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695B1 - 디스크필터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필터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7695B1
KR102327695B1 KR1020210070057A KR20210070057A KR102327695B1 KR 102327695 B1 KR102327695 B1 KR 102327695B1 KR 1020210070057 A KR1020210070057 A KR 1020210070057A KR 20210070057 A KR20210070057 A KR 20210070057A KR 102327695 B1 KR102327695 B1 KR 102327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ration
unit
drum
treat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철권
Original Assignee
미래환경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환경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환경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0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6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1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plane filtering surfaces
    • B01D33/2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plane filtering surfaces with hollow filtering discs transversely mounted on a hollow rotary shaft
    • B01D33/23Construction of discs or component sector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1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plane filtering surfaces
    • B01D33/2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plane filtering surfaces with hollow frames axially mounted on a hollow rotary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80Accesso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방향으로 유입라인이 연통하여 오·폐수가 유입되며 표면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드럼부; 상기 드럼부의 외주상에서 상기 관통공에 연통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드럼부에 장착되며 복수의 측벽과 상기 측벽 간을 상부에서 마감하는 복수의 상판에 의해 방사형으로 복수의 섹션이 형성되며 각각의 섹션에는 양단부 및 하부에 끼움테두리가 형성되는 장착구와, 각각의 섹션에서 상기 끼움테두리에 장착되는 여과망틀과 상기 여과망틀에 부착되는 여과망과 상기 여과망틀의 테두리에 끼움결합 되는 수밀링으로 형성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필터부; 상기 드럼부가 회전가능 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처리수가 저장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필터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크필터 여과장치{Disk Filter Filtration}
본 발명은 여과효율을 높일 수 있는 디스크필터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크필터 여과장치(disc filter)는 하수종말처리장, 오수처리장 등의 오·폐수를 정화하는데 사용되는 여과장치로서, 그 구성은 일반적으로 외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채 축방향으로 오·폐수가 유입되어 그 표면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해 오·폐수가 배출되는 원통형의 드럼과, 상기 드럼의 외주상에 방사형으로 고정 설치되는 필터에 의해 상기 드럼으로부터 상기 필터로 오·폐수가 유입되어 여과처리 된 처리수를 외부로 유출토록 하는 구성을 가진다. 또한 필터 사이에 설치되어 필터의 여과망에 침적된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세척장치가 구성된다.
이러한 디스크필터 여과장치의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117824호에서는 회전하는 드럼의 외주면에 형성된 배출구로 유출되는 오폐수를 여과하는 디스크 필터의 여과막 조립체로서, 여과막이 부착되는 다변형의 코어 프레임; 상기 코어 프레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어 프레임이 안착되는 제1 케이스 프레임; 상기 코어 프레임 위에 적층되면서 상기 제1 케이스 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코어 프레임을 감싸는 제2 케이스 프레임; 및 상기 코어 프레임과 상기 제1 케이스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가스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막 조립체를 제시하고 있는 바, 본 기술에 의해 여과막이 오폐수에 의해 손상되어 이탈하는 현상이 감소되고, 여과막의 사용수명을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여과효율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체가 장착된 디스크필터 여과장치를 구성하더라도 근본적인 여과처리 부하를 해결하지 않는다면 