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527Y1 - 다단의 여과층이 구비된 오폐수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다단의 여과층이 구비된 오폐수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527Y1
KR200222527Y1 KR2020000032106U KR20000032106U KR200222527Y1 KR 200222527 Y1 KR200222527 Y1 KR 200222527Y1 KR 2020000032106 U KR2020000032106 U KR 2020000032106U KR 20000032106 U KR20000032106 U KR 20000032106U KR 200222527 Y1 KR200222527 Y1 KR 2002225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layer
wastewater
filtration tank
str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1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홍복
김종원
원종필
우광현
김상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환경비젼이십일
최홍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환경비젼이십일, 최홍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환경비젼이십일
Priority to KR20200000321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5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5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5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series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오폐수 여과장치가 개시된다. 그러한 오폐수 여과장치는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 및 정화된 오폐수가 배출되는 배출관이 장착되는 여과조와, 상기 여과조의 내부에 장착되어 내부공간을 층 분리하며, 다수개의 홀이 형성됨으로써 유입된 오폐수가 상기 다수개의 홀을 통하여 순차적으로 하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분리판과, 상기 다수개의 분리판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각각 적층되어 상기 다수개의 홀을 통하여 유입된 오폐수를 여과시킴으로써 정수를 생성하는 다수개의 여과층과, 상기 여과조의 측면에 일체로 연결되며 그 일단부가 상기 다수개의 여과층의 상부공간에 연통됨으로써, 각 여과층의 상부공간에 모인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가능한 다수개의 세척수 배출관과, 그리고 상기 여과조에 장착되어 세척수를 상기 여과조의 내부에 상향으로 분사함으로써, 다수개의 여과층에 잔재된 이물질을 세척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세척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단의 여과층이 구비된 오폐수 여과장치{Filtering device of wastewater having muiti filtering layer therein}
본 고안은 오폐수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과층을 다단계로 배치함으로써 오폐수를 효율적으로 여과할 수 있는 오폐수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등지에서 발생하는 오폐수는 정화되지 않은 상태로 배출되는 경우 자연환경을 심각하게 오염시키므로, 적당한 여과장치에 의하여 정화되어 재 사용된다. 이러한 여과장치는 다양한 방식의 것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자갈, 활성탄, 모래 등을 여재로 하여 정화하는 물리적인 방식, 이온 혹은 전기집진 등의 화학적인 방식 등 다양한 형태의 여과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여과장치들은 각각 그 목적 및 성능에 따라 다양한 오염원, 즉 공장의 오폐수, 가정용 식수, 화학약품 등 오염원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여과장치가 선택되어진다.
특히, 자갈, 활성탄, 모래 등을 여재로 하는 여과장치는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고 구조가 간단하므로 수처리 장치의 전처리 단계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175648호(출원인: 주식회사 삼안건설기술공사)로 등록된 '고도처리용 모래여과기'에 있어서는 여과조의 내부를 제1 및 제2 분리판에 의하여 분리하고, 상기 제1 및 제2 분리판에 의하여 형성된 내부 공간에 무연탄 성분의 제1 여과층 및 모래 성분의 제2 여과층을 형성한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모래여과기로 유입된 오폐수는 제1 및 제2 여과층을 통과하면서 정화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모래여과기는 일정시간 경과 후 여재를 세척 및 교환하게 되는데, 상기 모래여과기는 그 구조상 세척 및 교환작업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여재를 사용하므로 각 여재의 수명 및 성질이 서로 달라 여재의 관리 및 교체시기 조정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동일한 여재로 이루어진 여과층을 다단으로 구성하고, 각 여과층에 다수개의 스트레이너를 설치하여 각 여과층 단위로 오폐수 처리 및 역세척 장치를 장착함으로써 관리 및 세척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오폐수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일정 길이 이상의 스트레이너를 장착함으로써, 역세척시 각 여과층의 여재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오폐수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폐수 처리장치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보여주는 상세 측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 