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7813B1 - 페이퍼필터를 이용한 사용된 유체의 재활용을 위한 유체 여과시스템 - Google Patents

페이퍼필터를 이용한 사용된 유체의 재활용을 위한 유체 여과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7813B1
KR102637813B1 KR1020200167564A KR20200167564A KR102637813B1 KR 102637813 B1 KR102637813 B1 KR 102637813B1 KR 1020200167564 A KR1020200167564 A KR 1020200167564A KR 20200167564 A KR20200167564 A KR 20200167564A KR 102637813 B1 KR102637813 B1 KR 102637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unit
filtering
paper filter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8237A (ko
Inventor
김동영
Original Assignee
김동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영 filed Critical 김동영
Priority to KR1020200167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7813B1/ko
Publication of KR20220078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80Accessories
    • B01D33/803Accessories in which the filtering elements are moved between filtering operations ; Particular measures for removing or replacing the filtering elements; Transport systems for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7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80Accessories
    • B01D33/804Accessories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3/807Accessories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level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69Filtr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9/00Arrangements for conditioning of lubricants in the lubricating system
    • F16N39/06Arrangements for conditioning of lubricants in the lubricating system by filt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이퍼필터를 이용한 사용된 유체의 재활용을 위한 유체 여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에서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필터링부, 사용된 유체를 흡입하여 상기 필터링부로 공급하기 위한 유체흡입부, 상기 필터링부에서 이물질이 분리된 유체와 처리수를 저장하기 위한 처리유체저장부, 상기 처리유체저장부에 저장된 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처리유체배출부, 및 상기 필터링부, 유체흡입부, 처리유체배출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공작기계 등의 유체탱크에 저장된 사용한 유체를 흡입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물질이 제거된 유체를 임시저장한 후, 다시 유체탱크로 공급함에 따라, 재활용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특히, 이동 가능하여 다른 유체탱크에 대한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페이퍼필터를 이용한 사용된 유체의 재활용을 위한 유체 여과시스템{Fluid filtration system for the recycle of the used fluid using the paper filter}
본 발명은 여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탱크에 저장된 사용한 유체를 흡입하여 페이퍼필터에 의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물질이 제거된 유체를 임시저장한 후, 다시 유체탱크로 공급함에 따라, 재활용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특히, 이동 가능하여 다른 유체탱크에 대한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페이퍼필터를 이용한 사용된 유체의 재활용을 위한 유체 여과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 인발, 절삭, 연삭 등의 대부분의 금속 가공작업에서는 작업대상 금속과 공작기계 사이에 매우 높은 마찰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대상 금속과 공작기계 사이의 윤활성을 높이고 마찰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열을 제거하기 위하여 압연유, 인발유, 절삭유, 연삭유 등과 같은 윤활성과 냉각성을 모두 갖춘 수용성 금속 가공유의 사용이 통상적이다.
이러한 가공유는 1회성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반복사용되며, 이를 위해선 가공유에 포함된 산화 스케일, 가공에 따른 금속 칩, 설비 주변의 먼지 등의 기타 이물질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종래 절삭유 필터링장치는 등록실용신안 제20-0133287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절삭유탱크 상부에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체인컨베이어에 페이퍼필터를 박리 가능하게 부착하여 절삭유를 필터링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필터링장치는 페이퍼필터를 체인컨베이어에 부착하여 절삭유탱크에 공급된 폐절삭유 내부를 통과하지만, 체인컨베이어의 회전을 위하여 일정 장력이 유지되어야 함에 따라, 페이퍼필터가 부착된 체인컨베이어가 폐절삭유의 수면에 가깝거나 상측을 통과하여 폐절삭유에서 침전되는 것과 부유하는 것이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필터링이 되어 필터링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 필터링장치는 폐절삭유 등을 별도로 수집한 후, 필터링함에 따라, 수집과정에서의 시간과 비용이 발생되고, 처리과정에서도 해당 기계의 운영을 중단시켜 진행함에 따라, 생산성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폐유체에서의 이물질 제거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생산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유체에서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필터링부, 사용된 유체를 흡입하여 상기 필터링부로 공급하기 위한 유체흡입부, 상기 필터링부에서 이물질이 분리된 유체와 처리수를 저장하기 위한 처리유체저장부, 상기 처리유체저장부에 저장된 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처리유체배출부, 및 상기 필터링부, 유체흡입부, 처리유체배출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사용한 유체를 흡입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물질이 제거된 유체를 임시저장한 후, 다시 유체탱크로 공급함에 따라, 재활용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특히, 이동 가능하여 다른 유체탱크에 대한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페이퍼필터를 이용한 사용된 유체의 재활용을 위한 유체 여과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유체에서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필터링부, 사용된 유체를 흡입하여 상기 필터링부로 공급하기 위한 유체흡입부, 상기 필터링부에서 이물질이 분리된 유체와 처리수를 저장하기 위한 처리유체저장부, 상기 처리유체저장부에 저장된 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처리유체배출부, 및 상기 필터링부, 유체흡입부, 처리유체배출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링부와 유체흡입부, 처리유체저장부 및 처리유체배출부는,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는 바퀴가 구비되어 이동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유체흡입부는, 유입흡입펌프, 상기 유입흡입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유체탱크의 유체를 흡입하기 위한 유입흡입호스, 및 상기 유입흡입펌프에 연결되어 흡입된 유체를 상기 필터링부로 공급하기 위한 이송호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흡입펌프는 자흡식펌프이다.