여과효율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11782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구조 등에 의해 여과부하를 제어하는 등으로 여과효율을 향상시킨 디스크필터 여과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디스크필터 여과장치(이하 "본 발명의 장치"라함)는, 축방향으로 유입라인이 연통하여 오·폐수가 유입되며 표면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드럼부; 상기 드럼부의 외주상에서 상기 관통공에 연통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드럼부에 장착되며 복수의 측벽과 상기 측벽 간을 상부에서 마감하는 복수의 상판에 의해 방사형으로 복수의 섹션이 형성되며 각각의 섹션에는 양단부 및 하부에 끼움테두리가 형성되는 장착구와, 각각의 섹션에서 상기 끼움테두리에 장착되는 여과망틀과 상기 여과망틀에 부착되는 여과망과 상기 여과망틀의 테두리에 끼움결합 되는 수밀링으로 형성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필터부; 상기 드럼부가 회전가능 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처리수가 저장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하우징은 하부에 구획벽이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가 위치하며 파이널여과라인이 형성되는 제 1저장부와 프리여과라인이 형성되는 제 2저장부가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드럼부 내부에는 고형물받이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상판에는 하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차집판이 형성되되, 상기 차집판은 곡면의 단면을 형성하며 상단부에 유도부와 상기 유도부 하부에 유동홀이 형성되며 유동홀에는 지지대가 형성되고 탄성재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여과망틀에는 일측에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에서 요홈으로 형성되는 비부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여과망은 대전서열이 다른 재질로 구성되는 제 1여과망과 제 2여과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여과망은 상기 부착부에 부착이 되며, 상기 제 2여과망은 상기 비부착부에서 단부에 이격을 형성하면서 비부착으로 안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끼움테두리에는 하나 이상의 유도유로가 돌출형성 되어 상기 필터에 의해 여과처리 된 처리수가 유도유로를 통해 상기 제 2저장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구획벽은 상기 하우징 하부에서 상기 필터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저장부와 제 2저장부를 구획하되, 상기 구획벽 일단에서 상기 제 1저장부와 연통하는 배출유로와 상기 제 2저장부와 연통하는 유입유로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측벽의 끝단에는 상기 유도유로와 연하면서 힌지연동을 하고 힌지연동에 의해 상기 배출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힌지유도판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필터에 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입되는 오·폐수에 있어 비교적 입도가 큰 고형물을 여과와 별도로 처리할 수 있으며, 여과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운전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가 설치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장치의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으로 드럼부와 필터부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여과망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여과망이 장착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필터부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필터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1)가 수로에 구성된 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장치(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수가 일방향으로 흐르는 수로(100)에 단순한 구조로 설치되어 다양한 형태의 이물질이 포함된 하수를 통수시킴으로써 하수를 재이용 가능한 처리수와 이물질로 분리토록 하는 것으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로연결부(110)에 본 발명의 장치(1)가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수로연결부(110)는 처리하고자 하는 하수가 일방향으로 흐르는 원수수로(IC, 120)와 여과처리 된 처리수가 일방향으로 흐르는 처리수수로(OC)사이에 일정깊이로 파여져 상기 원수수로(IC)와 처리수수로(OC, 130)사이를 연결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원수수로(IC)의 하수가 상기 수로연결부(110)에 배치되는 본 발명의 장치(1)를 거치면서 여과처리 되고, 처리된 처리수는 상기 처리수수로(OC)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로연결부(110)는 상기 원수수로(IC)의 바닥면보다 높은 바닥면을 갖는 유입수로(140)를 매개로 상기 원수수로와 연결되고, 상기 유입수로(140)에는 하수의 흐름을 개폐하는 입구게이트를 구비한다.
