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557Y1 - 배수형 배수로 경계블럭 - Google Patents

배수형 배수로 경계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557Y1
KR200224557Y1 KR2020000035942U KR20000035942U KR200224557Y1 KR 200224557 Y1 KR200224557 Y1 KR 200224557Y1 KR 2020000035942 U KR2020000035942 U KR 2020000035942U KR 20000035942 U KR20000035942 U KR 20000035942U KR 200224557 Y1 KR200224557 Y1 KR 2002245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block
drainage
inlet
boundary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59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행래
Original Assignee
극동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극동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극동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59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5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5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55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형 배수로 경계블럭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은 도로공사시에 L형 측구를 형성하는 경계블럭에 있어서, 도로변에 고인 물이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경계블럭의 하부에 상기 경계블록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유입구와; 상기 경계블럭의 하부면에서 소정의 높이까지 상기 경계블럭의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흘러갈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는 수로홈과; 상기 유입구의 마모를 방지하도록 상기 유입구에 삽설되는 사각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우천시에 도로변의 배수를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배수형 배수로 경계블럭{A boundary block between roadway and sidewalk which is also available with cable duct}
본 고안은 경계블럭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우천시에 도로변으로 몰리는 빗물의 배수를 원활히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배수형 배수로 경계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계블럭은 전체를 콘크리트로 성형한 것으로서 도로 또는 보도의 경계를 구획하기 위해 도로변에 설치되는 도로 시설물이다.
도 1은 종래의 경계블럭이 도로변에 설치된 일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a는 종래의 A형 경계블럭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에서 cc´을 자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경계블럭이 설치되는 도로의 평면구조를 보면 아스팔트 등으로 포장된 도로부(D)와 그 바깥쪽에 시멘트 포장과 경계블럭(1, 2)으로 이루어지는 L형측구(L)로 구성된다.
상기 도로부(D)는 우천시에 빗물이 도로 중앙에 고이지 않도록 도로의 중앙쪽이 높고 L형측구(L)쪽이 낮게 경사를 이루도록 포장되어 있다.
상기 L형측구(L)는 도로의 표면에 떨어진 우수의 배수를 위해 설치되는 도로시설물로서, 상기 도로부(D)의 경계선(4)에서 단턱져서 상기 도로부(D)보다 낮게 이루어져 있다. 이 또한 배수를 원활히 하기 위한 목적이다.
상기 경계블럭(1, 2)은 일반형 경계블럭(1)과 A형 경계블럭(2)두가지가 있다.
상기 일반형 경계블럭(1)은 좌우 측면이 평탄하고 그 내부는 콘크리트로 채워져 있는 구조로서, 상기 L형측구(L)의 대부분에 설치되어 도로의 경계를 구획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경계블럭(1, 2)은 L형측구의 시멘트 포장 작업시에 함께 설치되어 시멘트 포장 속으로 그 하단부 일부가 묻히게 된다.
한편 상기 L형측구(L)에는 우천시에 빗물이 흘러들어 가는 빗물받이 맨홀(3)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L형측구(L)는 상기 빗물받이 맨홀(3)로 빗물이 집중될 수 있도록 각 구간 경사가 조절되어 포장되게 된다.
이때 빗물받이 맨홀(3) 앞에는 A형 경계블럭(2)이 설치되게 된다.
A형 경계블럭(2)은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중앙에 아치형의 홈이 형성되어 흘러들어 오는 빗물을 아치형의 홈에서 회류시켜 빗물받이 맨홀로 바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경계블럭이다.
이와 같은 도로에 폭우가 쏟아지면 빗물은 도로의 경사 때문에 L형측구(L)로 몰리게 된다. 이때 도로변에 설치된 종래의 경계블럭(1)은 빗물의 진행을 가로막으며 제방을 쌓아놓은 듯 빗물의 흐름을 막아서게 되고 빗물은 경계블럭(1) 앞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흐르다 빗물받이 맨홀(3)로 유입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경계블럭(1)의 제방 효과 때문에 종래의 L형측구(L)는 많은 빗물을 슈용하지 못하여 도로부(D)에까지 빗물이 차올라 하위차선을 주행하는 차들이 물보라를 일으켜서 뒤따라 오는 운전자의 시야를 흐리게 만들어 사고의 원인이 되고 있었다.
