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397B1 -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1397B1 KR102571397B1 KR1020220115028A KR20220115028A KR102571397B1 KR 102571397 B1 KR102571397 B1 KR 102571397B1 KR 1020220115028 A KR1020220115028 A KR 1020220115028A KR 20220115028 A KR20220115028 A KR 20220115028A KR 102571397 B1 KR102571397 B1 KR 1025713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tchment
- height
- installation
- catch basin
- height adjustme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018 Cast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26 asph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083 cement mort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9 natural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2—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 E03F2005/0413—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for height adjustment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2—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 E03F2005/041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for inclination adjustme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상판을 시공할 때 집수구의 설치 높이를 3점 조절하여 교량 상판의 교면에 따라 수평도 및 경사도를 탄력적으로 조정함과 동시에 집수구의 설치 효율 및 배수효율을 개선함을 제공하도록, 도로 노면 또는 교량 구조물의 양측에서 상판을 따라 흐르는 우수나 오수가 유입되도록 상하 수직 관통된 배수공을 형성하는 집수그레이팅과; 도로 노면 또는 교량 구조물을 이루는 상판의 콘크리트에 매립 설치하고, 상기 집수그레이팅을 수용상태로 지지토록 내측에 돌출 형성된 지지단턱을 구비하는 상부집수구본체와; 상기 상부집수구본체를 상부에 결속 지지하되 배수관의 상단에 연결 결합하고, 외부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적어도 세 지점에 배치 구성하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높이조절구를 구성하는 하부집수구본체와; 상기 하부집수구본체의 높이조절구 상에 결합하여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하고 상기 하부집수구본체의 설치 높이 및 설치 기울기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하는 높이조정수단;을 포함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상판을 시공할 때 집수구의 설치 높이를 3점 조절하여 교량 상판의 교면에 따라 수평도 및 경사도를 탄력적으로 조정함과 동시에 집수구의 설치 효율 및 배수효율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에는 비나 눈 등으로 교량 상판에 고이는 우수나 오수 등을 배수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판의 양쪽 가장자리로 배수구조체인 집수구를 시공하게 된다.
이러한 집수구는 교량의 상판에서 교면을 이루는 아스콘 포장층에 매립 설치하여 연장된 관 형태를 이루는 집수관을 구비하며, 집수관의 하부로는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관이 연결되고, 집수관의 상부에는 교면을 따라 이동된 물을 유입함과 동시에 낙엽이나 지푸라기 등의 각종 이물질이 집수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그레이팅을 설치하여 구성한다.
이때, 집수구는 교량에 확보된 설치공간에 발포보드를 덧댄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킨 후 발포보드의 제거하며, 집수구의 설치공간 내 집수구의 위치를 세팅한 후 다방향에서 거푸집을 대는 작업 및 교량 상판과의 사이 틈새를 시멘트 모르타르로 타설 양생하고, 거푸집을 제거한 구멍에 일치하게 배수관을 끼운 후 집수구를 고정하는 공정으로 시공하였다.
상기와 같은 집수구와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8522호(2011.04.04.)에는 교량의 상부와 하부가 연통되는 배수구에 설치되는 집수 본체와; 상기 집수 본체의 둘레면에 배치되고 상기 집수 본체와 상기 배수구 사이로 빗물이 하방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누수 방지부와; 상기 교량의 하측을 구성하도록 배치된 제1바닥부재와, 상기 교량의 상측을 구성하도록 상기 제1바닥부재의 상측에 배치된 제2바닥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바닥부재 및 상기 제2바닥부재 사이로 침투된 침투수를 수집하는 유공관이 거치되도록 상기 집수 본체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된 유공관 거치 홈을 포함하고, 상기 집수 본체의 하부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 배수관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 본체의 상단 개구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되는 동작으로 상기 상단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이물질 유입 방지그릴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자연수 배출 성능을 향상시키며 교량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교량 설치용 집수구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14770호(2006.04.18.)