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396B1 - 선배수 기능을 겸한 점배수 장치 - Google Patents

선배수 기능을 겸한 점배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396B1
KR102348396B1 KR1020210134801A KR20210134801A KR102348396B1 KR 102348396 B1 KR102348396 B1 KR 102348396B1 KR 1020210134801 A KR1020210134801 A KR 1020210134801A KR 20210134801 A KR20210134801 A KR 20210134801A KR 102348396 B1 KR102348396 B1 KR 102348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upper body
water
lower body
water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순
Original Assignee
그린로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로드(주) filed Critical 그린로드(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배수 기능을 겸한 점배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입구가 교량 상판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배수되게 하는 점배수에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체에 걸쳐 배수하는 선배수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장마와 폭우가 발생될 경우에 배수구가 막히는 경우를 방지하고 보수 유지 관리가 용이하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교량 양측 가장자리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하부가 교량을 관통하여 교량 상측에서 유입된 우수가 교량 하부로 배출되게 하는 집수구(1)와; 상기 집수구(1)의 사이에 설치되어 집수구(1)를 통해 유입된 우수가 교량 양측 길이 방향을 따라 배수되게 하는 유공관(2)과; 교량의 외부 양측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종배수관(3)과; 상기 집수구(1)와 종배수관(3)의 사이를 연결하는 횡배수관(4)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집수구(1)는 교량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관 형태의 입구(11a)를 갖는 하부몸체(11)와, 상기 하부몸체(11)의 입구(11a)에 대응되는 형상 및 직경을 갖는 틀 형태로 하부몸체(11)의 입구(11a) 위에 안착되고 각각의 측면을 따라 복수개의 유공관 삽입공(12a)을 갖는 상부몸체(12)와, 상기 상부몸체(1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부몸체(12)보다 다소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부가 상부몸체(12)의 상단면과 동일 높이로 상기 상부몸체(12) 내부에 안착되고 양측면에 하부측으로 개방된 배수공(13a)을 갖는 그레이팅(13)과, 상기 상부몸체(12)의 측벽에 부착되는 하우징(21)의 내측에서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인입되는 방향으로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그레이팅(13)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덮어지게 하여 빗물은 통과시키고 크기가 큰 이물질은 걸려지게 하는 여과부재(20)와, 상기 여과부재(20)가 그레이팅(13)의 상부에 덮어진 상태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30)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배수 기능을 겸한 점배수 장치{The point drainge appartus with linear drainge function}
본 발명은 선배수 기능을 겸한 점배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입구가 교량 상판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배수되게 하는 점배수에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체에 걸쳐 배수하는 선배수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장마와 폭우가 발생될 경우에 배수구가 막히는 경우를 방지하고 보수 유지 관리가 용이하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상판과, 상판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추락을 방지하는 방호벽, 및 상판을 지지하는 교각으로 이루어지고, 상판 또는 방호벽에는 빗물, 오수 등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가 설치된다. 그리고 배수장치는 집수구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점배수 장치와,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출구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선배수 장치로 구분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조립식 교량 배수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집수구(100)와 횡배수관(200) 및 종배수관 지지부(300), 종배수관(400), 종배수관 고정부(500)로 구성된다. 상기 집수구(100)는 교량(B) 양측 가장자리에 교량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교량의 상측에서 유입된 우수를 교량의 하측방향으로 배출시킨다.
횡배수관(200)은 일측이 집수구(100)에 결합되고, 타측은 교량(B) 외부로 노출되게 교량 하부에 마련되며, 타측 일부분이 교량(B) 하부에 연결부재(210)를 매개로 고정 및 설치된다.
또한 종배수관 지지부(300)는 교량(B)의 외측벽에 고정브라켓(310)을 매개로 설치되고 'U'자 형태를 이룬다.
배수관(400)은 종배수관 지지부(300)에 안착되게 마련되고 플랜지(600)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 교량(B)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호 이격되어 수직 설치되고 양단부에 각각 끼움부(412a)가 형성된 한 쌍의 수직패널(412)과, 상기 수직패널(412)의 사이에 수평 설치되고 양단부에 각각 끼움부(416a)가 형성된 수평패널(416)을 갖는다.
또한 상기 수직패널(412)과 수평패널(416)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양단부에 각각 상기 끼움부(412a,416a)가 끼워져 결속되도록 끼움홈부(414a)가 형성된 곡면패널(414)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패널(412)과 곡면패널(414) 및 수평패널(416)의 외측면에는 상기 플랜지(600)의 결합을 위해 결합홈부(420)가 하나 이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600)에는 상기 종배수관(400)의 단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결합홈부(420)의 형성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종배수관 고정홀(610)이 형성되며, 상기 종배수관 고정홀(610)의 외측으로는 플랜지(600) 간의 상호 결합을 위해 복수개의 플랜지 고정홀(62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종배수관 고정부(500)는 종배수관(400)의 양측 상단에 하면이 안착 지지된 상태로 측벽이 상기 종배수관 지지부(300)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종배수관(400)을 상측 방향 및 좌우측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지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립식 교량 배수장치는 유입구가 교량 상판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배수되게 하는 점배수 기능만 가지고 있다.