그리고 상기 처리유체저장부는, 내부에 저장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부는, 격벽에 의해 1차저장공간부와 2차저장공간부로 구획되되, 상기 격벽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되어 상호 연통된다.
또한, 상기 격벽은, 상기 1차저장공간부의 스컴이 2차저장공간부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되, 하단부는 네트가 구비되어 1차저장공간부의 유체가 2차저장공간부로 이동되고, 상단부는 완전개방되어 2차저장공간부 상단부의 기체가 1차저장공간부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처리유체배출부는, 배출흡입펌프, 상기 배출흡입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처리유체저장부의 유체를 흡입하기 위한 배출흡입호스, 및 상기 배출흡입펌프에 연결되어 흡입된 유체를 상기 유체탱크로 공급하기 위한 순환호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출흡입펌프는 자흡식펌프이다.
그리고 상기 처리유체배출부는, 상기 유체탱크의 청소을 위한 청소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청소부는, 상기 순환호스에 분기되어 상기 유체탱크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호스, 및 상기 청소호스가 순환호스에 연결된 부분에 구비되어 순환호스와 청소호스 중 어느 하나로 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청소밸브,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링부는, 상기 유체흡입부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필터링되기 위한 필터링공간부를 갖는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링공간부의 유체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페이퍼필터, 상기 페이퍼필터를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부, 이송되는 상기 페이퍼필터를 필터링공간부의 저면을 거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 상기 필터링공간부를 통과한 상기 페이퍼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이물질을 분리배출시키기 위한 이물질배출부, 상기 페이퍼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유체배출부, 및 상기 필터링공간부에 공급된 유체의 수위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흡입부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상일 경우, 상기 조작부가 구동부를 구동시켜 페이퍼필터를 이동시키되, 필터링공간부의 저면을 지난 후, 수면위로 이동됨에 따라, 침전되거나 부유된 슬러지와 이물질을 필터링한다.
또한, 상기 유체흡입부는, 상기 가이드수단에 의해 페이퍼필터가 필터링공간부의 저면으로 유입되는 상기 필터하우징의 일단부 상측으로 유체를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링공간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필터하우징의 상단부에 계폐도어,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유체배출부는, 상기 필터하우징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이송되는 페이퍼필터를 스크레이핑하여 유체를 분리하기 위한 스크레이퍼, 및 상기 스크레이퍼에서 분리된 유체를 상기 처리유체저장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유체이송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페이퍼필터를 필터링공간부의 저면으로 공급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필터하우징의 상측에 위치되고, 타단부가 필터링공간부의 저면에 위치되는 가이드프레임, 및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타단부에 인접하도록 필터링공간부의 저면에 위치되고, 타단부는 유체의 수면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이동되는 페이퍼필터의 하측을 지지함과 동시에 필터링된 처리수를 하측으로 통과시키는 메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시는, 중앙부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페이퍼필터를 이송시킴에 따라, 부유하는 이물질 및 유체와의 닿는 면적을 증가시켜 필터효율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상기 필터링공간부는, 상기 가이드프레임과 메시를 따라 이동되는 페이퍼필터에 의해 필터링이 되기 위한 유체가 위치되는 제1필터링공간부, 및 상기 페이퍼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처리수가 위치되는 제2필터링공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과 메시가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유체흡입부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필터링공간부는, 상기 가이드프레임과 메시가 연결되는 부분이 가장 깊게 형성되어 공급된 유체에서 침전되는 슬러지와 부유되는 슬러지를 1차 분리하기 위한 제1분리공간부, 및 상기 메시의 타단부로 갈수록 깊이가 점차적으로 감소되어 부유한 슬러지와 스컴을 분리하는 제2분리공간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내부에 페이퍼필터를 설치하기 위한 가이드몸체프레임, 상기 가이드몸체프레임이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필터하우징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몸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몸체프레임을 필터하우징 외측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페이퍼필터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시켜 필터하우징에 설치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타단부는 하측으로 가이드되는 페이퍼필터를 상측으로 전환시켜 상기 메시로 이송되기 위한 이송전환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페이퍼필터는, 권취된 상태로 상기 필터하우징의 일단부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필터공급부, 및 상기 필터하우징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필터회수부,를 포함하고, 중간부는 상기 가이드프레임과 메시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필터하우징의 필터링공간부를 통과하되, 상기 필터회수부의 회전에 의해 이송한다.
