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675Y1 - 복수의 여과실을 구비한 침전여과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여과실을 구비한 침전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675Y1
KR200207675Y1 KR2020000022221U KR20000022221U KR200207675Y1 KR 200207675 Y1 KR200207675 Y1 KR 200207675Y1 KR 2020000022221 U KR2020000022221 U KR 2020000022221U KR 20000022221 U KR20000022221 U KR 20000022221U KR 200207675 Y1 KR200207675 Y1 KR 2002076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filtration
purified water
chambers
siph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2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국수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국수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국수기
Priority to KR20200000222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6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6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6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4Combinations of filters with settling ta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수의 여과실을 구비한 침전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원수가 유입되어 응집제가 투여되는 혼화조와; 상기 혼화조의 둘레영역에 배치되는 응집조와; 상기 응집조의 둘레에 상기 응집조와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상부영역에 상기 침전조의 둘레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배치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트라프와; 상기 트라프로부터의 물이 일시 수용되는 상부탱크와; 상기 침전조의 하측에 배치되는 여과조케이싱과, 상기 여과조케이싱의 내부공간을 복수의 여과실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획판과, 상기 각 여과실내에 상하방향을 따라 층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여과층을 포함하는 여과조와; 상기 여과조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여과조를 통과한 정수를 일시저장하는 정수저장조와; 일단이 상기 정수저장조로부터 상향경사지게 연장된 후 상기 침전조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은 노출부로부터 하향연장되는 사이펀관과, 일단이 상기 정수저장조의 내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사이펀관의 정부에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역세척중지관과, 상기 사이펀관의 노출하부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사이펀관을 개폐하는 사이펀관개폐장치를 가지는 역세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여과조의 역세척능력을 향상시켜 대용량화를 실현함과 동시에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복수의 여과실을 구비한 침전여과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복수의 여과실을 구비한 침전여과장치{PRECIPITATION FILTRATION APPARATUS WITH PLURAL FILTRATION CHAMBERS}
본 고안은, 침전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과조의 역세척능력을 향상시켜 대용량화를 실현함과 동시에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침전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정수처리과정은, 취수원으로부터 취수된 원수를 혼화지에서 응집제 등을 투입하여 원수와 응집제가 급속 혼화되도록 한다. 혼화된 물은 응집지로 이동되어 플록(Floc)이 형성되도록 교반되고 침전지로 이동되어 물과 현탁입자들을 분리시키기 위한 침전과정을 거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침전여과장치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전여과장치는, 원수유입관(112)으로부터 유입된 원수를 일시 수용하며 응집제 등이 투입되는 혼화조(110)와, 혼화조(110)의 둘레영역에 상호 동심적으로 형성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지그재그형상으로 물이 유동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응집조(120)와, 응집조(120)의 둘레영역에 형성되는 침전조(130)와, 침전조(130)의 하측에 형성되는 여과조(140)와, 여과조(140)의 상측에 여과조(140)와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여과조(140)로부터 여과된 정수를 일시 수용하는 정수저장조(1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침전조(130)의 상부영역에는 수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호 연통된 복수의 트라프(132)가 형성되어 있으며, 트라프(132)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침전조(130)로부터의 물이 일시 수용되는 상부탱크(133)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탱크(133)의 하측에는 상부탱크(133)와 상호 연통된 하부탱크(135)가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탱크(135)에 다수의 노즐공(138)을 가지고 여과조(140)의 상부영역에 수용되는 여과조유입관(137)이 상호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여과조(140)의 내부에는 여과조유입관(137)의 하측에 제1여과층(142)이 형성되어 있고 제1여과층(142)의 하측에는 제2여과층(144)이 형성되어 있다. 제2여과층(144)의 하측에는 여과된 물이 일시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14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용공간(146)에는 일단이 정수저장조(150)와 상호 연통되도록 결합된 복수의 연통관(147)의 각 타단이 상호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정수저장조(150)의 상부영역에는 정수가 유출될 수 있도록 정수유출관(152)이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한편, 여과조(140)의 중앙상단영역에는 사이펀관(153)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다. 사이펀관(153)은 정수저장조(150)로부터 상향경사지게 연장되어 침전조(130)의 외부로 노출되며, 노출단부영역으로부터 하향연장되어 여과조(140)의 저부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배수탱크(157)로 하향연장되어 있다. 사이펀관(153)의 노출측 하부영역에는 사이펀관(153)을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밸브(154)가 설치되어 있으며, 사이펀관(153)의 정부에는 일단이 정수저장조(150)의 저부영역에 상호 연통되도록 배치된 역세척중지관(159)이 상호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원수유입관(112)을 통해 혼화조(110)로 원수가 유입되면 도시 않은 응집제공급부로부터 혼화조(110)내로 소정량의 응집제가 투입된다. 혼화조(110)내로 계속해서 원수가 유입되면 원수를 응집조(120)로 유동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유동하여 침전조(130)로 유입된다.
