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0901B1 -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0901B1
KR102610901B1 KR1020210112560A KR20210112560A KR102610901B1 KR 102610901 B1 KR102610901 B1 KR 102610901B1 KR 1020210112560 A KR1020210112560 A KR 1020210112560A KR 20210112560 A KR20210112560 A KR 20210112560A KR 102610901 B1 KR102610901 B1 KR 102610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lection case
wastewater treatment
polishing wastewater
treat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0387A (ko
Inventor
박상호
전인철
Original Assignee
박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호 filed Critical 박상호
Priority to KR1020210112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0901B1/ko
Publication of KR20230030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9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1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01D35/1435Filter condition indicators with 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9/0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 B24B9/1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of optical work, e.g. lenses, prisms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렌즈의 절삭 및 가공에 따라 발생되는 연마폐수를 슬러지를 제거하는 1차 여과 및 미세물질을 제거하는 2차 여과를 통하여 연마폐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EYEGLASS LENS POLISHING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렌즈의 절삭 및 가공에 따라 발생되는 연마폐수를 슬러지를 제거하는 1차 여과 및 미세물질을 제거하는 2차 여과를 통하여 연마폐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소비자가 원하는 디자인의 안경테에 맞춰 안경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안경렌즈를 안경테의 형태에 맞춰 절삭 및 가공이 필요하고, 이 과정에서 안경렌즈를 절삭 및 가공하는 장치를 '옥습기'라 한다.
안경렌즈를 절삭 및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과 분진을 위해 연마수를 이용하는데, 이와 함께 연마수에 절삭된 연마 슬러지가 포함되어 하수로 배출된다. 안경 렌즈의 재료는 플라스틱 또는 유리가 사용되며, 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렌즈의 경우 가공 시 연마폐수가 발생되며, 중금속과 발암성 물질이 포함되어 방류되고 있어, 폐수정화장치가 필요하다.
종래의 폐수정화장치의 경우 대량가공이 어려우며, 필터의 내구성을 보완할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안경렌즈 가공장비를 위한 폐수정화장치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922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안경렌즈의 절삭 및 가공에 따라 발생되는 연마폐수의 슬러리 및 미세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는 소정의 공간을 갖는 외형 케이스;
상기 외형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여과망을 구비하여 안경렌즈 연마폐수 내 슬러지를 제거하여 여과수로 전환시키는 집수 케이스; 및 상기 외형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집수 케이스에서 배출되는 상기 여과수를 유입하여 상기 여과수 내 미세불순물을 제거하는 하우징 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외형 케이스 외부의 저면부에 배치되며, 상기 여과수를 상기 집수 케이스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수 케이스는, 상기 여과망에 잔류하는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한 분사노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수 케이스는, 상기 여과수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부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수 케이스는, 상기 여과수를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집수 케이스 내측벽에 배치되며 수직배향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배치되는 상부 접점부; 상기 지지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접점부 보다 낮은 지점에 배치되는 센서볼; 및 상기 지지부에 배치되며 상기 센서볼 보다 낮은 지점에 배치되는 하부 접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수 케이스는 내부 저면부에 배치되며 상기 여과수의 와류 생성을 억제시키는 와류 억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류 억제 장치는, 판(plate) 형상의 와류 억제부; 및 상기 와류 억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는, 상기 집수 케이스의 저면부를 기준으로, 상기 와류 억제부의 높이는 상기 하부 접접부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보다 낮은 것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 필터는 2 이상 이며, 상기 집수 케이스 외측부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는 슬러지 제거라는 1차 여과 및 이후 미세불순물 제거라는 2차 여과를 통하여 수질오염 및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오염물의 제거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마폐수로부터 슬러지를 제거한 여과수를 여과망의 세정수로서 재이용함으로써, 여과망의 사용주기를 증가시켜 교체주기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의 오작동 및 과부하를 억제하기 위하여 최적의 설계조건을 제공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의 정면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 배면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의 조립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의 집수 케이스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망의 실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저센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센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류 억제 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필터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청구범위에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명세서에 개시된 장치, 방법, 제법 및 다양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개시된 구조 및 기능상의 특징들은 통상의 기술자로 하여금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개시된 용어 및 문장들은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 장치의 정면 구성도 및 배면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의 조립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이하 ‘연마폐수 처리장치’)(100)는 옥습기(10)에서 안경렌즈를 가공한 후 배출되는 연마폐수를 유입받아 이를 정화하는 것이며, 옥습기(10)로부터 배출되는 연마폐수는 연결배관(20)을 통하여 연마폐수 처리장치(100)에 유입된다.
