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327Y1 - 배수로용 집수구 - Google Patents

배수로용 집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327Y1
KR200197327Y1 KR2020000011792U KR20000011792U KR200197327Y1 KR 200197327 Y1 KR200197327 Y1 KR 200197327Y1 KR 2020000011792 U KR2020000011792 U KR 2020000011792U KR 20000011792 U KR20000011792 U KR 20000011792U KR 200197327 Y1 KR200197327 Y1 KR 2001973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drain
water
catchment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7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달
황의철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주식회사시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주식회사시흥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20200000117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3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3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3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용 집수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로나 교량의 노면을 흐르는 빗물 등을 집수하기 위한 집수부는 집수구로부터 분리되도록 형성되며, 집수부의 측면에는 배수구가 형성된 집수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집수구에 침투수가 빠져나갈 배수구를 형성하여 콘크리트 바닥판 내부의 철근의 부식이나, 콘크리트와 아스콘층이 오랫동안 물을 머금고 있음으로써 콘크리트 바닥판이나 아스콘층이 쉽게 노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의 집수구(10)는 상부배수부(31)와 하부배수부(32)로 이루어진 배수부(30), 상기 배수부(30) 상부에 집수가 용이하도록 형성되며 집수부(20)나 높이조절보조부(25)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31a)가 형성된 상부배수부(31), 콘크리트 바닥판을 형성하기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 시공 높이에 따라 집수구(1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보조부(25), 노면수의 집수가 용이하면서 상기 집수구(10)에 돌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레이팅 처리된 집수부(20), 상기 집수부(20)의 측면에 침투수를 원활하게 배수하도록 형성된 배수구(20a), 상기 집수부(20)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배수구(20a)로 돌 등의 이물질이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린(40)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배수로용 집수구{DRAINAGE}
본 고안은 배수용 집수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로나 교량의 노면을 흐르는 빗물 등을 집수하기 위한 집수부는 집수구로부터 분리되도록 형성되며, 집수부의 측면에는 배수구가 형성된 집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나 교량의 노면은 횡방향이나 종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빗물 또는 염화물이 포함된 눈이 녹은 물(이하 '노면수' 라고 한다)은 노면에 고이지 않고 신속하게 노면의 가장자리(이하 '노견부'라 한다)로 흘러내린다. 이렇게 노견부로 흘러내리는 노면수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일정한 간격으로 집수구가 설치되어야 한다.
도 5는 종래의 집수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종래의 집수구(1)의 상부는 통상 사각형상으로 노면수를 집수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고, 노면수 이외의 돌 등의 이물질이 집수구에 흘러 들어가는 방지하기 위해 그레이팅(2a) 처리된다.
또한 집수구는 집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깔때기 형상이며, 크게 집수하기 위한 집수부(2)와 집수된 노면수를 배수관로에 흘러보내는 배수부(3)로 구분된다.
종래의 이러한 집수구는 집수부(2)와 배수부(3)가 일체로 형성되어 분리될 수 없다.
상기 종래의 집수구(1)를 교량에 이용하는 경우 시공방법에 따라 상기 집수구(1)의 상단을 콘크리트 바닥판의 상면보다 높게 설치하거나, 콘크리트 바닥판의 상면과 일치하게 설치한다.
도 6은 콘크리트 바닥판(5)에 아스콘층(6)으로 교량면을 처리하는 교량에서 도 5의 종래의 집수구(1)를 이용하여 노면수 처리를 시공한 단면도이다.
도 6에서, 1은 집수부(2)와 배수부(3)로 이루어진 깔때기 형상의 집수구이다.
5는 교량을 형성하는 바닥판으로 통상 철근 콘크리트로 시공된다.
6은 교량면을 마무리하는 아스콘층(6)으로 통상 콘크리트 위에 8 ㎝ 정도로 덧씌운다.
2a는 돌 등의 이물질이 집수구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처리된 그레이팅이다.
도6의 시공과정을 살펴보면, 교량의 골조를 이루고 있는 철근 사이에 배수부를 고정하고, 집수부(2)의 상단보다 5 내지 6㎝ 낮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량의 콘크리트 바닥판(5)을 형성한 후, 상기 집수부(2)의 상단과 일치하도록 아스콘층(6)을 포장하여 교량면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난간이 있는 교량을 시공할 경우 상기 아스콘층(6) 시공에 앞서 콘크리트 바닥판(5)이 형성된 후 난간 시공 장비를 사용하여 난간(7)을 시공한다.
상기 도6과 같이 집수구(1)가 시공되었을 경우