침전조(130)로 유입된 원수는 상부영역에 형성된 트라프(132)를 통해 상부탱크(133)에 일시 저장되어 하부탱크(135)를 경유하여 여과조유입관(137)의 노즐공(138)을 통해 제1여과층(142)으로 분사된다. 분사된 물은 제1여과층(142) 및 제2여과층(144)을 거치면서 여과되고 연통관(147)을 통해 정수저장조(150)로 유입된다. 정수저장조(150)의 수위가 상승하게 되면, 정수유출관(15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여과가 계속되면 제1여과층(142) 및 제2여과층(144)은 물중의 부유물 및/또는 현탁입자 등이 퇴적되어 유동저항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여과조유입관(137)을 통해 유입되는 유입량과 연통관(147)을 통해 유출되는 유출량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여과조(140)내의 제1여과층(142)의 상부영역에 미처 여과되지 못한 물이 수용되고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사이펀관(153)내로 유입된다. 이 때, 사이펀관(153)의 하부에 형성된 개폐밸브(154)를 개방하게 되면 사이펀관(153)내부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고, 정수저장조(150)내의 물은 연통관(147)을 통해 여과조(140)내로 역류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2여과층(144) 및 제1여과층(142)에 퇴적된 부유물 및 현탁입자 등이 제1여과층(142) 및 제2여과층(144)으로부터 분리되어 사이펀관(15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침전여과장치에 있어서는, 침전조(130)내에서의 침전시간이 대략 2시간 정도로 설계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침전시간이 적어 여과기능에 부하를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여과조(140)가 단일의 여과공간으로 형성되어 있고 사이펀관(153)이 하나만 설치되어 있어, 대용량화에 따른 여과조(140)의 체적이 증대될 경우 제1여과층(142) 및 제2여과층(144)의 균일한 역세척이 곤란하게 되어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역세척의 불균일에 기인하여 여과능력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대용량화가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대용량을 필요로 하게 되는 경우, 소용량의 침전여과기를 복수개를 조합하여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공간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여과조의 역세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복수의 여과실을 구비한 침전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침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수의 여과실을 구비한 침전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침전여과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여과실을 구비한 침전여과장치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침전여과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여과조의 평면도,
도 5는 도 2의 Ⅴ-Ⅴ선에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 혼화조 14 : 응집조
16 : 침전조 18 : 경사판조립체
20 : 트라프 30 : 여과조유입관
32 : 여과조 34 : 구획판
35a,35b : 여과실 36a : 제1여과층
36b : 제2여과층 41a,41b : 사이펀관
43 : 역세척중지관 45 : 개폐장치
50 : 유입관 52 : 정수저장조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원수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원수가 일시 수용되고 응집제가 투여되는 혼화조와; 상기 혼화조의 둘레영역에 상호 동심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혼화조로부터의 원수가 상하방향을 따라 유동되어 응집되는 복수의 셀로 구획된 응집조와; 상기 응집조의 둘레에 상기 응집조와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상부영역에 상기 침전조의 둘레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배치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트라프와; 상기 트라프로부터의 물이 일시 수용되는 상부탱크와; 상기 침전조의 하측에 배치되는 여과조케이싱과, 상기 여과조케이싱의 내부공간을 복수의 여과실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획판과, 상기 각 여과실내에 상하방향을 따라 층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여과층을 포함하는 여과조와; 상기 여과조의 상측에 상호 연통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여과조를 통과한 정수를 일시저장하는 정수저장조와; 일단이 상기 각 여과실의 상부영역에 상호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상향경사지게 연장된 후 상기 침전조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은 