상기 수로연결부(110)는 상기 처리수수로(OC)의 바닥면보다 높은 바닥면을 갖는 배출수로(150)를 매개로 상기 처리수수로와 연결되고, 상기 배출수로에는 처리수의 수위를 조절하는 출구게이트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유입수로(140)에 구비된 입구게이트를 상하작동시킴으로써 원수수로의 하수는 유입수로를 거쳐 드럼부(11)의 유입라인(112)을 통해 유입되거나 하수의 유입흐름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수로(150)에 구비된 출구게이트를 상하작동시킴으로써 처리수를 처리수수로로 배출하거나 처리수의 배출흐름을 차단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장치(1)의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장치(1)는 도 2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드럼부(11), 필터부(12) 및 하우징(13)을 기본 구성요소로 하는 것으로 드럼부(11)로 유입된 오·폐수가 필터부(12)로 유입되어 여과처리가 되고 이렇게 여과처리 된 처리수는 상기 하우징(13)에서 적정수두를 유지하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1)는 하·폐수처리장의 방류수의 SS 및 BOD 저감, 중수처리, 공업용수처리, 각종 공장의 순환수 처리 등 다양한 고액분리 공정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드럼부(11)는 축방향으로 유입라인(112)이 연통하여 오·폐수가 유입되며 표면에 복수의 관통공(111)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라인(112)을 통해 유입되는 오·폐수가 상기 드럼부(11) 내부에 저장되면서 상기 관통공(111)을 통해 상기 필터부(12)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드럼부(11)는 상기 하우징(13)에 회전가능 하도록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3)에서 상기 드럼부(11)가 회전연동 되는 구성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바,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드럼부(11)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내부에 고형물받이(113)가 구성되며 상기 고형물받이(113)는 고형물배출라인(114)에 연통하여 상기 고형물받이(113)에 포집된 고형물을 상기 고형물배출라인(114)을 통해 외부로 배출토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드럼부(11)와 일체로 연동하는 필터부(12)가 회전하면서 상단에 위치하는 필터부(12)로부터 침적된 고형물이 상기 관통공(111)을 통해 상기 고형물받이(113)로 낙하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렇게 고형물을 처리수와 별도로 처리토록 함에 따라 필터부(12)의 부하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필터부(12)는 상기 드럼부(11)의 외주상에서 상기 관통공(111)에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도 2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필터부(12)가 상기 드럼부(11)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유격을 형성하며 구성되어 상기 드럼부(11)에서 복수의 플랜지가 돌출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필터부(12)는 그 세부구성요소로 장착구(121)와 상기 장착구(121)에 장착되는 필터(122)로 구성되는 바, 상기 장착구(121)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드럼부(11)의 외주연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복수의 측벽(121-1)과 상기 측벽(121-1) 간을 상부에서 마감하는 복수의 상판(121-2)에 의해 방사형으로 복수의 섹션(C)이 형성되며 각각의 섹션(C)에는 양단부 및 하부에 끼움테두리(121-3)가 전면과 후면에 각각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전면과 후면이라 함은 각각의 측벽(121-1)에 의해 형성되는 양면을 정의하는 것으로 전면과 후면은 개구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필터(122)는 각각의 섹션(C)에서 상기 끼움테두리(121-3)에 장착되며 여과망틀(122-1)과 상기 여과망틀(122-1)에 부착되는 여과망(123-2)과 상기 여과망틀(122-1)의 테두리에 끼움결합 되는 수밀링(122-3)으로 형성된다.
상기 여과망틀(122-1)은 그 형상에 한정은 없으나 도 2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착이 용이하도록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재질에도 한정이 없다.
상기 여과망틀(122-1)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여과망틀(122-1)의 중공을 메우는 구성으로 여과망(123-2)은 간극이 형성되어 유입되는 오·폐수로부터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과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실시예가 제시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간극에 의해 입자크기에 따라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정전기를 발생시켜 정전기에 의한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여과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과망틀(122-1)에는 일측에 부착부(122-11)와 상기 부착부(122-11)에서 요홈으로 형성되는 비부착부(122-12)가 형성되며, 상기 여과망(123-2)은 대전서열이 다른 재질로 구성되는 제 1여과망(123-22)과 제 2여과망(123-21)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여과망(123-22)은 상기 부착부(122-11)에 부착이 되며, 상기 제 2여과망(123-21)은 상기 비부착부(122-12)에서 단부에 이격을 형성하면서 비부착으로 안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제 2여과망(123-21)은 상기 비부착부(122-12)에서 단부에 이격을 형성하면서 비부착으로 안치됨에 따라 외력의 작용시 제 1여과망(123-22)과 접한 상태에서 슬라이드가 되어 이러한 슬라이드에 의해 제 1여과망(123-22)에는 마찰에 의한 정전기력이 발생된다.