옥습기(10)는 안경렌즈를 안경테의 형태에 맞춰 절삭 및 가공 처리를 위하여 연마수를 사용하며, 사용된 연마수는 안경렌즈를 절삭 및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포함한 연마폐수로서 옥습기(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며, 연마폐수는 옥습기(10)의 저면부로 배출되는 것일 수 있다.
연결배관(2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연결배관(20)의 일단은 옥습기(10)와 연통되며, 연결배관(20)의 타단은 연마폐수 처리장치(100)와 연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배관(20)의 일단은 옥습기(10)의 저변부와 연통되며, 연결배관(20)의 타단은 연마폐수 처리장치(100)의 상면부와 연통되는 것일 수 있다. 연결배관(20)의 일직선의 배관일 수 있으며, 절곡이 가능한 유연한 재질의 연결배관(2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폐수 처리장치(100)는 외형 케이스(110); 집수 케이스(120); 여과수 배출관(130); 펌프(140); 여과수 유입관(150); 여과수 분기관(160); 하우징 필터(170); 정화수 배출관(180); 및 정화수 배출구(190)를 포함할 수 있다.
연마폐수 처리장치(100)는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는 외형 케이스(110)를 포함한다.
외형 케이스(11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가지는 것으로, 외벽으로 구성된 폐쇄형의 하우징 부재일 수 있다. 외형 케이스(11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고 내부와 외부를 구분하는 외벽 등의 경계면을 포함하는 것이면 하우징 부재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는 육면체 부재 또는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
외형 케이스(110)는 내부의 소정에 공간에 구비되는 연마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외형 케이스(110)는 상면부를 통하여 옥습기(10)로부터 배출되는 연마폐수가 유입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결배관(20)의 타단은 외형 케이스(110)의 상면부와 연결되는 것일 수 있으며, 외형 케이스(110)는 상면부에 연결배관(20)의 타단과 연통하기 위한 덮개부재(30)가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덮개부재(30)는 덮개 방식의 소정의 면적 및 단차를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덮개부재(30) 내 소정의 영역에 대하여 개구부가 구비되어 연결배관(20)의 타단이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와 연결된 연결배관(20)을 통하여 옥습기(10)에 배출되는 연마폐수가 외형 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일 수 있다.
외형 케이스(110)는 저변부에 구비되는 받침부(111, 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형 케이스(110)에 따라 2 이상의 받침부(111, 112)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111, 112)는 서로 대향하는 제1 받침부(111)와 제2 받침부(112)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받침부(111, 112)가 4개를 구성하는 경우, 2개의 제1 받침부(111) 및 2개의 제2 받침부(112)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받침부(111, 112)는 지면과 연마폐수 처리장치(100)(외형 케이스(110)) 사이의 소정의 공간이 형성하도록 하여, 지면으로부터 연마폐수 처리장치(100)가 이격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받침부(111, 112)는 회전가능한 롤러일 수 있으며, 연마폐수 처리장치(100)를 이동시키는 경우, 이동시키는 과정에서의 소모되는 인력을 최소활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의 집수 케이스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연마폐수 처리장치(100)는 옥습기(10)로부터 배출되는 연마폐수의 슬러지를 제거하여 여과수로 전환시키며, 슬러지가 제거된 여과수를 집수하는 집수 케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집수 케이스(12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며, 상면부가 개방된 하우징 부재일 수 있다.
집수 케이스(120)는 상부 집수 케이스(120a)와 하부 집수 케이스(120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 집수 케이스(120a)와 하부 집수 케이스(120b)는 서로 분리가 가능한 구조 내지 형상이며, 상부 집수 케이스(120a)와 하부 집수 케이스(120b)는 서로 탈착가능한 구조일 수 있으며, 상부 집수 케이스(120a)와 하부 집수 케이스(120b)는 서로 끼움결합 방식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상부 집수 케이스(120a)는 폐쇠된 외측면을 가지며, 상면부와 하면부가 개방된 환형의 부재일 수 있다.
