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6250A -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6250A
KR20160116250A KR1020150043397A KR20150043397A KR20160116250A KR 20160116250 A KR20160116250 A KR 20160116250A KR 1020150043397 A KR1020150043397 A KR 1020150043397A KR 20150043397 A KR20150043397 A KR 20150043397A KR 20160116250 A KR20160116250 A KR 20160116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itial
straight pipe
pipe
hollow portion
rainf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3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3816B1 (ko
Inventor
김문호
권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리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리오
Priority to KR1020150043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816B1/ko
Publication of KR20160116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교량 내부에 결합된 집수구의 하부에 설치되어 강우시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을 정화처리하기 위한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수구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집수구를 통해 배출된 초기우수가 유입되도록 중공 형성되는 연직관과, 상기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이 정화처리 되도록 상기 연직관의 내측 하면에 이격된 상태로 상기 연직관의 내면에 밀착 결합되고, 상하로 다수개가 적층된 중앙에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중공부가 형성되는 여과수단과, 상기 중공부 내면에 외면이 밀착되도록 끼움 결합되고, 상단면은 폐쇄되고 외면에는 다수개의 타공홀이 관통되며, 상기 여과수단에 의해 상기 비점오염물질이 정화된 상기 초기우수가 상기 타공홀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어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연통관과, 상기 초기우수 이후 다량으로 유입된 후속강우가 상기 연직관의 상부 일측으로 월류하여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월류통로와, 상기 연통관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초기우수가 상기 연직관의 하부 일측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월류통로에 이격하여 형성되는 배수안내로와, 상기 월류통로 및 배수안내로를 통해 각각 유입된 상기 후속강우 및 초기우수가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A sanitation facility of first rainwater-spilled water for bridge}
본 발명은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 내 설치된 집수구의 하부에 결합되어 초기우수에 포함된 중금속, 오일류, 타이어분진 및 각종 협잡물 등과 같은 비점오염물질이 우수와 함께 하천으로 배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정화하고, 초기우수 이후에 강수량이 증가하여 다량의 우수가 유입되더라도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며, 집수구 하부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염물질은, 생활하수, 산업폐수 및 축산폐수 등과 같이 배출지점이 명확한 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점오염물질과, 농경지, 목초지, 산림지, 건축현장, 광산, 쓰레기 매립장, 도로 및 산업현장 등과 같이 배출지점이 불특정, 불명확, 광범위한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로 구분된다.
점오염물질은 대부분 정화장치나 폐수처리시설이 설치되어 정화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비점오염물질은 수집이 어렵고 배출량의 변화가 심하여 처리시설의 설계 및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비점오염물질이 지표면에 잔존해 있다가 강우시 우수와 함께 섞이게 되는 경우, 초기우수에는 비가 내리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의 우수에 비해 많은 비점오염물질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비점오염물질을 포함한 초기우수가 하천, 내만, 호스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로 흘러들어가는 경우 수질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생태계를 파괴하는 주원인이 되므로, 수질관리 및 생태계 보호를 위해서 비점오염원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도로, 교량 등의 건설시 노면 배수를 위해 정화장치를 반드시 설치하도록 시설기준 상에 명시하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초기우수의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등록특허공보 제1290293호에는 도 1과 같이, 도로(L)에 형성된 집수구(10) 내측으로부터 도로(L)의 하부에 설치되고, 격자 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집수구(10)의 걸림턱(11) 상에 테두리 하단이 안착되며, 초기우수에 내포된 협잡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그레이팅(100)과, 상기 집수구(10)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도로(L)의 하단과 접하는 지층(G)에 매립 설치되며, 상단부 일정길이 만큼 확관된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그레이팅(100)을 