또한, 상기 필터공급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구동부,가 더 포함되어 상기 필터회수부로 권취된 페이퍼필터의 재 사용을 위해 필터공급부로 권취된다.
그리고 상기 페이퍼필터는, 상기 필터하우징의 일단 상측에서 상기 가이드프레임과 메시를 거쳐 필터링공간부를 통과하고, 필터하우징 타단 상측을 통해 필터링공간부에서 배출된 후, 필터하우징의 하단부를 지나 상기 필터하우징 일단 상측을 지나도록 순환된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필터링공간부의 유체에 부유하는 부표, 상기 부표를 필터하우징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회전레버, 및 상기 부표가 일정수위 이상 위치될 경우,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고, 일정수위 미만 위치될 경우,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작동스위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처리유체저장부의 유체에서 스컴을 제거하기 위한 스컴제거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컴제거부는, 상기 처리유체저장부에 거치되는 몸체하우징, 상기 몸체하우징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롤러, 상기 처리유체저장부의 제1저장공간부에 담기도록 상기 제1롤러의 하측으로 위치되는 제2롤러, 상기 제2롤러를 제1롤러에 연결하되, 상기 제2롤러의 중량에 의해 텐션이 유지되어 제1롤러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처리유체저장부의 유체를 스키밍하여 이동시키는 벨트, 상기 제1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및 상기 벨트의 면을 스크레이핑하여 스키밍된 액체를 이송시키기 위한 스컴스크레이핑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벨트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해당 롤러의 양단부에 돌출형성된 이탈방지턱이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해당 롤러의 내부에 관통형성되는 거치공, 및 상기 해당 롤러에 벨트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공에 거치됨에 따라, 상기 벨트가 롤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방지클립은 상기 거치공에 자유회전되도록 설치되어 회전되는 해당 롤러와 무관하게 원위치되어 벨트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벨트와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마찰력증가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마찰력증가부는, 상기 해당 롤러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된 끼움홈, 및 상기 끼움홈에 각각 끼워지는 마찰링,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벨트는, 화이바글라스이다.
또한, 상기 스컴스크레이핑부는, 상기 벨트의 외면을 스크레이핑하기 위한 제1스컴스크레이핑부, 및 상기 벨트의 내면을 스크레이핑하기 위한 제2스컴스크레이핑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각 스컴스크레이핑부는, 유로를 갖고, 일단부가 상기 벨트에 인접하며, 타단부가 상기 몸체하우징 내부에 위치되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스컴스크레이핑몸체, 및 상기 스컴스크레이핑몸체의 일단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벨트와 접하여 스크레이핑하는 스컴스크레이퍼,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탱크에 수납된 혼합된 액체를 거친 상기 밸트에 묻은 절삭유와 물, 오일 외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제거부,가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제거부는, 상기 밸트의 외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외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1이물질제거부, 및 상기 밸트의 내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내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2이물질제거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페이퍼필터를 이용한 사용된 유체의 재활용을 위한 유체 여과시스템에 의하면, 공작기계 등의 유체탱크에 저장된 사용한 유체를 흡입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물질이 제거된 유체를 임시저장한 후, 다시 유체탱크로 공급함에 따라, 재활용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특히, 이동 가능하여 다른 유체탱크에 대한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이퍼필터를 이용한 사용된 유체의 재활용을 위한 유체 여과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여과 재활용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유체저장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수단의 가이드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이퍼필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이퍼필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컴제거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컴제거부에 마찰력증가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컴제거부의 스컴스크레이핑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컴제거부에 이물질제거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이퍼필터를 이용한 사용된 유체의 재활용을 위한 유체 여과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여과 재활용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유체저장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수단의 가이드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이퍼필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이퍼필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컴제거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컴제거부에 마찰력증가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컴제거부의 스컴스크레이핑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컴제거부에 이물질제거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페이퍼필터를 이용한 사용된 유체의 재활용을 위한 유체 여과시스템(1)은 필터링부(10)와 유체흡입부(20), 처리유체저장부(30), 처리유체배출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필터링부(10)는 유체에서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유체는 압연유, 인발유, 절삭유, 연삭유 등과 같은 윤활성과 냉각성을 모두 갖춘 수용성 및 비수용성 금속 가공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그리고 유체흡입부(20)는 유체탱크(2)의 유체를 흡입하여 필터링부(10)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처리유체저장부(30)는 필터링부(10)에서 이물질이 분리된 유체와 처리수를 저장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처리유체배출부(40)는 처리유체저장부(30)에 저장된 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제어부(50)는 필터링부(10), 유체흡입부(20), 처리유체배출부(40)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필터링부(10), 유체흡입부(20), 처리유체저장부(30), 처리유체배출부(40)는 본체부(60)에 구비되며, 본체부(60)는 바퀴(62)가 구비되어 이동 가능하다.
그리고 제어부(50) 역시, 본체부(60)에 구비되며, 경우에 따라, 무선통신에 의해 원격조정 가능함이 당연하다.