에는 교량의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교량배수용 집수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교량배수용 집수구조체는 상부는 교량 상의 물이 흡입되는 큰 구경의 우수흡입부와 하부는 흡입된 물이 배출되는 작은 구경의 우수배출부로 이루어지며 우수배출부의 하단은 교량본체의 저면보다 돌출되지 않게 배치된 깔대기형 집수구본체와, 상기 집수구본체의 상기 우수배출부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배수구삽입공간이 형성되게 우수배출부를 둘러싸며 중간에는 내측의 배수구삽입공간으로 돌출된 고정돌출부가 형성된 소켓부와, 상기 우수배출부와 소켓부 사이의 배수구삽입공간 내로 삽입되며 상부에는 상기 고정돌출부가 통과되어 걸리는 슬릿고정홈이 형성된 배수구로 구성됨에 따라 구조물의 품질을 증대시키면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교량배수용 소켓형 집수구조체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들은 모두 집수구의 높이가 일정하게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교량 상판의 시공상태별로 구분된 집수구의 설치 변형이 곤란하여 시공시 작업이 어려우며 시공품질의 저하는 물론 배수효율이 떨어져 집수구의 온전한 기능을 발휘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교량 상판에 시공상태에 따라 집수구의 설치 높이를 세 지점별 개별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교면을 따라 제품의 수평도 및 경사도를 탄력적으로 조정 설치하여 시공시 작업의 편의성 및 시공성을 높이고, 집수구의 시공품질을 개선하면서 배수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는 도로 노면 또는 교량 구조물의 양측에서 상판을 따라 흐르는 우수나 오수가 유입되도록 상하 수직 관통된 배수공을 형성하는 집수그레이팅과; 도로 노면 또는 교량 구조물을 이루는 상판의 콘크리트에 매립 설치하고, 상기 집수그레이팅을 수용상태로 지지토록 내측에 돌출 형성된 지지단턱을 구비하는 상부집수구본체와; 상기 상부집수구본체를 상부에 결속 지지하되 배수관의 상단에 연결 결합하고, 외부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적어도 세 지점에 배치 구성하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높이조절구를 구성하는 하부집수구본체와; 상기 하부집수구본체의 높이조절구 상에 결합하여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하고 상기 하부집수구본체의 설치 높이 및 설치 기울기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하는 높이조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부집수구본체에 결합하여 내측에 수용된 상기 집수그레이팅을 자력으로 부착 고정하는 자력잠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자력잠금수단은, 상기 상부집수구본체의 벽면에 설치하는 잠금체결편과, 상기 집수그레이팅에 구비하되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잠금체결편에 대응하여 부착 가능한 자력을 생성하는 잠금자석유닛를 구성한다.
상기 상부집수구본체에는, 하부에 형성하되 상기 하부집수구본체에 대응하여 끼움 결합 가능하게 돌출 형성하는 결속가이드단부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집수구본체는, 상기 배수관을 향해 내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배수관을 향하여 우수 또는 오수를 수직방향으로 낙하 이동되게 안내하는 직선유도형으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하부집수구본체는, 상기 배수관을 향해 일방향으로 기울어져 우수 또는 오수를 기울임 경사방향으로 낙하 이동하게 안내하는 경사유도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높이조정수단은, 상기 하부집수구본체의 높이조절구에 상하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는 연장볼트와, 상기 연장볼트를 상기 높이조절구 상에 결속 고정하는 고정너트와, 상기 높이조절구의 하부에서 상기 연장볼트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연장볼트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정너트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하부집수구본체의 사방에 이음 설치하되 상기 하부집수구본체의 높이조절구와 구조물의 철근 간에 이음 설치하여 용접 고정하는 철근고정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부집수구본체의 외측 둘레를 감싸 고정하여 구조물에 의한 외력으로부터 보호토록 지지하는 세이프티하우징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제안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 시공방법은 (a)도로 또는 교량 구조물의 거푸집 설치 및 철근을 배근 설치한 후 집수구의 설치위치에 배근된 철근을 절단하는 단계와; (b)집수구의 설치위치에 배수관을 기초로 상부집수구본체 및 하부집수구본체를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집수구를 설치하는 단계와; (c)구조물의 거푸집에 지지된 상태로 높이조정수단을 조작하여 집수구의 설치 높이 및 설치 기울기를 조정하는 단계와; (d)도로 노면 또는 교량 구조물을 조성토록 콘크리트를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b)단계에서 집수구를 설치할 때, 상기 상부집수구본체를 상기 하부집수구본체 상에 결합한 후 상기 상부집수구본체의 외측 둘레에 세이프티하우징을 더 설치하게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c)단계에서 집수구의 설치 높이 및 설치 기울기를 조정한 다음, 집수구의 상기 하부집수구본체와 구조물의 철근 간에 철근고정부로 이음 연결하여 용접 고정하게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하면 집수구본체을 상하 분리구조로 적용하면서 