거쳐 협잡물이 걸러진 우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여과케이스(300)와, 상기 여과케이스(300)의 내측에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상부가 개방된 중공의 메쉬망 타입으로 구비되며 내측에 각각 여과재(450)가 충전되는 제1 여과유닛(410), 제2 여과유닛(420), 제3 여과유닛(4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되, 상기 제1 여과유닛(410)을 기준으로 제2 여과유닛(420)과 제3 여과유닛(430)이 회전가능하도록 적층 연결되며, 상기 제3 여과유닛(430)의 개방된 상부에 뚜껑(440)이 선택적으로 결속 고정되어 상기 여과케이스(300)의 상부에 확관된 내면을 따라 안내되는 상기 그레이팅(100)을 거쳐 협잡물이 걸러진 우수에 내포된 비점오염물을 여과처리하는 여과유닛(400) 및 상단부가 외향 연장형성되어 상기 여과케이스(300)의 저면에 밀착되고 상기 여과유닛(400) 중 상기 제3 여과유닛(430)의 저면을 지지하며, 중공 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여과유닛(400)을 거쳐 여과처리된 우수를 하수관로(미도시) 측으로 배수시키는 배수관로(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겠으나, 다수의 여과유닛(400)들이 내부에 결합된 여과케이스(300)가 집수구(10) 내부에 매립 설치되어 있어, 초기우수 이후 강우량이 증가하여 다량의 우수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여과유닛(400)들에 의해 되려 집수구 상측으로 우수가 역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집수구(10) 하부에 집수구(10)로 유입된 우수를 하방으로 배출하기 위해 배수관로(500)가 결합되는 것이지만, 이러한 집수구(10)와 배수관로(500)는 교량 내부에서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분해와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없음에 따라 유지 및 보수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290293호 (2013.07.29.,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339617호 (2013.12.10., 교량용 초기우수 비점오염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410194호 (2014.07.04., 초기우수 처리가 가능한 교량 배수시설, 그 배수시설을 이용한 초기우수유도방법, 그 배수시설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 및 저감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교량 내에 매립되어 집수구 하부에 설치되는 연직관으로 초기우수가 유입되도록 하고, 연직관 내부에는 여과수단을 구비하여 초기우수에 포함된 중금속, 오일류, 타이어분진 및 각종 협잡물 등과 같은 비점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정화한 후 하천 등에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초기우수 이후에 강수량이 증가하여 집수구 내로 다량의 우수가 유입되더라도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집수구 상부로 역류되거나 집수구 및 집수구 하부에 설치되는 관에 과도한 수압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교량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더라도 집수구 하측 외면에 결합되는 외형부재를 통해 교량 내측 설치면에 이격된 공간을 마련하고, 이 이격된 공간에서 집수구와 연직관이 결합되도록 하여 집수구와 연직관의 분해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연직관의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교량 내부에 결합된 집수구의 하부에 설치되어 강우시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을 정화처리하기 위한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수구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집수구를 통해 배출된 초기우수가 유입되도록 중공 형성되는 연직관과, 상기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이 정화처리 되도록 상기 연직관의 내측 하면에 이격된 상태로 상기 연직관의 내면에 밀착 결합되고, 상하로 다수개가 적층된 중앙에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중공부가 형성되는 여과수단과, 상기 중공부 내면에 외면이 밀착되도록 끼움 결합되고, 상단면은 폐쇄되고 외면에는 다수개의 타공홀이 관통되며, 상기 여과수단에 의해 상기 비점오염물질이 정화된 상기 초기우수가 상기 타공홀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어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연통관과, 상기 초기우수 이후 다량으로 유입된 후속강우가 상기 연직관의 상부 일측으로 월류하여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월류통로와, 상기 연통관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초기우수가 상기 연직관의 하부 일측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월류통로에 이격하여 형성되는 배수안내로와, 상기 월류통로 및 배수안내로를 통해 각각 유입된 상기 후속강우 및 초기우수가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직관의 하부측 내면에는 상기 여과수단의 하부면이 안착되며, 상기 중공부에 간섭되지 않도록 돌출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통관의 하단면이 폐쇄되는 경우. 