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8044A -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 - Google Patents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8044A
KR20060118044A KR1020050040471A KR20050040471A KR20060118044A KR 20060118044 A KR20060118044 A KR 20060118044A KR 1020050040471 A KR1020050040471 A KR 1020050040471A KR 20050040471 A KR20050040471 A KR 20050040471A KR 20060118044 A KR20060118044 A KR 20060118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lter
sewage
cover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3119B1 (ko
Inventor
김원주
Original Assignee
김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주 filed Critical 김원주
Priority to KR1020050040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3119B1/ko
Publication of KR20060118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 또는 우수에 포함된 오물을 선별하여 퇴적시키는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에 관한 것으로 우수, 오수 및 오물을 포함하는 유동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집수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집수구는 소정깊이에서 내부의 폭이 하방으로 좁아져 안착부(11)가 형성된 집수관(10)과, 상기 집수관(10)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전면에 다수의 유입공(21,22)이 형성된 덮개(20)와, 상기 집수관(10)에 형성된 안착부(11)에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덮개(20)를 통해 유동되는 유동체 중 우수 및 오수와 같은 액체는 걸러주고, 오물은 퇴적시켜 주는 유동체 선별수단(30)으로 이루어진다.
교량, 집수구, 집수관, 배수관, 오물, 퇴적

Description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Collect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 for sanitarily sewage}
도 1은 교량에 설치된 종래의 집수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를 나타낸 분해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구성 중 유동체 선별수단을 나타낸 요부절개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를 나타낸 분해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집수관 11 : 안착부
12 : 덮개 안착턱 20 : 덮개
21,22 : 유입공 23 : 끼움부
30,A : 유동체 선별수단 31 : 몸통
32,60 : 프레임 32a,64 : 고정바
32b : 테두리 33 : 상판 필터
34 : 측부 필터 35 : 오물퇴적공간
40 : 고정부재 41,65 : 고정편
42,52,66 : 나사 50,80 : 필터 고정부재
51 : 환형 띠 61 : 상부 테두리
62 : 이음 테두리 63 : 하부 테두리
70 : 필터 S : 공간
본 발명은 오수 또는 우수에 포함된 오물을 선별하여 퇴적시키는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상판에 설치되는 집수구의 내부에 유동체에 포함된 오물을 퇴적시키는 수단 및 그 퇴적된 오물을 수거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시켜 집수관 및 배수관의 막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도 추가적으로 예방되는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상판에 설치되어 우수 및 오수 등의 유동체가 하천 등과 같은 외부로 배수되도록 유동체를 집수시켜 주는 교량용 집수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1)와 아스콘(2)으로 덮여진 교량 상판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데 그 구조는 슬래브(1)에 집수관(3)이 매립되고, 그 매립된 집수관(3)의 상단에는 다수의 유입공(4a)이 형성된 덮개(4)가 안착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집수관(3)의 하단은 배수관(도시하지 않음)과 연결고정되어 있어 외부로 유동체가 배수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교량용 집수구가 설치된 교량 상에 우수 또는 오수를 포함하는 유동체가 발생할 경우 그 발생된 유동체는 덮개(3)의 유입공(4a)을 통해 집수관(3)으로 유동되고, 그 유동된 유동체는 배수관(5)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그런데, 종래의 교량용 집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동체에는 우수 및 오수뿐만 아니라 오물(낙엽, 지푸라기 및 각종 생활쓰레기)도 포함되어 유동되기 때문에 집수관(3)의 내부 또는 배수관의 내부에 퇴적되어 집수관(3) 또는 배수관을 막히게 함으로써 집수구의 배수기능을 저해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고자 덮개(4)에 형성된 유입공(4a)의 크기를 작게 할 경우 오물이 덮개(4) 상에 퇴적되기 때문에 이 또한 집수구의 배수기능을 저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교량에 설치된 배수관은 매우 긴 길이(통상 10m 또는 그 이상)를 가지기 때문에 퇴적된 오물에 배수관이 막힌 경우 이를 제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집수관(3) 또는 배수관에 퇴적되지 않은 오물은 외부인 하천 등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야기시키는 폐단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의 상판에 설치되는 집수구의 내부에 유동체에 포함된 오물을 퇴적시키는 수단 및 그 퇴적된 오물을 수거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시킴으로써 집수관 및 배수관의 막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환경오염도 추가적으로 예방되는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를 나타낸 분해상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구성 중 유동체 선별수단을 나타낸 요부절개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우수, 오수 및 오물을 포함하는 유동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집수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집수구는, 소정깊이에서 내부의 폭이 하방으로 좁아져 안착부(11)가 형성된 집수관(10)과, 상기 집수관(10)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전면에 다수의 유입공(21,22)이 형성된 덮개(20)와, 상기 집수관(10)에 형성된 안착부(11)에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덮개(20)를 통해 유동되는 유동체 중 우수 및 오수와 같은 액체는 걸러주고, 오물은 퇴적시켜 주는 유동체 선별수단(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20)는 교량 상에서 흐르는 유동체가 유입될 수 있게 전면에 다수의 유입공(21,22)이 형성되어 있는데 폭우 또는 교량청소로 인해 발생하는 오수의 급증과 같이 유동체의 양이 많을 경우에도 원활하게 유동체가 유입되도록 덮개(20)의 전면에 형성된 다수의 유입공(21,22) 중 교량 상판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유동체가 최초로 닿는 전면의 가장자리 부분에 유입공(22)이 형성된 면은 소정각도로 하향되게 형성되도록 제작함으로써 유입공(22)의 유동면적을 크게 하여 준다.
