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328B1 - 금속망필터를 이용한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금속망필터를 이용한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328B1
KR101339328B1 KR1020130083181A KR20130083181A KR101339328B1 KR 101339328 B1 KR101339328 B1 KR 101339328B1 KR 1020130083181 A KR1020130083181 A KR 1020130083181A KR 20130083181 A KR20130083181 A KR 20130083181A KR 101339328 B1 KR101339328 B1 KR 101339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unit
filtration
metal mesh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3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양근
김미경
이기용
윤용식
신봉순
한정윤
이기철
김지용
Original Assignee
코오롱워터앤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워터앤에너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워터앤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3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3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1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plane filtering surfaces
    • B01D33/2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plane filtering surfaces with hollow filtering discs transversely mounted on a hollow rotary shaft
    • B01D33/23Construction of discs or component sector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33/50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방향으로 유입라인이 연통하여 오.폐수가 유입되며 표면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드럼부; 상기 드럼부의 외주상에서 상기 관통공에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필터부; 상기 드럼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하부에 구획벽이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가 위치하며 파이널여과라인이 형성되는 제 1저장부와 프리여과라인이 형성되는 제 2저장부가 구획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망필터를 이용한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금속망필터를 이용한 여과장치{FILTERING APPARATUS USING METAL-MESH FILTER}
본 발명은 금속망필터를 이용한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필터에 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입되는 오ㅇ폐수에 있어 비교적 입도가 큰 고형물을 여과와 별도로 처리할 수 있으며, 여과처리수를 분류하여 배출토록 함으로써 필터수명을 연장시키면서 여과처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적정의 수두차를 유지 및 조절할 수 있어 운전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금속망필터를 이용한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크필터 여과장치(disc filter)는 하수종말처리장, 오수처리장 등의 오.폐수를 정화하는데 사용되는 여과장치로서, 그 구성은 일반적으로 외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채 축방향으로 오·폐수가 유입되어 그 표면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해 오.폐수가 배출되는 원통형의 드럼과, 상기 드럼의 외주상에 방사형으로 고정 설치되는 필터에 의해 상기 드럼으로부터 상기 필터로 오·폐수가 유입되어 여과처리된 처리수를 외부로 유출토록 하는 구성을 가진다. 또한 필터 사이에 설치되어 필터의 여과망에 침적된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세척장치가 구성된다.
이러한 디스크필터 여과장치의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117824호에서는 회전하는 드럼의 외주면에 형성된 배출구로 유출되는 오폐수를 여과하는 디스크 필터의 여과막 조립체로서, 여과막이 부착되는 다변형의 코어 프레임; 상기 코어 프레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어 프레임이 안착되는 제1 케이스 프레임; 상기 코어 프레임 위에 적층되면서 상기 제1 케이스 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코어 프레임을 감싸는 제2 케이스 프레임; 및 상기 코어 프레임과 상기 제1 케이스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가스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막 조립체를 제시하고 있는 바, 본 기술에 의해 여과막이 오폐수에 의해 손상되어 이탈하는 현상이 감소되고, 여과막의 사용수명을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여과효율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체가 장착된 디스크필터 여과장치를 구성하더라도 근본적인 여과처리 부하를 해결하지 않는다면 여과효율이 저하될 것이며, 시간경과에 따라 여과막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여전히 상존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11782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금속망으로 필터를 구성하여 내구성을 증진시키면서 여과부하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러한 여과부하의 해결에 의해 여과효율을 증대시키고, 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하는 금속망필터를 이용한 여과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금속망필터를 이용한 여과장치는, 축방향으로 유입라인이 연통하여 오.폐수가 유입되며 표면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드럼부; 상기 드럼부의 외주상에서 상기 관통공에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필터부; 상기 드럼부가 회전가능 하도록 장착되며 하부에 구획벽이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가 위치하며 파이널여과라인이 형성되는 제 1저장부와 프리여과라인이 형성되는 제 2저장부가 구획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럼부 내부에는 고형물받이가 구성되며 상기 고형물받이는 고형물배출라인에 연통하도록 구성됨이 타당하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드럼부에 장착되며 복수의 측벽과 상기 측벽 간을 상부에서 마감하는 복수의 상판에 의해 방사형으로 복수의 섹션이 형성되며 각각의 섹션에는 양단부에 끼움테두리가 형성되는 장착구와, 각각의 섹션에서 상기 끼움테두리에 장착되며 중공이 형성되는 여과망틀과 상기 여과망틀에 부착되는 여과망과 상기 여과망틀의 테두리에 끼움결합 되는 수밀링으로 형성되는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과망은 메쉬의 크기가 다른 다수의 금속망을 겹친 상태에서 고주파 융착을 통해 일체로 결합하되 메쉬의 크기가 작은 것으로부터 큰 것 또는 메쉬의 크기가 큰 것으로부터 작은 것으로 겹치게 결합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에는 하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차집판이 형성되어 유입된 하,폐수에 있어 비교적 입자가 큰 고형물이 차집판에 침적되도록 함이 타당하다.