노출부로부터 하향연장되어 상기 여과실의 하측에 배치되는 사이펀관과, 일단이 상기 정수저장조의 저부로부터 소정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사이펀관의 정부에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역세척중지관과, 상기 사이펀관의 하부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여과조내의 유입수량과 유출수량의 차가 일정이상이되면 상기 사이펀관을 개방하여 상기 정수저장조내의 정수가 상기 여과조를 경유하여 상기 사이펀관을 통해 배출되도록하는 사이펀관개폐장치를 가지는 역세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여과실을 구비한 침전여과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침전조의 내부 상부영역에 상기 원수의 유동방향에 경사지고 반경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됨과 동시에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의 층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원수내의 응집체가 침강되도록 하는 복수의 경사판을 가지는 경사판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여과실을 구비한 침전여과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침전여과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여과조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Ⅴ-Ⅴ선에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복수의 여과실을 구비한 침전여과장치는, 원수를 일시 수용하며 응집제가 투입되는 혼화조(12)와, 혼화조(12)의 둘레영역에 상호 동심적으로 형성되는 응집조(14)와, 응집조(14)의 둘레에 배치되는 침전조(16)와, 침전조(16)의 상부영역에 수용되어 물중의 부유물 및/또는 현탁입자 등을 침강시키는 경사판조립체와, 경사판조립체의 상부영역에 방사상으로 침전조(16)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배치되어 경사판조립체를 통과한 물의 유동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트라프(20)와, 트라프(20)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트라프(20)로부터의 물이 일시 수용저장되는 상부탱크(24)와, 상부탱크(24)의 하측에 상부탱크(24)와 상호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하부탱크(28)와, 침전조(16)의 하측에 배치되며 내부에 복수의 여과실을 가지는 여과조(32)와, 여과조(32)의 상측에 여과조(32)와 상호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여과된 물 즉 정수를 일시 수용저장하며 정수유출관(54)을 통해 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정수저장조(5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혼화조(12)의 일측에는 원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원수유입관(1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원수유입관(10)은 혼화조(12)의 저부영역으로 원수의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혼화조(12)의 저부영역에 침전조(16) 및 응집조(14)를 통과하여 수평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응집조(14)는 혼화조(12)로부터 유출되는 물이 상하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유동하여 침전조(16)로 유동될 수 있도록 상호 연통된 복수의 셀이 상호 동심적으로 배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응집조(14)의 유출측은 저부영역에 침전조(16)와 상호 연통되어 있으며, 침전조(16)의 내부에는 경사판조립체(18)가 설치되어 있다.
경사판조립체(18)는 물의 유동방향 즉 상하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침전조(16)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배치된 복수의 경사판(19)이 상하방향을 따라 층상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경사판조립체(18)는 평면투영시 거의 부채꼴형상을 가지며 침전조(16)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배치되어 있다. 각 경사판조립체(18)의 상부영역에는 각 경사판(19)을 지지하는 지지앵글이 배치되어 있으며, 각 지지앵글은 침전조(16)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배치된 트라프(20)의 하단에 현수지지되어 있다.
트라프(20)는 거의 “U”단면형상을 가지며 상부영역에는 경사판조립체(18)를 통과한 물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유입공(21)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각 트라프(20)와 응집조(14)의 외벽사이에는 원형고리형상을 가지는 수로형성부재(22)가 설치되어 있다. 트라프(20)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트라프(20)와 상호 연통되게 상부탱크(24)가 결합되어 있다.
