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02Y1 - 유실방지를 위한 빗물 월류 배수시설 - Google Patents

유실방지를 위한 빗물 월류 배수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02Y1
KR200300502Y1 KR20-2002-0029184U KR20020029184U KR200300502Y1 KR 200300502 Y1 KR200300502 Y1 KR 200300502Y1 KR 20020029184 U KR20020029184 U KR 20020029184U KR 200300502 Y1 KR200300502 Y1 KR 2003005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concrete
rainwater
existing road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91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현표
Original Assignee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291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5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 도로의 유실 방지를 위한 빗물 월류 배수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마철과 같은 대홍시에 기존 횡방향 배수로의 통수량이 부족할 경우 도로 바닥면으로 넘쳐흐르는 빗물을 유도하여 법면부 콘크리트 배수로를 통하여 배수 처리될 수 있도록 월류 배수시설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유실방지를 위한 빗물 월류 배수시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산 비탈면에 설치되는 U형 측구, U형 측구의 하부에 설치되는 집수 맨홀, 집수 맨홀과 연접되게 설치되는 횡방향 배수로, 횡방향 배수로를 통한 빗물 및 지하수를 법면부의 하부로 배출하는 종방향 배수로를 포함하는 기존 도로의 배수시설에 있어서, U형 측구, 횡방향 배수로, 종방향 배수로가 접하는 위치에는 기존 도로의 아스콘 포장층을 걷어내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콘크리트 포장층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의 기존 도로에는 콘크리트 포장층이 형성된 법면측의 L형 옹벽을 절단한 후 그 사이에 배수로 난간과 지주대가 설치되어 L형 옹벽과 일체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의 배수로 난간과 지주대가 설치된 측면의 법면에는 법면부 콘크리트 배수로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의 법면부 콘크리트 배수로는 ㄷ자 형태로 제작되고 누워진 형태로 법면의 하면에 위치한 법면부 콘크리트 배수로의 하부에 확장부를 형성하여 빗물이 기존 도로로 월류하는 경우 효율적으로 빗물을 유도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의 법면부 콘크리트 배수로가 설치된 사면의 중앙으로 종방향 배수로의 일측이 노출되어 횡방향 배수로의 빗물을 법면으로 배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유실방지를 위한 빗물 월류 배수시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실방지를 위한 빗물 월류 배수시설{RAIN DRAINAGE APPARATUS OF ROAD}
본 고안은 기존 도로의 유실 방지를 위한 빗물 월류 배수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마철과 같은 대홍시에 기존 횡방향 배수로의 통수량이 부족할 경우 도로 바닥면으로 넘쳐흐르는 빗물을 유도하여 법면부 콘크리트 배수로를 통하여 배수 처리될 수 있도록 월류 배수시설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유실방지를 위한 빗물 월류 배수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성토부 상부에 기존 도로가 건설된 경우, 산 비탈면에 인접하게 횡방향 배수로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의 산 비탈면에는 U형 측구가 설치되어 도로의 횡방향 배수로에 연접되게 설치하여 산 비탈면에서 발생되는 빗물 및 지하수를 처리하게 되며, 이때 상기의 횡방향 배수로에는 성토부를 지중으로 가로지르는 종방향 배수로가 설치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기존 도로의 배수시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산 비탈면(S)과 같은 장소에 기존 도로(50)가 건설된 경우 기존 도로(50)와 산 비탈면(S)의 사이에 횡방향 배수로(20)가 설치된다.
상기의 기존 도로(50)는 산 비탈면(S)을 깍아 성토부의 상면에 도로를 건설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의 기존 도로(50)는 횡방향 배수로(10)와 연결되도록 종방향 배수로(20)를 도로의 성토부(30)를 통하도록 설치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기존 도로의 횡방향 배수로 및 종방향 배수로로 구성된 배수로 구조는, 장마철과 같은 때 폭우가 쏟아지는 경우, 횡방향 배수로의 통수 단면적을 넘어 횡방향 배수로를 월류한 빗물이 기존 도로상으로 월류하게 되고, 이때 월류한 빗물은 도로의 횡방향 배수로가 설치된 반대편의 법면을 점선과 같이 쓸고내려가 도로의 법면에 대한 유실 및 도로의 침하에 따른 대형의 차량 사고 및 인명 사고가 매년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산 비탈면에 설치된 U형 측구를 통한 빗물이 횡방향 배수로로 유입되고, 횡방향 배수로로 유입된 빗물의 양이 많아 빗물이 기존 도로로 월류하는 경우 기존 도로상에 고이지 않고 곧 바로 법면부 콘크리트 배수로로 배출되는 구조로 빗물 월류 배수시설이 설치되는 관계로 기존 도로를 지지하는 성토부의 토사 유실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한편, 차량의 통행에 대한 안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유실방지를 위한 빗물 월류 배수시설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기존 도로의 배수시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기존 도로의 유실방지를 위한 빗물 월류 배수시설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기존 도로의 유실방지를 위한 빗물 월류 배수시설의 측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U형 측구 110: 횡방향 배수로