즉 여과과정 등에서 제 2여과망(123-21)이 제 1여과망(123-22)에 마찰을 일으켜 정전기가 발생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정전기가 발생될 때 제 2여과망(123-21)은 양(+)전하로 대전되고, 상기 제 1여과망(123-22)은 음(-)전하로 대전되도록 제 2여과망(123-21)을 구성하는 재질은 제 1여과망(123-22)을 구성하는 재질보다 대전서열이 높은 재질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렇게 구성됨에 의해 상기 제 1여과망(123-22)에서 주로 이물질이 정전기에 의해 흡착되도록 하여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즉 내측면을 형성하는 제 1여과망(123-22)에 의해 이물질이 흡착되도록 하여 이물질이 제 2여과망(123-21)으로 유입을 최대한 제어함으로써 처리수로 이물질의 재유입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먼지 등 이물질의 경우 양(+)전하를 띄기 때문에, 이와 같은 양(+)전하를 띄는 이물질을 흡착하기 위해서 상기 제 1여과망(123-22)은 음(-)전하로 대전되도록 제 2여과망(123-21)을 구성하는 재질은 제 1여과망(123-22)을 구성하는 재질보다 대전서열이 높은 재질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로 제 1여과망(123-22)의 재질은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염화) 비닐, 폴리테트라 플루오르에틸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2여과망(123-21)은 정전기 유도를 위해 재질은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아세테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각 여과망의 간극에 의해 입자크기에 따른 여과와 동시에 정전기의 발생으로 정전기에 의한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여과효율을 높이도록 하고, 정전기에 의한 여과의 경우도 내측에 위치하는 제 1여과망(123-22)이 음(-)전하로 대전되도록 하여 여과에 의한 이물질이 외측으로 배출되어 처리수로 재유입되는 것을 제어토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수밀링(122-3)은 그 내주연에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여과망틀(122-1)의 테두리에 끼움결합 되는 구성으로 상기 장착구(121)의 끼움테두리(121-3)에서 장착구(121) 내·외부 간의 누수를 차단하기 위한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수밀링(122-3)은 고무, 실리콘 등 수밀, 탄성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필터부(12)의 다른 실시 예가 도 6에 제시되는 있는 바, 도 6에 도시되는 실시 예의 필터부(12)는 타 구성은 도 2 등에 도시된 필터부(12)와 동일하나 상기 상판(121-2)에 하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차집판(121-4)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다르다. 상기 차집판(121-4)은 판형상으로 상기 상판(121-2)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장착구(121)의 각 섹션(C)에 쌍으로 장착되는 필터(122)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차집판(121-4)은 곡면의 단면을 형성하며 상단부에 유도부(121-41)와 상기 유도부(121-41) 하부에 유동홀(121-42)이 형성되며 유동홀(121-42)에는 지지대(121-4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집판(121-4)의 재질은 탄성거동이 가능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렇게 차집판(121-4)이 구성됨에 따라 필터부(12)가 여과작용을 위한 회전시 유입된 오·폐수로부터 비교적 입자가 큰 고형물이 걸러지게 되는 것이며(측벽(121-1))에 의해서도 걸러짐), 상기 필터부(22)가 회전에 의해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차집판(121-4)에 있어 유도부(121-41)에 포집된 고형물은 상기 유동홀(121-42) 및 상기 관통공(111)을 통해 낙하하여 상기 고형물받이(113)를 통해 고형물배출라인(114)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차집판(121-4)을 더 구성하는 이유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측벽(121-1)에 의해서도 고형물이 차집되나 고형물이 측벽(121-1)에 집중되는 경우 양면의 필터(122)를 가압하거나 폐색시킴으로써 필터(122)의 여과효율을 저하시키고 파손의 문제가 야기되므로 이와 같이 차집판(121-4)이 더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차집판(121-4)이 구성됨에 의해 특히 역세시 필터(122)가 내측으로 밀려 여과망(123-2)에 변형이 발생되고 이러한 변형에 의해 여과효율의 저하, 수명단축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차집판(121-4)은 곡면의 단면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탄성거동에 의해 여과망(123-2)을 지지하도록 하여 역세시 변형을 완화시키도록 함이 타당하다. 