외부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세 지점에서 집수구의 설치 높이는 물론 설치 기울기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하므로, 구조물의 구조별 상황에 맞게 집수구의 설치 수평도 및 경사도를 탄력적으로 조정하여 현장 시공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시공품질과 함께 지속적인 배수효율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은 집수구본체에 집수그레이팅을 자력으로 잠금 설정하게 구성하므로, 스틸 재질의 집수그레이팅의 도난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면서 시설관리자의 관리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은 집수구본체의 외측 둘레를 감싸 고정하여 구조물에 의한 외력으로부터 보호토록 지지하게 구성하므로, 구조물 콘크리트의 열수축 팽창으로 인한 크랙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에서 자력잠금수단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의 일실시예에서 하부집수구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의 (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의 일실시예에서 하부집수구본체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 시공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 시공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에서 자력잠금수단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의 일실시예에서 하부집수구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의 (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의 일실시예에서 하부집수구본체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 시공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 시공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본 발명은 도로 노면 또는 교량 구조물의 양측에서 상판을 따라 흐르는 우수나 오수가 유입되도록 상하 수직 관통된 배수공을 형성하는 집수그레이팅과; 도로 노면 또는 교량 구조물을 이루는 상판의 콘크리트에 매립 설치하고, 상기 집수그레이팅을 수용상태로 지지토록 내측에 돌출 형성된 지지단턱을 구비하는 상부집수구본체와; 상기 상부집수구본체를 상부에 결속 지지하되 배수관의 상단에 연결 결합하고, 외부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적어도 세 지점에 배치 구성하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높이조절구를 구성하는 하부집수구본체와; 상기 하부집수구본체의 높이조절구 상에 결합하여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하고 상기 하부집수구본체의 설치 높이 및 설치 기울기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하는 높이조정수단;을 포함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a)도로 또는 교량 구조물의 거푸집 설치 및 철근을 배근 설치한 후 집수구의 설치위치에 배근된 철근을 절단하는 단계와; (b)집수구의 설치위치에 배수관을 기초로 상부집수구본체 및 하부집수구본체를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집수구를 설치하는 단계와; (c)구조물의 거푸집에 지지된 상태로 높이조정수단을 조작하여 집수구의 설치 높이 및 설치 기울기를 조정하는 단계와; (d)도로 노면 또는 교량 구조물을 조성토록 콘크리트를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 시공방법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의 일실시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집수그레이팅(10)과, 상부집수구본체(20)와, 하부집수구본체(30)와, 높이조정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집수그레이팅(1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집수구가 시공되는 도로 노면 또는 교량 구조물의 양측에서 상기 상부집수구본체(20)의 유입구를 이루는 상부에 수용 안착되게 설치한다.
상기 집수그레이팅(10)은 구조물의 상판을 따라 흐르는 우수나 오수를 유입시키게 상하 수직 관통된 배수공(11)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배수공(11)은 상하 수직 관통하여 배수기능을 발휘하면서 배수공(11) 간에 서로 간격을 두고 구비하여 일정크기의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는 여과기능을 발휘한다.
상기 상부집수구본체(2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로 노면 또는 교량 구조물을 이루는 상판의 콘크리트에 매립 설치한다.
상기 상부집수구본체(20)는 상부에 상기 집수그레이팅(10)을 수용상태로 지지한다.
상기에서 상부집수구본체(20)에는 상기 집수그레이팅(10)을 수용상태로 지지토록 내면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단턱(21)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단턱(21)은 상기 상부집수구본체(20)의 내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 개를 구비토록 구성하므로, 상기 집수그레이팅(10)을 안정적으로 안착 지지한다.
상기 상부집수구본체(20)에는 하부에 상기 하부집수구본체(30)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하는 결속가이드단부(25)를 구비한다.
상기 결속가이드단부(25)는 상기 하부집수구본체(30)에 대응하여 끼움 결합 가능하게 돌출 형성한다. 이때, 상기 결속가이드단부(25)는 상기 상부집수구본체(20)의 하단부에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개를 구비토록 배치 구성한다.