및 정화된 오폐수가 배출되는 배출관이 장착되는 여과조와, 상기 여과조의 내부에 장착되어 내부공간을 층 분리하며, 다수개의 홀이 형성됨으로써 유입된 오폐수가 상기 다수개의 홀을 통하여 순차적으로 하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분리판과, 상기 다수개의 분리판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각각 적층되어 상기 다수개의 홀을 통하여 유입된 오폐수를 여과시킴으로써 정수를 생성하는 다수개의 여과층과, 상기 여과조의 측면에 일체로 연결되며 그 일단부가 상기 다수개의 여과층의 상부공간에 연통됨으로써, 각 여과층의 상부공간에 모인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가능한 다수개의 세척수 배출관과, 그리고 상기 여과조에 장착되어 세척수를 상기 여과조의 내부에 상향으로 분사함으로써, 다수개의 여과층에 잔재된 이물질을 세척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세척 부재를 포함하는 오폐수 여과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다수개의 분리판은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이며, 상기 다수개의 홀에는 그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스트레이너가 하부로 각각 돌출 형성되어, 각 여과층의 일부 여재가 상기 스트레이너를 통하여 상,하부 여과층으로 이동하여 각 여과층에서 일정량의 여재층 형성을 유도하고 여재층 상단에 상기 스트레이너 길이보다 두꺼운 유체층을 유도하여 상기 여재를 배제하고 오폐수 유입 및 세척수 배출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역세척 부재는 상기 여과조의 하부에 장착되어 세척수 및 압축공기를 상기 여과조의 내부로 분사하는 세척수 및 공기 유입관과, 상기 다수개의 여과층을 통과한 정수가 상기 세척수 및 공기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일방향 밸브와, 상기 여재가 상기 세척수 및 공기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름망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여과조는 받침대에 힌지가능하게 장착되어, 필요시 거꾸로 뒤집히므로써 다수개의 여과층을 교반가능하다.
상기 각 여과층은 상부로부터 유체층, 여재층, 홀이 형성된 스트레이너로 구성되어 있어, 각 여과층을 통과하는 유체속도가 하부로 갈수록 증가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여과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폐수 처리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제안하는 오폐수 여과장치는 오폐수가 유입되는 여과조(1)와, 상기 여과조(1)의 내부에 다단으로 장착되어 오폐수를 순차적으로 통과시키는 다수개의 분리판(8)과, 상기 분리판(8)에 의하여 구획된 공간에 형성되어 오폐수를 여과하는 다수개의 여과층(20)과, 상기 세척수와 공기에 의하여 여과조(1)의 내부를 역세척하는 세척장치(14)와, 그리고 상기 여과조(1)를 힌지가능하게 지지하는 받침대(12)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오폐수 여과장치는 오폐수를 저장하는 저장조(18)에 유입관(2)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저장조(18)의 오폐수가 여과조(1)로 유입되며, 유입된 오폐수는 상기 여과조(1)에 의하여 여과되어 배출관(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시스템을 갖는다.
상기 여과조(1)는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상을 갖으며 그 하부(13)는 직경이 점차로 감소하는 깔때기 형상이다. 이러한 여과조(1)의 상부 일측에는 유입관(2)이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유입관(2)은 오폐수가 저장되는 저장조(18)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저장조(18)로부터 오폐수가 상기 유입관(2)을 통하여 상기 여과조(1)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관(2)의 중간부에는 제1 개폐밸브(5)가 장착됨으로써 상기 유입관(2)을 통하여 유입되는 오폐수를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여과조(1)는 다수개의 분리판(8; 이하 분리판)에 의하여 그 내부가 다수개로 구획되며, 분리판(8)의 사이에는 여과층(20)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판(8)은 오폐수 여과장치의 목적에 따라 2개 혹은 그 이상이 장착 가능하다.
상기 분리판(8)은 소정 두께를 갖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이며, 상기 여과조(1)의 내부에 밀봉적으로 장착되어 여과조(1)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판(8)은 다수개의 홀(9)이 형성됨으로써 오폐수의 이동통로가 된다. 즉, 오폐수는 상기 분리판(8)의 다수개의 홀(9)을 통하여만 아래층 혹은 상부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홀(9)에는 하방으로 스트레이너(29)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스트레이너(29)는 그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다수개의 홀(9)에 연통됨으로써, 오폐수가 상기 다수개의 홀(9)과 스트레이너(29)를 통과하여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역세척시에는 오폐수가 상기 스트레이너(29)를 통하여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스트레이너(29)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길이를 가지며, 각 여과층(20)의 일부 여재가 상기 스트레이너(29)를 통하여 상, 하부 여과층으로 이동하여 상,하부 여과층의 여재량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준다. 즉, 스트레이너(29) 하단부위(29a)까지만 여재가 쌓일수 있고 그 이상이 될 때는 역세척시 여재가 상단으로 이동하며, 반대로 여재가 스트레이너(29) 하단부위(29a) 이하로 그 양이 적을 경우 하향 여과시 일부의 여재가 하단으로 이송된다.
