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1693B1 -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1693B1
KR101231693B1 KR1020120130253A KR20120130253A KR101231693B1 KR 101231693 B1 KR101231693 B1 KR 101231693B1 KR 1020120130253 A KR1020120130253 A KR 1020120130253A KR 20120130253 A KR20120130253 A KR 20120130253A KR 101231693 B1 KR101231693 B1 KR 101231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drain pipe
length
catchmen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0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원
Original Assignee
삼우기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우기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우기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0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16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시공에서 슬래브의 두께에 따라 집수구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는 노면수를 집수하는 집수구와; 상기 집수구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의 하부와 연결되는 연결관으로 구성되는 교량용 집수구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의 상단 외주면에 슬라이딩 배수관 연결장치가 높이조절용 연결볼트를 매개로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시공방법은 교량슬래브 두께에 맞춰 배수관의 상단 외주면에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배수관과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사이에 방수고무패드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 집수구 하부와 교량슬래브 사이에 콘크리트 침투방지용 고무패드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의 높이조절용 연결볼트를 철근에 체결하는 단계; 상기 교량슬래브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및 이의 시공방법{Catch basin for adjustable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수관의 상단에 슬라이딩 배수관 연결장치를 높이조절용 연결볼트를 매개로 고정 설치한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에 시공되는 집수구는 물이 유입되는 집수구와 상기 집수구로 유입되는 물이 배출되는 배수관으로 이루어지는바, 상기 배수관의 하단부는 교량 하부에 연결되는 배수로와 연결되도록 교량을 관통하여 교량 외측으로 노출되어야 한다.
종래의 집수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구(10) 아래로 연장된 배수관 (12)과, 연결관(14)에 각각 마주보는 구멍(16, 16', 18, 18')을 형성시켜 볼 트(22, 24)와 너트(26, 28)로 분해,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집수구는 도 2a,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에 적용하는데 시공이 매우 번거롭고, 비용이 많이 드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제거푸집(30)으로 시공되는 교량에 적용할 경우에는 집수구의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집수구모형(32)을 철제거푸집(30) 위에 올려놓고, 나중에 집수구모형(32)을 인발하기 좋도록 상기 집수구모형(32)의 주위에 발포 폴리스티렌 보드(34)들 덧댄 상태에서 콘크리트(36)를 타설하는 공정과,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36)가 양생된 후 집수구모형(32)과 발포 폴리스티렌 보드(34)를 제거하고, 철제거푸집(30)을 해체한 후, 연결관(14)이 조립되지 않은 상태의 집수구(A)를 확보된 집수구 설치공간(38) 속으로 삽입하고, 그 위치를 세팅한 후, 교량 슬래브(B) 외측으로 노출되는 집수구(A)의 배수관(12)과 집수구 설치공간(38)의 하부를 바닥 거푸집(40)으로 막아주고, 집수구(A)와 교량 슬래브(B) 사이의 틈새를 시멘트 모르타르(42)를 타설하는 공정과,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멘트 모르타르(42)가 양생된 후 바닥거푸집(40)을 제거하고, 교량 슬래브(B) 외측으로 노출되는 배수관(12)의 하부에 있는 구멍(16, 16')과 연결관(14)의 상부에 있는 구멍(18, 18')들이 일치하도록 연결관(14)을 배수관(12)에 끼우고 볼트(22, 24)와 너트(26, 28)로 조립, 고정하는 공정으로 시공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집수구는 시공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시공작업이 매우 번거로웠을 뿐만 아니라 비용이 많이 드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집수구는 목제거푸집으로 시공되는 교량에 적용할 경우에는 집수구모형을 사용하지 않을 수는 있으나, 목제거푸집의 바닥에 구멍을 뚫어서 배수관(12)의 하부를 관통시키고, 상기 구멍과 배수관(12) 사이를 견고하게 막아주고 콘크리트를 타설해야만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집수구는 배수관(12)에 연결관(14)을 고정하는 볼트(22, 24)가 배수관(12)을 " + "자형으로 관통하는 것이므로 집수구(10)로부터 유입되는 각종 쓰레기나 이물질이 상기 볼트(22, 24)에 걸려 배수가 원활하지 못하게 되므로 주기적으로 각종 쓰레기나 이물질 등을 제거해야만 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 20-0311577 배수용 집수구가 제안되었다.