하부 집수 케이스(120b)는 폐쇄형 외측면 및 폐쇄형 하면부를 구비하며, 상면부가 개방된 하우징 부재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집수 케이스(120a) 또는 하부 집수 케이스(120b)는 집수 케이스(120)의 하위 구성으로서, 상부 집수 케이스(120a) 또는 하부 집수 케이스(120b)에 기재는 집수 케이스(120)를 의미하는 것과 동등한 의미를 가지는 것이며, 일례로서 상부 집수 케이스(120a)의 상면부는 집수 케이스(120)의 상면부를 의미하는 것이며, 하부 집수 케이스(120b)의 내측벽은 집수 케이스(120)의 내측벽을 의미하는 것이며, 하부 집수 케이스(120b)의 저면부를 집수 케이스(120)의 저면부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집수 케이스(120)는 연마폐수 내 슬러지를 제거하는 여과망(1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과망(121)은 집수 케이스(120)의 상면부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여과망(121)은 메쉬(mesh) 망의 부재일 수 있으며, 일단면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여과망(121)은 상면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테이퍼 형상일 수 있으며, 테이퍼 형상의 측면부가 메쉬(mesh) 구조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여과망(121)의 상면부를 통하여 연마폐수가 유입되며, 메쉬(mesh) 구조를 가지는 측면부는 연마폐수 내 슬러지를 제거한다.
여과망(121)의 메쉬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연마폐수 내 슬러지는 여과망(121)의 메쉬 구조를 통과하지 못하고, 메쉬 구조를 통과하는 여과수는 집수 케이스(120)(하부 집수 케이스(120b))로 분리되는 것일 수 있다. 연마폐수로부터 여과된 슬러지는 여과망(121) 내 소정의 공간에 적층되는 것일 수 있다. 여과망(121) 내 적층된 슬러지는 여과망(121)의 메쉬 구조의 오프닝(opening) 직경보다 큰 크기(size)를 가지는 것이며, 여과망(121)의 테이퍼 형상의 하측부부터 적층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여과망(121)의 메쉬 구조를 통과하는 여과수는 후술되는 분사노즐(122)로 재유입되어, 여과망(121)에 분사되는 세정수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망의 실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여과망(121a, 121b)은 상면부가 소정의 직경(L1)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직경(L1)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테이퍼 형상일 수 있으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모선(slant height)(L2, L3, L4)를 갖는 원뿔의 형상일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여과망(121a)은 직경(L1)이 일정하게 감소하는 하나의 모선(L2)을 갖는 것일 수 있으며, 도 5의 (b)를 참조하면, 여과망(121b)는 직경(L1)이 일정하게 감소하다가 소정의 구간에서 급격히 감소하는 두 개의 모선(L3, L4)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여과망(121)은 상부 집수 케이스(120a)에 결착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면부의 직경(L1)이 상부 집수 케이스(120a)의 상면부의 직경보다 동일하거나 큰 것일 수 있다. 여과망(121)은 상면부의 직경(L1)을 가지는 외주면이 상부 집수 케이스(120a)에 결착되는 것으로, 여과망(121)의 하부는 하부 집수 케이스(120b)를 향하도록 결착되는 것일 수 있다.
집수 케이스(120)는 내측벽에 구비되는 1 또는 2 이상의 분사노즐(1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분사노즐(122)은 집수 케이스(120)의 저면부로부터 소정의 높이(H1)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사노즐(122)은 세정수를 분사하는 것이며, 상기 세정수는 물(water)일 수 있으며, 이때, 세정수는 상술한 여과망(121)의 메쉬 구조를 통과하는 여과수일 수 있으며, 집수 케이스(120)에 분리된 여과수를 재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분사노즐(122)은 하부 집수 케이스(120b)의 내측벽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으며, 분사노즐(122)는 소정의 높이(H1)를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소정의 높이(H1)는 집수 케이스(120)의 저면부를 기준으로 하는 높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사노즐(122)의 높이는 집수케이스(120)의 높이의 60 내지 80% 높이(H1)를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일례로서 집수케이스(120)의 높이가 38 cm일 경우 분사노즐(122)의 높이(H1)는 22.8 내지 30.4 cm일 수 있다.