또한, 상기 상부집수구본체(20) 및 상기 집수그레이팅(10)에 대응하여 구성하되 상기 상부집수구본체(20)의 내측에 수용 결합된 상기 집수그레이팅(10)을 자력으로 부착 고정하는 자력잠금수단(5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자력잠금수단(50)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부집수구본체(20)의 벽면에 설치하는 잠금체결편(51)과, 상기 집수그레이팅(10)에 구비하되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잠금체결편(51)에 대응하여 부착 가능한 자력을 생성하는 잠금자석유닛(55)를 구성한다.
상기 잠금체결편(51)은 상기 상부집수구본체(20) 상에 설치하되, 상기 상부집수구본체(20)에는 벽면에 관통 형성된 잠금홀(23)을 구비하고, 상기 잠금홀(23)에 대응된 상기 상부집수구본체(20)의 외벽면에 상기 잠금체결편(51)을 설치 구성한다.
상기에서 상부집수구본체(20)는 금속재 중 내식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면서 비자성의 특성을 갖는 알루미늄 소재로 사용하여 구성하고, 상기 잠금체결편(51)은 상기 잠금자석유닛(55)의 자력에 의하여 부착 가능한 금속 소재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즉, 상기 잠금체결편(51)만이 상기 상부집수구본체(20)의 전체영역에서 상기 잠금자석유닛(55)의 자력에 의하여 유일하게 부착 가능한 영역을 조성한다.
상기 집수그레이팅(10)에는 상기 상부집수구본체(20)의 잠금홀과 연통하게 형성하는 가이드구(15)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구(15)는 상기 집수그레이팅에서 상기 잠금자석유닛(55)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속 결합한다.
상기 잠금자석유닛(55)에는 작업자로부터 조작 가능하게 상기 집수그레이팅(10) 상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조작부재(56)와, 상기 잠금체결편(51)에 부착 가능하게 자력을 생성시키는 자석부재(57)를 구성한다.
상기 자석부재(57)에는 외부에 자석하우징(58)을 구비한다.
상기에서 자석하우징(58)은 비자성의 특성을 갖는 금속 소재(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로 구성한다. 즉, 주철소재로 자성을 갖는 상기 집수그레이팅(10)과는 상기 자석부재(57)의 자력에 의하여 미미한 부착성능을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집수그레이팅(10)의 가이드구(15) 내에서 원활한 슬라이딩 유동을 도모할 수 있는 비자성의 금속 소재로 구성한다.
상기 하부집수구본체(3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에 상기 상부집수구본체(20)를 결속 지지하면서 하부에 배수관(5)의 상단과 연결 결합하게 구성한다.
상기 하부집수구본체(30)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적어도 세 지점에 배치 형성하는 높이조절구(31)를 구성한다.
상기 높이조절구(31)는 상기 하부집수구본체(30) 상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하고, 상기 높이조정수단(40)을 끼움 결합하게 구성한다.
상기 하부집수구본체(30)는 우수 또는 오수의 낙하 안내방향에 따라 직선유도형 또는 경사유도형으로 구성한다.
상기 하부집수구본체(30)의 제1실시예는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수관(5)을 향해 내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배수관(5)을 향하여 우수 또는 오수를 수직방향으로 낙하 이동되게 안내하는 직선유도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집수구본체(30)의 제2실시예는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수관(5)을 향해 일방향으로 기울어져 우수 또는 오수를 기울임 경사방향으로 낙하 이동하게 안내하는 경사유도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조물의 시공 환경에 따라 하부집수구본체(30)를 타입별로 탄력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높이조정수단(40)은 상기 하부집수구본체(30)를 기초로 전반적인 집수구의 설치 높이 및 설치 기울기를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높이조정수단(4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개가 각각 상기 하부집수구본체(30)의 높이조절구(31) 상에 결합 구성한다.
상기 높이조정수단(4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조물의 거푸집에 대응하여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구조로서, 연장볼트(41) 및 고정너트(43), 조정너트(45)를 구성한다.
상기 연장볼트(41)는 상기 하부집수구본체(30)의 높이조절구(31)에 상하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한다. 즉, 상기 연장볼트(41)는 상기 높이조절구(31) 상에 상하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며, 상기 연장볼트(41)의 하단이 구조물의 거푸집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집수구본체(30)의 높이조절구(31)에 대응된 높이를 탄력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안내한다.