또한, 상기 측벽에는 하나 이상의 유도유로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필터에 의해 여과처리된 처리수가 유도유로를 통해 상기 제 2저장조로 배출되도록 구성됨이 타당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획벽은 상기 하우징 하부에서 상기 필터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저장조와 제 2저장조를 구획하되, 상기 구획벽 일단에서 상기 제 1저장조와 연통하는 배출유로와 상기 제 2저장조와 연통하는 유입유로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획벽 일단에는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월류단이 형성되어 수두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인 금속망필터를 이용한 여과장치는 필터에 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입되는 오·폐수에 있어 비교적 입도가 큰 고형물을 여과와 별도로 처리함과 동시에 여과된 처리수를 분류하여 배출토록 함으로써 여과처리효율의 증대, 필터수명연장 및 폐색방지의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인 금속망필터를 이용한 여과장치는 적정의 수두차를 유지 및 조절할 수 있어 운전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금속망필터 여과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금속망필터 여과장치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들로 드럼부와 필터부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필터의 기본 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여과망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필터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필터부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필터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하우징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금속망필터를 이용한 여과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금속망필터를 이용한 여과장치의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들로 드럼부와 필터부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필터의 기본 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여과망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필터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필터부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필터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하우징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금속망필터를 이용한 여과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드럼부(10), 필터부(20) 및 하우징(30)을 기본 구성요소로 하고는 것으로 드럼부(10)로 유입된 오·폐수가 필터부(20)로 유입되여 여과 처리가 되고 이렇게 여과처리 된 처리수는 상기 하우징(30)에서 적정수두를 유지하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금속망필터를 이용한 여과장치는 하·폐수처리장의 방류수의 SS 및 BOD 저감, 중수처리, 공업용수처리, 각종 공장의 순환수 처리 등 다양한 고액분리 공정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드럼부(1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유입라인(12)이 연통하여 오.폐수가 유입되며 표면에 복수의 관통공(11)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라인(12)을 통해 유입되는 오.폐수가 상기 드럼부(10) 내부에 저장되면서 상기 관통공(11)을 통해 상기 필터부(20)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드럼부(10)는 상기 하우징(3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30)에서 상기 드럼부(10)가 회전연동 되는 구성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바,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드럼부(10)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내부에 고형물받이(13)가 구성되며 상기 고형물받이(13)는 고형물배출라인(14)에 연통하여 상기 고형물받이(13)에 포집된 고형물을 상기 고형물배출라인(14)을 통해 외부로 배출토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드럼부(10)와 일체로 연동하는 필터부(20)가 회전하면서 상단에 위치하는 필터부(20)로부터 침적된 고형물이 상기 관통공(11)을 통해 상기 고형물받이(13)로 낙하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렇게 고형물을 처리수와 별도로 처리토록 함에 따라 필터부(20)의 부하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필터부(20)는 상기 드럼부(10)의 외주상에서 상기 관통공(11)에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도 1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필터부(20)가 상기 드럼부(10)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유격을 형성하며 구성되어 상기 드럼부(10)에서 복수의 플랜지가 돌출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필터부(20)는 그 세부구성요소로 장착구(21)와 상기 장착구(21)에 장착되는 필터(22)로 구성되는 바, 상기 장착구(21)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드럼부(10)의 외주연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복수의 측벽(211)과 상기 측벽(211) 간을 상부에서 마감하는 복수의 상판(212)에 의해 방사형으로 복수의 섹션(C)이 형성되며 각각의 섹션(C)에는 양단부 및 하부에 끼움테두리(213)가 전면과 후면에 각각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전면과 후면이라함은 각각의 측벽(211)에 의해 형성되는 양면을 정의하는 것으로 전면과 후면은 개구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필터(22)는 각각의 섹션(C)에서 상기 끼움테두리(213)에 장착되며 중공이 형성되는 여과망틀(221)과 상기 여과망틀(221)에 부착되는 여과망(222)과 상기 여과망틀(221)의 테두리에 끼움결합 되는 수밀링(223)으로 형성된다.