상기 연통관의 하부면은 상기 여과수단의 하부면에 돌출되어 상기 타공홀이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통관의 하단부의 일부 또는 전체가 개구되는 경우, 상기 연통관의 하부면은 상기 여과수단의 하부면과 동일하거나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수구의 외면에는 상기 집수구의 하측 외면에 이격된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위치가 가변되도록 형성되는 외형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외형부재의 상측 내면에는 상기 집수구의 외면을 따라 밀착 지지되는 실링부재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월류통로는 상기 연직관에서 상기 배수관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는 초기우수가 집수구 하부에 설치된 연직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초기우수에 포함된 중금속, 오일류, 타이어분진 및 각종 협잡물 등과 같은 비점오염물질은 연직관 내부에 구비된 여과수단 및 연통관을 통해 정화된 상태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환경오염 및 생태계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정화하여 배출하면서도, 초기우수의 여과수단을 교량 내에 매립된 집수구의 하부에 이격 설치하여, 초기우수에 이후 오염농도가 없거나 적은 후속강우 및 강우량 증가에 따른 다량의 우수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집수구 측으로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집수구가 매립된 교량의 두께가 상이하여도, 집수구 하부에 결합되는 관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어 시공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분해 및 결합이 용이하여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교량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더라도 집수구 하측 외면에 결합되는 외형부재를 통해 교량 내측 설치면에 이격된 공간을 마련하고, 이 이격된 공간에서 집수구와 연직관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집수구와 연직관의 분해와 결합이 용이하여 시공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유지 및 보수를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 대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여과수단 및 연통관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연통관의 하단면이 폐쇄된 상태에서 여과수단에 결합된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연통관의 하단면이 일부 또는 전부 개구된 상태에서 여과수단에 결합된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연직관으로 유입된 우수가 월류통로 및 배수안내로를 통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9는 집수구에 연직관 및 외형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교량의 서로 다른 두께에 따라 외형부재의 설치 높이가 가변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는 교량(B) 내부에 결합된 집수구(10)의 하부에 설치되어 강우시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을 정화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연직관(20), 여과수단(30), 연통관(40), 월류통로(50), 배수안내로(60) 및 배수관(7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집수구(10)는 도 3과 같이, 교량 상부의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부(11)와, 유입부(11)의 하부에 연결되어 유입된 우수가 집수되도록 상광하협(上廣下夾)의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사부(12)와, 경사부(12)의 하부에 연결되어 집수된 우수를 교량 하부로 배수하는 집수관(13)으로 구성되며, 집수관의 외부에는 상호 대향되는 두 개 이상의 면에서 관통되는 관통공(14)이 형성된다.
또한, 유입부(11)는 통상 사각의 관 형상인 것으로, 측면부에는 측면으로부터 유입된 우수를 배수하기 위한 다수개의 배수홀(15)이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집수관(13) 및 집수관(13)에 연결된 다른 관들의 내부를 폐쇄시킬 수 있는 돌이나 쓰레기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격자형 또는 상호 이격된 직선형으로 다수개의 걸림부(16)가 형성된다.
연직관(20)은 도 3과 같이, 관통공(14)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되는 결합공(23)이 마련되어 집수구(10)의 하측 외면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고정수단(22)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하부면이 폐쇄된 중공관으로 마련되어 집수구(10)를 통해 배출된 초기우수가 유입되도록 형성된다.
여과수단(30)은 도 4와 같이, 연직관(20)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삽입되어 내측 하면에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으로, 평판 형상의 고분자 필터가 다수개 적층되며, 중앙에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중공부(31)가 형성된다.
이때, 연직관(20)의 하부측 내면에는 연직관(20)의 하부면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중공부(31)에 간섭되지 않도록 중심부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21)가 마련되고, 여과수단(30)의 하부면은 이러한 지지부(21)에 안착된 상태로 결합된다.
이처럼, 지지부(21)에 안착된 상태의 여과수단(30)은 정화기능이 현저히 떨어지거나, 일정 기간 사용하여 교체 주기가 도래하거나, 걸림부(16)를 통과한 이물질들이 여과수단(30)의 상면에 퇴적된 경우, 걸림부(16)를 탈거한 후 집수구(10) 상측으로 여과수단(30)을 인출할 수 있어, 교환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고분자 필터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종래의 고분자 필터인 것으로, 고분자폴리에틸렌필터 및 부직포필터과 같이 서로 다른 재질의 여과 필터가 순차적으로 반복되어 적층된 것일 수 있다.