한편, 상기 다수개의 여과층(20)은, 상기 다수개의 분리판(8)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소정 성분의 여재가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여재는 적층시 오폐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공극을 갖는 성분, 즉 모래, 자갈, 활성탄 등의 성분을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여과층(20)에 각각 적층되는 여재는 동일한 성분의 여재가 적층된다. 즉, 가장 상부 여과층의 여재가 모래인 경우는 다른 여과층도 모래로 이루어지며, 자갈인 경우는 다른 여과층도 자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각 여과층의 여재가 교환시기 및 성분이 동일하므로 관리가 용이해 진다.
그리고, 여과조를 다단의 여과층으로 구획함으로써, 각 여과층의 면적의 합이 총 여과면적이 되므로 여과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다수개의 여과층(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면(20a)이 상기 분리판(8)의 스트레이너(29)의 저면(29a)보다 소정거리 낮은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여과층(20)의 상면(20a)과 분리판(8)의 저면(8a)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에는 오폐수 및 세척작업에서 발생한 이물질이 모이는 유체층(33)이 형성된다.
따라서, 각 여과층(20)은 상부로부터 유체층(33), 여재층(20), 스트레이너(29)의 3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3단계층을 통과하여 하방으로 흐르는 오폐수의 선속도는 점진적, 즉 3단계로 증가하게 되므로, 이물질이 여재에 부착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체층(33)에 모인 이물질은 각 여과층(20)의 세척수 배출관(3,3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세척수 배출관(3)은 도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과조(1)의 측면에 일 열로 배열된다. 즉, 상기 다수개의 세척수 배출관(3)은 각 여과층(20)의 상부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간에 모인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세척수 배출관(3)은 상기 스트레이너(29) 및 여과층(20) 보다 높게 위치함으로써, 상기 여재가 상기 세척수 배출관(3)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이러한 다수개의 세척수 배출관(3)의 단부에는 밸브(6)가 각각 장착됨으로써 각 여과층(20)의 세척수를 동시에 혹은 순차적으로 배출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여과조(1)의 내부에 유입된 오폐수는 상기 다수개의 여과층(20)을 거치면서 여과되며, 상기 여과조(1)의 깔때기 형상의 하부(13)에 모이게 된다.
상기 여과조(1)의 하부 일측면에는 배출관(4)이 외부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배출관(4)을 통하여 여과된 정수가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4)의 단부에는 제2 개폐밸브(7)가 장착되어 정수의 배출을 조절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여과조(1)의 하부 저면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역세척장치(14)가 장착된다. 상기 역세척장치(14)는 상기 여과조(1) 내부의 각 여과층(20)에 잔재하는 이물질을 세척수 및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세척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역세척장치(14)는 상기 여과조(1)의 내부로 세척수를 유입하는 세척수 유입관(15)과,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유입관(16)과, 상기 여과조(1) 내부의 정수가 상기 세척수 및 공기 유입관(15,16)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일 방향 밸브(17)와, 상기 여과조(1) 내부의 모래가 세척수 및 공기 유입관(15,16)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름망(23)을 포함한다.