분사노즐(122)은 여과망(121)을 향하여 세정수를 분사하는 것일 수 있으며, 여과망(121)의 테이퍼 형상의 측면을 향하여 세정수를 분사하는 것일 수 있다. 분사노즐(122)은 여과망(121)을 향하여 세정수를 분사시킴으로써, 여과망(121) 내 축적된 슬러지를 분산시키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여과망(121)에 축적된 슬러지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분이 제거되어 굳어진 형태로 메쉬 구조의 오프닝을 폐쇄하며, 이에 따라 분사노즐(122)에 의하여 메쉬 구조의 오프닝을 폐쇄하고 있는 슬러지에 세정수를 분사시킴으로써, 세정수에 의하여 외력이 전달 및 세정수에 의하여 굳어진 슬러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슬러지를 제거함으로써 여과수를 여과망(121)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집수 케이스(120)는 내측벽에 구비되는 부저센서(123)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부저센서(123)는 집수 케이스(120)의 저면부로부터 소정의 높이(H2)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부저센서(123)는 하부 집수 케이스(120b)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으며, 부저센서(123)는 소정의 높이(H2)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소정의 높이(H2)는 집수 케이스(120)의 저면부를 기준으로 하는 높이일 수 있다. 분사노즐(122)의 높이(H1) 보다 낮은 높이(H2)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부저센서(123)는 하부 집수 케이스(120b)에 축적되는 여과수가 하부 집수 케이스(120b)의 저면부로터 미리 설정된 소정의 수위에 도달하는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것일 수 있으며, 발생되는 경고음에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부저센서(123)의 경고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소정의 수위는 부저센서(123)의 높이(H2)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저센서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집수 케이스(120) 내지 하부 집수 케이스(120b)의 측면에 연결되는 부저센서 지지체(123a); 및 부저센서 지지체(123a)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연장된 부재인 부저반응부(123b)로 구성될 수 있다. 집수 케이스(120) 내지 하부 집수 케이스(120b)의 하부로부터 여과수의 수위가 부저반응부(123b)에 도달하는 경우, 부저센서(123)는 경고음을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
집수 케이스(120)는 내측벽에 구비되며 여과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1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위센서(124)는 소정의 높이(H3)를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소정의 높이(H3)는 집수 케이스(120)의 저면부를 기준으로 하는 높이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센서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보다 구체적으로, 수위센서(124)는 하부 집수 케이스(120b)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으며, 수위센서(124)는 하부 집수 케이스(120b)의 저면부로부터 소정의 높이(H3)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으며, 분사노즐(122)의 높이(H2)와 동일하거나 보다 낮은 높이(H3)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수위센서(124)는 하부 집수 케이스(120b)의 축적되는 여과수가 하부 집수 케이스(120b)의 저면부로터 소정의 수위에 도달하는 경우, 후술되는 펌프(140)가 작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수위센서(124)는 하부 집수 케이스(120b) 내측벽에서 연장되어 하부 집수 케이스(120b) 저면부를 향하도록 하방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수위센서(124)는 지지부(124a); 상부 접점부(124b); 센서볼(124c); 및 하부 접점부(124d)를 포함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집수 케이스(120) 내측벽에 배치되며 수직배향된 지지부(124a); 지지부(124a)에 배치되는 상부 접점부(124b); 지지부(124a)에 배치되며 상부 접점부(124b) 보다 낮은 지점에 배치되는 센서볼(124c); 및 지지부(124a)에 배치되며 센서볼(124c) 보다 낮은 지점에 배치되는 하부 접점부(124d)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지지부(124a)는 하부 집수 케이스(120b) 내측벽에 설치되며, 상부 길이부재(124a’)와 하부 길이부재(124a”)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길이부재(124a’)의 일단은 하부 집수 케이스(120b) 내측면과 접하도록 구비되며, 하부 집수 케이스(120b) 내측면에 접하는 상부 길이부재(124a’)의 높이는 수위센서(124)의 높이(H3)일 수 있다. 상부 길이부재(124a’)의 타단은 하부 길이부재(124a”)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하부 길이부재(124a”)는 상부 길이부재(124a’)의 타단으로부터 하부 집수 케이스(120b)의 저면부를 향하도록 수직배향으로 연장되는 것일 수 있다.
상부 접점부(124b)는 지지부(124a)에 설치되는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부(124a)의 하부 길이부재(124a“)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부 접점부(124b)는 센서볼(124c)이 여과수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부력에 의하여 상승하는 구간을 설정하는 것이며, 센서볼(124c)이 상부 접점부(124b)에 도달하는 경우, 펌프(140)를 가동시키는 것일 수 있다.
센서볼(124c)은 지지부(124a)에 설치되는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부(124a)의 하부 길이부재(124a“)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부 접점부(124b)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센서볼(124c)은 여과수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부력에 의하여 높이 방향으로 상(up)-하(down) 움직임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센서볼(124c)은 상부 접점부(124b)와 하부 접점부(124d)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센서볼(124c)의 가동구간에 제한될 수 있다.
하부 접점부(124d)는 지지부(124a)에 설치되는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부(124a)의 하부 길이부재(124a“)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으며, 센서볼(124c)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하부 접점부(124d)에 센서볼(124c)이 도달하는 경우 펌프(140)의 가동을 중지시키는 것일 수 있다.