연통관(40)은 도 5와 같이, 상단면은 폐쇄되고, 외면에는 다수개의 타공홀(41)이 관통되어 중공부(31) 내면에 외면이 밀착되도록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여과수단(30)에 의해 여과된 초기우수가 여과수단(30)과 연통관(40)의 결합면을 따라 타공홀(41)로 유입되며, 타공홀(41)을 통해 연통관(40) 내부로 유입된 초기우수는 연통관(40)의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연통관(40)은 하단면이 폐쇄된 형상이거나, 일부 또는 전체가 개구된 형상일 수 있는 것으로, 도 6과 같이 연통관(40)의 하단면이 폐쇄되는 경우에는 연통관(40)은 여과수단(30)의 하부면에 돌출되어 타공홀(41)이 여과수단(30)의 하부면에서 노출되도록 결합되어야 하며, 이는 여과수단(30)을 통해 정화되어 연통관(40) 내부로 유입된 초기우수가 연통관(40)의 하단 측에 형성된 타공홀(41)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반면, 도 7과 같이 연통관(40)의 하단면이 일부 또는 전체 개구되는 경우에는 연통관(40)의 하부면이 여과수단(30)의 하부면과 동일하거나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이는 연통관(40)의 하단부가 여과수단(30) 내에 매립된 상태로 결합되지 않으면 연통관(40) 내부로 유입된 초기우수가 연통관(40)의 개구된 하면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월류통로(50)는 도 8과 같이, 초기우수 이후 강우량이 증가하여 연직관(20)으로 유입되는 다량의 후속강우가 연직관(20)의 용량, 즉 여과수단(30)이 초기우수를 정화하여 연통관(40)을 통해 배출할 수 있는 용량을 초과하여 유입되는 경우, 이러한 후속강우가 연직관(20)의 상부 일측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월류통로(50)는 연직관(20)에서 후술할 배수관(70)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결합되는 것으로, 이는 연직관(20)으로 유입된 후속강우가 여과수단(30)이 정화할 수 있는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곧바로 배수관(70) 측으로 배출하는 것이 아니라, 여과수단(30)이 정화할 수 있는 용량을 일부 초과하여 유입된 후속강우에 대해서도 여과수단(30)을 통해 순차적으로 정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배수안내로(60)는 도 8과 같이, 여과수단(30)에 의해 정화되어 연통관(40)을 통해 연직관(20)의 하부면으로 배출되는 초기우수가 연직관(20)의 하부 일측에서 배수관(70)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연직관(20)의 하부면으로 배출된 초기우수가 자중에 의해 신속히 배수관(70)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배수관(70)은 월류통로(50) 및 배수안내로(60)의 말단이 일측에 연통되게 결합되는 것으로, 월류통로(50)를 월류하는 다량의 후속강우 및 배수안내로(60)를 통해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이 정화된 초기우수가 하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집수구(10)의 외면에는 도 9와 같이 집수구(10)의 외면에 이격된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볼트 및 너트 등과 같이 공지된 체결부재(82)에 의해 결합위치가 가변되도록 형성되는 외형부재(80)가 마련된다.
이러한 외형부재(80)는 집수구(10)의 외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교량 내에 매설되는 것으로, 도 10과 같이 교량(B) 내부에 매설되는 집수구(10)가 서로 다른 두께의 교량(B)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외형부재(80)의 하단면이 교량 하부면에 대응되도록 위치를 조절하여 결합할 수 있어, 집수구(10)와 연직관(20)을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해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이 확보되므로, 이를 통해 시공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유지 및 보수를 하게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외형부재(80)의 상측 내면에는 상기 집수구(10)의 외면을 따라 밀착 지지되는 실링부재(81)가 개재되고, 상기한 체결부재(82)는 실링부재(81)에 관통 삽입되어 말단부가 집수구(10)의 외면에 밀착 지지된 상태로 결합된다.
이러한 실링부재(81)는 통해 외형부재(80)와 집수구(10)의 이격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면서 외형부재(80)가 집수구(10)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집수구(10)가 매립된 상태에서 교량(B) 설치를 위해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외형부재(80)와 집수구(10)의 이격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대한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강우가 시작되면 초기우수에는 교량(B) 상면에 발생 될 수 있는 유기물, 중금속, 오일류, 타이어분진 및 협착물 등의 비점오염물질이 섞이게 되고, 비점오염물질이 섞인 초기우수는 교량(B) 내부에 매설된 집수구(10)로 집수된다.
이후, 집수구(10)로 집수된 초기우수는 집수구(10) 하부에 결합된 연직관(20)으로 유입되고, 이러한 초기우수는 연직관(20) 내부에 설치된 여과수단(30)에 의해 비점오염물질이 정화되며, 정화된 초기우수는 타공홀(41)을 통해 연통공 내부로 유입되어 하방으로 배출된다.