상기 덮개(20)는 집수관(10)에 견고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덮개(20)의 하단에는 상기 집수관(10)의 내경에 끼워지는 끼움부(23)가 구비된다.
상기 유동체 선별수단(30)은, 상,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집수관(10)에 형성된 안착부(11) 상에 안착될 수 있게 상기 안착부(11)의 폭에 대응하여 상부는 폭이 넓고 하부는 폭이 좁게 형성된 몸통(31)과, 일측부가 상기 몸통(31)의 하부의 내측면에 소정간격마다 고정설치되는 복수의 고정바(32a) 및 상기 복수의 고정바(32a)의 상단에 고정설치되는 테두리(32b)로 이루어진 프레임(32)과, 상기 프레임(32)의 상부를 덮는 상판 필터(33)와, 상기 프레임(32)의 하부측면을 감싸는 측부 필터(34)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32)의 하부측면에 감싸여진 상기 측부 필터(34)에 의해 상기 프레임(32)과 상기 몸통(31) 사이에 오물퇴적공간(35)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덮개(20)를 통해 유동되는 유동체 중 오물은 상판 필터(33) 또는 오물퇴적공간(35)에 퇴적되고, 우수 및 오수와 같은 액체는 상판 필터(33) 및 측부 필터(34)를 통해 집수관(10)으로 유동되어 배수관(5)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그리고 퇴적되는 오물이 상판 필터 및 측부 필터(34)를 막을 경우에도 유동되는 우수 및 오수는 측부 필터(34)가 덮여지지 않아 형성된 프레임(32) 상부의 개방된 공간(S)을 통해 집수관(10)으로 유동되기 때문에 유입되는 오물의 경우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원활한 배수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집수관(10)에 형성된 안착부(11)의 소정깊이는 상기 덮개(20)를 제거한 상태에서 관리자의 손이 상기 프레임(32)을 잡을 수 있는 정도의 깊이이다.
또한, 상기 복수의 고정바(32a)와 테두리(32b)로 이루어진 프레임(32)은 고정부재(40)에 의해 상기 집수관(10)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고정부재(40)는 고정편(41)과 나사(42)로 이루어지되, 고정편(41)의 일단부가 상기 프레임(32)의 상부 측면에 고정되고, 고정편(41)의 타단부가 상기 집수관(10)의 내측면에 접촉위치되어 그 위치된 고정편(41)의 타단부와 집수관(10)의 내측면간에 나사(42)체결된다.
상기 상판 필터(33)와 상기 측부 필터(34)는 필터 고정부재(50)에 의해 상기 프레임(32)에 고정된다.
여기서, 필터 고정부재(50)는 양단부에 체결공이 구비된 환형 띠(51)와, 나사(52)로 이루어져 있어 먼저, 상판 필터(33)를 프레임(32)의 상부에 덮으면 상판 필터(33)의 가장자리 부분이 프레임(32)의 상측면에 놓이게 되고, 그 프레임(32)의 상측면에 놓여진 상판 필터(33)의 가장자리 부분에 환형 띠(51)를 감싼다. 이후, 그 감싸여진 환형 띠(51)의 양단부에 형성된 체결공에 나사(52)를 체결하여 조임고정함으로써 프레임(32)의 상부에 상판 필터(33)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은 고정방법을 이용하여 프레임(32)의 하부측면에 측부 필터(34)를 고정할 수 있으며,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측부 필터(34)의 상,하부에 각각 2개의 고정부재(50)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 하나인 교량용 집수구는 슬래브(1)와 아스콘(2)으로 덮여진 교량 상판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는데 그 구조는 슬래브(1) 양생 시 배수관(5)에 집수관(10)을 매립한다.