상기 여과망틀(221)은 그 형상에 한정은 없으나 도 2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착이 용이하도록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재질에도 한정이 없다.
상기 여과망틀(221)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여과망틀(221)의 중공을 메우는 구성으로 여과망(222)은 메쉬가 형성되어 유입되는 오·폐수로부터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코팅처리된 철 등 강성이 있는 재질의 금속망을 사용하여 고내구성이 확보되도록 함이 타당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여과망(222)은 메쉬의 크기가 다른 다수의 금속망을 겹친 상태에서 고주파 융착을 통해 일체로 결합하되 메쉬의 크기가 작은 것으로부터 큰 것 또는 메쉬의 크기가 큰 것으로부터 작은 것으로 겹치게 결합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쉬의 크기가 다른 2개의 금속망이 고주파 융착을 통해 일체로 결합된 여과망(222a)을 제시하고 있다. 본 실시 예의 여과망(222a)은 메쉬의 크기가 다른 주여과망(222a-1)과 지지망(222a-2)이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여과망(222a)을 2중의 막으로 구성함에 의해 내구성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주여과망(222a-1)의 일면에 상기 주여과망(222a-1)보다 메쉬가 큰 지지망(222a-2)이 부착되어 내구성이 보강이 되는 것이며, 주여과망(222a-1)보다 저밀도 즉 메쉬가 크게 구성됨으로서 주여과망(222a-1)의 오.폐수 처리수량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여과망(222a)은 오.폐수 처리용량이 많은 경우 처리효율을 유지하면서 그 처리용량의 과다로 인해 저하될 수 있는 여과망의 내구성을 보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여과망(222a)의 작동상태가 도 6에 도시되고 있는 바, 이 경우 여과방향(W1)으로 지지망(222a-2)과 주여과망(222a-1)이 순서대로 위치하도록 필터(22)를 장착구(21)에 있어 각각의 섹션(C)의 끼움테두리(213)에 장착하는 것이 타당하다.
즉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여과망틀(221)에 상기 주여과망(222a-1)이 부착되고, 상기 주여과망(222a-1)의 외측에 상기 지지망(222a-2)이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오.폐수 여과 시 메쉬가 큰 지지망(222a-2)을 용이하게 오.폐수가 통과하면서 주여과망(222a-1)에 의해 여과가 되도록 하여 오.폐수 처리용량의 저하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며, 역세시 역세방향(W2)으로 역세수가 유입됨으로서 주여과망(222a-1)이 밀리는 것을 상기 지지망(222a-2)이 지지하게 되어 그 내구성이 보강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수밀링(223)은 그 내주연에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여과망틀(221)의 테두리에 끼움결합 되는 구성으로 상기 장착구(21)의 끼움테두리(213)에서 장착구(21) 내·외부 간의 누수를 차단하기 위한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수밀링(223)은 고무, 실리콘 등 수밀, 탄성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필터부(20)의 다른 실시 예가 도 7에 제시되는 있는 바, 도 7에 도시되는 실시 예의 필터부(20)는 타 구성은 도 2 등에 도시된 필터부(20)와 동일하나 상기 상판(212)에 하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차집판(214)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다르다.