또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차집판(121-4)이 여과망(123-2) 전체에 걸쳐 지지가 되도록 함으로써 지지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차집판(121-4)에 침적된 고형물은 중력에 의한 낙하에 의해 상기 고형물받이(113)로 포집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역세척장치(14)에 있어 필터(122) 외측으로 형성되는 분사노즐(141)의 분사에 의해서 필터(122)의 세척은 물론 상기 차집판(121-4)에 침적된 고형물을 분리토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서는 본 발명에 있어 필터부(12)의 또 다른 실시 예가 제시되고 있는 바, 본 실시 예의 필터부(12)의 경우도 상기에서 언급한 필터부(12)의 구성과 동일하나, 본 실시 예의 필터부(12)에는 상기 측벽(121-1)에 하나 이상의 유도유로(121-5)가 돌출형성 되도록 하는 것이 다르다. 상기 유도유로(121-5)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요홈이 형성되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상기 측벽(121-1)의 양단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필터부(1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드럼부(11)에 형성된 수위 하부로 회전하면서 필터(122)에 의해 여과된 처리수가 상기 유도유로(121-5)로 유도되어 이하에서 설명할 하우징(13)의 제 2저장부(132)로 유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유도유로(121-5)가 형성되어 필터부(12) 중 처리수에 잠기지 않아 용이하게 처리수를 배출할 수 있는 경우와 처리수에 일부분이 잠기어 점진적으로 처리수를 배출할 수 있는 경우를 분류토록 함으로써 여과부하를 근본적으로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며, 이러한 작용에 의해 여과처리효율의 증대는 물론 필터수명연장 및 폐색방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구획벽(135) 일단에서 상기 제 1저장부(131)와 연통하는 배출유로(136)와 상기 제 2저장부(132)와 연통하는 유입유로(137)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측벽(121-1)의 끝단에는 상기 유도유로(121-5)와 연하면서 힌지연동을 하고 힌지연동에 의해 상기 배출유로(136)를 개폐할 수 있는 힌지유도판(121-6)이 구성되는 예가 제시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힌지유도판(121-6)은 드럼부(11)의 회전시 자중에 의해 상기 구획벽(135)의 끝단에 접하게 되어 상기 배출유로(136)를 막으면서 유도유로(121-5)를 타고 유동하는 처리수가 제 2저장부(132)로 유도되도록 하고, 제 1저장부(131)에서 저장되는 처리수가 상기 배출유로(136)를 통해 상기 제 2저장부(132)로 월류하는 경우 힌지유도판(121-6)의 힌지연동에 의해 배출유로(136)가 열리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힌지유도판(121-6)의 구성에 의해 유도유로(121-5)를 타고 유동하는 처리수가 제 2저장부(132)로 유도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물론 제 1저장부(131)에서 저장되는 처리수가 상기 배출유로(136)를 통해 상기 제 2저장부(132)로 월류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힌지유도판(121-6)은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유도유로(121-5)와 연하는 각도보다 하향으로 힌지연동이 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턱 등의 구조가 구비됨이 타당하다.
상기 힌지유도판(121-6)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구획벽(135)의 끝단을 주기적으로 타격하게 되는 바, 소음을 방지하고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상기 구획벽(135)의 끝단에는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충격완화구(135-1)가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상기 하우징(13)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드럼부(11)가 회전가능 하도록 장착되며 하부에 구획벽(135)이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12)가 위치하며 파이널여과라인(133)이 형성되는 제 1저장부(131)와 프리여과라인(134)이 형성되는 제 2저장부(132)가 구획되도록 한다.