하부 접점부(124d)는 소정의 높이(H4)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소정의 높이(H4)는 집수 케이스(120)의 저면부를 기준으로 하는 높이일 수 있다. 하부 접점부(124d)의 높이(H4)는 수위센서(124)의 높이(H3)(지지부(124a)의 상부 길이부재(124a’)의 높이) 보다 낮은 높이(H4)를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하부 접점부(124d)의 높이(H4)는 하부 집수 케이스(120b)의 저면부로부터 적어도 4 cm 이상의 높이를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4 내지 23 cm의 높이(H4)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하부 접점부(124d)의 높이(H4)는 후술하는 와류 억제 장치(125)의 높이(H5)와 동일하거나 높은 것일 수 있으며, 이는 여과수 수위가 낮은 경우에 펌프(140)가 가동됨으로써, 펌프(140)가 공기(air)를 흡입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류 억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집수 케이스(120)는 여과수의 와류를 억제하는 와류 억제 장치(12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집수 케이스(120)의 저면부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와류 억제 장치(125)는 와류 억제부(125a); 및 복수개의 이격부(125b)를 포함하며, 와류 억제부(125a)는 소정의 높이(H5)를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소정의 높이(H5)는 집수 케이스(120)의 저면부로부터 높이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와류 억제 장치(125)는 하부 집수 케이스(120b)의 저면부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와류 억제부(125a)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plate)형 부재일 수 있으며, 소정의 직경(L5)을 가지는 원판형 부재일 수 있으며, 와류 억제부(125a)의 직경(L5)은 여과수 배출관(130)의 직경보다 큰 것일 수 있으며, 일례로서 15 cm 이상일 수 있다.
와류 억제부(125a)는 하부 집수 케이스(120b)의 저면부로부터 소정의 높이(H5)를 가지는 것이며, 와류 억제부(125a)의 높이(H5)는 수위센서(124)의 하부 접점부(124d)의 높이(H4)와 동일하거나 낮은 것일 수 있으며, 4 cm 이하의 높이(H5)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상술한 여과수 수위가 낮은 경우에 펌프(140)가 가동됨으로써, 펌프(140)가 공기(air)를 흡입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동시에 집수 케이스(120) 내지 하부 집수 케이스(120b)에 적층된 여과수의 와류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류 억제 장치(125)는 펌프(140) 가동시 펌프에 따른 흡입력으로 인하여 여과수에 소용돌이가 발생될 수 있으며, 발생된 소용돌이 중심부로 공기가 흡입됨에 따라 펌프가 가동되는 하부 점접부(124d)까지 소용돌이를 억제하는 것이 요구됨으로써, 와류 억제부(125a) 높이(H5)는 수위센서(124)의 하부 접점부(124d)의 높이(H4)와 동일하거나 낮은 것일 수 있다.
이격부(125b)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길이 부재일 수 있으며, 이격부(125b)는 와류 억제부(125a)를 지지하는 것이며, 이격부(125b)는 와류 억제부(125a)와 하부 집수 케이스(120b)의 저면부를 서로 이격시키는 것이며, 이격부(125b)의 길이는 와류 억제부(125a)의 높이(H5)와 동일할 수 있다.
집수 케이스(120)의 저면부에 여과수를 배출하는 여과수 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여과수 배출구는 하부 집수 케이스(120a)의 저면부에 구비되는 것이며, 와류 억제 장치(12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여과수 배출구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와류 억제부(125a)의 직경(L5)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상기 여과수 배출구는 집수 케이스(120) 내에서 연마폐수로부터 슬러지가 제거된 여과수를 집수 케이스(120)(내지 하부 집수 케이스(120b))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며, 여과수 배출관(130)과 연통되는 것일 수 있다.
연마폐수 처리장치(100)는 집수 케이스(120)에서 배출되는 여과수를 유입받아 하우징 필터(170)로 제공하기 위한 여과수 배출관(130)을 포함한다.
여과수 배출관(130)은 집수 케이스(120)의 저면부에 구비되는 상기 여과수 배출구와 연통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 집수 케이스(120b)의 저면부에 구비되는 상기 여과수 배출구와 연통되는 것일 수 있다.
여과수 배출관(13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여과수 배출관(130)의 일단은 집수 케이스(120)의 상기 여과수 배출구와 연통되며, 여과수 배출관(130)의 타단은 중간배관(141) 또는 여과수 유입관(150)과 연통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여과수 배출관(130)의 일단은 하부 집수 케이스(120b)의 상기 여과수 배출구와 연통되며, 여과수 배출관(130)의 타단은 중간배관(141)과 연통되거나 여과수 유입관(150)과 연통되는 것일 수 있다. 여과수 배출관(130)의 타단이 중간배관(141)과 연통되는 경우, 여과수 배출관(130)은 외형 케이스(110)의 저면부를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마폐수 처리장치(100)는 여과수를 하우징 필터(170)에 공급하는 펌프(140)를 더 포함한다.
