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9304A -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 Google Patents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9304A
KR20230029304A KR1020210111640A KR20210111640A KR20230029304A KR 20230029304 A KR20230029304 A KR 20230029304A KR 1020210111640 A KR1020210111640 A KR 1020210111640A KR 20210111640 A KR20210111640 A KR 20210111640A KR 20230029304 A KR20230029304 A KR 20230029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er
water
roller
water tank
pol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4896B1 (ko
Inventor
이경헌
이대호
Original Assignee
이대호
이경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호, 이경헌 filed Critical 이대호
Priority to KR1020210111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896B1/ko
Publication of KR20230029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9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12Devices for exhausting mist of oil or coolant; Devices for collecting or recovering materials resulting from grinding or polishing, e.g. of precious metals, precious stones, diamon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 B01D29/0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supported
    • B01D29/07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supported with corrugated, folded or wound filtering sheets
    • B01D29/073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supported with corrugated, folded or wound filtering sheets with wound filterin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9/60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level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69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B01D29/647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 연마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연마수가 유입되어 저장되기 위해 상측이 개구되는 제1 수조, 상기 제1 수조의 개구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마수에 포함된 입자를 여과하기 위한 제1 거름망, 상기 제1 거름망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단이 권취되는 한 쌍의 제1 롤러, 상기 한 쌍의 제1 롤러 중 어느 하나의 하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롤러, 길이 방향을 따른 일단이 상기 제2 롤러에 권취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롤러 중 먼 거리로 이격된 제1 롤러에 권취되는 제2 거름망, 상기 제1 수조로부터 연마수가 배출되는 배출공, 상기 배출공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공을 개폐 제어하는 개폐 밸브 및 상기 배출공으로부터 낙하되는 연마수가 유입되어 저장되기 위해 상측이 개구되는 제2 수조를 포함하는,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FLTRATION APPARATUS FOR WATER USED IN GRINDING GLASS LENSES}
본 발명은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필터에 고착된 연마분을 제거함으로써 필터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렌즈를 연마할 때 사용됐던 연마수를 여과하려면 필터를 사용해야 한다. 이때, 사용하는 필터는 일회용이므로, 일정기간 연마수 여과에 사용됐던 필터는 주기적으로 교환해 주어야 한다.
이는, 필터 교환과 처리에 따른 유지 보수 비용이 늘어나게 하는 한 가지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필터는 안경렌즈를 연마할 때 생긴 연마분이 고착되어 필터의 중량이 늘어나게 되고, 특히 필터와 함께 연마분을 버려야 하므로 폐기물량이 늘어나게 된다.
한편, 안경렌즈의 재질로는 폴리카보네이트(PC), 유리, 아크릴 등 다양한 재질이 이용되므로, 안경 렌즈의 연마 후 생긴 연마분이 미세하여 일반 필터로는 여과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21-0046137(2021.04.28. 공개) 한국등록특허 10-2274988(2021.07.08. 공고) 한국등록특허 10-0833899(2008.06.03. 공고) 한국등록특허 10-2231821(2021.03.24. 공고)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필터에 고착된 연마분을 제거함으로써 필터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는 렌즈 연마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연마수가 유입되어 저장되기 위해 상측이 개구되는 제1 수조, 상기 제1 수조의 개구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마수에 포함된 입자를 여과하기 위한 제1 거름망, 상기 제1 거름망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단이 권취되는 한 쌍의 제1 롤러, 상기 한 쌍의 제1 롤러 중 어느 하나의 하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롤러, 길이 방향을 따른 일단이 상기 제2 롤러에 권취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롤러 중 먼 거리로 이격된 제1 롤러에 권취되는 제2 거름망, 상기 제1 수조로부터 연마수가 배출되는 배출공, 상기 배출공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공을 개폐 제어하는 개폐 밸브 및 상기 배출공으로부터 낙하되는 연마수가 유입되어 저장되기 위해 상측이 개구되는 제2 수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조의 개구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제3 거름망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거름망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3 거름망의 일측이 권취되고, 상기 제3 거름망의 타측이 권취되는 한 쌍의 제3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롤러, 제2 롤러 및 제3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고, 외주면에 근접하도록 돌출되는 블레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단부는 상기 제1 거름망, 제2 거름망 및 제3 거름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거름망, 제2 거름망 및 제3 거름망의 메쉬값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롤러, 제2 롤러 및 제3 롤러의 회전을 각각 구동하기 위한 한 쌍의 제1 구동 장치, 제2 구동 장치 및 제3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 장치, 제2 구동 장치 및 제3 구동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정역 모터일 수 있다.