이처럼 여과수단(30)에 의해 정화된 초기우수는 연통공의 하부에서 배출되어 연직관(20)의 하부면으로 유입되고, 이후에는 자중에 의해 하향 경사진 배수안내로(60)를 따라 신속히 배수로 측으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비점오염물질이 섞인 초기우수가 집수구(10)를 통해 유입되면 여과수단(30)에 의해 정화된 상태로 배출되므로, 환경오염 및 생태계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초기우수 이후 지속적인 강우에 의한 우수량이 증가하거나, 강우량의 증가함에 따라 집수관 내부로 다량의 후속강우가 유입되면, 초기에 유입된 후속강우는 여과수단(30)에 의해 정화된 상태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후속강우가 지속적으로 유입되어 여과수단(30)이 정화할 수 있는 용량을 초과하게 되면, 이러한 후속강우는 집수구(10)보다 아래에 위치한 월류통로(50)를 월류하여 배수관(70)으로 배출하게 된다.
이처럼, 다량의 후속강우가 일시적 또는 지속적으로 연직관(20) 내에 유입되어 여과수단(30)의 여과할 수 있는 용량을 초과하더라도, 다량의 우수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집수관의 상측으로 역류하지 않고 배수로를 통해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후속강우는 초기 우수에 비해 오염농도가 없거나 적은 것이므로, 여과수단(30)이 정화할 수 있는 용량을 초과하여 유입되는 경우 후속강우가 연직관(20) 내에 집적(集積)된 상태에서 무리하게 정화하려 하는 것보다는, 월류통로(50)를 통해 월류하여 배수로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집수구(10)의 상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여과수단(30)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바람직한 방법이다.
한편, 집수구(10)의 하측 외면에는 외형부재(80)와 집수구(10) 사이에 실링부재(81)가 개재된 상태로 체결부재(82)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교량(B)의 다양한 두께를 고려하여 외형부재(80)의 설치 높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집수구(10) 하부에서 연직관(20)을 용이하게 분해 및 결합할 수 있는 이격공간(작업공간)이 마련됨에 따라, 시공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분해 및 결합이 용이하여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집수구 11 : 유입부
12 : 경사부 13 : 집수관
14 : 관통공 15 : 배수홀
16 : 걸림부 20 : 연직관
21 : 지지부 22 : 고정수단
23 : 결합공 30 : 여과수단
31 : 중공부 40 : 연통관
41 : 타공홀 50 : 월류통로
60 : 배수안내로 70 : 배수관
80 : 외형부재 81 : 실링부재
82 : 체결부재 B : 교량

Claims (6)

  1. 교량(B) 내부에 결합된 집수구(10)의 하부에 설치되어 강우시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을 정화처리하기 위한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수구(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집수구(10)를 통해 배출된 초기우수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중공 형성되는 연직관(20);
    상기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이 정화처리 되도록 상기 연직관(20)의 내측 하면에 이격된 상태로 상기 연직관(20)의 내면에 밀착 결합되고, 상하로 다수개가 적층된 중앙에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중공부(31)가 형성되는 여과수단(30);
    상기 중공부(31) 내면에 외면이 밀착되도록 끼움 결합되고, 상단면은 폐쇄되고 외면에는 다수개의 타공홀(41)이 관통되며, 상기 여과수단(30)에 의해 상기 비점오염물질이 정화된 상기 초기우수가 상기 타공홀(41)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어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연통관(40);
    상기 초기우수 이후 다량으로 유입된 후속강우가 상기 연직관(20)의 상부 일측으로 월류하여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월류통로(50);
    상기 연통관(40)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초기우수가 상기 연직관(20)의 하부 일측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월류통로(50)에 이격하여 형성되는 배수안내로(60);
    상기 월류통로(50) 및 배수안내로(60)를 통해 각각 유입된 상기 후속강우 및 초기우수가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배수관(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직관(20)의 하부측 내면에는 상기 여과수단(30)의 하부면이 안착되며, 상기 중공부(31)에 간섭되지 않도록 돌출되는 지지부(2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40)의 하단면이 폐쇄되는 경우. 상기 연통관(40)의 하부면은 상기 여과수단(30)의 하부면에 돌출되어 상기 타공홀(41)이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40)의 하단부의 일부 또는 전체가 개구되는 경우, 상기 연통관(40)의 하부면은 상기 여과수단(30)의 하부면과 동일하거나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구(10)의 외면에는 상기 집수구(10)의 하측 외면에 이격된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체결부재(82)에 의해 결합위치가 가변되도록 형성되는 외형부재(80)가 마련되며, 상기 외형부재(80)의 상측 내면에는 상기 집수구(10)의 외면을 따라 밀착 지지되는 실링부재(81)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통로(50)는 상기 연직관(20)에서 상기 배수관(70)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20150043397A 2015-03-27 2015-03-27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683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397A KR101683816B1 (ko) 2015-03-27 2015-03-27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397A KR101683816B1 (ko) 2015-03-27 2015-03-27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250A true KR20160116250A (ko) 2016-10-07
KR101683816B1 KR101683816B1 (ko) 2016-12-21

Family