펌프(140)는 외형 케이스(110)의 외측 저면부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펌프(140)는 집수 케이스(120)에서 여과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며, 배출되는 여과수를 하우징 필터(170)에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펌프(140)는 여과수 배출관(130)과 연결되는 중간배관(141)을 포함하며, 펌프(140)는 중간배관(141)을 통하여 여과수 배출관(130)에 의하여 집수 케이스(120)(내지 하부 집수 케이스(120b))에서의 여과수가 배출되도록 하며, 여과수 유입관(150)을 통하여 하우징 필터(170)에 여과수가 유입되도록 한다.
중간배관(141)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펌프(140)의 일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펌프(140)와 일체로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중간배관(141) 일측은 여과수 배출관(130)과 연통되는 것이며, 중간배관(141) 타측은 여과수 유입관(150)과 연통되는 것일 수 있다.
펌프(140)는 수위센서(124)와 전기적으로 연동되는 것일 수 있으며, 집수 케이스(120) 내 여과수의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센서볼(124c)이 상부 접점부(124b)에 도달하는 경우 펌프(140)는 가동되는 것이며, 집수 케이스(120) 내 여과수의 수위가 하강함에 따라 센서볼(124c)가 하부 접점부(124d)에 도달하는 경우 펌프(140)의 가동을 중지되는 것일 수 있다.
연마폐수 여과장치(100)는 중간배관(141) 타측과 연통되는 여과수 유입관(150)을 포함한다.
여과수 유입관(15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길이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여과수 유입관(150) 일단은 중간배관(141) 타측과 연통되는 것이며, 여과수 유입관(150) 타단에는 세정수 분기관(151)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정수 분기관(151)은 여과수 유입관(150)의 타단에 배치되는 것이며, ‘T’자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세정수 분기관(151)은 여과수 유입관(150)으로부 전달되는 여과수를 분사노즐(122)에 대하여 세정수로서 유입시키는 것일 수 있다. 세정수 분기관(151)은 좌우 방향으로 분사노즐(122)과 연통되는 세정수 유입관(152(152a, 152b)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세정수 유입관(152)을 통하여 세정수 유입관(150)으로부터 전달받은 여과수는 세정수로서 분사노즐(122)로 유입된다.
여과수 유입관(150)은 여과수의 이동방향에 따른 세정수 분기관(151) 전단에 배치되는 여과수 밸브(15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과수 밸브(153)는 여과수 유입관(150) 상에 배치되며, 후술되는 여과수 분기관(160)과 세정수 분기관(151) 사이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여과수 밸브(153)는 세정수 분기관(151)으로 유입되는 여과수의 유량을 제어하는 것으로, 분사노즐(122)로 세정수로서 유입되는 여과수의 유량을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여과수 유입관(150) 일단은 중간배관(141) 타측과 연통됨에 따라, 여과수 유입관(150) 일단에서 여과수 유입관(150) 타단은 하방(down)에서 상방(up)으로 길이를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펌프(140)가 외형 케이스(110) 외측 저면부에 구비됨에 따라서, 여과수를 외형 케이스(110) 저면부에서 외형 케이스(110) 상면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일 수 있다.
연마폐수 여과장치(100)는 여과수 유입관(150) 타단과 연통되는 여과수 분기관(160)을 포함한다. 여과수 분기관(160)은 여과수 유입관(150)으로부터 유입되는 여과수를 복수개의 하우징 필터(170(170a, 170b)) 각각으로 분배시키고, 여과수를 세정부 분기관(151)으로 분배시키는 것일 수 있다.
여과수 분기관(160)은 ‘+’자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여과수 분기관(160)은 하방(down)으로부터 유입되는 여과수의 유입구를 가지는 것이며, 유입된 여과수를 좌우 횡방향으로 분배시켜 하우징 필터(170)로 여과수를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가지는 것이며, 상방(up) 방향으로 여과수를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여과수 분기관(160)은 좌우 방향으로 여과수 배출구 방향으로 각각의 하우징 필터(170)로 여과수를 유입시키는 분기배관(161, 162)을 포함할 수 있다. 분기배관(161, 162)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필터의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연마폐수 처리장치(100)는 여과수 내 중금속, 발암물질 등의 미세분술물을 제거하여 정화수로 배출하는 하우징 필터(170)를 포함한다.
하우징 필터(170)는 여과수가 유입되고 정화수가 배출되기 위한 유출입구를 가지는 덮개부(171); 덮개부(171)와 결합가능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필터 케이스(172); 및 필터 케이스(172) 내 구비되는 중공형 필터(173)을 포함한다.