상기 제1 수조의 내측 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수조의 상단 테두리에 근접하게 형성되는 제1 수위 센서 및 상기 제2 수조의 내측 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수조의 상단 테두리에 근접하게 형성되는 제2 수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위 센서에서 수면이 검출되면 상기 개폐 밸브가 개방되도록 제어되고, 상기 제2 수위 센서에서 수면이 검출되면 상기 개폐 밸브가 폐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에 의하면 거름망에 고착된 연마분을 제거함으로써 거름망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필터의 교체 없이 필터 자체의 고착된 연마분을 쉽게 제거함으로써 반복 재생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효과를 갖는다.
또한, 다양한 크기의 메쉬를 갖는 복수의 거름망을 연속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연마수에 포함된 연마분의 효과적인 여과가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수조 및 제2 수조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수위 센서 및 제2 수위 센서에 검출되는 수면 높이에 따라 제1 수조와 제2 수조의 사이에 개폐 조절되는 개폐 밸브의 개폐를 조절함으로써 연마수의 여과를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수조 및 제2 수조에 제1 센서 및 제2 센서가 각각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는 제1 수조(110), 제1 거름망(111), 제1 롤러(101), 제2 롤러(102), 제2 거름망(112), 배출공(110a), 개폐 밸브(104) 및 제2 수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조(110)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수조(11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상측에 설치되고, 후술하는 제2 수조(120)가 제1 수조(11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하측에 설치됨으로써 제1 수조(110)의 배출공(110a)을 통하여 낙하하는 연마수가 제2 수조(12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수조(110)는 1차적으로 렌즈 연마 장치(미도시)로부터 배출되는 연마수가 유입되어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도록 상측이 개구되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거름망(111)은 제1 수조(110)의 개구부를 덮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렌즈 연마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연마수에 포함된 입자를 여과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1 거름망(111)은 한 쌍의 제1 롤러(101)에 그 양단이 권취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한 쌍의 제1 롤러(101)는 제1 거름망(111)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단이 권취되도록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롤러(101)는 제1 수조(110)의 양측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제1 거름망(111)의 양단이 각각 권취되어 한 쌍의 제1 롤러(101) 중 어느 하나로 권취되거나 인출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한 쌍의 제1 롤러(101)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일측 제1 롤러(101)로 권취됨과 동시에 타측 제1 롤러(101)의 제1 거름망(111)은 인출되고, 제1 롤러(101)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일측 제1 롤러(101)로부터 권취됨과 동시에 타측 제1 롤러(101)로 제1 거름망(111)이 권취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롤러(101)의 외주면에 근접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블레이드(13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롤러(101)의 외주면에 근접하도록 돌출되는 블레이드(130)를 제1 블레이드(131)로 정의하면, 후술하는 제2 롤러(102) 및 제3 롤러(103)의 외주면에 각각 근접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2 블레이드(132) 및 제3 블레이드(133)를 정의할 수 있다.
그중, 제1 롤러(101)의 외주면에 근접하도록 돌출되는 제1 블레이드(131)를 예로 들면, 제1 블레이드(131)는 제1 롤러(1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1 롤러(101)에 근접할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블레이드(131)의 단부는 제1 거름망(111)의 일면(도 3의 제1 거름망(111)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거름망(111)이 제1 롤러(101)로 권취되는 과정에서 제1 거름망(111)의 일면에 고착된 연마분이 제1 블레이드(131)에 의해 이탈되도록 한다. 아울러, 제1 블레이드(131)의 하측에는 제1 롤러(101)의 일면으로부터 이탈되는 연마분이 낙하되어 포집될 수 있도록 수용 공간을 갖는 포집부(140)가 마련될 수 있다.
포집부(140)는 후술하는 제2 블레이드(132) 및 제3 블레이드(133)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제2 블레이드(132) 및 제3 블레이드(133)에 의해 제2 거름망(112) 및 제3 거름망(113)으로부터 제거되는 연마분이 낙하되어 포집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롤러(102)는 제1 롤러(101) 중 어느 하나의 하측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롤러(102)는 제2 거름망(112)의 일단이 권취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거름망(112)은 그 길이 방향을 따른 일단이 제2 롤러(102)에 권취되고, 타단이 제1 롤러(101) 중 먼 거리로 이격된 제1 롤러(101)에 권취될 수 있다.