상기 고정너트(43) 및 상기 조정너트(45)는 상기 연장볼트(41) 상에 상기 하부집수구본체(30)의 높이를 설정한 후 고정 가능하게 구성한다. 즉, 상기 고정너트(43)는 상기 연장볼트(41)를 상기 높이조절구(31) 상에 결속 고정하고, 상기 조정너트(45)는 상기 높이조절구(31)의 하부에서 상기 연장볼트(41)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연장볼트(41)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하부집수구본체(30)에는 구조물의 철근과 이음 연결하는 철근고정부(35)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철근고정부(35)는 상기 하부집수구본체(30)의 사방에 이음 설치하되 상기 하부집수구본체(30)의 높이조절구(31)와 구조물의 철근 간에 이음 설치하여 용접 고정하게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철근고정부(35)를 구성하게 되면, 구조물 타설시 집수구를 정위치로 고정하면서 구조물과는 구조적으로 일체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에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부집수구본체(20)의 외측 둘레를 감싸 고정하여 구조물에 의한 외력으로부터 보호토록 지지하는 세이프티하우징(6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세이프티하우징(60)은 상기 상부집수구본체(20)의 사방에서 외벽에 접촉 지지하게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세이프티하우징(60)을 구성하게 되면, 상부집수구본체(20)의 외측 둘레를 감싸 고정하여 구조물에 의한 외력으로부터 보호토록 지지하게 구성하므로, 구조물 콘크리트의 열수축 팽창으로 인한 크랙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 시공방법의 일실시예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a)도로 또는 교량 구조물의 거푸집(A) 설치 및 철근(C)을 배근 설치한 후 집수구의 설치위치에 배근된 철근(C)을 절단하는 단계(S10)와, (b)집수구의 설치위치에 배수관(5)을 기초로 상부집수구본체(20) 및 하부집수구본체(30)를 결합하여 집수구를 설치하는 단계(S20)와, (c)구조물의 거푸집(A)에 지지된 상태로 높이조정수단(40)을 조작하여 집수구의 설치 높이 및 설치 기울기를 조정하는 단계(S30)와, (d)도로 노면 또는 교량 구조물을 조성토록 콘크리트를 포장하는 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b)단계(S20)에서는 집수구의 구성을 순차적으로 설치하되, 구조물의 거푸집(A)에 대응하여 수직 관통된 배수관(5)을 설치하고, 상기 배수관(5)의 상단부에 상기 하부집수구본체(30)를 결합 설치한 후 상기 하부집수구본체(30)의 사방에 높이조정수단(40)을 설치하며, 상기 하부집수구본체(30)의 상단부에 상기 상부집수구본체(20)를 결합 설치한다.
또한, 상기 (b)단계(S20)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집수구를 설치할 때, 상기 상부집수구본체(20)를 상기 하부집수구본체(30) 상에 결합한 후 상기 상부집수구본체(20)의 외측 둘레에 세이프티하우징(60)을 더 설치하게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c)단계(S30)에서는 상기 하부집수구본체(30)의 높이조절구(31)에 상기 높이조정수단(40)의 연장볼트(41)를 결합한 후, 상기 높이조정수단(40) 중 조정너트(45)를 조작하여 개개의 상기 높이조정수단(40)에 의한 집수구의 설치 높이 및 설치 기울기를 조정하며, 상기 하부집수구본체(30)에 대응하여 고정너트(43)로 조임 고정한다.
상기 (c)단계(S30)에서는 집수구의 설치 높이 및 설치 기울기를 조정한 다음, 집수구의 상기 하부집수구본체(30)와 구조물의 철근(C) 간에 철근고정부(35)로 이음 연결하여 용접 고정한다.