상기 세척수 유입관(15)은 구동펌프(도시안됨) 등에 의하여 모래 등의 여재를 세척할 수 있는 세척수를 상기 여과조(1)의 하부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공기 유입관(16)도 송풍기 등에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상기 여과조(1)의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여재를 세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일 방향밸브(17)는 여과작업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닫혀있는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정수가 상기 일방향 밸브(17)를 통하여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세척시에는 개방함으로써 세척수와 공기가 상기 여과조(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걸름망(23)은 상기 여과조(1)의 하부(13) 내측면에 지지되며, 상기 걸름망(23)은 소정 매쉬(Mesh)의 눈 크기를 가지므로써 각 여과층(20)의 여재가 상기 세척수 및 공기 유입관(15,16)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걸름망(23)은 상기 세척수 및 공기 유입관(15,16)의 소정 거리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세척수 및 공기는 상기 걸름망(23)의 눈을 통과하거나 우회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여과조(1)는 받침대(12)에 의하여 힌지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상기 여과조(1)의 외부면 소정위치에는 힌지축(10)이 돌출되며, 상기 힌지축(10)은 한 쌍의 수직바(11)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여과조(1)는 지지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화살표 방향(22)을 따라 힌지운동을 함으로써 상부, 하부가 뒤집혀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여과조(1)를 뒤집는 경우는 세척작업을 하는 경우이다. 즉, 역세척 과정을 통하여 상기 여과조(1)의 내부 여재를 세척하고, 필요한 경우 상기 여과조(1)를 뒤집어서 세척을 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유입관(2), 배출관(4), 다수개의 세척수 배출관(3)의 연결상태를 모두 해제하고, 상기 배출관(4)을 통하여 세척수를 유입하여 상기 여과조(1)의 내부를 세척하게 된다. 그리고, 세척된 후의 이물질 및 세척수는 상기 보조 배출관(2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여과조(1)는 거꾸로 뒤집힌 상태이므로 이러한 작업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여과장치의 작동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오폐수를 여과하는 경우, 먼저 유입관(2)의 제1 개폐밸브(5)를 개방함으로써 저장조(18)에 저장된 오폐수를 여과조(1)의 내부로 유입시킨다. 유입된 오폐수는 상기 제1 분리판(24)의 내부에 저장되며, 점차로 제1 분리판(24)의 다수개의 스트레이너(29)를 통하여 상부 여과층으로 유입된다. 상부 여과층으로 유입된 오폐수는 여재를 통과하는 동안 이물질이 여재에 형성된 공극에 의하여 걸러지게 된다.
상부 여과층을 통과한 오폐수는 다시 제2 분리판(25)의 다수개의 스트레이너(29)를 통하여 하부 여과층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오폐수는 제 3 및 제 4 분리판(26,27)의 다수개의 스트레이너(29)를 통하여 하부로 이동하게 되며, 이동하는 과정에서 다수개의 여과층(20)에 의하여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그리고, 가장 하부의 여과층을 통과한 정수는 여과조(1)의 하부에 모이게 되며, 배출관(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화된 물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오폐수 여과장치를 소정 시간 사용하게 되면, 상기 여재에는 이물질이 잔재하게 되고 이를 역세척장치(14)에 의하여 세척하게 된다.
역세척 공정에 있어서는, 먼저 상기 유입관(2)의 연결밸브(31) 및 배출관(4)의 제2 밸브(7)를 닫으므로써 오폐수의 유입 및 정수의 배출을 막는다.
그리고, 다수개의 세척수 배출관(3)에 각각 장착된 개폐밸브(6) 및 역세척장치(14)에 부착된 일방향 밸브(17)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개폐밸브(6)를 동시에 개방할 수도 있고, 순차적으로 개방할 수도 있다.
개폐밸브(6) 및 일방향 밸브(17) 개방 후, 세척수 유입관(15) 및 공기 유입관(16)을 통하여 세척수와 압축공기를 상기 여과조(1)의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세척수 및 압축공기는 소정의 압력으로 분사되며, 걸름망(23)을 통과하여 여과조(1)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부로 분사된 세척수와 공기는 가장 하부의 여과층의 여재를 소정 압력으로 가압하므로써 상기 여재를 섞게 된다. 이때, 상기 여재에 함유된 이물질은 여재로부터 분리되어 세척수에 의하여 부유함으로써 여재의 상면(20a)과 제4 분리판(27)의 저면에 형성된 공간에 모이게 된다. 그리고, 부유상태의 이물질은 가장 하부의 세척수 배출관(3)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세척작업을 수행하면서, 상기 세척수 및 공기는 상부로 계속하여 분사됨으로써 제 3, 2, 1 분리판(26,25,24)을 통과하게 되며, 각 여과층(20)에서 이물질을 여재로부터 분리하여 다수개의 세척수 배출관(3)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여과조(1) 내부의 이물질이 제거됨으로써 상기 여재의 세척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이러한 세척과정에 있어서 각 여과층(20)의 구석부에 잔재된 이물질은 쉽게 배출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석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여과조(1)를 뒤집어서 세척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유입관(2), 배출관(4), 다수개의 세척수 배출관(3)의 연결상태를 모두 해제하고, 상기 배출관(4)을 통하여 세척수를 유입하여 상기 여과조(1)의 내부를 세척하게 된다. 그리고, 세척된 후의 이물질 및 세척수는 상기 보조 배출관(2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여과조(1)는 거꾸로 뒤집힌 상태이므로 이러한 작업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오폐수 여과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여과조의 내부를 다수개의 분리판에 의하여 구획함으로써 여과층을 다단으로 형성하고, 이러한 다단의 여과층에 오폐수를 통과시킴으로써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각 여과층의 단면적의 합이 총 여과 면적이 되므로 다단으로 할수록 여과면적이 증가하며, 일예로는 10배 이상 증가하게 된다.