또한, 제2 거름망(112)의 일단(도 3의 좌측 단부)은 제2 롤러(102)에 권취되되, 제2 거름망(112)의 타단(도 3의 우측 단부)은 제1 거름망(111)과 포개어진 상태로 제1 롤러(101)에 권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한 쌍의 제1 롤러(101) 및 제2 롤러(102)가 동시에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 거름망(111) 및 제2 거름망(112)이 한 쌍의 제1 롤러(101) 중 먼 거리로 이격된 도면의 우측의 제1 롤러(101)에 포개어진 상태로 동시에 권취되고, 제1 롤러(101) 및 제2 롤러(10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도면의 우측의 제1 롤러(101)에 권취되어 있던 제1 거름망(111) 및 제2 거름망(112)이 동시에 포개어져 있던 상태로부터 분리되면서 제1 롤러(101) 및 제2 롤러(102)를 향하여 권취되며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거름망(111) 및 제2 거름망(112)의 표면에 고착되어 있는 연마분이 제1 블레이드(131) 및 제2 블레이드(132)에 의해 이탈되어 포집부(140)로 포집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포집부(140)에 포집된 연마분은 통상적으로 합성수지 성분이 주를 이루므로 포집부(140)를 하우징(100) 내부로부터 외부로 분리시켜 포집된 연마분을 재활용할 수도 있다.
제1 수조(110)의 저면에는 제1 수조(110)의 연마수가 제2 수조(120)를 향하여 배출되도록 배출공(110a)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배출공(110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조(110)의 중앙 바닥에 형성되어 있지만, 제1 수조(110)로부터 배출되는 연마수가 후술하는 제2 수조(120)의 내부 공간으로 낙하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어느 위치에든 설치될 수 있으므로 배출공(110a)의 설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폐 밸브(104)는 배출공(110a)에 설치되되, 배출공(110a)의 개도를 조절하거나, 개폐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개폐 밸브(104)는 제1 수조(110)에 수용된 연마수가 제2 수조(120)로 유동하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제3 거름망(113)은 제2 수조(120)의 개구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거름망(113)은 제2 수조(120)의 모서리 양단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3 롤러(10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3 롤러(103)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제3 거름망(113)이 제3 롤러(103) 중 어느 한쪽으로 권취되거나, 권취된 상태의 제3 거름망(113)이 인출됨과 동시에 타측의 제3 롤러(103) 측으로 권취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어느 한 쪽의 제3 롤러(103)의 외주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제3 블레이드(133)의 단부가 제3 거름망(113)의 표면에 고착된 연마분을 긁어내게 되므로 제3 블레이드(133)에 의해 제거되는 연마분은 포집부(140)로 포집될 수 있다.
제1 거름망(111) 또는 제2 거름망(112)이 권취 또는 인출되는 과정에서, 제1 거름망(111) 또는 제2 거름망(112)이 하측으로 과도하게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수조(110) 또는 제2 수조(120)의 마주보는 한 쌍의 내측 테두리에는 지지 돌기(110b, 120b)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지지 돌기(110b, 120b)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가까워지도록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제1 거름망(111) 또는 제2 거름망(112)의 하면의 테두리 측 일부분이 지지 돌기(110b, 120b)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지지 돌기(110b, 120b)는 제1 수조(110) 또는 제2 수조(120)의 내부에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연마수가 외측으로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제1 롤러(101), 제2 롤러(102) 및 제3 롤러(103)의 회전을 각각 구동하기 위한 한 쌍의 제1 구동 장치(101a), 제2 구동 장치(102a) 및 제3 구동 장치(10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 장치(101a), 제2 구동 장치(102a) 및 제3 구동 장치(103a)는 각각 회전 방향이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정역 모터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각각의 회전 방향을 구별하여 제1 거름망(111), 제2 거름망(112) 및 제3 거름망(113)의 권취 방향 또는 장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제1 거름망(111), 제2 거름망(112) 및 제3 거름망(113)의 각각의 메쉬값이 서로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거름망(111)의 메쉬값이 가장 크게 적용되고, 제2 거름망(112) 및 제3 거름망(113) 순서로 메쉬값이 순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하면, 하우징(100)으로 공급되는 연마수에 포함된 슬러지의 크기가 큰 순서대로 제1 거름망(111), 제2 거름망(112) 및 제3 거름망(113) 순서로 경유하여 통과되는 과정에서 연속적으로 여과될 수 있으므로, 각각의 거름망으로 인한 저항력이 최소화되어 원활한 여과가 가능해진다.
