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170Y1 - 연삭기 냉각수의 부유물 및 연삭입자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연삭기 냉각수의 부유물 및 연삭입자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170Y1
KR200339170Y1 KR20-1999-0010968U KR19990010968U KR200339170Y1 KR 200339170 Y1 KR200339170 Y1 KR 200339170Y1 KR 19990010968 U KR19990010968 U KR 19990010968U KR 200339170 Y1 KR200339170 Y1 KR 2003391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float
grinding
tank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09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0834U (ko
Inventor
박석현
김효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999-00109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170Y1/ko
Publication of KR200100008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8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1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1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2Equipment for cooling the grinding surfaces, e.g. devices for feeding coolant
    • B24B55/03Equipment for cooling the grinding surfaces, e.g. devices for feeding coolant designed as a complete equipment for feeding or clarifying coo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67Devices for removing chips chip containers located under a machine or under a chip convey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삭기 냉각수의 부유물 및 연삭입자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수라인(8)을 통해 침전탱크(31)에 유입된 냉각수(11)가 1,2차침전탱크(40,41)를 차례로 오버플로되어 냉각수탱크(9)로 배출되고, 상기 1차침전탱크(40)에 침전된 연삭칩(12)은 모터(39)에 의한 체인(36)의 구동에 따라 이동되는 수거버킷(42)에 담기어 칩박스(7)로 수거되는 침전물제거부(50)와; 상기 냉각수탱크(9)에 노즐배관(22)과 배출펌프(15)가 플로트(17)에 의해 뜨도록 설치되고, 상기 노즐배관(22)의 분사노즐(23)을 통해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중앙으로 모이는 부유물(10)은 상기 배출펌프(15)에 의해 배출라인(25)을 통해 배출되는 부유물제거부(51)와; 상기 배출라인(25)을 통해 오일분리탱크(27)에 채워지는 냉각수(11)가 배출기준선(28-1)에 도달되면 드레인관(26)을 통해 부유물(10)이 배출되는 부유물분리부(5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 냉각수의 부유물 및 연삭입자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삭기 냉각수의 부유물 및 연삭입자 제거장치{A DEVICE FOR SEPARATING WASTE OIL AND GRIND GRAIN FROM COOLING WATER}
본 고안은 연삭기 냉각수의 부유물 및 연삭입자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삭기에서 롤 연삭시 냉각, 윤활, 방청, 세척작용을 위해 공급되는 냉각수로부터 오일 등의 부유물과 지석입자를 분리해내기 위한 연삭기 냉각수의 부유물 및 연삭입자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삭기에서 롤 연삭시 공급되는 냉각수는 수용성 연삭유로서, 지석과 피연삭롤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열을 냉각시키는 냉각작용, 그외에 윤활작용, 방청작용, 세척작용 등을 수행하도록 공급 순환된다.
이때,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연삭지석(2)에 의한 피연삭롤(1)의 연마시 발생되는 연삭칩(쇳가루, 숫돌가루)(12)은 냉각수노즐(3)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11)와 함께 냉각수통로(5)로 배출된다.
여기서, 냉각수통로(5)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칩분리기(6)에서는 자석롤을 이용하여 냉각수에 혼입되어 있는 쇳가루를 분리한 후, 칩박스(Chip Box)(7)에 담게 되고, 쇳가루가 뷴리된 냉각수(11)는 회수라인(8)을 통해 냉각수순환탱크(9)에 담기게 된다.
특히, 냉각수순환탱크(9)로 회수되는 냉각수(11)에는 칩분리기(6)에서 미처 분리되지 않은 쇳가루를 포함하여 지석가루, 폐오일 등의 부유물(10)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연삭칩(12)은 냉각수순환탱크(9)의 바닥에 침적되고, 부유물(10)은 냉각수의 수면 위를 덮게 되며, 냉각수(11)의 수면에 떠있는 부유물의 경우 산소유입을 차단하여 냉각수를 조기에 부패시키는 원인이 된다.
결국, 냉각수의 교환사이클이 짧아지게 되고, 냉각수탱크(9)에 침적된 연삭칩에 의해 교환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등 냉각수의 유지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면서 작업능률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문제가 초래된다.
