濾過装置及び研削屑除去装置
CN210232481U (zh) 一种镜片修边细磨机
JP2003117826A (ja) 切削液の浄化装置
KR200233269Y1 (ko) 안경렌즈 연마수의 재생장치
JP2000202435A (ja) 浄化システム
KR102610901B1 (ko)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
CN203235336U (zh) 高效一体化沉淀纤维过滤水处理设备
KR200294716Y1 (ko) 렌즈 연마수 재생장치
KR102561821B1 (ko) 옥습기용 정수장치
KR20220014014A (ko) 옥습기용 폐수정화장치 및 연마폐수 처리시스템
KR200260480Y1 (ko) 렌즈 연마수의 재생장치
CN220633248U (zh) 除尘抛光机的污水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