이렇게 구획벽(135)에 의해 제 1저장부(131)와 제 2저장부(32)가 구획되도록 하는 것은 처리수를 분류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여과효율향상 및 필터수명연장을 위한 것으로 상기 제 1저장부(131)는 필터부(12) 회전시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에 처리수가 저장되도록 하는 공간에 해당되며, 상기 제 2저장부(132)는 필터부(12) 회전시 드럼부(11)에 형성된 수위하부에서 상기 구획벽(135)이 형성된 높이까지 위치에서 처리수가 저장되도록 하는 공간 및 제 1저장부(131)에 저장된 처리수가 상기 구획벽(135)을 통해 월류하는 경우 월류수의 저장공간으로서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필터부(12) 회전시 드럼부(11)에 형성된 수위하부에서 상기 구획벽(135)이 형성된 높이까지 위치에서 여과되는 처리수는 제 2저장부(132)로 분류되어 프리여과라인(134)에 의해 외부로 방류토록 하며, 필터부(12) 회전시 하단에 위치하여 비교적 필터부(12)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가 적은 경우 점진적인 여과처리에 의해 발생되는 처리수는 적정수위를 유지토록 하면서 제 1저장부(131)에 저류되어 파이널여과라인(133)에 의해 외부로 방류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구획벽(135)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3) 하부에서 상기 필터부(12)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 1저장부(131)와 제 2저장부(132)를 구획하되, 상기 구획벽(135) 일단에서 상기 제 1저장부(131)와 연통하는 배출유로(136)와 상기 제 2저장부(132)와 연통하는 유입유로(137)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반달형상의 구획벽(135)에 있어 상기 배출유로(136)와 유입유로(137)가 형성되도록 하는 일단에 의해 제 1저장부(131)에 있어 처리수의 수위가 결정되며, 처리수량이 많아지는 경우 상기 배출유로(136)를 통해 상기 유입유로(137)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처리수의 적정수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처리수의 적정수위를 유지토록 하는 것은 상기 드럼부(11)에 형성된 오·폐수의 수위와 적정 수두차가 유지되도록 하여 여과처리의 일관성을 유지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100 : 수로 110 : 수로연결부
120 : 원수수로 130 : 처리수수로
140 : 유입수로 150 : 배출수로

Claims (7)

  1. 축방향으로 유입라인이 연통하여 오·폐수가 유입되며 표면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드럼부;
    상기 드럼부의 외주상에서 상기 관통공에 연통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드럼부에 장착되며 복수의 측벽과 상기 측벽 간을 상부에서 마감하는 복수의 상판에 의해 방사형으로 복수의 섹션이 형성되며 각각의 섹션에는 양단부 및 하부에 끼움테두리가 형성되는 장착구와, 각각의 섹션에서 상기 끼움테두리에 장착되는 여과망틀과 상기 여과망틀에 부착되는 여과망과 상기 여과망틀의 테두리에 끼움결합 되는 수밀링으로 형성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필터부;
    상기 드럼부가 회전가능 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처리수가 저장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부 내부에는 고형물받이가 구성되며,
    상기 여과망틀에는 일측에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에서 요홈으로 형성되는 비부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여과망은 대전서열이 다른 재질로 구성되는 제 1여과망과 제 2여과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여과망은 상기 부착부에 부착이 되며, 상기 제 2여과망은 상기 비부착부에서 단부에 이격을 형성하면서 비부착으로 안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필터 여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부에 구획벽이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가 위치하며 파이널여과라인이 형성되는 제 1저장부와 프리여과라인이 형성되는 제 2저장부가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필터 여과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는 하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차집판이 형성되되, 상기 차집판은 곡면의 단면을 형성하며 상단부에 유도부와 상기 유도부 하부에 유동홀이 형성되며 유동홀에는 지지대가 형성되고 탄성재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필터 여과장치.