추가적으로, 제1 거름망(111), 제2 거름망(112) 또는 제3 거름망(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측에는 내부 공간을 갖고, 물이 투과될 수 있는 유동판(미도시)을 갖는 깔때기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깔때기 부재는 원형 테두리로 형성되거나 적어도 3개 이상의 테두리로 폐다각형을 이루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유동판의 바닥면으로 해당 거름망의 상측을 하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연마수가 어느 한쪽으로 편향되어 유동하지 않고 해당 거름망 내에서 집중적으로 여과될 수 있는 여과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깔때기 부재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선형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별도의 안내 돌기 및 안내 레일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의 제1 수조 및 제2 수조에 제1 센서 및 제2 센서가 각각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수조(110)의 내부를 가득 채우는 수면 높이에 제1 수위 센서(105)가 설치되고, 제2 수조(120)의 내부를 가득 채우는 수면 높이에 제2 수위 센서(106)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수조(120)의 제2 거름망(112) 또는 제3 거름망(113)에 의해 연마수의 진행이 지연되는 경우에는 제1 수조(110)의 제1 수위 센서(105)에서 수면이 검출되며, 이때, 개폐 밸브(104)를 개방 제어함으로써 제1 수조(110)의 연마수가 보다 신속하게 제2 수조(120)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제2 수조(120)의 제3 거름망(113)에서 연마수의 진행이 지연되어 제2 수조(120)의 제2 수위 센서(106)에서 수면이 검출되면, 개폐 밸브(104)를 폐쇄 제어함으로써 제2 수조(120)의 연마수의 오버플로우를 방지하도록 제1 수조(110)의 연마수로부터 제2 수조(120)로 유입되는 연마수 유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는 거름망에 고착된 연마분을 제거함으로써 거름망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필터의 교체 없이 필터 자체의 고착된 연마분을 쉽게 제거함으로써 반복 재생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효과를 갖는다.
또한, 다양한 크기의 메쉬를 갖는 복수의 거름망을 연속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연마수에 포함된 연마분의 효과적인 여과가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수조 및 제2 수조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수위 센서 및 제2 수위 센서에 검출되는 수면 높이에 따라 제1 수조와 제2 수조의 사이에 개폐 조절되는 개폐 밸브의 개폐를 조절함으로써 연마수의 여과를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100: 하우징
101: 제1 롤러
102: 제2 롤러
103: 제3 롤러
104: 개폐 밸브
105: 제1 수위 센서
106: 제2 수위 센서
110: 제1 수조
110a: 배출공
111: 제1 거름망
112: 제2 거름망
113: 제3 거름망
120: 제2 수조
130: 블레이드
140: 포집부

Claims (7)

  1. 렌즈 연마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연마수가 유입되어 저장되기 위해 상측이 개구되는 제1 수조;
    상기 제1 수조의 개구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마수에 포함된 입자를 여과하기 위한 제1 거름망;
    상기 제1 거름망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단이 권취되는 한 쌍의 제1 롤러;
    상기 한 쌍의 제1 롤러 중 어느 하나의 하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롤러;
    길이 방향을 따른 일단이 상기 제2 롤러에 권취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롤러 중 먼 거리로 이격된 제1 롤러에 권취되는 제2 거름망;
    상기 제1 수조로부터 연마수가 배출되는 배출공;
    상기 배출공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공을 개폐 제어하는 개폐 밸브; 및
    상기 배출공으로부터 낙하되는 연마수가 유입되어 저장되기 위해 상측이 개구되는 제2 수조를 포함하는,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조의 개구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제3 거름망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거름망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3 거름망의 일측이 권취되고, 상기 제3 거름망의 타측이 권취되는 한 쌍의 제3 롤러를 더 포함하는,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 제2 롤러 및 제3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고, 외주면에 근접하도록 돌출되는 블레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단부는 상기 제1 거름망, 제2 거름망 및 제3 거름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름망, 제2 거름망 및 제3 거름망의 메쉬값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 제2 롤러 및 제3 롤러의 회전을 각각 구동하기 위한 한 쌍의 제1 구동 장치, 제2 구동 장치 및 제3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장치, 제2 구동 장치 및 제3 구동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정역 모터인,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조의 내측 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수조의 상단 테두리에 근접하게 형성되는 제1 수위 센서; 및