첫째, 아스콘층(6)에 흡수된 노면수는 콘크리트 바닥판(5)의 상면을 따라 흐르게 되나(이렇게 콘크리트 바닥판 상면을 따라 흐르는 물을 '침투수'라 한다) 집수구(1)에 이러한 침투수가 빠져나갈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콘크리트 바닥판(5) 상면에 오랫동안 머무르고 있다가 결국 콘크리트에 흡수되어 콘크리트 바닥판 내부의 철근을 부식하게 한다.
또한, 콘크리트와 아스콘층이 오랫동안 물을 머금고 있음으로써 콘크리트 바닥판이나 아스콘층이 쉽게 노화된다.
둘째, 상기 아스콘층(6)이 노화되면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5)으로부터 제거하고 재시공하게 되는데, 상기 아스콘층(6)을 제거할 때 집수부(2)가 파손될 수 있으나 집수부(2)를 분리할 수 없으므로 이를 새롭게 시공할 수도 없다.
셋째, 통상 교량을 시공할 때 교량의 난간(7) 공사는 콘크리트 바닥판(5)을 시공한 후 이루어지게 되는데, 집수부(2)가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5)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5) 위를 이동하는 난간공사 장비에 의해 파손되기 쉽다.
넷째,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5)을 시공할 때, 집수부(2)가 시공 콘크리트 바닥판(5)보다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집수구(1) 주변을 양호하게 다짐할 수 없어 상기 집수구(1) 주변의 콘크리트 강도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없다.
도7은 종래의 집수구(1)를 이용하여 시공한 또 다른 실시예이다.
상기 도7은 상기 도6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콘크리트 바닥판(5)의 상면과 상기 집수구(1)의 상면이 일치하도록 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시공하게 되면 상기 도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스콘층(6) 층이 모두 집수구(2) 상면 위로 시공되어, 상기 집수구(2) 상부에서 상기 아스콘층(6)이 급경사를 이루게 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철근은 인장강도를 받기 위한 것이므로 구조물의 중심에서 떨어진 표면 근방에 주로 배근된다.
따라서 도면7.과 같이 시공되었을 때,
첫째, 상기 집수구(2) 부근에는 포설되는 상기 아스콘층(6)에 거푸집 역할을 할 수 있는 집수부(2)가 없어 상기 집수구(2) 근처의 아스콘층(6)을 양호하게 다짐할 수 없게된다. 따라서 아스콘층(6)의 다짐불량으로 아스콘층(6)이 쉽게 파손된다.
둘째, 상기 집수구(2) 주변의 아스콘층(6)이 쉽게 파손됨에 따라 아스콘층(6)을 따라 흘러내리던 노면수가 파손된 아스콘층(6) 부분을 통해 콘크리트 바닥판(5) 상면을 따라 흘러들어 감으로써 도면6에서와 같이 침투수가 콘크리트 바닥판(5) 상면에 오랫동안 머무르고 있다가 결국 콘크리트에 흡수되어 콘크리트 바닥판 내부의 철근을 부식시킬 뿐 아니라 콘크리트와 아스콘층이 오랫동안 물을 머금고 있음으로써 콘크리트 바닥판이나 아스콘층이 쉽게 노화된다.
셋째, 집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반경을 크게 형성한 집수부(2)가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5) 깊숙이 설치되어야 함으로 배근된 철근을 다량으로 절단하게 되어 상기 집수구(2) 부분의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5)의 강도가 약해지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이다.
본 고안은 집수구에 침투수가 빠져나갈 배수구를 형성하여 콘크리트 바닥판 내부의 철근을 부식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와 아스콘층이 오랫동안 물을 머금고 있음으로써 콘크리트 바닥판이나 아스콘층이 쉽게 노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집수구의 집수부가 파손되었을 때, 집수부를 용이하게 교체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교량의 난간공사 등 콘크리트 바닥판 시공후에 이루어지는 공사 진행시 장비이동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집수부(2)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집수구 근처의 아스콘층을 양호하게 다짐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수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집수구를 이용하여 시공한 실시예를 나타낸 시공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시공 흐름도.
도 4는 콘크리트 바닥판 시공시 집수구에 보호판이 설치된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집수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집수구의 상단이 콘크리트 바닥판의 상면보다 높게 시공된 단면도.
도 7은 도 5의 집수구의 상단이 콘크리트 바닥판의 상면과 같은 높이로 시공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a : 그레이팅 4 : 배수관
1, 10 : 집수구 2, 20 : 집수부
20a : 배수구 20b : 걸림턱
25 : 높이조절보조부 25a : 걸림턱
3, 30 : 배수부
31 : 상부배수부 31a : 결합부
32 : 하부배수부
35a, 35b : 보호판
40 : 스크린 5, 50 : 콘크리트 바닥판