상기한 종래의 배수용 집수구는 도 3,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구(10), 배수관(12) 및 연결관(14)으로 이루어진 배수용 집수구에 있어서, 배수관(12)의 하부 외주면에는 여러 개의 돌기(44)가 형성되어 있고, 연결관(14)의 상단부에는 상기 돌기(44)와 대응하는 맞물림홈(46)이 형성되며, 배수관 (12)의 돌기(44) 위쪽에는 연결관(14)을 배수관(12)에 조립할 수 있도록 링형공간 (52)을 제공해주는 덮개(54)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배수용 집수구는 배수관(12)의 돌기(44)에 연결관(14)을 L형상으로 걸어서 설치시 연결관(14)의 재질이 스테인리스나 강관일 경우에는 설치 후 배수관(12)의 수직도 및 바람에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장에서 용접하여 보강작업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배수관(12) 재질이 알루미늄 및 PVC인 경우에는 현장용접이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교량의 슬래브는 현장 여건에 따라 두께를 달리하여 형성시키게 되나, 종래의 배수용 집수구는 그 길이가 일정하기 때문에 슬래브가 두께에 대처하여 길이를 가변시킬 수 없고, 이에 따라 집수구의 길이와 슬래브의 두께가 상이하게 시공되는 경우에는 집수구 하단부가 슬래브 내부에 위치하거나 또는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배수관과의 연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교량 시공에서 슬래브의 두께에 따라 집수구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는 노면수를 집수하는 집수구와; 상기 집수구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의 하부와 연결되는 연결관으로 구성되는 교량용 집수구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의 상단 외주면에 슬라이딩 배수관 연결장치가 높이조절용 연결볼트를 매개로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시공방법은 교량슬래브 두께에 맞춰 배수관의 상단 외주면에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배수관과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사이에 방수고무패드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 집수구 하부와 교량슬래브 사이에 콘크리트 침투방지용 고무패드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의 높이조절용 연결볼트를 철근에 체결하는 단계; 상기 교량슬래브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및 이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길이조절거리를 2배로 증가시킴으로써,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고, 길이조절길이가 큼으로써 현장에서 집수구 시공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배수관의 재질에 관계없이 연결부를 높이조절용 연결볼트로 체결함으로써, 연결부의 구조적 강도를 증가시키고, 하천용 배관일 경우에 바람으로 인하여 배수관이 떨어지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배수관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됨과 동시에 수직조절이 가능함으로써, 배수관의 미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집수구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1,
도 2a 내지 2c는 종래의 집수구가 교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종래의 집수구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2,
도 4a 및 4b는 종래의 집수구가 교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설치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설치시 콘크리트 타설 후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P)는 노면수를 집수하는 집수구와; 상기 집수구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의 하부와 연결되는 연결관으로 구성되는 교량용 집수구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200)의 상단 외주면에 슬라이딩 배수관 연결장치(400)가 높이조절용 연결볼트(500)를 매개로 고정 설치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배수관 연결장치(400)는 소정의 직경으로 이루어진 배수관 연결관(410)과; 상기 배수관 연결관(410)의 상단부에 일정한 직경으로 천공 형성되는 볼트공(420)과; 상기 배수관 연결관(410)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됨과 동시에 소정의 형상으로 용접 설치되며, 하부에 내측플랜지(432)가 형성된 고정부(4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측플랜지(432)에 연결구(600)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연결구(60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 관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610)가 형성되고, 상기 외주면의 소정의 위치에 아령 형상의 타원형 장공(620)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600)의 외주면에 볼트(710)와 너트(720)를 매개로 연결관(800)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P)는 배수관에 슬라이딩 배수관 연결장치의 배수관 연결관에 천공 형성된 볼트공을 통해 높이조절용 연결볼트(500)를 삽입하여, 상기 높이조절용 연결볼트(500)를 조여주면, 상기 높이조절용 연결볼트(500)에 의해서 상기 배수관 연결관이 배수관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딩 배수관 연결장치(400)의 고정부(430) 내측플랜지에 연결구(600)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연결구(600)의 외주면에 볼트(710)와 너트(720)를 매개로 연결관(800)이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구(600)에 연결관(800)의 설치는 연결구(600)의 장공(30)중 대공(622)에 볼트(710)를 삽입하여 소공(624)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볼트(710)를 손으로 잡아당기면서, 연결관(800)을 끼운 상태에서 상기 연결관(800)의 외주면을 너트(720)를 조이면 연결구(600)에 연결관(80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의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설치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설치시 콘크리트 타설 후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시공방법은 교량슬래브(S) 두께에 맞춰 배수관(200)의 상단 외주면에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P)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배수관(200)과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P) 사이에 방수고무패드(90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 