상기 차집판(214)은 판형상으로 상기 상판(212)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장착구(21)의 각 섹션(C)에 쌍으로 장착되는 필터(22)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차집판(214)이 구성됨에 따라 필터부(20)가 여과작용을 위한 회전시 유입된 오·폐수로부터 비교적 입자가 큰 고형물이 걸러지게 되는 것이며(측벽(211))에 의해서도 걸러짐), 상기 필터부(22)가 회전에 의해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차집판(214)에 포집된 고형물은 상기 관통공(11)을 통해 낙하하여 상기 고형물받이(13)를 통해 고형물배출라인(14)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차집판(214)을 더 구성하는 이유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측벽(211)에 의해서도 고형물이 차집되나 고형물이 측벽(211)에 집중되는 경우 양면의 필터(22)를 가압하거나 폐색시킴으로써 필터(22)의 여과효율을 저하시키고 파손의 문제가 야기되므로 이와 같이 차집판(214)이 더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차집판(214)이 구성됨에 의해 특히 역세시 필터(22)가 내측으로 밀려 여과망(222, 222a)에 변형이 발생되고 이러한 변형에 의해 여과효율의 저하, 수명단축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차집판(214)에 침적된 고형물은 중력에 의한 낙하에 의해 상기 고형물받이(13)로 포집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역세척장치(40)에 있어 필터(22) 외측으로 형성되는 분사노즐(41)의 분사에 의해서 필터(22)의 세척은 물론 상기 차집판(214)에 침적된 고형물을 분리토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8에서는 본 발명에 있어 필터부(20)의 또 다른 실시 예가 제시되고 있는 바, 본 실시 예의 필터부(20)의 경우도 상기에서 언급한 필터부(20)의 구성과 동일하나, 본 실시 예의 필터부(20)에는 상기 측벽(211)에 하나 이상의 유도유로(215)가 돌출형성 되도록 하는 것이 다르다.
상기 유도유로(215)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요홈이 형성되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상기 측벽(211)의 양단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필터부(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드럼부(10)에 형성된 수위 하부로 회전하면서 필터(22)에 의해 여과된 처리수가 상기 유도유로(215)로 유도되어 이하에서 설명할 하우징(30)의 제 2저장부(32)로 유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하에서 설명할 구획벽(33)의 상단에는 상기 제 2저장부(32) 방향으로 경사구배가 형성되는 유도단(34)이 더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도유로(215)가 형성되어 필터부(20) 중 처리수에 잠기지 않아 용이하게 처리수를 배출할 수 있는 경우와 처리수에 일부분이 잠기어 점진적으로 처리수를 배출할 수 있는 경우를 분류토록 함으로써 여과부하를 근본적으로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며, 이러한 작용에 의해 여과처리효율의 증대는 물론 필터수명연장 및 폐색방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30)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드럼부(10)가 회전가능 하도록 장착되며 하부에 구획벽(33)이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20)가 위치하며 파이널여과라인(311)이 형성되는 제 1저장부(31)와 프리여과라인(321)이 형성되는 제 2저장부(32)가 구획되도록 한다.
이렇게 구획벽(33)에 의해 제 1저장부(31)와 제 2저장부(32)가 구획되도록 하는 것은 처리수를 분류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여과효율향상 및 필터수명연장을 위한 것으로 상기 제 1저장부(31)는 필터부(20) 회전시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에 처리수가 저장되도록 하는 공간에 해당되며, 상기 제 2저장부는 필터부(20) 회전시 드럼부(10)에 형성된 수위하부에서 상기 구획벽(33)이 형성된 높이까지 위치에서 처리수가 저장되도록 하는 공간 및 제 1저장부(31)에 저장된 처리수가 상기 구획벽(33)을 통해 월류하는 경우 월류수의 저장공간으로서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필터부(20) 회전시 드럼부(10)에 형성된 수위하부에서 상기 구획벽(33)이 형성된 높이까지 위치에서 여과되는 처리수는 제 2저장부(32)로 분류되어 프리여과라인(321)에 의해 외부로 방류토록 하며, 필터부(22) 회전시 하단에 위치하여 비교적 필터부(20)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가 적은 경우 점진적인 여과처리에 의해 발생되는 처리수는 적정수위를 유지토록 하면서 제 1저장부(31)에 저류되어 파이널여과라인(311)에 의해 외부로 방류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구획벽(33)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0) 하부에서 상기 