상부탱크(24)의 하측에는 하부탱크(28)와 상부탱크(24)를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시키는 연결관(26)이 결합되어 있으며, 하부탱크(28)에는 각 여과실(25a,25b)내로 유입되는 복수의 여과조유입관(30)이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다. 각 여과조유입관(30)은 수평방향을 따라 여과실(35a,35b)내에 배치되며, 여과실내영역에는 물을 하향분사할 수 있도록 복수의 노즐공(31)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형성되어 있다.
한편, 여과조(32)는, 침전조(16)의 하측 중앙영역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여과조케이싱(33)과, 여과조케이싱(33)의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을 복수의 여과실(35a,35b)로 구획하도록 배치되는 구획판(34)을 가진다. 각 여과실의 내부에는 하부탱크(28)와 연통된 여과조유입관(30)이 수용배치되어 있으며, 각 여과조유입관(30)의 하측에는 여과사로 형성된 제1여과층(36a) 및 제1여과층(36a)에 비해 입도가 큰 제2여과층(36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2여과층(36b)의 하측에는 제2여과층(36b)을 통과한 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여과수수용공간(36c)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여과수수용공간(36c)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정수저장조(52)와 상호 연통된 한 쌍의 연통관(37a,37b)이 설치되어 있다.
여과조케이싱(33)의 상판부는 중앙영역이 상향돌출된 역 “V”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각 여과실(35a,35b)의 상판부에는 일단이 외부로 노출된 연통관 및 사이펀관(41a,41b)이 각각 연통되게 결합되어 있다. 사이펀관(41a,41b)은 상향경사지게 연장되어 침전조(16)의 상부영역에서 외부에 노출되며, 노출단부로부터 하향절곡되어 여과조(32)의 저부에 비해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배수탱크(56)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사이펀관(41a,41b)의 정부영역에는 역세척중지관(43)의 일단이 상호 연통되게 결합되어 있으며, 역세척중지관(43)의 타단은 정수저장조(52)의 상하방향을 따라 저부로부터 소정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사이펀관(41a,41b)의 노출측 하부영역에는 사이펀관(41a,41b)을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장치(45)가 결합되어 있다. 개폐장치(45)는, 사이펀관(41a,41b)의 일측에 형성된 플로트케이싱(46)과, 플로트케이싱(46)의 내부에 수위에 연동하여 승강하는 플로트볼(48)과, 플로트볼(48)의 유동에 연동하여 사이펀관(41a,41b)을 개폐하는 밸브(미도시)와, 일단이 상부탱크(24)의 상부영역에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플로트케이싱(46)의 내부에 상호 연통되게 결합되어 상부탱크(24)의 수위상승시 물이 플로트케이싱(46)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관(5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원수유입관(10)을 통해 혼화조(12)로 유입되어 응집제가 투입된 물은 응집조(14)로 유입되고, 응집조(14)를 상하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통과하여 침전조(16)로 유입된다. 침전조(16)로 유입된 물은 경사판조립체(18)를 통과하여 상부영역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 때, 물중에 함유된 부유물 및 현탁입자는 경사판조립체(18)를 통과하면서 침전조(16)의 저부로 고속침강된다.
경사판조립체(18)를 통과한 물은 트라프(20)의 유입공(21)을 통해 상부탱크(24)에서 집수되어 연결관(26)을 통해 하부탱크(28)로 유입된다. 하부탱크(28)의 물은 각 여과조유입관(30)을 통해 해당 여과실(35a,35b)내에 분사되고, 제1여과층(36a) 및 제2여과층(36b)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정수저장조(52)내로 유입된다. 정수저장조(52)내의 수위가 일정 상승하게 되면 정수유출관(5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시간이 경과하여 제1여과층(36a) 및 제2여과층(36b)의 여과능력이 저하되면 각 여과조(32)내의 수위가 상승하게 되고, 상승된 물은 해당 사이펀관(41a,41b)속으로 유입된다. 이와 거의 동시에 상부탱크(24)의 수위도 상승하게 되고, 수위가 계속해서 상승되면 해당 유입관(50)을 통해 플로트케이싱(46)의 내부로 물이 유입된다. 플로트케이싱(46)내의 수위의 상승에 연동하여 플로트볼(48)이 일정이상 상승하게 되면 밸브는 사이펀관(41a,41b)을 개방하게 된다.