또한 L형측구(L)의 시멘트 포장시에 배수를 위한 높이 조절이 잘못된 몇몇 구간에서는 비가 그친 후에도 도로변에 작은 물웅덩이들이 생겨서 물이 모두 증발될 때까지 하위차선을 주행하는 운전자들에게 심리적인 장애물이 되고 차량과 도로를 더럽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우천시 및 우천후에 도로변의 배수를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는 경계블럭의 필요성이 있었으나 아직까지 이러한 배수시설이 갖추어진 경계블럭은 없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L형측구의 배수용량 한계를 확대시키고, 우천시에 도로변에 고이는 빗물을 효과적으로 배수시킬 수 있는 배수형 배수로 경계블럭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경계블럭이 도로변에 설치된 일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A형 경계블럭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배수형 배수로 경계블록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일예에서 절단선 kk´으로 자른 단면을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일예에서 절단선 pp´으로 자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배수형 배수로 경계블럭의 일예가 도로변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채용되는 사각관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배수형 배수로 경계블럭 11 : 유입구
12 : 수로홈 20 : A형 경계블럭
30 : 사각관 31 : 거름망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수형 배수로 경계블럭은, 도로공사시에 L형측구를 형성하는 경계블럭에 있어서, 도로변에 고인 물이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경계블럭의 하부에 상기 경계블록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유입구와; 상기 경계블럭의 하부면에서 소정의 높이까지 상기 경계블럭의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흘러갈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는 수로홈과; 상기 유입구의 마모를 방지하도록 상기 유입구에 삽설되는 사각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 배수형 배수로 경계블럭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배수형 배수로 경계블록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일예에서 절단선 kk´으로 자른 단면을 도시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일예에서 절단선 pp´으로 자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a는 본 고안에 의한 배수형 배수로 경계블럭의 일예가 도로변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설치모습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채용되는 사각관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빗물받이 맨홀(3)은 종래에 이미 사용되던 시설물들로서 참조번호는 종래기술 설명에서 사용하던 번호를 그대로 사용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참조번호 20의 A형 경계블럭은 종래에 A형 경계블럭의 하부면에 상기 배수형 배수로 경계블럭에 형성된 수로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수로홈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다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종래의 도로공사시에 L형측구에 설치되는 경계블럭에 있어서, 도로변에 고인 물이 흘러들어 갈 수 있는 유입구(11)와, 상기 유입구(11)로 유입된 물이 빗물받이 맨홀(3)로 흘러가는 통로 역할을 하는 수로홈(12)과, 상기 유입구(11)에 삽설되는 사각관(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입구(11)는 경계블럭의 하부에서 소정의 높이까지 그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이루며 형성된다. 이때 경계블럭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유입구(11)가 형성되는 높이는 경계블럭이 설치될 때 시멘트에 매설되는 깊이를 감안하여 설정된다.
상기 수로홈(12)은 경계블럭의 하부면에 그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1)와 연결된다.
상기 사각관(30)은 상기 유입구(11)에 삽설될 수 있도록 그 가로 세로 크기가 설정되고, pvc 또는 금속을 소재로 성형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채용되는 사각관(30)에는 거름망(31)이 더욱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름망(31)은 망상구조를 갖고 상기 사각관(30)의 전면에 부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배수형 배수로 경계블럭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의한 배수형 배수로 경계블럭(1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설치될 지면을 평탄하게 정리한다.
그리고 그 위에 배수형 배수로 경계블럭(10)을 놓고 시멘트로 포장하여 L형측구를 완성한다. 이때 시멘트의 포장두께에 따라 시멘트를 적당한 두께로 타설하고 그 위에 배수형 배수로 경계블럭을 올려놓고 다시 설계도면 상의 두께로 시멘트를 타설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시멘트 타설 시에 배수형 배수로 경계블럭(10)의 유입구(11)는 그 하단 모서리가 L형측구를 이루는 시멘트 바닥면과 일치하게 높이를 조절한다.
이와 같이 완성된 L형측구를 보면 배수형 배수로 경계블럭(10)의 하단 일부가 시멘트에 묻히게 되어 시멘트가 완전히 양생되고 나면 배수형 배수로 경계블럭(10)이 견고하게 자리를 잡게 된다.
한편 L형측구에는 일정 간격으로 빗물받이 맨홀(3)을 설치하고, 빗물받이 맨홀(3)로 빗물이 흐를 수 있도록 경사를 조절하며 L형측구에 시멘트를 타설하게 된다.
위와 같이 배수형 배수로 경계블럭(10)을 연이어 설치하고 빗물받이 맨홀(3) 앞에는 수로홈(12)이 형성된 A형 경계블럭(20)을 설치한다.
이처럼 본 고안에 의한 배수형 배수로 경계블럭이 설치된 도로에 비가 오게 됐을 때의 빗물의 흐름과 그 배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로면에 떨어지는 빗방울은 도로의 경사를 따라 L형측구 쪽으로 흘러가게 되고 빗물은 L형측구를 따라 흐르게 된다. 이때 L형측구의 경사를 따라 흐르던 빗물은 빗물받이 맨홀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L형측구를 따라 흐르던 빗물의 일부는 본 고안에 의한 배수형 배수로 경계블럭(10)의 유입구(11)로 흘러들어 오게 된다. 도 6b에 도시된 화살표는 이러한 빗물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유입구(11)로 흘러들어온 빗물은 수로홈(12)으로 유입되게 되고 수로홈(12)을 통해 가까운 빗물받이 맨홀(3)이 설치된 방향으로 흘러가게 된다.