하우징 필터(170)는 외형 케이스(110)에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으며, 하우징 필터(170)는 외형 케이스(110) 내 집수 케이스(120)가 자치하고 있는 공간 이외의 공간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으며, 집수 케이스(120)의 외측부에 배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하우징 필터(170)는 2 이상의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으며, 각각의 하우징 필터(170a, 170b)는 외형 케이스(110)의 저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각의 하우징 필터(170a, 170b) 병렬식 구조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덮개부(171)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일측에는 여과수가 유입되는 분기배관 연결부; 및 타측에는 정화수가 배출되는 배출관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분기배관 연결부는 분기배관(161, 162)로부터 유입되는 여과수가 중공형 필터(173)의 중공 내부에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배출관 연결부는 필터 케이스(172) 내부에 축적되는 정화수가 덮개부(171) 높이까지 도달하는 경우에 정화수가 하우징 필터(170)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되고 배출관(180a, 180b)과 연통되는 것일 수 있다.
필터 케이스(172)는 덮개부(171)와 결합이 가능하며, 중공형 필터(173)의 교체를 위하여 덮개부(171)와 탈부착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필터 케이스(172)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하부와 길이방향의 측면이 폐쇄되고, 상부가 개방된 구조일 수 있으며, 일례로서,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필터 케이스(172)는 내부의 소정의 공간은 중공형 필터(173)가 차지하는 것일 수 있다.
중공형 필터(173)는 길이방향의 부재로서 중심부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공간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일례로서, 길이방향의 중공형 부재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하(up-down) 길이방향으로의 중공(hollow)을 갖는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중공의 형성으로 이한하여 중공형 필터(173)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중공 측면(173a)이 폐쇄되며, 상부와 하부가 중공 구조의 직경 크기만큼 개방된 구조일 수 있다.
중공형 필터(173)는 분기배관(161, 162)으로부터 유입된 여과수가 중공 내부로 인입되고, 중력에 의하여 하부 방향으로 여과수가 진행하도록 하는 것이며, 중공 내부로 인입된 여과수는 중공 측면(173a)을 관통하여 중공형 필터(173) 외부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여과수의 정화가 진행되는 것일 수 있다.
연마폐수 처리장치(100)는 하우징 필터(170)에서 정화된 정화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정화수 배출관(180)을 포함한다.
정화수 배출관(18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며, 하우징 필터(170)의 덮개부(171)와 연통되는 것일 수 있다.
정화수 배출관(180a, 180b)는 각각의 하우징 필터(170a, 170b)의 덮개부(171)와 연통되며, 각각의 하우징 필터(170a, 170b)의 덮개부(171)와 연통된 정화수 배출관(180a, 180b)는 최종적으로 단일의 정화수 배출관(180)으로 병합된다. 단일의 정화수 배출관(180)은 정화수 배출구(190)를 통하여 정화수가 연마폐수 처리장치(10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연마폐수 처리장치(100)는 하우징 필터(170)에서 정화된 정화수를 배출관(180)으로부터 전달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정화수 배출구(190)를 포함한다.
정화수 배출구(190)는 소정의 관 형부재로서, 외형 케이스(110)의 일측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으며, 정화수 배출구(190)는 배출관(180)과 연통되어 하우징 필터(170)에서 정화된 정화수를 전달받아 연마폐수 정화장치(100) 외부로 정화를 배출하는 것일 수 있다.