사이펀관(41a,41b)이 개방되면 사이펀관(41a,41b)내의 압축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해당 여과실내의 물이 사이펀관(41a,41b)을 통해 배수탱크(56)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정수저장조(52)내의 물은 해당 연통관(37a,37b)을 통해 해당 여과실내의 정수수용공간(36c)내로 유입되어 제2여과층(36b) 및 제1여과층(36a)을 차례로 역류하여 제2여과층(36b) 및 제1여과층(36a)사이에 퇴적된 이물질을 세척하게 된다.
한편, 역세척이 진행되어 정수저장조(52)의 수위가 하강하게 되면 역세척중지관(43)내로 공기가 유입되고 이에 의해 사이펀작용이 중지되면서 역세척작용은 종료되고 각 여과실내에는 여과조유입관(30)을 통해 하부탱크(28)의 물이 유입분사되면서 다시 여과작용을 재개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복수의 여과실을 구비하도록 여과조를 형성하고, 각 여과실에 상호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역세척수단을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여과조의 역세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대용량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는 복수의 여과실을 구비한 침전여과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복수의 여과실을 구비한 침전여과장치는, 침전조의 내부 상부영역에 경사판조립체를 설치하여 물중의 부유물 및/또는 현탁입자 등이 고속으로 침강되도록 함으로써, 침전능력이 상대적으로 미흡하여 여과기능에 부담을 주던 종래와는 달리, 침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원수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원수가 일시 수용되고 응집제가 투여되는 혼화조와; 상기 혼화조의 둘레영역에 상호 동심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혼화조로부터의 원수가 상하방향을 따라 유동되어 응집되는 복수의 셀로 구획된 응집조와; 상기 응집조의 둘레에 상기 응집조와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상부영역에 상기 침전조의 둘레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배치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트라프와; 상기 트라프로부터의 물이 일시 수용되는 상부탱크와; 상기 침전조의 하측에 배치되는 여과조케이싱과, 상기 여과조케이싱의 내부공간을 복수의 여과실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획판과, 상기 각 여과실내에 상하방향을 따라 층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여과층을 포함하는 여과조와; 상기 여과조의 상측에 상호 연통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여과조를 통과한 정수를 일시저장하는 정수저장조와; 일단이 상기 각 여과실의 상부영역에 상호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상향경사지게 연장된 후 상기 침전조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은 노출부로부터 하향연장되어 상기 여과실의 하측에 배치되는 사이펀관과, 일단이 상기 정수저장조의 저부로부터 소정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사이펀관의 정부에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역세척중지관과, 상기 사이펀관의 하부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여과조내의 유입수량과 유출수량의 차가 일정이상이되면 상기 사이펀관을 개방하여 상기 정수저장조내의 정수가 상기 여과조를 경유하여 상기 사이펀관을 통해 배출되도록하는 사이펀관개폐장치를 가지는 역세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여과실을 구비한 침전여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의 내부 상부영역에 상기 원수의 유동방향에 경사지고 반경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됨과 동시에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의 층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원수내의 응집체가 침강되도록 하는 복수의 경사판을 가지는 경사판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여과실을 구비한 침전여과장치.