ID=57145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3397A KR101683816B1 (ko) 2015-03-27 2015-03-27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8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05778A (zh) * 2018-04-26 2020-12-18 亚科赛福林阿尔曼有限公司 连接设备、排出系统以及方法
CN114411929A (zh) * 2021-12-29 2022-04-29 浙江绿凯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生物滞留池
WO2022163899A1 (ko) * 2021-01-29 2022-08-04 우종수 재비산 먼지 제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98083B (zh) * 2018-08-01 2021-02-05 山东源根化学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桥梁堵漏用蓄水结构
CN111335159B (zh) * 2020-04-07 2021-10-08 浙江中路交通设计有限公司 一种具有环保功能的桥梁护栏排水排污系统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4025A (ko) * 2003-09-04 2005-03-10 엘지건설 주식회사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KR200393332Y1 (ko) * 2005-05-31 2005-08-18 나상철 교량의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KR101099768B1 (ko) * 2009-04-14 2011-12-28 현수건설 주식회사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231693B1 (ko) * 2012-11-16 2013-02-13 삼우기연 주식회사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90293B1 (ko) 2012-12-07 2013-07-29 신영기술개발(주)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101339617B1 (ko) 2013-08-02 2013-12-10 최인정 교량용 초기우수 비점오염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1410194B1 (ko) 2013-10-17 2014-07-04 주식회사 에코스타 초기우수 처리가 가능한 교량 배수시설, 그 배수시설을 이용한 초기우수유도방법, 그 배수시설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 및 저감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4025A (ko) * 2003-09-04 2005-03-10 엘지건설 주식회사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KR200393332Y1 (ko) * 2005-05-31 2005-08-18 나상철 교량의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KR101099768B1 (ko) * 2009-04-14 2011-12-28 현수건설 주식회사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231693B1 (ko) * 2012-11-16 2013-02-13 삼우기연 주식회사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90293B1 (ko) 2012-12-07 2013-07-29 신영기술개발(주)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101339617B1 (ko) 2013-08-02 2013-12-10 최인정 교량용 초기우수 비점오염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1410194B1 (ko) 2013-10-17 2014-07-04 주식회사 에코스타 초기우수 처리가 가능한 교량 배수시설, 그 배수시설을 이용한 초기우수유도방법, 그 배수시설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 및 저감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05778A (zh) * 2018-04-26 2020-12-18 亚科赛福林阿尔曼有限公司 连接设备、排出系统以及方法
WO2022163899A1 (ko) * 2021-01-29 2022-08-04 우종수 재비산 먼지 제거 장치
CN114411929A (zh) * 2021-12-29 2022-04-29 浙江绿凯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生物滞留池
CN114411929B (zh) * 2021-12-29 2023-12-05 浙江绿凯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生物滞留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3816B1 (ko) 201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816B1 (ko)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734578B1 (ko)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US20130186811A1 (en) Filter
KR101688845B1 (ko) 침투 여과통 부착을 통한 투수성능 및 투수지속성 증대로 초기우수처리 및 지하수 함양효과를 극대화시킨 침투형 빗물받이
US20090101591A1 (en) Storm drain inlet protection device
KR100721237B1 (ko) 초기 우수에 의한 오염 방지기능을 갖는 교량용 집수장치
KR101781178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20150114224A (ko) 빗물정화 빗물침투시설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683119B1 (ko)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
KR100741409B1 (ko) 교량의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KR100690380B1 (ko) 교량의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KR101582931B1 (ko) 비점오염 저감 장치
KR101538439B1 (ko) 교량용 비점오염물질 정화처리장치
KR200393332Y1 (ko) 교량의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KR20070095855A (ko) 교량용 강우수 비점오염원 저감시설(SH System)
KR101253329B1 (ko) 초기우수처리구조
KR101177714B1 (ko) 노면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649039B1 (ko) 친환경 빗물받이
KR20080105855A (ko) 쓰레기 걸름 장치
KR101851938B1 (ko)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305207B1 (ko) 비점오염원저감장치
KR101081568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027931B1 (ko) 집수구용 그레이팅
US20130043171A1 (en) Storm water pollution full captu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