    상기 제2 수조의 내측 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수조의 상단 테두리에 근접하게 형성되는 제2 수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위 센서에서 수면이 검출되면 상기 개폐 밸브가 개방되도록 제어되고, 상기 제2 수위 센서에서 수면이 검출되면 상기 개폐 밸브가 폐쇄되도록 제어되는,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KR1020210111640A 2021-08-24 2021-08-24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KR102634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640A KR102634896B1 (ko) 2021-08-24 2021-08-24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640A KR102634896B1 (ko) 2021-08-24 2021-08-24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304A true KR20230029304A (ko) 2023-03-03
KR102634896B1 KR102634896B1 (ko) 2024-02-07

Family

ID=85510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640A KR102634896B1 (ko) 2021-08-24 2021-08-24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896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725B1 (ko) * 1994-11-03 1998-04-03 이성일 정화장치
KR20010035524A (ko) * 2001-02-26 2001-05-07 김용범 안경렌즈 연마수의 재생장치
KR20050041572A (ko) * 2003-10-31 2005-05-04 김위성 슬러지용 진공 탈수장치
CN201012304Y (zh) * 2006-12-19 2008-01-30 胡杭虎 一种改进的带式压滤机
KR100833899B1 (ko) 2007-12-28 2008-06-03 김재호 안경 렌즈 연마수 재생 및 슬러지 제거 장치
KR101235941B1 (ko) * 2013-01-17 2013-02-2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렌즈 연삭수단의 연삭수 처리장치
KR102231821B1 (ko) 2020-08-31 2021-03-24 이영길 안경렌즈 연마수의 여과장치
KR20210046137A (ko) 2019-10-18 2021-04-28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안경렌즈 연마가공폐수 자동처리장치
KR102274988B1 (ko) 2021-04-29 2021-07-08 한명옥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725B1 (ko) * 1994-11-03 1998-04-03 이성일 정화장치
KR20010035524A (ko) * 2001-02-26 2001-05-07 김용범 안경렌즈 연마수의 재생장치
KR20050041572A (ko) * 2003-10-31 2005-05-04 김위성 슬러지용 진공 탈수장치
CN201012304Y (zh) * 2006-12-19 2008-01-30 胡杭虎 一种改进的带式压滤机
KR100833899B1 (ko) 2007-12-28 2008-06-03 김재호 안경 렌즈 연마수 재생 및 슬러지 제거 장치
KR101235941B1 (ko) * 2013-01-17 2013-02-2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렌즈 연삭수단의 연삭수 처리장치
KR20210046137A (ko) 2019-10-18 2021-04-28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안경렌즈 연마가공폐수 자동처리장치
KR102231821B1 (ko) 2020-08-31 2021-03-24 이영길 안경렌즈 연마수의 여과장치
KR102274988B1 (ko) 2021-04-29 2021-07-08 한명옥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4896B1 (ko) 202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64642B1 (en) Dirty liquid treating apparatus
ES2543478T3 (es) Separador magnético
JP4237816B1 (ja) 眼鏡レンズの研磨水の再生及びスラッジの除去装置
EP0550405B1 (en) Vacuum frying chamber provided with a centrifugal separation apparatus
KR200439794Y1 (ko) 절삭유 필터링 장치
KR102107113B1 (ko) 안경렌즈 연마수 여과장치
KR20230029304A (ko)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EP1894671B1 (en) Apparatus of treating grinding water for processing periphery of eyeglass lens
KR102231821B1 (ko) 안경렌즈 연마수의 여과장치
KR101348897B1 (ko) 여과 장치
US20140367339A1 (en) Magnetic fluid particulate separator apparatus
KR101468655B1 (ko) 수처리용 여과장치
KR102111343B1 (ko) 김 세척수 재활용 장치
KR101198248B1 (ko) 자동배출장치가 구비된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 장치
KR102274988B1 (ko) 안경 렌즈 연마수 여과 장치
JP2009034799A (ja) 眼鏡レンズ周縁加工装置
JPWO2019073662A1 (ja) クーラント処理装置
KR20090047857A (ko) 비점여과장치 및 방법
US2859876A (en) Filter
KR102637813B1 (ko) 페이퍼필터를 이용한 사용된 유체의 재활용을 위한 유체 여과시스템
KR20040039872A (ko) 진공청소기용 필터
JP2015112669A (ja) 濾過装置
KR102327695B1 (ko) 디스크필터 여과장치
KR102463824B1 (ko) 가습 공기청정기
KR102505565B1 (ko) 렌즈 가공기의 연마수 여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