120: 집수맨홀 130: 성토부
140: 종방향 배수로 150: 아스콘 포장층
160: 콘크리트 포장층 170: L형 옹벽
180: 배수로 난간 190: 지주대
200: 기존 도로 210: 법면부 콘크리트 배수로
212: 확장부 S: 산 비탈면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산 비탈면에 설치되는 U형 측구, U형 측구의 하부에 설치되는 집수 맨홀, 집수 맨홀과 연접되게 설치되는 횡방향 배수로, 횡방향 배수로를 통한 빗물 및 지하수를 법면부의 하부로 배출하는 종방향 배수로를 포함하는 기존 도로의 배수시설에 있어서, U형 측구, 횡방향 배수로, 종방향 배수로가 접하는 위치에는 기존 도로의 아스콘 포장층을 걷어내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콘크리트 포장층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의 기존 도로에는 콘크리트 포장층이 형성된 법면측의 L형 옹벽을 절단한 후 그 사이에 배수로 난간과 지주대가 설치되어 L형 옹벽과 일체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의 배수로 난간과 지주대가 설치된 측면의 법면에는 법면부 콘크리트 배수로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의 법면부 콘크리트 배수로는 ㄷ자 형태로 제작되고 누워진 형태로 법면의 하면에 위치한 법면부 콘크리트 배수로의 하부에 확장부를 형성하여 빗물이 기존 도로로 월류하는 경우 효율적으로 빗물을 유도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의 법면부 콘크리트 배수로가 설치된 사면의 중앙으로 종방향 배수로의 일측이 노출되어 횡방향 배수로의 빗물을 법면으로 배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유실방지를 위한 빗물 월류 배수시설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 상태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기존 도로의 유실방지를 위한 빗물 월류 배수시설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기존 도로(200)에는 산 비탈면(S)에 U형 측구(100)가 설치되고, 상기의 U형 측구(100)와 기존 도로(200)의 횡방향 배수로(110)가 만나는 장소에는 집수 맨홀(120)이 설치되며, 상기의 집수 맨홀(120)이 설치된 횡방향 배수로(110)에는 기존 도로(200)의 성토부를 횡단하는 종방향 배수로(140)가 설치된다.
상기의 U형 측구(100)와 횡방향 배수로(110)가 접하는 기존 도로(200) 상면에는 아스콘 포장층(150)을 걷어내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포장층(160)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의 콘크리트 포장층(160)이 형성된 위치에는 법면으로 차량의 전복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한 L형 옹벽(170)을 절단한 후 배수로 난간(180)과 지주대(190)를 설치하여 L형 옹벽(170)과 일체 구조로 설치한다.
또한, 상기의 배수로 난간(180)과 지주대(190)가 설치된 위치에는 법면부 콘크리트 배수로(210)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의 법면부 콘크리트 배수로(210)는 ㄷ자 형태로 제작되고 누워진 형태로 법면의 하면에 위치한 법면부 콘크리트 배수로(210)의 하부에 확장부(212)를 형성하여 빗물이 기존 도로(200)로 월류하는 경우 효율적으로 빗물을 유도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기존 도로의 유실방지를 위한 빗물 월류 배수시설의 측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기존 도로(200)의 성토부(130)를 횡단하는 종방향 배수로(140)와 기존 도로(200)와 산 비탈면(S)이 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횡방향 배수로(110)가 접하는 위치에는 콘크리트 포장층(160)을 형성하고, 상기의 기존 도로(200)의 법면에 설치된 L형 옹벽(170)에는 법면부를 따라 경사지게 법면부 콘크리트 배수로(210)가 설치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빗물 월류 배수시설은, 장마철과 같은 때에 폭우가 쏟아지는 경우 기존 도로(200)의 횡방향 배수로(110)를 월류하는 빗물을 곧바로 아스콘 포장층(150)을 통해 곧 바로 법면부 콘크리트 배수로(210)로 통해 배출할 수 있는 관계로 종래와 같이 성토부(130)가 유실되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빗물 월류 배수시설은, 폭우시에 기존 도로(200)로 월류된 많은 양의 빗물을 법면에 설치한 법면부 콘크리트 배수로(210)의 하부로 배출할 수 있음은 물론, 횡방향 배수로(110)와 연결된 종방향 배수로(140)로 빗물을 동시에 배출시킬수 있는 관계로 성토부(130)의 유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관계로 기존 도로(200)의 붕괴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계곡과 접하는 기존 도로에는 종방향 배수로(140)의 중간부에 다른 배수관을 연결하게 되면 횡방향 배수로(110)를 통해 유입되는 빗물을 여러 라인(LINE)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되어 초기 유입된 빗물을 빠르게 횡방향 배수로(110)와 종방향 배수로(140)를 통해 통수 면적을 확대해가면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종방향 배수로(140)에 다른 배수관을 연결한 도면을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안에서 변경은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 