본 고안은 연삭기에서 롤 연삭시 냉각, 윤활, 방청, 세척작용을 위해 공급되는 냉각수로부터 오일 등의 부유물과 지석입자를 분리해낼 수 있는 연삭기 냉각수의 부유물 및 연삭입자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의 냉각수 부유물 및 연삭입자 제거장치가 장착된 연삭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냉각수의 부유물 및 연삭입자 제거장치가 장착된 연삭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연삭기 냉각수의 부유물 및 연삭입자 제거장치중 침전물제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연삭기 냉각수의 부유물 및 연삭입자 제거장치중 부유물제거부 및 부유물분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냉각수공급펌프 43: 제어기 50: 침전물제거부 51: 부유물제거부 52: 부유물분리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회수라인을 통해 침전탱크에 유입된 냉각수가 1,2차침전탱크를 차례로 오버플로되어 냉각수탱크로 배출되고, 상기 1차침전탱크에 침전된 연삭칩은 모터에 의한 체인의 구동에 따라 이동되는 수거버킷에 담기어 칩박스로 수거되는 침전물제거부와; 상기 냉각수탱크에 노즐배관과 배출펌프가 플로트에 의해 뜨도록 설치되고, 상기 노즐배관의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중앙으로 모이는 부유물은 상기 배출펌프에 의해 배출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부유물제거부와; 상기 배출라인을 통해 오일분리탱크에 채워지는 냉각수가 배출기준선에 도달되면 드레인관을 통해 부유물이 배출되는 부유물분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 냉각수의 부유물 및 연삭입자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냉각수의 부유물 및 연삭입자 제거장치가 장착된 연삭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연삭기 냉각수의 부유물 및 연삭입자 제거장치중 침전물제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연삭기 냉각수의 부유물 및 연삭입자 제거장치중 부유물제거부 및 부유물분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침전물제거부(50)은 칩침전탱크(31)가 회수라인(8)을 통해 냉각수를 회수하여 냉각수탱크(9)로 냉각수를 오버플로(Overflow)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때, 칩침전탱크(31)는 그 바닥면의 중간에 형성된 턱에 의해 1차침전탱크(40)와 2차침전탱크(41)로 분리되어 있고, 이 1차침전탱크(40)의 바닥에는 냉각수통로(5)를 통해 유입되는 연삭칩(12)이 침전되고, 이 2차침전탱크(41)에는 1차침전탱크로부터 오버플로되어 유입된 냉각수가 다시 냉각수탱크(9)로 오버플로되어 배출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기(43)의 제어에 따라 감속모터(39)가 구동되면 동력전달벨트(37)에 의해 구동축(35)이 회전되고, 동시에 구동축(35)의 양단측에 장착된 구동스프로킷(33)이 회전되면서 체인(36)이 3개의 꼭지점을 이루는 스프로킷(33,38)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체인(36)을 따라 고정 부착되는 다수의 수거버킷(42)은 체인(36)의 동작에 따라 번갈아 1차침전탱크(40)의 바닥을 흩으면서 진행되고, 이에 따라 1차침전탱크의 바닥에 침전되어 있는 연삭칩(12)을 수거한 후 칩박스(7)의 상부측에서 뒤집어지면서 수거한 연삭칩을 칩박스로 배출한 다음, 다시 1차침전탱크(40)의 바닥을 흩는 연삭칩수거작업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부유물제거부(51)는 냉각수탱크(9)의 냉각수에 부유되도록 설치되어 냉각수의 수면에 부유되는 부유물을 제거하게 된다.
즉, 고정틀(24)에 의해 플로트(Float)(17)와 연결 고정되는 사각틀의 노즐배관(22)은 에어공급배관(16)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에어를 다수의 분사노즐(23)을 통해 중앙으로 분사함으로써 냉각수탱크(9)의 수면에 떠있는 부유물을 배출펌프(15)로 모으게 된다.
이때, 플로트(17)에 의해 수면위로 뜨도록 고정틀(24)로 지지되는 배출펌프(15)는 제어기(43)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면 냉각수의 수면에 떠있는 부유물을 흡입하여 배출라인(25)을 통해 분리탱크(27)로 배출하게 된다.
여기서, 고정틀(24)에 의해 배출펌프(15)와 노즐배관(22)에 고정 결합되는 4개의 지지박스(18)에는 플로트(17)가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내장되어 있고, 조절볼트축(20)이 그 상면을 나사결합상태로 관통하면서 플로트(17)의 상면에 공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조절볼트축(20)을 돌려서 상하이동시키게 되면 플로트(17)가 상하강되면서 배출펌프(15)와 노즐배관(22)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즉, 배출펌프(15)는 냉각수탱크(9)의 수면에 떠있는 부유물(10)을 용이하게 흡입하기 위해 그 흡입구가 수면에 절반정도 잠겨야 하고, 노즐배관(22)의 경우 부유물을 배출펌프측으로 밀어내기 위하여 분사노즐(23)이 수면에 절반이상 노출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조절볼트축(20)에 의해 플로트(17)가 하강하게 되면 배출펌프(15)와 노즐배관(22)이 상승하게 되고, 플로트가 상승하게 되면 배출펌프와 노즐배관이하강하게 되어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배출펌프의 흡입구와 노즐배관의 분사노즐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부유물분리부(52)는 배출라인(25)을 통해 배출되는 오일과 냉각수로부터 오일을 분리하는 장치이다.