둘째, 각 여과층의 여재를 동일한 성분으로 구성함으로써 여재의 교체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다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단일여재를 사용하고 상단보다 하단에서 받는 부하가 낮고 폐수를 각 단의 투과력을 고려하여 주입하므로 일정한 여과속도와 처리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셋째, 다수개의 분리판에 다수개의 스트레이너를 하부로 각각 돌출 형성함으로써 역세척 작업시 상,하부의 여재가 상부 여과층으로 이동하여 상하단의 여재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넷째, 여과조 본체를 받침대에 힌지가능한 구조로 장착함으로써 필요시 뒤집어서 세척함으로써 여재에 잔재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다섯째, 각 여과층별로 3단계로(유체층, 여재층, 스트레이너) 유속을 변화시킬 수 있어 완만한 유속을 갖는 여재층의 상단에서 집중적으로 이물질을 흡착시킬 수 있어 처리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여섯째, 각 여과층별로 얇은 여과층을 통해서 역세척을 실시하고 상부의 중력이 각 여과층에서 차단되므로 역세척시 동력 소모량이 낮고 반대로 역세척 효율은 향상시킬 수 있다.
일곱째, 상단에 일정한 여재를 주입하거나 소모된 여재를 보충하는 경우, 다만 최상단 부위에 여재를 투입하면 자동적으로 전체에 분배되어 별도의 분배장치가 요구되지 않는다.
여덟째, 다단으로 여과층을 형성하여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소규모로 대용량의 처리가 가능하며, 동력비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하게 변경실시 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Claims (5)

  1.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 및 정화된 오폐수가 배출되는 배출관이 장착되는 여과조;
    상기 여과조의 내부에 장착되어 내부공간을 층 분리하며, 다수개의 홀이 형성됨으로써 유입된 오폐수가 상기 다수개의 홀을 통하여 순차적으로 하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분리판;
    상기 다수개의 분리판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각각 적층되어 상기 다수개의 홀을 통하여 유입된 오폐수를 여과시킴으로써 정수를 생성하는 다수개의 여과층;
    상기 여과조의 측면에 일체로 연결되며 그 일단부가 상기 다수개의 여과층의 상부공간에 연통됨으로써, 각 여과층의 상부공간에 모인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가능한 다수개의 세척수 배출관; 그리고
    상기 여과조에 장착되어 세척수를 상기 여과조의 내부에 상향으로 분사함으로써, 다수개의 여과층에 잔재된 이물질을 세척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세척 부재를 포함하는 오폐수 여과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분리판은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이며, 상기 다수개의 홀에는 그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스트레이너가 하부로 각각 돌출 형성되어, 각 여과층의 일부 여재가 상기 스트레이너를 통하여 상,하부 여과층으로 이동하여 각 여과층에서 일정량의 여재층 형성을 유도하고 여재층 상단에 상기 스트레이너 길이보다 두꺼운 유체층을 유도하여 상기 여재를 배제하고 오폐수 유입 및 세척수 배출이 가능한 오폐수 여과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척 부재는 상기 여과조의 하부에 장착되어 세척수 및 압축공기를 상기 여과조의 내부로 분사하는 세척수 및 공기 유입관과, 상기 다수개의 여과층을 통과한 정수가 상기 세척수 및 공기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일방향 밸브와, 상기 여재가 상기 세척수 및 공기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름망을 포함하는 오폐수 여과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는 받침대에 힌지가능하게 장착되어, 필요시 거꾸로 뒤집히므로써 다수개의 여과층을 교반가능한 오폐수 여과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여과층은 상부로부터 유체층, 여재층, 홀이 형성된 스트레이너로 구성되어 있어, 각 여과층을 통과하는 유체속도가 하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오폐수 여과장치.