상기에서 철근고정부(35)는 상기 하부집수구본체(30)의 높이조절구(31)에 이음 연결하되, 복수 개의 높이조절구(31)마다 대응하여 배치 구성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하면, 집수구본체을 상하 분리구조로 적용하면서 외부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세 지점에서 집수구의 설치 높이는 물론 설치 기울기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하므로, 구조물의 구조별 상황에 맞게 집수구의 설치 수평도 및 경사도를 탄력적으로 조정하여 현장 시공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시공품질과 함께 지속적인 배수효율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집수구본체에 집수그레이팅을 자력으로 잠금 설정하게 구성하므로, 스틸 재질의 집수그레이팅의 도난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면서 시설관리자의 관리효율을 증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5 : 배수관 10 : 집수그레이팅
11 : 배수공 15 : 가이드구
20 : 상부집수구본체 21 : 지지단턱
23 : 잠금홀 25 : 결속가이드단부
30 : 하부집수구본체 31 : 높이조절구
35 : 철근고정부 40 : 높이조정수단
41 : 연장볼트 43 : 고정너트
45 : 조정너트 50 : 자력잠금수단
51 : 잠금체결편 55 : 잠금자석유닛
56 : 조작부재 57 : 자석부재
58 : 자석하우징 60 : 세이프티하우징
11 : 배수공 15 : 가이드구
20 : 상부집수구본체 21 : 지지단턱
23 : 잠금홀 25 : 결속가이드단부
30 : 하부집수구본체 31 : 높이조절구
35 : 철근고정부 40 : 높이조정수단
41 : 연장볼트 43 : 고정너트
45 : 조정너트 50 : 자력잠금수단
51 : 잠금체결편 55 : 잠금자석유닛
56 : 조작부재 57 : 자석부재
58 : 자석하우징 60 : 세이프티하우징
Claims (12)
- 도로 노면 또는 교량 구조물의 양측에서 상판을 따라 흐르는 우수나 오수가 유입되도록 상하 수직 관통된 배수공을 형성하는 집수그레이팅과; 도로 노면 또는 교량 구조물을 이루는 상판의 콘크리트에 매립 설치하고, 상기 집수그레이팅을 수용상태로 지지토록 내측에 돌출 형성된 지지단턱을 구비하는 상부집수구본체와; 상기 상부집수구본체를 상부에 결속 지지하되 배수관의 상단에 연결 결합하고, 외부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적어도 세 지점에 배치 구성하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높이조절구를 구성하는 하부집수구본체와; 상기 하부집수구본체의 높이조절구 상에 결합하여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하고 상기 하부집수구본체의 설치 높이 및 설치 기울기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하는 높이조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집수구본체에 결합하여 내측에 수용된 상기 집수그레이팅을 자력으로 부착 고정하는 자력잠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자력잠금수단은, 상기 상부집수구본체의 벽면에 설치하는 잠금체결편과, 상기 집수그레이팅에 구비하되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잠금체결편에 대응하여 부착 가능한 자력을 생성하는 잠금자석유닛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집수구본체에는, 하부에 형성하되 상기 하부집수구본체에 대응하여 끼움 결합 가능하게 돌출 형성하는 결속가이드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정수단은, 상기 하부집수구본체의 높이조절구에 상하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는 연장볼트와, 상기 연장볼트를 상기 높이조절구 상에 결속 고정하는 고정너트와, 상기 높이조절구의 하부에서 상기 연장볼트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연장볼트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정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집수구본체의 사방에 이음 설치하되 상기 하부집수구본체의 높이조절구와 구조물의 철근 간에 이음 설치하여 용접 고정하는 철근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집수구본체의 외측 둘레를 감싸 고정하여 구조물에 의한 외력으로부터 보호토록 지지하는 세이프티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집수구본체는, 상기 배수관을 향해 내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배수관을 향하여 우수 또는 오수를 수직방향으로 낙하 이동되게 안내하는 직선유도형으로 이루어지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집수구본체는, 상기 배수관을 향해 일방향으로 기울어져 우수 또는 오수를 기울임 경사방향으로 낙하 이동하게 안내하는 경사유도형으로 이루어지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
- 삭제
- 삭제
- 삭제
- 집수구 시공방법에 있어서,
(a) 도로 또는 교량 구조물의 거푸집 설치 및 철근을 배근 설치한 후 집수구의 설치위치에 배근된 철근을 절단하는 단계와;
(b) 집수구의 설치위치에 배수관을 기초로 상부집수구본체 및 하부집수구본체를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집수구를 설치하는 단계와;
(c) 구조물의 거푸집에 지지된 상태로 높이조정수단을 조작하여 집수구의 설치 높이 및 설치 기울기를 조정하는 단계와;