즉, 오일분리탱크(27)는 배출라인(25)을 통해 유입되는 오일과 냉각수를 저장하게 되고, 레벨점검창(28)을 통해 냉각수의 수위가 배출기준선(29)에 이르면 드레인밸브(30)를 개방시켜 냉각수의 상부에 떠있는 오일을 드레인관(26)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배출기준선(29)의 상부에 위치하는 오일이 드레인관(26)으로 배출되면서 제거되면 드레인밸브(20)를 닫는 동시에 드레인밸브(29-1)를 개방하여 드레인관(29)을 통해 오일분리탱크(27)내의 냉각수를 외부를 배출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연삭지석(2)에 의한 피연삭롤(1)의 연마시 발생되는 연삭칩(쇳가루, 숫돌가루)(12)은 냉각수노즐(3)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와 함께 냉각수통로(5)로 배출된다.
여기서, 냉각수통로(5)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칩분리기(6)에서는 자석롤을 이용하여 냉각수에 혼입되어 있는 쇳가루를 분리한 후, 칩박스(Chip Box)(7)에 담게 되고, 쇳가루가 뷴리된 냉각수는 회수라인(8)을 통해 냉각수침전탱크(31)에 담기게 된다.
특히, 냉각수침전탱크(31)로 회수되는 냉각수에는 칩분리기(6)에서 미처 분리되지 않은 쇳가루를 포함하여 지석가루, 폐오일 등의 부유물(10)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1차침전탱크(40)의 바닥에 연삭칩(12)이 침전되고, 1차침전탱크(40)의 냉각수는 2차침전탱크(41)로 오버플로되며, 다시 2차침전탱크(41)내의 냉각수는 냉각수탱크(9)에 오버플로되어 배출된다.
이때, 제어기(43)에서 감속모터(39)를 구동시키게 되면 스프로킷(33,38)에 감겨지는 체인(36)이 구동되면서 수거버킷(42)을 움직이게 된다.
여기서, 수거버킷(42)은 체인(36)의 동작에 따라 번갈아 1차침전탱크(40)의 바닥을 흩으면서 진행되고, 이에 따라 1차침전탱크의 바닥에 침전되어 있는 연삭칩(12)을 수거한 후 칩박스(7)의 상부측에서 뒤집어지면서 수거한 연삭칩을 칩박스로 차례로 배출한 다음, 다시 1차침전탱크(40)의 바닥을 흩는 연삭칩수거작업을 연속 반복하게 된다.
한편, 제어기(43)에서 전자변(16-1)을 개방하는 동시에 배출펌프(15)를 작동시키게 되면 에어공급배관(16)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에어가 노즐배관(22)의 분사노즐(23)을 통해 분사되면서 냉각수탱크(9)의 수면에 떠있는 부유물(10)을 배출펌프(15)가 설치되어 있는 중앙으로 몰게된다.
그리고, 배출펌프(15)는 냉각수의 수면에 떠있는 부유물(10)을 흡입하게 되고, 다시 흡입된 부유물을 배출라인(25)을 통해 오일분리탱크(27)에 담게 된다.
여기서, 오일분리탱크(27)에 오일과 함께 유입된 냉각수의 수위가 레벨점검창(28)을 통해 배출기준선(28-1)에 도달되었음을 확인한 후, 제어기(43)에서 드레인밸브(30)를 개방하여 오일을 배출하게 된다.
이때, 배출기준선(28-1)의 이상에 차있던 오일이 드레인관(26)을 통해 배출되면 다시 제어기(43)에서 드레인밸브(30)를 폐쇄하는 동시에 드레인밸브(29-1)를 개방하여 오일분리탱크(27)내의 냉각수를 드레인관(29)을 통해 냉각수탱크(9)로 배출하게 된다.