필터부(20)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 1저장조(31)와 제 2저장조(32)를 구획하되, 상기 구획벽(33) 일단에서 상기 제 1저장조(31)와 연통하는 배출유로(312)와 상기 제 2저장조(32)와 연통하는 유입유로(313)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반달형상의 구획벽(33)에 있어 상기 배출유로(312)와 유입유로(313)가 형성되도록 하는 일단에 의해 제 1저장조(31)에 있어 처리수의 수위가 결정되며, 처리수량이 많아지는 경우 상기 배출유로(312)를 통해 상기 유입유로(313)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처리수의 적정수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처리수의 적정수위를 유지토록 하는 것은 상기 드럼부(10)에 형성된 오·폐수의 수위와 적정 수두차가 유지되도록 하여 여과처리의 일관성을 유지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도 9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상기 구획벽(33) 일단에는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월류단(35)이 형성되도록 하여 자유로이 선택적으로 처리수의 수위조절을 통한 적정의 운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획벽(33)의 일단에서 상기 월류단(35)이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방식)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바,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 드럼부 11 : 관통공
12 : 유입라인 13 : 고형물받이
14 : 물배출라인 20 : 필터부
21 : 장착구 22 : 필터
30 : 하우징 31 : 제 1저장부
32 : 제 2저장부 33 : 구획벽
40 : 세척장치 41 : 분사노즐
211 : 측벽 212 : 상판
213 : 끼움테두리 214 : 차집판
215 : 유도유로 221 : 여과망틀
222 : 여과망 223 : 수밀링

Claims (8)

  1. 축방향으로 유입라인이 연통하여 오.폐수가 유입되며 표면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드럼부;
    상기 드럼부의 외주상에서 상기 관통공에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필터부;
    상기 드럼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하부에 구획벽이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가 위치하며 파이널여과라인이 형성되는 제 1저장부와 프리여과라인이 형성되는 제 2저장부가 구획되는 하우징;
    을 포함하되,
    상기 필터부는,
    상기 드럼부에 장착되며 복수의 측벽과 상기 측벽 간을 상부에서 마감하는 복수의 상판에 의해 방사형으로 복수의 섹션이 형성되며 각각의 섹션에는 양단부 및 하부에 끼움테두리가 형성되는 장착구와, 각각의 섹션에서 상기 끼움테두리에 장착되며 중공이 형성되는 여과망틀과 상기 여과망틀에 부착되는 여과망과 상기 여과망틀의 테두리에 끼움결합 되는 수밀링으로 형성되는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망필터를 이용한 여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부 내부에는 고형물받이가 구성되며 상기 고형물받이는 고형물배출라인에 연통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망필터를 이용한 여과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망은 메쉬의 크기가 다른 다수의 금속망을 겹친 상태에서 고주파 융착을 통해 일체로 결합하되 메쉬의 크기가 작은 것으로부터 큰 것 또는 메쉬의 크기가 큰 것으로부터 작은 것으로 겹치게 결합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망필터를 이용한 여과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는 하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차집판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망필터를 이용한 여과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에는 하나 이상의 유도유로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필터에 의해 여과처리된 처리수가 유도유로를 통해 상기 제 2저장조로 배출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망필터를 이용한 여과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은 상기 하우징 하부에서 상기 필터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저장조와 제 2저장조를 구획하되, 상기 구획벽 일단에서 상기 제 1저장조와 연통하는 배출유로와 상기 제 2저장조와 연통하는 유입유로가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망필터를 이용한 여과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 일단에는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월류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망필터를 이용한 여과장치.