여기서, 배수관(5)과 집수관(10)의 연결고정은 배수관(5)과 집수관(10)이 맞닿는 부분에 패킹으로 감싼 후 그 감사여진 패킹의 양단부에 나사체결하여 고정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후, 집수관(10) 상단부의 내측에 형성된 덮개 안착턱(12) 상에 덮개(20)를 안착시켜 설치를 완료한다.
이와 같이, 교량상판에 설치된 본 발명의 실시예인 교량용 집수구를 통해 우수 및 오수에 오물이 포함된 유동체가 발생할 경우 그 발생된 유동체는 덮개(20)에 형성된 다수의 유입공(21,22)을 통해 유입된다.
이때, 덮개(20)에 형성된 다수의 유입공(21,22) 중 교량 상판인 아스콘(1) 상에서 흘러내리는 유동체가 최초로 닿는 덮개(20) 가장자리 부분에 유입공(22)이 형성된 면은 소정각도로 하향되게 형성되어 있어 유동체의 유동면적을 극대화했기 때문에 폭우 또는 교량청소로 인해 발생하는 오수의 급증과 같이 유동체의 양이 많을 경우에도 원활하게 유동체가 배수관(10)으로 유입된다.
덮개(20)를 통해 유입되는 유동체는 먼저 프레임(32)의 상부에 덮혀진 상판 필터(33)로 유동된다.
도달된 유동체 중 오물은 상판 필터(33) 상에 퇴적되고, 우수 및 오수는 상판 필터(33)를 통과하여 집수관(10)으로 유입된다. 이후, 유입된 우수 및 오수는 배수관(5)을 통해 하천과 같은 외부로 방출된다.
또한, 상판 필터(33)에 퇴적된 오물의 양이 많아 상판 필터(33)에 퇴적된 오물이 프레임(32)의 측면으로 떨어진다 하더라도 프레임(32)의 측면으로 떨어진 오물은 프레임(32)의 하부측면에 감싸여진 측부 필터(34)에 의해 프레임(32)과 몸통(31) 사이에 형성된 오물퇴적공간(35) 상에 재차 퇴적된다.
그리고 교각을 관리하는 관리자는 유지보수를 위해 소정기간마다 교각의 상판에 설치된 본 발명의 실시예인 집수구에 안착된 덮개(20)를 제거한다.
이후, 고정부재(40)에 의해 나사체결된 집수관(10)과 프레임(32)의 나사고정을 해제하고, 프레임(32)을 집수관(10)으로부터 꺼내어 상판 필터(33) 상과 오물퇴적공간(35) 상에 퇴적된 오물들을 수거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집수관(10) 및 배수관(5)의 막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도 추가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폭우 또는 교량청소로 인해 발생하는 오수 및 우수가 급증할 경우 상판 필터(33) 및 측부 필터를 통과하지 못한 오수 및 우수는 프레임(32)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된 공간(S)을 통해 집수관(10)으로 유동되기 때문에 이때에도 원활한 배수기능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를 나타낸 분 해상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언급하기에 앞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일한 구성에 의한 작용설명은 제외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우수, 오수 및 오물을 포함하는 유동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집수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집수구는, 상부 내측에 덮개 안착턱(12)이 구비되고, 소정깊이에서 내부의 폭이 하방으로 좁아져 안착부(11)가 형성된 집수관(10)과, 상기 집수관(10)의 안착턱(11)에 안착되는 것으로 전면에 다수의 유입공(21,22)이 형성된 덮개(20)와, 상기 덮개(20)의 내측면에 나사체결되는 유동체선별수단(A)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유동체선별수단(A)은, 상부 테두리(61), 이음 테두리(62), 하부 테두리(63)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적층배치되고, 상기 적층배치된 상부 테두리(61), 이음 테두리(62), 하부 테두리(63)가 복수의 고정바(64)에 의해 고정연결된 프레임(60)과, 상기 프레임(60)의 바닥과 하부측면을 감싸는 필터(70)와, 상기 프레임(60)에 감싸여진 필터(70)를 고정시키는 필터 고정부재(8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테두리(61)와 이음 테두리(62)는 동일한 폭을 갖고, 상기 하부 테두리(63)는 이음 테두리(62)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20)의 내측면과 유동체선별수단(A) 간의 연결고정은 고정편(65)의 일단부가 프레임(60)을 구성하는 고정바(64)의 상부 외측단에 고정되고, 고정편(65)의 타단부가 상기 덮개(20)의 내측면에 위치되어, 그 위치된 고정편(65) 의 타단부와 덮개(20)의 내측면 간에 나사(66)체결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교량용 집수구를 통해 우수 및 오수에 오물이 포함된 유동체가 발생할 경우 그 발생된 유동체는 덮개(20)에 형성된 다수의 유입공(21,22)을 통해 유입된다.