본 고안은 순환냉각수에서 연삭칩과 부유물을 완벽하게 분리해낼 수 있어 냉각수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이로써 연삭롤의 표면정도를 증대시키며, 냉각수의 교체시기를 연장함으로써 작업의 생산성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1)

  1. 회수라인(8)을 통해 침전탱크(31)에 유입된 냉각수(11)가 1,2차침전탱크(40,41)를 차례로 오버플로되어 냉각수탱크(9)로 배출되고, 상기 1차침전탱크(40)에 침전된 연삭칩(12)은 모터(39)에 의한 체인(36)의 구동에 따라 이동되는 수거버킷(42)에 담기어 칩박스(7)로 수거되는 침전물제거부(50)와;
    상기 냉각수탱크(9)에 노즐배관(22)과 배출펌프(15)가 플로트(17)에 의해 뜨도록 설치되고, 상기 노즐배관(22)의 분사노즐(23)을 통해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중앙으로 모이는 부유물(10)은 상기 배출펌프(15)에 의해 배출라인(25)을 통해 배출되는 부유물제거부(51)와;
    상기 배출라인(25)을 통해 오일분리탱크(27)에 채워지는 냉각수(11)가 배출기준선(28-1)에 도달되면 드레인관(26)을 통해 부유물(10)이 배출되는 부유물분리부(5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 냉각수의 부유물 및 지석입자 제거장치.
KR20-1999-0010968U 1999-06-19 1999-06-19 연삭기 냉각수의 부유물 및 연삭입자 제거장치 KR2003391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968U KR200339170Y1 (ko) 1999-06-19 1999-06-19 연삭기 냉각수의 부유물 및 연삭입자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968U KR200339170Y1 (ko) 1999-06-19 1999-06-19 연삭기 냉각수의 부유물 및 연삭입자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834U KR20010000834U (ko) 2001-01-15
KR200339170Y1 true KR200339170Y1 (ko) 2004-01-24

Family

ID=49422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0968U KR200339170Y1 (ko) 1999-06-19 1999-06-19 연삭기 냉각수의 부유물 및 연삭입자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17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681B1 (ko) 2019-04-10 2019-09-09 주식회사 하이드텍 절삭유 복합 쿨런트 장치
KR102019684B1 (ko) 2019-04-10 2019-09-09 주식회사 하이드텍 절삭유의 재사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570B1 (ko) * 1999-12-03 2003-05-01 이승호 기계가공품 세척기의 부상유 분리장치
KR100804231B1 (ko) * 2001-10-31 2008-02-18 주식회사 포스코 연마칩 자동 수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681B1 (ko) 2019-04-10 2019-09-09 주식회사 하이드텍 절삭유 복합 쿨런트 장치
KR102019684B1 (ko) 2019-04-10 2019-09-09 주식회사 하이드텍 절삭유의 재사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834U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1959B1 (en) Coolant fluid cleaning method and apparatus
KR102019681B1 (ko) 절삭유 복합 쿨런트 장치
AU739830B2 (en) Chip conveyor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chips
KR200339170Y1 (ko) 연삭기 냉각수의 부유물 및 연삭입자 제거장치
JPH08215509A (ja) 移動ろ床式ろ過機におけるろ材の洗浄装置
KR102637813B1 (ko) 페이퍼필터를 이용한 사용된 유체의 재활용을 위한 유체 여과시스템
KR200330860Y1 (ko) 오일 스키머
KR20050009793A (ko) 다량의 연삭칩을 균일하게 탈수하는 세퍼레이터
KR100779709B1 (ko) 탈지용기의 부유 슬러지 제거장치
KR101864885B1 (ko) 필터링효율이 향상된 페이퍼필터장치
CN110566143A (zh) 一种强制式钻井渣液分离器
KR100244740B1 (ko) 중앙집중식 절삭유 여과장치
JP2003094069A (ja) 汚水処理方法及び汚水処理装置
KR100868499B1 (ko) 강판 탈지 설비의 연마유와 스와프 분리 장치
KR100983661B1 (ko) 스와프 처리설비의 필터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
KR100879343B1 (ko) 침전조 내 부상 분리된 슬러지의 자동제거장치
CN219585398U (zh) 一种回收装置
CN219376165U (zh) 一种沉砂池淤泥处理装置
KR102019684B1 (ko) 절삭유의 재사용 방법
JP4570401B2 (ja) 沈砂池における揚砂洗浄搬送システム
KR100428462B1 (ko) 수용성 절삭유 속에 함유된 폐유와 불순물의 분리 제거 장치
CN216830347U (zh) 金属部件加工用具有水循环功能的平面磨床
CN108637910A (zh) 一种提高金属表面质量的方法
JPS5933008B2 (ja) れき及びずり混入泥水の分離装置
KR101992435B1 (ko) 필터드럼과 스크레이퍼를 이용한 미세칩 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