집수구(P) 하부와 교량슬래브(S) 사이에 콘크리트 침투방지용 고무패드(91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P)의 높이조절용 연결볼트(500)를 철근에 체결하는 단계; 상기 교량슬래브(S)에 콘크리트(C)를 타설 및 양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시공방법은 길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P) 설치단계; 방수고무패드(900) 설치단계, 콘크리트침투 방지용 고무패드(910) 설치단계, 높이조절용 연결볼트(500) 체결단계 및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단계를 순차적으로 시행하여 배수관(200)에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P)를 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P)를 고정 설치단계는 배수관(200)의 상단 외주면에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P)를 설치하되, 상기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P)는 소정의 직경으로 이루어진 배수관 연결관(410)과; 상기 배수관 연결관(410)의 상단부에 일정한 직경으로 천공 형성되는 볼트공(420)과; 상기 배수관 연결관(410)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됨과 동시에 소정의 형상으로 용접 설치되며, 하부에 내측플랜지(432)가 형성된 고정부(430)로 구성된 슬라이딩 배수관 연결장치(400)와; 상기 내측플랜지(432)에 고정 설치되며, 전체적으로 원통형 관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610)가 형성되고, 상기 외주면의 소정의 위치에 아령 형상의 타원형 장공(620)이 형성된 연결구(600)와; 상기 연결구(600)의 외주면에 볼트(710)와 너트(720)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는 연결관(800)으로 구성된다.
이어서, 상기 방수고무패드(900) 설치단계는 배수관(200)과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P) 사이에 방수고무패드(900)를 설치한다.
이어서, 상기 콘크리트침투 방지용 고무패드(910) 설치단계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 집수구(P) 하부와 교량슬래브(S) 사이에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의 슬래브 내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침투방지용 고무패드(910)를 설치한다.
이어서, 상기 높이조절용 연결볼트(500) 체결단계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P)의 높이조절용 연결볼트(500)를 철근에 체결 고정하는 단계이다.
이어서, 상기 교량슬래브(S)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시공방법은 배수관(200)의 길이조절거리를 2배로 증가시킴으로써,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고, 길이조절길이가 큼으로써 현장에서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P)의 시공이 편리하며, 배수관(200)의 재질에 관계없이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P)를 높이조절용 연결볼트(500)로 체결함으로써, 배수관(200)과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P)와의 연결부의 구조적 강도를 증가시키고, 하천용 배관일 경우에 바람으로 인하여 배수관이 떨어지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으며, 배수관(20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됨과 동시에 수직조절이 가능함으로써, 배수관(200)의 미감을 도모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100: 집수구 200: 배수관
400: 슬라이딩 배수관 연결장치
410: 배수관 연결관 420: 볼트공
430: 고정부 432: 내측플랜지
500: 높이조절용 연결볼트 600: 연결구
610: 플랜지 620: 장공
622: 대공 624: 소공
710: 볼트 720: 너트
800: 연결관 900: 방수고무패드
910: 콘크리트 침투방지용 고무패드
P: 길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 S: 교량슬래브

Claims (11)

  1. 삭제
  2. 노면수를 집수하는 집수구와; 상기 집수구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의 하부와 연결되는 연결관으로 구성되는 교량용 집수구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의 상단 외주면에 슬라이딩 배수관 연결장치가 높이조절용 연결볼트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배수관 연결장치는 소정의 직경으로 이루어진 배수관 연결관과; 상기 배수관 연결관의 상단부에 일정한 직경으로 천공 형성되는 볼트공과; 상기 배수관 연결관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됨과 동시에 소정의 형상으로 용접 설치되며, 하부에 내측플랜지가 형성된 고정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플랜지에 연결구가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전체적으로 원통형 관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외주면의 소정의 위치에 아령 형상의 타원형 장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의 외주면에 볼트와 너트를 매개로 연결관이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6. 삭제
  7. 삭제
  8. 교량슬래브 두께에 맞춰 배수관의 상단 외주면에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배수관과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사이에 방수고무패드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 집수구 하부와 교량슬래브 사이에 콘크리트 침투방지용 고무패드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의 높이조절용 연결볼트를 철근에 체결하는 단계; 상기 교량슬래브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는 배수관의 상단 외주면에 슬라이딩 배수관 연결장치를 높이조절용 연결볼트를 매개로 고정 설치하고, 상기 슬라이딩 배수관 연결장치는 소정의 직경으로 이루어진 배수관 연결관과; 상기 배수관 연결관의 상단부에 일정한 직경으로 천공 형성되는 볼트공과; 상기 배수관 연결관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됨과 동시에 소정의 형상으로 용접 설치되며, 하부에 내측플랜지가 형성된 고정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시공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플랜지에 상단에 연결구가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시공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전체적으로 원통형 관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외주면의 소정의 위치에 아령 형상의 타원형 장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시공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의 외주면에 연결관이 볼트와 너트를 매개로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시공방법.