6, 60 : 아스콘층 70 : 난간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집수구(10)는 상부배수부(31)와 하부 배수부(32)로 이루어진 배수부(30), 상기 배수부(30) 상부에 집수가 용이하도록 형성되며 집수부(20)나 높이조절보조부(25)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31a)가 형성된 상부배수부(31), 콘크리트 바닥판을 형성하기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 시공 높이에 따라 상기 집수구(1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보조부(25), 노면수의 집수가 용이하면서 상기 집수구(10)에 돌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레이팅(2a) 처리된 집수부(20), 상기 집수부(20)의 측면에 침투수를 원활하게 배수하도록 형성된 배수구(20a), 상기 집수부(20)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배수구(20a)로 돌 등의 이물질이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크린(40)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도면을 통해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참조 번호를 부여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집수구(10)의 분해 사시도이다.
20은 집수부로 도로면이나 교량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노면수를 용이하게 집수하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돌 등의 이물질이 집수구에 유입되지 못하도록 그레이팅(2a) 처리되어 있고, 상기 집수부(20)의 측면에는 침투수가 용이하게 배수되도록 다수의 배수구(2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집수부(20)의 하부에는 배수부(30)의 결합부(31a)에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턱(20b)이 형성되어 있다.
30은 배수부로 집수부(20)에서 집수한 노면수를 용이하게 배수관으로 유입시키며, 높이조절보조부(25)나 집수부(2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된 상부배수부(31)와 배수관에 연결되는 하부배수부(32)로 구성된다.
31은 상부배수부로 상기 집수부(20)로 유입되는 물을 상기 배수부(30)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깔때기의 상부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상부배수부(31)의 상부에 높이조절보조부(25)나 집수부(2)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31a)가 형성된다.
25는 높이조절보조부로 콘크리트 바닥부에 맞추어 집수구(10)의 높이를 조절하는데 사용하며, 하부에 상기 결합부(31a)에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턱(25a)이 형성되어 있다.
40은 스크린으로 상기 배수구(20a)로 돌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며, 내식성 처리된 아연도금 철망 등이 사용된다.
각 구성요소들의 기능 및 작용은 상기 집수구(10)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실예를 통해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집수구를 이용하여 교량을 시공한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3은 도2를 시공하기 위한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철근을 골조로 배근하고, 여기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교량을 시공하는 부분 중에서 본 고안의 집수구에 관련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50은 콘크리트 바닥판으로 교량 등에서는 철근이 배근된 철근 콘크리트층이다.
60은 아스콘층으로 콘크리트 바닥판(50)을 시공한 후 도로나 교량의 마무리면이다.
70은 교량의 난간으로 콘크리트 바닥판(50)을 시공한 후 아스콘층을 시공하기 전에 시공한다.
먼저, 배근된 철근에 상기 배수부(30)를 설치하되, 상기 배수부(30)의 상부배수부(31)의 상단이 콘크리트 시공 완료시 콘크리트 바닥판(5)의 상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배수부(30)의 상부배수부(31) 상부에 판재 등의 보호판(35a)을 덮거나 집수부(20)를 결합한 상태로 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50)을 시공한다.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50)이 양생된 후 난간 공사를 시행한다. 이때 콘크리트 바닥판(5)의 배수부(30)가 설치된 부분을 보호판(35)으로 덮어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5) 위를 난간공사 장비 등이 이동할 때 배수부(30)가 난간공사 장비의 바퀴 등에 눌리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집수부(20)를 결합한 상태로 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 경우에는 그 집수부(20)를 분리 제거한 후에 보호판(35)을 덮는다.
다음으로 상기 배수부(30)의 상부배수부(31)의 결합부(31a)에 상기 집수부(20)를 결합한다.
마지막으로 교량의 마무리 면인 아스콘층(60)을 시공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높이는 상기 배수부(30)의 상부배수부(31)의 결합부(31a)에 상기 집수부(20)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집수부(20)의 측면에 형성된 배수구(20a)의 하단이 시공된 콘크리트 바닥판(5) 상면과 일치하거나 상면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상기 배수부(30)의 상단이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난간공사를 시행할 때 상기 집수구(10)를 이중으로 보호하기 위해 상기 보호판(35a) 위에 또 다른 보호판(35b)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부(20) 측면에 상기 스크린(40)을 설치하여 상기 배수구(20a)로 유입될 수 있는 돌 등의 이물질을 차단하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50)에 대응하여 상기 배수부(30)의 상부배수부(31)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높이조절보조부(25)를 사용할 수 있다.