상태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기존 도로의 유실방지를 위한 빗물 월류 배수시설은, 그 구조상 기존 도로의 횡방향 배수로를 월류하는 빗물을 곧 바로 법면부 콘크리트 배수로를 통하여 법면부의 하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관계로 성토부의 붕괴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기존 도로의 유실방지를 위한 빗물 월류 배수시설은, 기존 도로상에 종방향 배수로와 횡방향 배수로가 만나는 지점에 설치가 가능하여, 기존에 발생되던 도로의 붕괴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관계로 기존 도로상에서 발생되던 차량의 전복 사고에 따른 인명 사고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산 비탈면에 설치되는 U형 측구, U형 측구의 하부에 설치되는 집수 맨홀, 집수 맨홀과 연접되게 설치되는 횡방향 배수로, 횡방향 배수로를 통한 빗물 및 지하수를 법면부의 하부로 배출하는 종방향 배수로를 포함하는 기존 도로의 배수시설에 있어서,
    U형 측구(100), 횡방향 배수로(110), 종방향 배수로(140)가 접하는 위치에는 기존 도로(200)의 아스콘 포장층(150)을 걷어내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콘크리트 포장층(160)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의 기존 도로(200)에는 콘크리트 포장층(160)이 형성된 법면의 L형 옹벽(170)을 절단한 후 그 사이에 배수로 난간(180)과 지주대(190)가 설치되어 L형 옹벽(170)과 일체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의 배수로 난간(180)과 지주대(190)가 설치된 측면의 법면에는 법면부 콘크리트 배수로(210)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의 법면부 콘크리트 배수로(210)는 ㄷ자 형태로 제작되고 누워진 형태로 법면의 하면에 위치한 법면부 콘크리트 배수로(210)의 하부에 확장부(212)를 형성하여 빗물이 기존 도로(200)로 월류하는 경우 효율적으로 빗물을 유도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의 법면부 콘크리트 배수로(210)가 설치된 사면의 중앙으로 종방향 배수로(140)의 일측이 노출되어 횡방향 배수로(110)의 빗물을 법면으로 배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유실방지를 위한 빗물 월류 배수시설.
KR20-2002-0029184U 2002-09-30 2002-09-30 유실방지를 위한 빗물 월류 배수시설 KR2003005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184U KR200300502Y1 (ko) 2002-09-30 2002-09-30 유실방지를 위한 빗물 월류 배수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184U KR200300502Y1 (ko) 2002-09-30 2002-09-30 유실방지를 위한 빗물 월류 배수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02Y1 true KR200300502Y1 (ko) 2003-01-14

Family

ID=49329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9184U KR200300502Y1 (ko) 2002-09-30 2002-09-30 유실방지를 위한 빗물 월류 배수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0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554B1 (ko) 2009-09-04 2010-04-23 충청북도 옥천군(상하수도사업소장) 도로 보호용 곡수 배수장치
KR101728128B1 (ko) * 2015-02-09 2017-05-02 한국도로공사 성토사면용 도로 배수시설 및 그에 따른 시공방법
CN110374127A (zh) * 2019-07-31 2019-10-25 中国三冶集团有限公司 一种大体积基础底板施工方法及施工结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554B1 (ko) 2009-09-04 2010-04-23 충청북도 옥천군(상하수도사업소장) 도로 보호용 곡수 배수장치
KR101728128B1 (ko) * 2015-02-09 2017-05-02 한국도로공사 성토사면용 도로 배수시설 및 그에 따른 시공방법
CN110374127A (zh) * 2019-07-31 2019-10-25 中国三冶集团有限公司 一种大体积基础底板施工方法及施工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24146A (zh) 高速公路边坡排水结构
CN215593525U (zh) 一种改变路面排水方式的路基横断面结构及其排水系统
KR200300502Y1 (ko) 유실방지를 위한 빗물 월류 배수시설
KR101429147B1 (ko) 연속배수시설이 구비된 도로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60097486A (ko) 도로 배수시설 및 그에 따른 시공방법
JPH0853808A (ja) 透水性歩道ブロック
CN215518442U (zh) 一种道路排水用涵洞结构
CN214143996U (zh) 一种市政道路施工用路基排水结构
KR200224137Y1 (ko) 이물질제거용 배수장치
CN210049092U (zh) 一种公路桥梁排水结构
GB2217364A (en) Drainage device
JP4528743B2 (ja) 側溝用集水枡及び側溝の施工方法
KR101741014B1 (ko) 배수로에서 배수 촉진장치
KR200409973Y1 (ko) 도로 사면의 배수구조
CN215482014U (zh) 山区陡峭路段的路基填筑结构
KR200224557Y1 (ko) 배수형 배수로 경계블럭
CN218147787U (zh) 一种公路桥梁排水结构
JP2000328641A (ja) 縁石付き蓋版を備えた側溝
JPH0860736A (ja) 透水性舗装路面用街渠蓋
JP2000045212A (ja) 境界ブロック
KR100570462B1 (ko) 우수배수 저감용 집수정 및 그의 설치방법
KR100422609B1 (ko) 차도의 엘형측구에 배수형 측구를 설치하는 방법
CN217733636U (zh) 一种市政道路设计防水结构
CN211547160U (zh) 一种高速公路路肩排水装置
JP2011047107A (ja) 歩車道境界ブロック及び歩車道境界排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