KR2020000022221U 2000-08-04 2000-08-04 복수의 여과실을 구비한 침전여과장치 KR2002076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221U KR200207675Y1 (ko) 2000-08-04 2000-08-04 복수의 여과실을 구비한 침전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221U KR200207675Y1 (ko) 2000-08-04 2000-08-04 복수의 여과실을 구비한 침전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675Y1 true KR200207675Y1 (ko) 2000-12-15

Family

ID=19667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221U KR200207675Y1 (ko) 2000-08-04 2000-08-04 복수의 여과실을 구비한 침전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675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484B1 (ko) * 2009-08-12 2010-03-05 (주)신우에프에이 정수 처리장치
KR101004287B1 (ko) 2008-08-27 2011-01-04 해동엔지니어링(주) 다 방향 수류충돌 유류식 응집여과 방법 및 그 장치
KR101102979B1 (ko) * 2011-05-12 2012-01-05 주식회사 한성산업 침적된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는 자동 여과장치
KR101145049B1 (ko) * 2011-02-22 2012-05-11 이광근 하수 및 폐수처리장치
KR101494296B1 (ko) * 2014-08-01 2015-02-17 주식회사 가온텍 무동력 자동 역세척형 초기우수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987814B1 (ko) * 2019-03-29 2019-06-12 주식회사 가온텍 역세척 개시 마중물 저장조를 갖는 무동력 비점오염 저감장치
CN110841370A (zh) * 2019-11-12 2020-02-28 苏州仕净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废水处理装置
CN112897842A (zh) * 2021-04-13 2021-06-04 贵州盘江煤电集团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高效混凝结构泥水处理浓缩机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287B1 (ko) 2008-08-27 2011-01-04 해동엔지니어링(주) 다 방향 수류충돌 유류식 응집여과 방법 및 그 장치
KR100945484B1 (ko) * 2009-08-12 2010-03-05 (주)신우에프에이 정수 처리장치
KR101145049B1 (ko) * 2011-02-22 2012-05-11 이광근 하수 및 폐수처리장치
KR101102979B1 (ko) * 2011-05-12 2012-01-05 주식회사 한성산업 침적된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는 자동 여과장치
KR101494296B1 (ko) * 2014-08-01 2015-02-17 주식회사 가온텍 무동력 자동 역세척형 초기우수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987814B1 (ko) * 2019-03-29 2019-06-12 주식회사 가온텍 역세척 개시 마중물 저장조를 갖는 무동력 비점오염 저감장치
CN110841370A (zh) * 2019-11-12 2020-02-28 苏州仕净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废水处理装置
CN110841370B (zh) * 2019-11-12 2023-09-26 苏州仕净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废水处理装置
CN112897842A (zh) * 2021-04-13 2021-06-04 贵州盘江煤电集团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高效混凝结构泥水处理浓缩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0931B1 (ko) 스크린과 섬유볼 여재의 역세척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CN208648858U (zh) 承压式净化装置
KR102153224B1 (ko)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20110037243A (ko) 4개의 수로를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
RU2316482C2 (ru) Способ сепарирования суспензии,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обрабо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KR102555069B1 (ko) 효율적인 역세척이 가능한 컴팩트한 구조의 비점오염 저감 시설 및 그 역세척 방법
KR200207675Y1 (ko) 복수의 여과실을 구비한 침전여과장치
CN108622997A (zh) 承压式净化装置
KR100955098B1 (ko) 초기우수의 인 제거용 처리장치
KR100955909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CN107151085A (zh) 一种污水一体化处理装置
CN219860784U (zh) 一种装配式隧道涌水用深化模块
KR100894646B1 (ko) 자동연속여과장치 부착형 용존공기 가압부상조
KR20210002059A (ko) 침전물 및 부유물의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CN110002620B (zh) 旋流过滤器
JPH0663321A (ja) 傾斜板式沈殿槽
US453347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uid filtration including particle precipitation
KR100457657B1 (ko) 슬러지 농축저류 장치
CN108911195B (zh) 一种油泥水浓缩净化装置
KR101834123B1 (ko) 여과지 역세척을 위한 퇴수 장치
KR20210002060A (ko) 스컴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200258668Y1 (ko) 여과지의 하부집수장치
KR100425380B1 (ko) 폐수처리장치
CN221412345U (zh) 一种过滤装置
KR102312965B1 (ko) 공공하수 처리 시설의 여과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