KR1020130083181A 2013-07-15 2013-07-15 금속망필터를 이용한 여과장치 KR101339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181A KR101339328B1 (ko) 2013-07-15 2013-07-15 금속망필터를 이용한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181A KR101339328B1 (ko) 2013-07-15 2013-07-15 금속망필터를 이용한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9328B1 true KR101339328B1 (ko) 2013-12-09

Family

ID=49987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181A KR101339328B1 (ko) 2013-07-15 2013-07-15 금속망필터를 이용한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932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8661A1 (en) * 2019-03-06 2020-09-10 Veolia Water Solutions & Technologies Support Rotary disc filter having backwash guides
KR102322898B1 (ko) * 2021-05-31 2021-11-05 미래환경기술 주식회사 하·폐수 재이용 처리시스템
KR102327695B1 (ko) * 2021-05-31 2021-11-18 미래환경기술 주식회사 디스크필터 여과장치
CN114436415A (zh) * 2020-11-04 2022-05-06 喃嵘实业(上海)有限公司 一种用于水产养殖的水处理装置
KR102546802B1 (ko) * 2022-10-07 2023-07-04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온실가스 저감운영이 가능한 하·폐수 처리장 통합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6424A (ko) * 2008-06-04 2009-12-09 거진산업주식회사 미세여과막을 이용한 부유고형물 처리장치
KR20100010668A (ko) * 2008-07-23 2010-02-02 주식회사 에스앤에이치이엔지 노면 청소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US20100293909A1 (en) * 2009-05-07 2010-11-25 Thomason Michael C Paint spray booth
US20120103195A1 (en) * 2010-10-28 2012-05-03 Industrial Tool & Die Co., Inc. Machine tool mounted mist coll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6424A (ko) * 2008-06-04 2009-12-09 거진산업주식회사 미세여과막을 이용한 부유고형물 처리장치
KR20100010668A (ko) * 2008-07-23 2010-02-02 주식회사 에스앤에이치이엔지 노면 청소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US20100293909A1 (en) * 2009-05-07 2010-11-25 Thomason Michael C Paint spray booth
US20120103195A1 (en) * 2010-10-28 2012-05-03 Industrial Tool & Die Co., Inc. Machine tool mounted mist collector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8661A1 (en) * 2019-03-06 2020-09-10 Veolia Water Solutions & Technologies Support Rotary disc filter having backwash guides
US11000791B2 (en) 2019-03-06 2021-05-11 Veolia Water Solutions & Technologies Support Rotary disc filter having backwash guides
JP2022524336A (ja) * 2019-03-06 2022-05-02 ヴェオリア・ウォーター・ソリューションズ・アンド・テクノロジーズ・サポート 逆洗ガイドを備えた回転ディスクフィルタ
JP7359859B2 (ja) 2019-03-06 2023-10-11 ヴェオリア・ウォーター・ソリューションズ・アンド・テクノロジーズ・サポート 逆洗ガイドを備えた回転ディスクフィルタ
CN114436415A (zh) * 2020-11-04 2022-05-06 喃嵘实业(上海)有限公司 一种用于水产养殖的水处理装置
CN114436415B (zh) * 2020-11-04 2024-05-10 喃嵘实业(上海)有限公司 一种用于水产养殖的水处理装置
KR102322898B1 (ko) * 2021-05-31 2021-11-05 미래환경기술 주식회사 하·폐수 재이용 처리시스템
KR102327695B1 (ko) * 2021-05-31 2021-11-18 미래환경기술 주식회사 디스크필터 여과장치
KR102546802B1 (ko) * 2022-10-07 2023-07-04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온실가스 저감운영이 가능한 하·폐수 처리장 통합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328B1 (ko) 금속망필터를 이용한 여과장치
RU2555039C2 (ru) Фильтр и устройство фильтрования воды, содержащее фильтр
RU2720249C1 (ru) Рамный дисковый фильтр с контролем байпасной воды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применения байпасной воды в обратной промывке
CN111054115A (zh) 一种自清洁活塞式过滤器及过滤系统
JP3123449U (ja) 螺旋流入式ストレーナ
KR101014159B1 (ko) 원형 여과판 및 이 여과판이 구성된 여과장치
KR101108281B1 (ko)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와 처리잔류수의 자동방류가 가능한 여과형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1842653B1 (ko) 유수통공이 형성된 여과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처리시설
KR20160009831A (ko) 유기물을 포함하는 오수의 처리시스템
KR101468655B1 (ko) 수처리용 여과장치
KR101453163B1 (ko) 초기우수 내 오염물 및 합류식 하수관 내 오염물 처리장치
RU2734973C1 (ru) Фильтрующий модуль
KR20080102340A (ko) 초음파를 이용한 산업용 섬유 여과기
KR101628966B1 (ko) 고효율 필터형 빗물 여과기
CN204073539U (zh) 一种雨水、污水双重过滤装置
JP2013188689A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及び濾過装置
KR200222527Y1 (ko) 다단의 여과층이 구비된 오폐수 여과장치
KR101688564B1 (ko) 다중 필터형 2단 빗물 여과기
JP2020093240A (ja) ろ過装置
CA3075447A1 (en) Apparatus for filtering liquids
US11260324B2 (en) Apparatus for filtering liquids
KR102327695B1 (ko) 디스크필터 여과장치
KR101271089B1 (ko) 자동 역세 사여과기의 다공성 플레이트 장치
JP5896681B2 (ja) サイクロン式濾過装置
KR102322898B1 (ko) 하·폐수 재이용 처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