덮개(20)를 통해 유입되는 유동체는 덮개(20)와 나사체결된 프레임(60)의 바닥쪽으로 떨어진다. 이때, 프레임(60)의 바닥과 하부측면은 필터(70)로 감싸여져 있기 때문에 떨어지는 유동체 중 오물은 필터(70) 상에 퇴적되고, 우수 및 오수는 필터(70)를 통과하여 집수관(10)으로 유입된다. 이후, 유입된 우수 및 오수는 배수관(5)을 통해 하천과 같은 외부로 방출된다.
또한, 폭우 또는 교량청소로 인해 발생하는 오수 및 우수가 급증할 경우 필터(70)를 통과하지 못한 오수 및 우수는 프레임(70)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된 공간(S)을 통해 집수관(10)으로 유동되기 때문에 이때에도 원활한 배수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교각을 관리하는 관리자는 유지보수를 위해 소정기간마다 교각의 상판에 설치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집수구에 안착된 덮개(20)를 제거 시 그 제거되는 덮개(20)와 나사체결된 프레임(70)도 함께 들려지기 때문에 개방된 공간(S)부분을 통해 덮개(20)와 프레임(70) 간을 고정시켜 주는 나사(66)를 체결해제한 후 프레임(70)의 바닥에 퇴적된 오물을 수거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집수관(10) 및 배수관(5)의 막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도 추가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덮개를 통해 유입되는 오물을 포함하는 유동체 중 오물만이 집수관에 형성된 필터 또는 오물퇴적공간에 퇴적되기 때문에 집수관 및 배수관의 막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환경오염도 추가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집수관의 퇴적된 오물의 수거도 용이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편리한 효과도 있다.
또한, 덮개에 형성된 다수의 유입공 중 교량 상판인 아스콘 상에서 흘러내리는 유동체가 최초로 닿는 덮개 가장자리 부분에 유입공이 형성된 면은 소정각도로 하향되게 형성되어 있어 교량 상판으로부터 유동되는 유동체의 양이 많을 경우에도 원활하게 유동체가 배수관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Claims (6)

  1. 우수, 오수 및 오물을 포함하는 유동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집수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집수구는,
    소정깊이에서 내부의 폭이 하방으로 좁아져 안착부(11)가 형성된 집수관(10)과,
    상기 집수관(10)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전면에 다수의 유입공(21,22)이 형성된 덮개(20)와,
    상기 집수관(10)에 형성된 안착부(11)에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덮개(20)를 통해 유동되는 유동체 중 우수 및 오수와 같은 액체는 걸러주고, 오물은 퇴적시켜 주는 유동체 선별수단(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체 선별수단(30)은,
    상,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집수관(10)에 형성된 안착부(11) 상에 안착될 수 있게 상기 안착부(11)의 폭에 대응하여 상부는 폭이 넓고 하부는 폭이 좁게 형성된 몸통(31)과,
    일측부가 상기 몸통(31)의 하부의 내측면에 소정간격마다 고정설치되는 복수의 고정바(32a) 및 상기 복수의 고정바(32a)의 상단에 고정설치되는 테두리(32b)로 이루어진 프레임(32)과,
    상기 프레임(32)의 상부를 덮는 상판 필터(33)와,
    상기 프레임(32)의 하부측면을 감싸는 측부 필터(34)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32)의 하부측면에 감싸여진 상기 측부 필터(34)에 의해 상기 프레임(32)과 상기 몸통(31) 사이에 오물퇴적공간(3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2)은 고정부재(40)에 의해 상기 집수관(10)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필터(33)와 상기 측부 필터(34)는 필터 고정부재(50)에 의해 상기 프레임(3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0)의 전면에 형성된 다수의 유입공(21,22) 중 가장자리 부분에 유입공(22)이 형성된 면은 소정각도로 하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집수관(10)에 형성된 안착부(11)의 소정깊이는 상기 덮개(20)를 제거한 상태에서 관리자의 손이 상기 프레임(32)을 잡을 수 있는 정도의 깊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
  6. 우수, 오수 및 오물을 포함하는 유동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집수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집수구는,
    상부 내측에 덮개 안착턱(12)이 구비되고, 소정깊이에서 내부의 폭이 하방으로 좁아져 안착부(11)가 형성된 집수관(10)과,
    상기 집수관(10)의 안착턱(11)에 안착되는 것으로 전면에 다수의 유입공(21,22)이 형성된 덮개(20)와,