설계한 콘크리트 바닥판(50)보다 지나치게 낮게 배수부(30)를 설치한 경우 또는 1차 콘크리트 타설 후 그 위에 2차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 등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50)에 대응하도록 상기 배수부(30)의 상부배수부(31)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된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의 집수구(10)를 시공함으로써 상기 집수부(20)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상기 배수구(20a)는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50) 상면보다 아래에 형성됨으로 아스콘층(60)을 투과한 침투수는 콘크리트 바닥판(50)의 상면을 따라 흘러 내려 상기 집수부(20)의 배수구(20a)를 통해 용이하게 배수된다.
따라서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50)이나 아스콘층(60)이 물을 오랫동안 머금는 것을 막아 열화를 방지며,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50) 내부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막아 철근의 부식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집수부(20) 근처에 시공되는 상기 아스콘층(60)의 두께를 5 ~ 6㎝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아스콘층(60)을 시공할 때 상기 집수부(20)가 거푸집 역할을 하여 상기 아스콘층(60)의 다짐을 양호하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아스콘층(60)의 두께가 얇거나 다짐이 불량하여 아스콘층(60)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아스콘층은 일정기간이 흐르면 제거한 후 재시공하여야 한다.
위와 같이 아스콘층을 재시공하기 위해 기존의 아스콘층(60)을 제거할 때 상기 집수구(10)의 집수부(20)는 쉽게 파손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집수부(20)를 상기 배수부(30)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한 후 새로운 집수부를 교체하여 최초의 아스콘 시공과 동일하게 시공할 수 있으므로 상기 집수구(10)의 기능을 항상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집수구는 위에서 언급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아스콘층(60)을 투과한 침투수는 콘크리트 바닥판(50)의 상면을 따라 흘러 내려 상기 집수부(20)의 배수구(20a)를 통해 용이하게 배수되므로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50)이나 상기 아스콘층(60)이 물을 오랫동안 머금는 것을 막아 열화를 방지며,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50) 내부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막아 철근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50)에 대응하여 상기 배수부(30)의 상부배수부(31)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집수부(20) 측면에 상기 스크린(40)을 설치하여 상기 배수구(20a)로 유입될 수 있는 돌 등의 이물질을 차단하므로 침투수의 배수를 항상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집수부(20) 근처에 시공되는 상기 아스콘층(60)의 두께를 적정하게 시공할 수 있고, 상기 아스콘층(60)의 다짐을 양호하게 시공할 수 있으므로 상기 아스콘층(60)의 두께가 얇거나 다짐이 불량하여 아스콘층(60)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아스콘층(60)을 재시공할 때 상기 집수부(20)를 상기 배수부(30)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한 후 새로운 집수부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집수구(10)의 기능을 항상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5) 위를 난간공사 장비 등이 이동할 때 상기 보호판(35)으로 상기 집수구(10)를 보호할 수 있으므로 이어지는 공사에 따른 상기 집수구(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콘크리트 바닥판 위에 아스콘 포장을 하는 도로 또는 교량에 설치되는 배수로용 집수구에 있어서,
    그레이팅 형성된 집수부(20)와, 상기 집수부(20)의 측면에 형성된 배수구(20a)와, 상기 집수부(20)가 착탈되도록 상부에 결합되는 깔때기 형상의 배수부(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집수부(20)가 상기 배수부(30)의 상부에 결합되어 도로 또는 교량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의 상면이 상기 배수구(20a)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용 집수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20)와 상기 배수부(30) 사이에 높이조절보조부(2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용 집수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30)의 측면에 스크린(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용 집수구.
KR2020000011792U 2000-04-25 2000-04-25 배수로용 집수구 KR2001973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792U KR200197327Y1 (ko) 2000-04-25 2000-04-25 배수로용 집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792U KR200197327Y1 (ko) 2000-04-25 2000-04-25 배수로용 집수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7327Y1 true KR200197327Y1 (ko) 2000-09-15