이에, 공작기계 등의 유체탱크(2)에 저장된 사용한 유체를 흡입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물질이 제거된 유체를 임시저장한 후, 다시 유체탱크(2)로 공급함에 따라, 재활용할 수 있다.
특히, 이동 가능하여 다른 유체탱크에 대한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이를 위한, 유체흡입부(2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흡입펌프(22), 유입흡입호스(24) 및 이송호스(26)를 포함한다.
유입흡입펌프(22)는 자흡식펌프으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유입흡입호스(24)는 유입흡입펌프(22)에 연결되어 유체탱크(2)의 유체를 흡입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송호스(26)는 유입흡입펌프(22)에 연결되어 흡입된 유체를 필터링부(10)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처리유체저장부(3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저장공간부(32)가 형성된다.
이 저장공간부(32)는 격벽(34)에 의해 1차저장공간부(32a)와 2차저장공간부(32b)로 구획되되, 격벽(34)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되어 상호 연통된다.
다시 말해, 격벽(34)은 1차저장공간부(32a)의 스컴이 2차저장공간부(32b)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되, 하단부는 네트(36)가 구비되어 1차저장공간부(32a)의 유체가 2차저장공간부(32b)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단부는 완전개방되어 2차저장공간부(32b) 상단부의 기체가 1차저장공간부(32a)로 이동되어 압력이 조절된다.
또한 처리유체배출부(40)는 배출흡입펌프(42)와 배출흡입호스(44), 순환호스(46)를 포함한다.
배출흡입펌프(42)는 자흡식펌프으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출흡입호스(44)는 배출흡입펌프(42)에 연결되어 처리유체저장부(30)의 유체를 흡입하기 위해 구비된다.
순환호스(46)는 배출흡입펌프(42)에 연결되어 흡입된 유체를 유체탱크(2)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처리유체배출부(40)는 청소부(48)를 더 포함한다.
이 청소부(48)는 유체탱크(2)의 청소을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청소부(48)는 청소호스(48a)와 청소밸브(48b)를 포함한다.
청소호스(48a)는 순환호스(46)에 분기되어 유체탱크(2)를 청소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 청소호스(48a)의 단부는 노즐이 구비되어 비어있는 유체탱크(2)에 남아있는 유체 및 이물질 찌꺼기들은 물론, 모서리에 잔존하는 유체까지 분리시킬 수 있으며, 유체흡입부(20)에 의해 필터링부(10)로 이송되어 필터링된다.
그리고 청소밸브(48b)는 청소호스(48a)가 순환호스(46)에 연결된 부분에 구비되어 순환호스(46)와 청소호스(48a) 중 어느 하나로 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청소부(48)는 2차저장공간부(32b)에 저장된 유체를 사용하는 것으로, 필터링부(10)를 거쳐 처리유체저장부(30)로 순환되어 유체탱크(2)로 공급된다.
이를 위한, 필터링부(1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하우징(100)와 페이퍼필터(300), 구동부(400), 가이드수단(500), 이물질배출부(700), 유체배출부(600) 및 조작부(800)로 구성된다.
필터하우징(100)은 필터링공간부(110)가 형성되며, 유체흡입부(20)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필터링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페이퍼필터(300)는 필터링공간부(110)의 유체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해 구비되고, 구동부(400)는 페이퍼필터(300)를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페이퍼필터(300)는 종래 다른 필터에 비해 수용성 및 비수용성 유체를 필터링할 수 있는 것으로, 비수용성 유체는 수용성 유체에 비해 처리량이 적지만, 필터링이 가능함에 따라, 처리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가이드수단(500)은 이송되는 페이퍼필터(300)를 필터링공간부(110)의 저면을 거치도록 가이드한다.
이물질배출부(700)는 필터링공간부(110)를 통과한 페이퍼필터(300)에 의해 필터링된 이물질을 분리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유체배출부(600)는 페이퍼필터(300)에 의해 필터링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해 구비되며, 조작부(800)는 필터링공간부(110)에 공급된 유체의 수위에 따라 구동부(400)를 구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필터링부(1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유체흡입부(20)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상일 경우, 조작부(800)가 구동부(400)를 구동시켜 페이퍼필터(300)를 이동시킨다.
이 페이퍼필터(300)는 필터링공간부(110)의 저면을 지난 후, 수면위로 이동됨에 따라, 침전되거나 부유된 슬러지와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종래보다 필터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유체흡입부(20)는 가이드수단(500)에 의해 페이퍼필터(300)가 필터링공간부(110)의 저면으로 유입되는 필터하우징(100)의 일단부 상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필터링공간부(110)를 개폐하도록 필터하우징(100)의 상단부에 계폐도어(120)가 더 포함된다.
또한 유체배출부(600)는 스크레이퍼(610)와 유체이송부(620)로 구성된다.