결국 A형 경계블럭(20)에 이른 빗물은 빗물받이 맨홀(3)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유입구(11)는 빗물의 흐름과 함께 부유하는 나뭇가지 등의 부유물이 수로홈(12)으로 유입되지 못하게 한다.
그리고 유입구(11)에 삽설되는 사각관(30)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유입구(11)의 내주면이 유수에 침식되지 않도록 보호하게 된다.
한편 상기 사각관(30)에 거름망(31)이 더욱 설치된 경우에는 유입구(11)의 크기보다 더 작은 부유물도 걸러내게 되어 수로홈(12)이 부유물의 유입으로 막히게 되는 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비가 개인 후에 경사도가 잘못 조절된 L형측구 곳곳에는 물웅덩이가 형성되게 되는데, 이러한 웅덩이에 고인 물은 본 고안에 의한 배수형 배수로 경계블럭(10)의 유입로로 자연스럽게 유입되게 된다.
이처럼 본 고안은 도로의 L형측구가 소화할 수 있는 배수량을 증가시키고 보다 효과적이고 신속한 배수를 보조하게 된다.
또한 비가 개인 후에 곳곳에 형성된 물웅덩이의 물을 유입구(11)를 통해 효과적으로 배수시킴으로써, 하위차선을 주행하는 운전자에게 보다 안전한 운전환경을 제공하고 깨끗한 도로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배수형 배수로 경계블럭은 L형측구의 배수한계량을 증가시키고 비가 개인후 L형측구 곳곳에 물웅덩이가 생기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1. 도로공사시에 L형측구를 형성하는 경계블럭에 있어서,
    도로변에 고인 물이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경계블럭의 하부에 상기 경계블록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유입구와;
    상기 경계블럭의 하부면에서 소정의 높이까지 상기 경계블럭의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흘러갈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는 수로홈과;
    상기 유입구의 마모를 방지하도록 상기 유입구에 삽설되는 사각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형 배수로 경계블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관은,
    그 전면에 부착되는 망상 구조의 거름망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형 배수로 경계블럭.
KR2020000035942U 2000-12-21 2000-12-21 배수형 배수로 경계블럭 KR2002245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942U KR200224557Y1 (ko) 2000-12-21 2000-12-21 배수형 배수로 경계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942U KR200224557Y1 (ko) 2000-12-21 2000-12-21 배수형 배수로 경계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557Y1 true KR200224557Y1 (ko) 2001-05-15

Family

ID=73093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942U KR200224557Y1 (ko) 2000-12-21 2000-12-21 배수형 배수로 경계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5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609B1 (ko) * 2001-12-12 2004-03-16 최선용 차도의 엘형측구에 배수형 측구를 설치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609B1 (ko) * 2001-12-12 2004-03-16 최선용 차도의 엘형측구에 배수형 측구를 설치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20987A (ko) 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측구
KR101282914B1 (ko) 비투수성 도로의 배수시스템
KR101728128B1 (ko) 성토사면용 도로 배수시설 및 그에 따른 시공방법
KR200224557Y1 (ko) 배수형 배수로 경계블럭
JP2886528B1 (ja) 多目的街渠構造
CN214005306U (zh) 一种园林景观铺装排水路面
JPH10266111A (ja) 道路構造
KR102076482B1 (ko) 경계석을 이용한 보차도 간격설치 식생도랑 구조물
JP2764544B2 (ja) 透水性舗装路面用街渠蓋
JP4080269B2 (ja) 歩道巻き込み部の排水構造
GB2217364A (en) Drainage device
KR200268922Y1 (ko) 도로의 배수로 경계블록의 보조배수로를 이용한 배수량조절장치
JP2004244911A (ja) 透水舗装の排水構造及び縁石ブロック
KR100478606B1 (ko) 도로면과 접하는 인도면에 시공한 청소 및 빗물 배수로의구조
KR101186881B1 (ko) 다공성 투수 경계석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시스템
JP4528743B2 (ja) 側溝用集水枡及び側溝の施工方法
JPH10183729A (ja) 排水性舗装用排水路
CN213507893U (zh) 一种骑行道透水路面
KR200364528Y1 (ko) 도로의 측구 수로관 및 경계의 일체형 블록
JP2000328641A (ja) 縁石付き蓋版を備えた側溝
KR200300502Y1 (ko) 유실방지를 위한 빗물 월류 배수시설
JPH0699954B2 (ja) 複合機能型側溝
CN219772586U (zh) 一种城市道路雨水排放系统
KR102179225B1 (ko) 갓길 요철 구조 시공방법 및 갓길 요철 구조
JP2000045212A (ja) 境界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