    상기 덮개(20)의 내측면에 나사체결되는 유동체선별수단(A)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유동체선별수단(A)은, 상부 테두리(61), 이음 테두리(62), 하부 테두리(63)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적층배치되고, 상기 적층배치된 상부 테두리(61), 이음 테두리(62), 하부 테두리(63)가 복수의 고정바(64)에 의해 고정연결된 프레임(60)과, 상기 프레임(60)의 바닥과 하부측면을 감싸는 필터(70)와, 상기 프레임(60)에 감싸여진 필터(70)를 고정시키는 필터 고정부재(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
KR1020050040471A 2005-05-16 2005-05-16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 KR100683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471A KR100683119B1 (ko) 2005-05-16 2005-05-16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471A KR100683119B1 (ko) 2005-05-16 2005-05-16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044A true KR20060118044A (ko) 2006-11-23
KR100683119B1 KR100683119B1 (ko) 2007-02-15

Family

ID=37705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471A KR100683119B1 (ko) 2005-05-16 2005-05-16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311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944B1 (ko) * 2009-05-11 2010-05-26 김원주 초기우수 정화기능을 갖는 필터장착 교량용 배수장치
KR100972093B1 (ko) * 2009-05-11 2010-07-22 김원주 배수관 설치가 용이한 기밀구조의 교량용 집수장치
CN106894337A (zh) * 2016-04-29 2017-06-27 夏玉娟 桥梁桥面污水处理方法
KR200490374Y1 (ko) * 2019-05-29 2019-11-04 진효순 교량용 집수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301B1 (ko) 2008-04-03 2010-05-19 주식회사 리더스산업 배수성이 향상된 교량용 집수구
KR200460809Y1 (ko) * 2008-12-02 2012-06-11 삼우기연 주식회사 교량용 집수구
KR101084698B1 (ko) 2009-04-10 2011-11-22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교량 집수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957A (ko) * 2001-07-07 2003-01-15 태 찬 김 우단 흡수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944B1 (ko) * 2009-05-11 2010-05-26 김원주 초기우수 정화기능을 갖는 필터장착 교량용 배수장치
KR100972093B1 (ko) * 2009-05-11 2010-07-22 김원주 배수관 설치가 용이한 기밀구조의 교량용 집수장치
CN106894337A (zh) * 2016-04-29 2017-06-27 夏玉娟 桥梁桥面污水处理方法
KR200490374Y1 (ko) * 2019-05-29 2019-11-04 진효순 교량용 집수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3119B1 (ko) 200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3119B1 (ko)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
US20070199869A1 (en) Ground water collection system
KR100721237B1 (ko) 초기 우수에 의한 오염 방지기능을 갖는 교량용 집수장치
KR101277785B1 (ko) 거름망이 구비된 우수받이
KR20090126063A (ko) 오수받이
KR20160116250A (ko)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845544B1 (ko) 우수 및 오수 겸용 공공물받이
KR101098900B1 (ko) 교량용 집수구
KR200416118Y1 (ko) 우, 오수받이.
US6303032B1 (en) Portable multi-strainer
KR20110010631U (ko) 하수구용 이물질 거름 장치
KR20080105855A (ko) 쓰레기 걸름 장치
KR101710061B1 (ko) 기름 및 음식찌꺼기의 제거가 용이한 오수받이
KR101212948B1 (ko) 그리스 트랩
KR200228281Y1 (ko) 빗물받이 집수정의 악취방지 덮개
KR101027931B1 (ko) 집수구용 그레이팅
KR101175998B1 (ko)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을 겸비한 내장형 선배수시설
KR100729127B1 (ko) 집수구
KR101313042B1 (ko) 우수유입 및 토사분리 장치
JP6001754B1 (ja) 側溝用雨水排水装置
KR200349667Y1 (ko) 배수장치
KR102643814B1 (ko) 교량형 초기우수처리시설
KR200273503Y1 (ko) 세면대용 배수관의 침전물 제거장치
KR20110070253A (ko) 맨홀용 악취방지장치
KR200230720Y1 (ko) 우수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