스크레이퍼(610)는 필터하우징(110)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이송되는 페이퍼필터(300)를 스크레이핑하여 페이퍼필터(300)에서 유체를 분리한다.
그리고 유체이송부(620)는 스크레이퍼(610)에 의해 분리된 유체를 처리유체저장부(30)의 1차저장공간부(32a)로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한, 가이드수단(500)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프레임(510)과 메시(520)로 구성된다.
가이드프레임(510)은 페이퍼필터(300)를 필터링공간부(110)의 저면으로 공급하도록 일단부가 필터하우징(100)의 상측에 위치되고, 타단부가 필터링공간부(110)의 저면에 위치된다.
그리고 메시(520)는 일단부가 가이드프레임(510)의 타단부에 인접하도록 필터링공간부(110)의 저면에 위치되고, 타단부는 유체의 수면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이동되는 페이퍼필터(300)의 하측을 지지함과 동시에 필터링된 물을 하측으로 통과시킨다.
이러한 메시(520)는 중앙부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페이퍼필터(300)를 이송시킴에 따라, 부유하는 이물질 및 유체와의 닿는 면적을 증가시켜 필터효율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필터링공간부(110)는 제1필터링공간부(112)와 제2필터링공간부(114)로 구성된다.
제1필터링공간부(112)는 가이드프레임(510)과 메시(520)를 따라 이동되는 페이퍼필터(300)에 의해 필터링이 되기 위한 유체가 위치된다.
또한 제2필터링공간부(114)는 페이퍼필터(300)에 의해 필터링된 물이 위치된다.
여기서, 가이드프레임(510)과 메시(520)가 연결되는 부분은 유체흡입부(20)에 의해 유체가 공급되는 부분의 하측에 위치된다.
제1필터링공간부(112)는 제1분리공간부(112a)와 제2분리공간부(112b)로 구성된다.
이 제1분리공간부(112a)는 가이드프레임(510)과 메시(520)가 연결되는 부분이 가장 깊게 형성되어 공급된 유체에서 침전되는 슬러지와 부유되는 슬러지를 1차 분리한다.
그리고 제2분리공간부(112b)는 메시(520)의 타단부로 갈수록 깊이가 점차적으로 감소되어 부유한 이물질과 스컴 등을 분리한다.
여기서, 가이드프레임(510)은 가이드몸체프레임(512)과 가이드레일(514) 및 가이드롤러(516)로 구성된다.
가이드몸체프레임(512)은 내부에 페이퍼필터(300)를 설치하기 위해 구비되고, 가이드레일(514)은 가이드몸체프레임(512)이 슬라이딩되도록 필터하우징(100)에 구비된다.
또한 가이드롤러(516)는 가이드몸체프레임(512)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가이드레일(514)을 따라 이동된다.
이러한 가이드프레임(51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가이드몸체프레임(512)을 필터하우징 외측으로 이동시킨 후, 페이퍼필터(300)를 설치하고, 가이드레일(514)을 따라 이동시켜 필터하우징(100)에 설치한다.
여기서, 가이드프레임(510)의 타단부는 하측으로 가이드되는 페이퍼필터(300)를 상측으로 전환시켜 메시(520)로 이송되기 위한 이송전환부(530)가 더 구성된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페이퍼필터(300)는 필터공급부(310)와 필터회수부(320)로 구성된다.
필터공급부(310)는 권취된 상태로 필터하우징(100)의 일단부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필터회수부(320)는 필터하우징(100)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구동부(400)에 의해 회전된다.
이러한 페이퍼필터(300)는 중간부는 가이드프레임(510)과 메시(520)를 따라 이동되어 필터하우징(100)의 필터링공간부(120)를 통과하되, 필터회수부(320)의 회전에 의해 이송한다.
여기서, 필터공급부(3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구동부(330)가 더 포함되어 필터회수부(320)로 권취된 페이퍼필터(300)의 재사용을 위해 필터공급부(310)로 권취된다.
한편,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페이퍼필터(300)는 필터하우징(100)의 일단 상측에서 가이드프레임(510)과 메시(520)를 거쳐 필터링공간부(110)를 통과하고, 필터하우징(100) 타단 상측을 통해 필터링공간부(110)에서 배출된 후, 필터하우징(100)의 하단부를 지나 필터하우징(100) 일단 상측을 지나도록 순환된다.
이에, 하나의 구동부(400)를 이용하여 페이퍼필터(300)를 순환시킴에 따라, 유체를 필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부(800)는 부표(810)와 회전레버(820) 및 작동스위치(830)로 구성된다.
부표(810)는 필터링공간부(110)의 폐절삭유에 부유하고, 회전레버(820)는 부표(810)를 필터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또한 작동스위치(830)는 부표(810)가 일정수위 이상 위치될 경우, 구동부(400)를 작동시키고, 일정수위 미만 위치될 경우, 구동부(40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에, 필터링은 공급된 유체의 수위에 따라, 자동으로 반복한다.