(d) 도로 노면 또는 교량 구조물을 조성토록 콘크리트를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청구항 1,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의 시공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집수구를 설치할 때, 상기 상부집수구본체를 상기 하부집수구본체 상에 결합한 후 상기 상부집수구본체의 외측 둘레에 세이프티하우징을 더 설치하게 이루어지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 시공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집수구의 설치 높이 및 설치 기울기를 조정한 다음, 집수구의 상기 하부집수구본체와 구조물의 철근 간에 철근고정부로 이음 연결하여 용접 고정하게 이루어지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5028A KR102571397B1 (ko) | 2022-09-13 | 2022-09-13 |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5028A KR102571397B1 (ko) | 2022-09-13 | 2022-09-13 |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71397B1 true KR102571397B1 (ko) | 2023-08-28 |
Family
ID=87806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15028A KR102571397B1 (ko) | 2022-09-13 | 2022-09-13 |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71397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97327Y1 (ko) * | 2000-04-25 | 2000-09-15 | 한국도로공사 | 배수로용 집수구 |
KR200414770Y1 (ko) | 2006-02-10 | 2006-04-24 |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 교량배수용 소켓형 집수구조체 |
KR100843175B1 (ko) * | 2007-05-23 | 2008-07-02 | 김순애 | 집수구 |
KR101028522B1 (ko) | 2010-05-07 | 2011-04-11 | 영신기술 주식회사 | 교량 설치용 집수구 |
KR102350566B1 (ko) * | 2021-09-30 | 2022-01-12 | 주식회사 금라이엔지 | 자력식 잠금 기능을 갖는 그레이팅 집수구 |
-
2022
- 2022-09-13 KR KR1020220115028A patent/KR10257139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97327Y1 (ko) * | 2000-04-25 | 2000-09-15 | 한국도로공사 | 배수로용 집수구 |
KR200414770Y1 (ko) | 2006-02-10 | 2006-04-24 |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 교량배수용 소켓형 집수구조체 |
KR100843175B1 (ko) * | 2007-05-23 | 2008-07-02 | 김순애 | 집수구 |
KR101028522B1 (ko) | 2010-05-07 | 2011-04-11 | 영신기술 주식회사 | 교량 설치용 집수구 |
KR102350566B1 (ko) * | 2021-09-30 | 2022-01-12 | 주식회사 금라이엔지 | 자력식 잠금 기능을 갖는 그레이팅 집수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43175B1 (ko) | 집수구 | |
US11987938B2 (en) | Drainage device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nd use | |
CN111501970A (zh) | 一种预制装配式雨水口及其施工方法 | |
KR101429147B1 (ko) | 연속배수시설이 구비된 도로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100025159A (ko) | 교량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 |
KR102213360B1 (ko) | 횡단보도 환경개선 빗물받이 및 그 시공방법 | |
KR102571397B1 (ko) |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 |
KR20140139217A (ko) | 선배수 기능을 내포한 현장타설 콘크리트 방호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1111727B1 (ko) | 집수부와 그레이팅을 포함한 교량 상판 물 빼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배수 시공 방법 | |
JP2007107234A (ja) | 排水用側溝装置 | |
KR102678969B1 (ko) | 높이 가변형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 |
KR102358432B1 (ko) | 빗물 침투기능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 |
JP4000580B2 (ja) | 排水装置内包縁石 | |
JP7249202B2 (ja) | 排水溝形成部材及び道路橋排水溝の交換補修工法 | |
KR200456737Y1 (ko) | 도로경계석 받침대 | |
KR102213359B1 (ko) | 급속 시공이 가능한 빗물받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200450900Y1 (ko) |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 |
JPH05339978A (ja) | 複合機能型側溝 | |
KR102640239B1 (ko) | 집수구 3단 분리형 교량 선배수 장치 및 그 시공방법 | |
KR102494159B1 (ko) | 관 보호블록 구조물 및 상기 구조물의 시공방법 | |
KR100451145B1 (ko) | 길이 조절이 가능한 옹벽용 배수 슬리브 | |
CN219410404U (zh) | 一种半圆状水泥涵管边沟结构 | |
CN220183971U (zh) | 一种室外装配式排水机构 | |
CN114892781B (zh) | 一种隐蔽式溢流沟装置及安装方法 | |
KR102234355B1 (ko) | 높, 낮이 가변형 루프 드레인 및 이의 하부바디 설치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