  5. 삭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테두리에는 하나 이상의 유도유로가 돌출형성 되어 상기 필터에 의해 여과처리된 처리수가 유도유로를 통해 상기 제 2저장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필터 여과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은 상기 하우징 하부에서 상기 필터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저장부와 제 2저장부를 구획하되, 상기 구획벽 일단에서 상기 제 1저장부와 연통하는 배출유로와 상기 제 2저장부와 연통하는 유입유로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측벽의 끝단에는 상기 유도유로와 연동하면서 힌지연동을 하고 힌지연동에 의해 상기 배출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힌지유도판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필터 여과장치.
KR1020210070057A 2021-05-31 2021-05-31 디스크필터 여과장치 KR102327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057A KR102327695B1 (ko) 2021-05-31 2021-05-31 디스크필터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057A KR102327695B1 (ko) 2021-05-31 2021-05-31 디스크필터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7695B1 true KR102327695B1 (ko) 2021-11-18

Family

ID=78717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057A KR102327695B1 (ko) 2021-05-31 2021-05-31 디스크필터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69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7824A (ko) 2009-04-27 2010-11-04 코오롱워터텍 주식회사 여과막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크 필터
KR101004578B1 (ko) * 2010-05-27 2010-12-30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수처리용 여과망 유닛
KR101080939B1 (ko) * 2011-05-19 2011-11-08 중앙종합기계(주)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
KR101339328B1 (ko) * 2013-07-15 2013-12-09 코오롱워터앤에너지 주식회사 금속망필터를 이용한 여과장치
KR20180000783U (ko) * 2016-09-08 2018-03-16 김정철 양어장용 회전드럼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7824A (ko) 2009-04-27 2010-11-04 코오롱워터텍 주식회사 여과막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크 필터
KR101004578B1 (ko) * 2010-05-27 2010-12-30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수처리용 여과망 유닛
KR101080939B1 (ko) * 2011-05-19 2011-11-08 중앙종합기계(주)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
KR101339328B1 (ko) * 2013-07-15 2013-12-09 코오롱워터앤에너지 주식회사 금속망필터를 이용한 여과장치
KR20180000783U (ko) * 2016-09-08 2018-03-16 김정철 양어장용 회전드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3836A (en) Radial flow filter having air fluidizing backwash means
KR101070989B1 (ko) 4개의 수로를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1495675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및 비점오염 물질 저감방법
KR101556670B1 (ko) 경량 여재식 다단 인공습지
JP2019529100A (ja) バイパス水を逆洗で使用されることから防止するバイパス水制御器を備えるフレーム型ディスクフィルタ
KR101692678B1 (ko)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여과 및 역세척 장치
KR102023867B1 (ko) 비점오염물 저감시설
KR101339328B1 (ko) 금속망필터를 이용한 여과장치
KR20170021543A (ko) 경량 여재식 다단 습지여상
KR20190083289A (ko)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의 부유물질 제거를 위한 여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RU2357782C2 (ru) Фильтров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фильтрова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и способ фильтрации
CN100446835C (zh) 固定的布介质过滤
US7976713B2 (en) Secondary filtering and discharging of wastewater
KR102398637B1 (ko) 자동 운영 시스템을 구비한 컴팩트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2327695B1 (ko) 디스크필터 여과장치
US5591331A (en) Filter device including a housing with removable sidewalls having a filtering capacity
KR101468655B1 (ko) 수처리용 여과장치
KR101535083B1 (ko) 개방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2322898B1 (ko) 하·폐수 재이용 처리시스템
KR102118557B1 (ko) 우수의 처리를 위한 여과 장치
KR102450237B1 (ko) 유충 여과시설을 갖춘 정수처리장치
KR200207675Y1 (ko) 복수의 여과실을 구비한 침전여과장치
KR20090047857A (ko) 비점여과장치 및 방법
KR101587249B1 (ko)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KR101567042B1 (ko) 자동 역세척 및 산소버블 공급 기능을 갖는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