여기서, 처리유체저장부(30)의 유체에서 스컴을 제거하기 위한 스컴제거부(900)를 더 포함한다.
이 스컴제거부(900)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하우징(910)과 제1롤러(920), 제2롤러(930), 벨트(940), 구동모터(950) 및 스컴스크레이핑부(960)로 구성된다.
몸체하우징(910)은 처리유체저장부(30)에 거치되고, 제1롤러(920)는 몸체하우징(9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제2롤러(930)는 처리유체저장부(30)의 1차저장공간부(32a)에 담기도록 제1롤러(920)의 하측으로 위치되는 것으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벨트(940)에 의해 설치된다.
벨트(940)는 제2롤러(300)를 제1롤러(200)에 연결하되, 제2롤러(300)의 중량에 의해 텐션이 유지되어 제1롤러(20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처리유체저장부(30)의 유체을 스키밍하여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벨트(940)는 화이바글라스로 제작되는 것으로, 화이바글라스만으로 제작되거나 외면이 화이바글라스로 코팅될 수도 있다.
또한 구동모터(950)는 제1롤러(20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되고, 스컴스크레이핑부(960)는 벨트(940)의 면을 스크레이핑하여 스키밍된 액체를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스컴제거부(9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제2롤러(930)에 의해 텐션이 유지된 벨트(940)를 처리유체저장부(30)에 설치한 상태에서, 구동모터(950)에 의해 제1롤러(920)를 회전시킴에 따라, 벨트(940)가 회전되어 유체를 스키밍하게 된다.
그리고 벨트(940)를 따라 이송되는 유체는 스컴스크레이핑부(960)에 의해 스크레이핑되어 포집된다.
이를 위한, 제1롤러(920)와 제2롤러(93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벨트(94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970)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이탈방지부(970)의 일 실시 예로, 해당 롤러의 양단부에 돌출형성된 이탈방지턱이다.
한편, 다른 실시 예의 이탈방지부(970')는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공(971')과 방지클립(972')으로 구성된다.
거치공(971')은 해당 롤러의 내부에 관통형성되고, 방지클립(972')은 해당 롤러에 벨트(940)가 연결된 상태에서 거치공(971')에 거치됨에 따라, 벨트(940)가 롤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방지클립(972')은 거치공(971')에 자유회전되도록 설치되어 회전되는 해당 롤러와 무관하게 원위치되어 벨트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해당 롤러에서 공회전된다.
일 실시 예로, 제1롤러(920)의 양단부에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되고, 제2롤러(930)에는 거치공(971')과 방지클립(972')이 형성되어 벨트(940)가 각 롤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롤러(920)와 제2롤러(93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벨트(940)와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마찰력증가부(980)가 구비된다.
이 마찰력증가부(980)는 끼움홈(981)과 마찰링(982)으로 구성된다.
먼저, 끼움홈(981)은 해당 롤러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되고, 마찰링(982)은 각 끼움홈(981)에 각각 끼워지게 된다.
여기서, 마찰링(982)은 탄성과 마찰력이 높은 재질로 제작되며, 우레탄이나 고무로 제작됨이 바람직하고, 마찰력을 갖는 재질이면 사용 가능함이 당연하다.
이러한 끼움홈(981)은 해당 롤러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롤러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마찰링(982)이 끼워진다.
한편, 끼움홈(981)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는 것으로, 롤러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경사지게 형성되어 마칠링(982)이 끼워진다.
이 경사진 끼움홈(981)은 일방향으로만 형성되거나 일방향과 타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컴스크레이핑부(960)는 몸체하우징(910)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1스컴스크레이핑부(961)와 제2스컴스크레이핑부(962)로 구성된다.
제1스컴스크레이핑부(961)는 벨트(940)의 외면을 스크레이핑하기 위해 구비되고, 제2스컴스크레이핑부(962)는 벨트(940)의 내면을 스크레이핑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각 스컴스크레이핑부(961, 962)는 스컴스크레이핑몸체(9612, 9622)와 스컴스크레이퍼(9614, 9624)로 구성된다.
스컴스크레이핑몸체(9612, 9622)는 유로(9613, 9623)를 갖고, 일단부가 벨트(940)에 인접하며, 타단부가 몸체하우징(910) 내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스컴스크레이퍼(9614, 9624)는 스컴스크레이핑몸체(9612, 9622)의 일단부 일측에 형성되어 벨트(940)와 접하여 스크레이핑하게 된다.
여기서, 스컴스크레이핑몸체(9612, 9622)는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스크레이핑된 스컴을 타단부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또한 스크레이핑된 스컴이 스컴스크레이핑몸체(9612, 9622)의 일단부에서 넘쳐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컴방지턱(9616, 9626)이 더 형성된다.
그리고 제1스컴스크레이핑부(961)와 제2스컴스크레이핑부(962)는 제1롤러(920)를 기준으로, 하측으로 이동되는 벨트(940)에 위치되어 스크레이핑하거나 상측으로 이동되는 벨트(940)에 위치되어 스크레이핑하게 된다.