KR2020000032106U 2000-11-16 2000-11-16 다단의 여과층이 구비된 오폐수 여과장치 KR2002225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106U KR200222527Y1 (ko) 2000-11-16 2000-11-16 다단의 여과층이 구비된 오폐수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106U KR200222527Y1 (ko) 2000-11-16 2000-11-16 다단의 여과층이 구비된 오폐수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527Y1 true KR200222527Y1 (ko) 2001-05-02

Family

ID=73060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106U KR200222527Y1 (ko) 2000-11-16 2000-11-16 다단의 여과층이 구비된 오폐수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527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680B1 (ko) * 2003-07-04 2005-10-11 지철권 역세척형 여과조를 갖는 수처리설비
KR100745121B1 (ko) 2006-03-28 2007-08-07 (주)한맥기술 여과장치
KR100758508B1 (ko) * 2006-04-20 2007-09-13 박주성 오,폐수 정화장치
KR100887607B1 (ko) 2007-04-19 2009-03-13 주식회사 다소 세라믹볼의 세척이 용이한 활수기
WO2011126175A1 (ko) * 2010-04-06 2011-10-13 에스아이비(주) 상향류식 여과장치
KR101277729B1 (ko) * 2011-03-30 2013-06-24 현대제철 주식회사 유체처리 실험 장치
KR101562335B1 (ko) 2015-05-20 2015-10-22 아이펙이엔지 주식회사 선회류를 이용한 유체 정화장치 및 방법
KR101781496B1 (ko) * 2015-07-27 2017-09-2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다단 여과장치 및 여과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680B1 (ko) * 2003-07-04 2005-10-11 지철권 역세척형 여과조를 갖는 수처리설비
KR100745121B1 (ko) 2006-03-28 2007-08-07 (주)한맥기술 여과장치
KR100758508B1 (ko) * 2006-04-20 2007-09-13 박주성 오,폐수 정화장치
KR100887607B1 (ko) 2007-04-19 2009-03-13 주식회사 다소 세라믹볼의 세척이 용이한 활수기
WO2011126175A1 (ko) * 2010-04-06 2011-10-13 에스아이비(주) 상향류식 여과장치
KR101180746B1 (ko) * 2010-04-06 2012-09-07 에스아이비(주) 상향류식 여과장치
KR101277729B1 (ko) * 2011-03-30 2013-06-24 현대제철 주식회사 유체처리 실험 장치
KR101562335B1 (ko) 2015-05-20 2015-10-22 아이펙이엔지 주식회사 선회류를 이용한 유체 정화장치 및 방법
KR101781496B1 (ko) * 2015-07-27 2017-09-2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다단 여과장치 및 여과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53796A (zh) 重力纤维过滤器
KR200222527Y1 (ko) 다단의 여과층이 구비된 오폐수 여과장치
KR101546880B1 (ko)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18627Y1 (ko) 공기를 이용한 샤워폐수 여과장치
KR101546879B1 (ko)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용 정화장치
KR100949058B1 (ko) 여과장치
KR20050090058A (ko) 모래여과조와 막분리여과조의 복합기능을 구비한 일체형자동화 정수시스템
KR102164890B1 (ko) 중력식 정수장치
JP5523734B2 (ja) ドレン水浄化装置
KR101733789B1 (ko) 여과재의 비중 차를 이용한 우수처리장치
CN207361912U (zh) 一种精蒽咔唑生产线的污水深度净化系统
JP5248938B2 (ja) 汚水処理装置
JP2600966Y2 (ja) 濾過浄化装置を有する人工河川
JPH10151500A (ja) 汚水浄化槽
JPH09164304A (ja) 濾過浄水装置
KR100718791B1 (ko) 수처리용 침지형 여과장치
KR101954161B1 (ko) 탈부착이 용이한 알갱이형 여재를 사용하는 다단 상향류 균일 흡착 정수장치
KR102466980B1 (ko) 프리코팅 여과장치
KR102050980B1 (ko) 여과공정 및 역세공정을 갖는 여과 시스템
KR100942810B1 (ko) 유체 여과장치
KR200344030Y1 (ko) 물을 이용하여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정화장치
WO2004045742A1 (en) Water filter and a method of water purification, backwashing and rinsing
RU16969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JP2003062409A (ja) 濾過装置
KR20160142715A (ko)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