KR1020120130253A 2012-11-16 2012-11-16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31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253A KR101231693B1 (ko) 2012-11-16 2012-11-16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253A KR101231693B1 (ko) 2012-11-16 2012-11-16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1693B1 true KR101231693B1 (ko) 2013-02-13

Family

ID=47899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0253A KR101231693B1 (ko) 2012-11-16 2012-11-16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16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956A (ko) 2015-01-30 2016-08-09 고재용 거푸집의 천공없이 초기가설이 용이한 집수구
KR20160116250A (ko) * 2015-03-27 2016-10-07 주식회사 브리오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CN113235418A (zh) * 2021-05-12 2021-08-10 山西省交通科技研发有限公司 一种用于桥梁的一体化预制泄水构造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175B1 (ko) * 2007-05-23 2008-07-02 김순애 집수구
KR100972093B1 (ko) * 2009-05-11 2010-07-22 김원주 배수관 설치가 용이한 기밀구조의 교량용 집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175B1 (ko) * 2007-05-23 2008-07-02 김순애 집수구
KR100972093B1 (ko) * 2009-05-11 2010-07-22 김원주 배수관 설치가 용이한 기밀구조의 교량용 집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956A (ko) 2015-01-30 2016-08-09 고재용 거푸집의 천공없이 초기가설이 용이한 집수구
KR20160116250A (ko) * 2015-03-27 2016-10-07 주식회사 브리오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683816B1 (ko) * 2015-03-27 2016-12-21 주식회사 브리오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CN113235418A (zh) * 2021-05-12 2021-08-10 山西省交通科技研发有限公司 一种用于桥梁的一体化预制泄水构造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8855B1 (ko) 교량상부슬래브에 설치되는 조립식배수관 및 이를 이용한 교량조립식집수구설치방법
KR101635868B1 (ko) 걸이식 교량 배수관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101231693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43175B1 (ko) 집수구
KR101747821B1 (ko) 배수로 시공설비 및 배수로 시공방법
KR20110040416A (ko) 맨홀의 분리가 용이한 맨홀성형장치
US20200190747A1 (en) Drainage device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nd use
RU2018130012A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верхностного дренажа
KR101776805B1 (ko) 조립식 교량 배수장치
KR20060102831A (ko) 교량용 집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0774885B1 (ko) 기초구조물에 매립되는 조립식 앵커 볼트 구조 및 이를이용한 기초구조물 시공방법
CN212478549U (zh) 套管预埋结构
KR200450900Y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KR20100007082U (ko) 다중식 루프드레인 장치
JP2007107234A (ja) 排水用側溝装置
JP4492948B2 (ja) 屋上通気装置とその設置方法
KR200311577Y1 (ko) 배수용 집수구
KR101156980B1 (ko) 미관 개선형 교면 배수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20100002206U (ko) 다중식 루프드레인 장치
KR20160121676A (ko) 교량용 선배수 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3676497B2 (ja) 中空スラブ用ボイド管支持方法
KR102571397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JPH11172625A (ja) 橋梁用frp製排水桝
KR200352175Y1 (ko) 욕실의 저소음 배수 배관 시공법
GB2030203A (en) Forming drainage pass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