하측으로 이동되는 벨트(940)에 설치될 경우, 각 스컴스크레이퍼(9614, 9624)는 벨트(940)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스크레이핑된 스컴이 각 스컴스크레이퍼(9614, 9624)의 상면을 따라 해당 유로(9613, 9623)로 이송된다.
한편, 상측으로 이동되는 벨트(940)에 설치될 경우, 각 스컴스크레이퍼(9614, 9624)는 벨트(940)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스크레이핑된 스컴이 각 스컴스크레이퍼(9614, 9624)의 하면을 따라 해당 유로(9613, 9623)로 이송된다.
이 상측으로 이동되는 벨트(940)에 설치될 경우 유체 점도가 높을 경우,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물질제거부(1000)가 더 구비된다.
이 이물질제거부(1000)는 탱크에 수납된 혼합된 액체를 거친 밸트(940)에 묻은 유체와 스컴 외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이물질제거부(1000)는 제1이물질제거부(1010)와 제2이물질제거부(1020)로 구성된다.
이 제1이물질제거부(1010)는 밸트(940)의 외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외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구비되고, 제2이물질제거부(1020)는 밸트(940)의 내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내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구비된다.
일 실시 예로, 제1이물질제거부(1010)와 제2이물질제거부(1020)는 사이에 밸트(940)가 통과되기 위한 관통부(1030)가 형성되도록 분리되는 것으로, 관통부(1030)를 통과하는 밸트(940)의 외면과 내면에 묻은 이물질만을 스크레이핑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이물질제거부(1010)와 제2이물질제거부(1020)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거나 대칭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일 실시 예로, 제1이물질제거부(1010)는 관통부(1030)와 인접한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고, 제2이물질제거부(1020)는 관통부(1030)와 인접한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거된 이물질을 가이드하게 된다.
여기서, 밸트(940)의 두께는 약 0.25mm이고, 제1이물질제거부(1010) 및 제2이물질제거부(1020)와의 이격거리는 각각 약 1.5 ~ 2mm임이 바람직하다.
이에, 유체, 스컴과 함께 밸트(940)에 묻은 이물질이 제거되는 것이다.
1 : 유체 여과시스템 10 : 필터링부
20 : 유체흡입부 22 : 유입흡입펌프
24 : 유입흡입호스 26 : 이송호스
30 : 처리유체저장부 32 : 저장공간부
32a : 1차저장공간부 32b : 2차저장공간부
34 : 격벽 40 : 처리유체배출부
42 : 배출흡입펌프 44 : 배출흡입호스
46 : 순환호스 48 : 청소부
50 : 제어부 60 : 본체부
100 : 필터하우징 300 : 페이퍼필터
400 : 구동부 500 : 가이드수단
600 : 이물질배출부 700 : 유체배출부
800 : 조작부 900 : 스컴제거부

Claims (10)

  1. 유체에서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필터링부;
    유체탱크에 저장된 사용된 유체를 흡입하여 상기 필터링부로 공급하기 위한 유체흡입부;
    상기 필터링부에서 이물질이 분리된 유체와 처리수를 저장하기 위한 처리유체저장부;
    상기 처리유체저장부에 저장된 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처리유체배출부; 및
    상기 필터링부, 유체흡입부, 처리유체배출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유체저장부는,
    내부에 저장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부는,
    격벽에 의해 1차저장공간부와 2차저장공간부로 구획되되, 상기 격벽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되어 상호 연통되며,
    상기 격벽은,
    상기 1차저장공간부의 스컴이 2차저장공간부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되,
    하단부는 네트가 구비되어 1차저장공간부의 유체가 2차저장공간부로 이동되고,
    상단부는 완전개방되어 2차저장공간부 상단부의 기체가 1차저장공간부로 이동되며,
    상기 처리유체배출부는,
    배출흡입펌프;
    상기 배출흡입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처리유체저장부의 유체를 흡입하기 위한 배출흡입호스;
    상기 배출흡입펌프에 연결되어 흡입된 유체를 상기 유체탱크로 공급하기 위한 순환호스; 및
    상기 유체탱크의 청소을 위한 청소부;를 포함하고,
    상기 청소부는,
    상기 순환호스에 분기되어 상기 유체탱크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호스; 및
    상기 청소호스가 순환호스에 연결된 부분에 구비되어 2차저장공간부에 저장된 유체를 사용하도록 순환호스와 청소호스 중 어느 하나로 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청소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청소호스의 단부는 노즐이 구비되어 비어있는 유체탱크에 남아있는 유체 및 이물질 찌꺼기들은 물론, 모서리에 잔존하는 유체까지 유체탱크에서 분리시킬 수 있으며, 유체흡입부에 의해 필터링부로 흡입될 수 있고,
    상기 필터링부와 유체흡입부, 처리유체저장부 및 처리유체배출부는,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는 바퀴가 구비되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필터를 이용한 사용된 유체의 재활용을 위한 유체 여과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흡입부는,
    유입흡입펌프;
    상기 유입흡입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유체탱크의 유체를 흡입하기 위한 유입흡입호스; 및
    상기 유입흡입펌프에 연결되어 흡입된 유체를 상기 필터링부로 공급하기 위한 이송호스;를 포함하는 페이퍼필터를 이용한 사용된 유체의 재활용을 위한 유체 여과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부는,
    상기 유체흡입부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필터링되기 위한 필터링공간부를 갖는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링공간부의 유체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페이퍼필터;
    상기 페이퍼필터를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부;
    이송되는 상기 페이퍼필터를 필터링공간부의 저면을 거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
    상기 페이퍼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이물질을 분리배출시키기 위한 이물질배출부;
    이물질이 분리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유체배출부; 및
    상기 필터링공간부에 공급된 유체의 수위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흡입부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상일 경우, 상기 조작부가 구동부를 구동시켜 페이퍼필터를 이동시키되, 필터링공간부의 저면을 지난 후, 수면위로 이동됨에 따라, 침전되거나 부유된 슬러지와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페이퍼필터를 이용한 사용된 유체의 재활용을 위한 유체 여과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유체저장부의 유체에서 스컴을 제거하기 위한 스컴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페이퍼필터를 이용한 사용된 유체의 재활용을 위한 유체 여과시스템.