Family

ID=19653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792U KR200197327Y1 (ko) 2000-04-25 2000-04-25 배수로용 집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327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650B1 (ko) * 2001-12-06 2004-07-01 김해영 교량용 집수구
KR100843175B1 (ko) * 2007-05-23 2008-07-02 김순애 집수구
KR100958301B1 (ko) 2008-04-03 2010-05-19 주식회사 리더스산업 배수성이 향상된 교량용 집수구
KR101002440B1 (ko) * 2008-05-28 2010-12-21 고재용 교량용 빗물 배수장치의 집수구
KR101197670B1 (ko) 2012-06-29 2012-11-07 추용대 교량용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KR101258476B1 (ko) 2011-09-15 2013-04-26 한경수 가변식 집 배수관
KR101535669B1 (ko) * 2014-07-07 2015-07-13 다산기업 주식회사 누수방지형 gfrp 교량 집수구 및 이 시공 보수 방법
KR102571397B1 (ko) * 2022-09-13 2023-08-28 김기종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650B1 (ko) * 2001-12-06 2004-07-01 김해영 교량용 집수구
KR100843175B1 (ko) * 2007-05-23 2008-07-02 김순애 집수구
KR100958301B1 (ko) 2008-04-03 2010-05-19 주식회사 리더스산업 배수성이 향상된 교량용 집수구
KR101002440B1 (ko) * 2008-05-28 2010-12-21 고재용 교량용 빗물 배수장치의 집수구
KR101258476B1 (ko) 2011-09-15 2013-04-26 한경수 가변식 집 배수관
KR101197670B1 (ko) 2012-06-29 2012-11-07 추용대 교량용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KR101535669B1 (ko) * 2014-07-07 2015-07-13 다산기업 주식회사 누수방지형 gfrp 교량 집수구 및 이 시공 보수 방법
KR102571397B1 (ko) * 2022-09-13 2023-08-28 김기종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1599B1 (ko) 교면포장의 공용성능 향상을 위한 침투수 배수공법 및 그교면포장체
KR200197327Y1 (ko) 배수로용 집수구
KR102348396B1 (ko) 선배수 기능을 겸한 점배수 장치
KR101728128B1 (ko) 성토사면용 도로 배수시설 및 그에 따른 시공방법
CN212103654U (zh) 一种桥梁伸缩缝排水装置
KR101028522B1 (ko) 교량 설치용 집수구
KR101429147B1 (ko) 연속배수시설이 구비된 도로 및 이의 시공방법
JP4897551B2 (ja) 歩車道境界用排水装置
KR101111727B1 (ko) 집수부와 그레이팅을 포함한 교량 상판 물 빼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배수 시공 방법
KR100312600B1 (ko) 교량의 배수처리 시공방법
CN210529482U (zh) 一种桥梁伸缩缝排水结构
JP7249202B2 (ja) 排水溝形成部材及び道路橋排水溝の交換補修工法
KR101054310B1 (ko) 배수용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2764544B2 (ja) 透水性舗装路面用街渠蓋
JP6153187B1 (ja) 道路橋地覆拡幅ユニット
JP2000045212A (ja) 境界ブロック
WO1996031657A1 (en) A drainage installation for roads
KR20100128405A (ko) 교량 상판의 차수 방법 및 구조
KR102073887B1 (ko) 도로연속배수시설의 타설장치
JP4528743B2 (ja) 側溝用集水枡及び側溝の施工方法
CN217580208U (zh) 道路用边坡防护结构
KR200300502Y1 (ko) 유실방지를 위한 빗물 월류 배수시설
KR100457132B1 (ko) 산마루 측구를 이용한 절토부 사면 점검로
JP2000160568A (ja) 法枠工及びその構築方法
JP2000328641A (ja) 縁石付き蓋版を備えた側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50420

Effective date: 20050829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50704

Effective date: 2006052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103

Effective date: 2006052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EXTG Ip right invalidated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707

Effective date: 20070315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329

Effective date: 2007053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70426

Effective date: 2007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