배출된 정화수는 일반적인 하수로서 처리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옥습기(10)로 재공급되어 안경렌즈를 가공하기 위한 연마수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순서에 관계없이 수행될 수 있으며, 동시에 또는 별도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 도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계가 생략되거나 추가될 수 있고, 역순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
110 : 외형 케이스
120 : 집수 케이스
130 : 여과수 배출관
140 : 펌프
150 : 여과수 유입관
160 : 여과수 분기관
170 : 하우징 필터
180 : 정화수 배출관
190 : 정화수 배출구

Claims (10)

  1. 소정의 공간을 갖는 외형 케이스;
    상기 외형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여과망을 구비하여 안경렌즈 연마폐수 내 슬러지를 제거하여 여과수로 전환시키는 집수 케이스; 및
    상기 외형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집수 케이스에서 배출되는 상기 여과수를 유입하여 상기 여과수 내 미세불순물을 제거하는 하우징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 케이스는 상기 여과망에 잔류하는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한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집수 케이스는 분리 가능한 상부 집수 케이스와 하부 집수 케이스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여과망은 상기 상부 집수 케이스에 결착되는 것이며,
    상기 여과망은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상면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소정의 길이의 모선을 갖는 원뿔의 형상이며,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하부 집수 케이스의 내측벽에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여과망의 테이퍼 형상의 측면을 향해서 세정수를 분사하는 것인,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형 케이스 외부의 저면부에 배치되며, 상기 여과수를 상기 집수 케이스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인,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 케이스는 상기 여과수를 배출하기 하는 여과수 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는,
    상기 여과수 배출구와 연통되는 여과수 배출관;
    상기 여과수 배출관과 연통되는 중간배관;
    상기 중간배관과 연통되는 여과수 유입관;
    상기 여과수 유입관과 연통되는 세정수 분기관; 및
    상기 여과수 유입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여과수 유입관과 연통되며, 상기 여과수를 하우징 필터로 분배시키고 상기 여과수를 상기 세정수 분기관으로 분배시키는 여과수 분기관을 더 포함하는,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 케이스는,
    상기 여과수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부저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 케이스는,
    상기 여과수를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구비하는 것인,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집수 케이스 내측벽에 배치되며 수직배향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배치되는 상부 접점부;
    상기 지지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접점부 보다 낮은 지점에 배치되는 센서볼; 및
    상기 지지부에 배치되며 상기 센서볼 보다 낮은 지점에 배치되는 하부 접점부를 포함하는 것인,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 케이스는 내부 저면부에 배치되며 상기 여과수의 와류 생성을 억제시키는 와류 억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인,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억제 장치는,
    판(plate) 형상의 와류 억제부; 및
    상기 와류 억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인,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 케이스의 저면부를 기준으로,
    상기 와류 억제부의 높이는 상기 하부 접점부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보다 낮은 것인,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필터는 2 이상 이며,
    상기 집수 케이스 외측부에 배치되는 것인,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
KR1020210112560A 2021-08-25 2021-08-25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 KR102610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560A KR102610901B1 (ko) 2021-08-25 2021-08-25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560A KR102610901B1 (ko) 2021-08-25 2021-08-25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387A KR20230030387A (ko) 2023-03-06
KR102610901B1 true KR102610901B1 (ko) 2023-12-06

Family

ID=85509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560A KR102610901B1 (ko) 2021-08-25 2021-08-25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09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941B1 (ko) * 2013-01-17 2013-02-2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렌즈 연삭수단의 연삭수 처리장치
KR102280912B1 (ko) * 2020-10-28 2021-07-26 주식회사 로덱 렌즈 연마폐수용 여과장치 및 연마폐수 환원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3609Y2 (ko) * 1979-12-07 1986-07-15
JPS62155928A (ja) * 1985-12-28 1987-07-10 Kobe Steel Ltd 粉粒体混合液の撹拌装置
KR101889229B1 (ko) 2017-11-20 2018-08-16 박성주 옥습기용 연마폐수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941B1 (ko) * 2013-01-17 2013-02-2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렌즈 연삭수단의 연삭수 처리장치
KR102280912B1 (ko) * 2020-10-28 2021-07-26 주식회사 로덱 렌즈 연마폐수용 여과장치 및 연마폐수 환원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387A (ko) 202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21535B (zh) 具有净化装置的喷涂间
KR101628076B1 (ko) 미세먼지 제거장치
CN202979917U (zh) 水污分离装置
CN211339009U (zh) 污水处理装置
KR101468655B1 (ko) 수처리용 여과장치
JP6316156B2 (ja) 沈殿池
KR102610901B1 (ko)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
KR102067737B1 (ko) 물필터 공기청정기
CN208389557U (zh) 一种小型家用污水处理装置
CN210656422U (zh) 一种污水处理过滤装置
CN203008026U (zh) 一种清洗水循环利用系统
CN102726337B (zh) 水污分离装置
KR200420463Y1 (ko) 렌즈연마장치의 정화장치
CN209423140U (zh) 一种改装在沉淀设备上的过滤装置
CN205730711U (zh) 离心式除尘装置
KR20130081521A (ko) 활어수족관 정수장치
CN205084468U (zh) 一种以粉末为滤芯的净水装置
CN111249791B (zh) 一种多功能工业过滤装置
KR100531512B1 (ko) 진공 흡입식 부유물 제거장치
CN219485367U (zh) 一种抛光用循环水系统
CN105194914B (zh) 一种以粉末为滤芯的净水装置
CN211332394U (zh) 一种具有冲洗功能的机械加工切屑台
CN104381193A (zh) 一种下水反冲过滤装置
CN220182876U (zh) 一种自适应负压吸渣装置
CN208317968U (zh) 一种水族箱过滤喷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