KR1020200167564A 2020-12-03 2020-12-03 페이퍼필터를 이용한 사용된 유체의 재활용을 위한 유체 여과시스템 KR102637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564A KR102637813B1 (ko) 2020-12-03 2020-12-03 페이퍼필터를 이용한 사용된 유체의 재활용을 위한 유체 여과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564A KR102637813B1 (ko) 2020-12-03 2020-12-03 페이퍼필터를 이용한 사용된 유체의 재활용을 위한 유체 여과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237A KR20220078237A (ko) 2022-06-10
KR102637813B1 true KR102637813B1 (ko) 2024-02-15

Family

ID=81986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564A KR102637813B1 (ko) 2020-12-03 2020-12-03 페이퍼필터를 이용한 사용된 유체의 재활용을 위한 유체 여과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78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454B1 (ko) * 2022-10-12 2023-02-06 이상수 가공용 cnc 머신의 절삭유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270Y1 (ko) * 1996-04-02 1999-03-20 정수훈 절삭유의 순환식 진공클리너
KR101001585B1 (ko) * 2008-03-17 2010-12-17 주식회사마스타텍 가공유 공급장치
KR101726417B1 (ko) * 2015-07-10 2017-04-13 삼건세기(주) 선박용 기름 및 슬러지 분리 배출장치
KR101864885B1 (ko) * 2016-04-12 2018-06-05 네오스 주식회사 필터링효율이 향상된 페이퍼필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237A (ko)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8260B1 (ko) 여과장치 및 여과시스템
CN101954216B (zh) 用于处理冷却润滑剂的装置
KR101116421B1 (ko) 더티액 처리 장치
KR102019681B1 (ko) 절삭유 복합 쿨런트 장치
US7824547B2 (en) Filter arrangement
KR102122995B1 (ko) 여과 장치
US7384548B2 (en) Manually controlled skimming of industrial oil contaminants
KR102637813B1 (ko) 페이퍼필터를 이용한 사용된 유체의 재활용을 위한 유체 여과시스템
US4585557A (en) Apparatus for concentrating, separating and removing floating solid material
KR101727924B1 (ko) 롤러의 중량에 의해 텐션을 유지하는 화이바글라스 벨트와 벨트 양면 스크레이퍼를 이용한 벨트타입 스키머
KR101864885B1 (ko) 필터링효율이 향상된 페이퍼필터장치
JP3962024B2 (ja) クーラント処理装置
JP3080726U (ja) 傾斜板式沈殿槽装置
KR100868499B1 (ko) 강판 탈지 설비의 연마유와 스와프 분리 장치
KR200339170Y1 (ko) 연삭기 냉각수의 부유물 및 연삭입자 제거장치
KR102019684B1 (ko) 절삭유의 재사용 방법
JP2003094069A (ja) 汚水処理方法及び汚水処理装置
JP2018015886A (ja) 加工液再利用処理装置及びそれを用いる加工液再利用処理方法
CN113750640B (zh) 固液分离机、使用方法及垃圾处理设备
KR101992435B1 (ko) 필터드럼과 스크레이퍼를 이용한 미세칩 분리장치
KR101413383B1 (ko) 냉각유의 불용성 오일 제거 장치
JP2000153123A (ja) 湿式集塵機の水処理装置
RU2216381C2 (ru) Бак-отстойник
KR101608587B1 (ko) 스키머펌프와 이젝터를 이용한 오일스컴분리기
CN116890259A (zh) 锗加工切削液供给及处理和锗泥回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