따라서, 통수단면이 작고 이러한 통수단면 구조는 교량 노면 우수 처리를 늦어지게 함은 물론 빗길 사고의 위험성을 수반하게 된다.
또한, 장마나 폭우가 발생되는 경우 빗물과 같이 낙엽이나 각종 쓰레기가 휩쓸려 배수구로 유입되는데, 낙엽이나 비닐 등 큰 쓰레기에 의해 배수통로가 막히는 경우가 흔하게 발생된다.
배수통로가 막히게 되면 빗물이 내려가지 못하고 입구 주위에 물이 고이게 되어 물고임 현상이 발생되므로 교통사고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교량의 내수성 및 내구성 저하를 촉진시켜 교량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쓰레기에 의해 막혀진 배수 통로를 보수하는데 많은 어려움과 작업시간이 요구되므로 국가적인 경제적 손실 발생의 원인이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6805호 (2017.09.08.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유입구가 교량 상판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배수되게 하는 점배수에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체에 걸쳐 배수하는 선배수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선배수 기능을 겸한 점배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 시공시 콘크리트 타설 경계를 지나는 집수구의 하부가 상하로 슬라이드되어 거푸집 설치에는 하부몸체 내부로 인입되고 거푸집 철거 후에는 다시 인출하여 횡배수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선배수 기능을 겸한 점배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수구의 일측에 주로 장마철이나 폭우가 발생될 때 낙엽이나 돌 쓰레기 등이 배수통로로 유입되는 경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물고임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선배수 기능을 겸한 점배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수구 막힘을 방지하여 배수 통로를 유지 보수에 따른 국가적인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선배수 기능을 겸한 점배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선배수 기능을 겸한 점배수 장치의 한 형태는, 교량 양측 가장자리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하부가 교량을 관통하여 교량 상측에서 유입된 우수가 교량 하부로 배출되게 하는 집수구(1)와;
상기 집수구(1)의 사이에 설치되어 집수구(1)를 통해 유입된 우수가 교량 양측 길이 방향을 따라 배수되게 하는 유공관(2)과;
교량의 외부 양측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종배수관(3)과;
상기 집수구(1)와 종배수관(3)의 사이를 연결하는 횡배수관(4)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집수구(1)는 교량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관 형태의 입구(11a)를 갖는 하부몸체(11)와,
상기 하부몸체(11)의 입구(11a)에 대응되는 형상 및 직경을 갖는 틀 형태로 하부몸체(11)의 입구(11a) 위에 안착되고 각각의 측면을 따라 복수개의 유공관 삽입공(12a)을 갖는 상부몸체(12)와,
상기 상부몸체(1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부몸체(12)보다 다소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부가 상부몸체(12)의 상단면과 동일 높이로 상기 상부몸체(12) 내부에 안착되고 양측면에 하부측으로 개방된 배수공(13a)을 갖는 그레이팅(13)과,
상기 상부몸체(12)의 측벽에 부착되는 하우징(21)의 내측에서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인입되는 방향으로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그레이팅(13)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덮어지게 하여 빗물은 통과시키고 크기가 큰 이물질은 걸려지게 하는 여과부재(20)와,
상기 여과부재(20)가 그레이팅(13)의 상부에 덮어진 상태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30)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몸체(12)는 복수개의 유공관 삽입공(12a) 하부측에 하향 개방형의 투수공(12b)이 마련되고,
상기 집수구(1)는 하부몸체(11)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11b)을 가지며, 상기 하부몸체(11)의 내부에 하부몸체(11) 내경에 대응되는 형상 및 직경을 갖는 수직관 형태의 슬라이더(14)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14)는 상단부에 외측 걸림턱(14a)을 형성한다.
상기 슬라이더(14)는 상단부에 환형의 기밀러버(14b)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밀러버(14b)는 외측이 집수구(1)의 하부몸체(11) 내측면에 밀착되고 상부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작아지는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30)은 여과부재(20)의 선단에 걸림후크(31)를 마련하고, 상부몸체(12)에는 이 걸림고리(31)를 걸어서 위치 고정시키는 걸고리(32)가 설치된다.
또, 상기 고정수단(30)은 여과부재(20)의 선단에 영구자석를 마련하고, 상부몸체(12)에는 이 영구자석을 자착하여 위치 고정시키는 자성체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호우시 우수가 교량 상판의 바닥면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집수구와, 집수구의 사이에 형성된 유공관에 의해 집수구를 통해 유입된 우수가 횡배수관을 통해 직접 종배수관을 통해 배수되는 것과 유공관을 통해 교량 노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수되는 것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집수구의 일측에 주로 장마철이나 폭우가 발생될 때 낙엽이나 돌 쓰레기 등이 배수통로로 유입되어 막히는 경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물고임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배수구 막힘이 자주 발생되어 배수 통로를 유지 보수에 따른 국가적인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통수단면의 증대에 따른 교량 노면 우수 처리의 신속성과 빗길 사고 예방에 따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교량의 내수성 및 내구성 저하를 방지함에 따라 교량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교량 시공시 콘크리트 타설 경계를 지나는 집수구의 하부가 상하로 슬라이드 되어 거푸집 설치에는 하부몸체 내부로 인입되고 거푸집 철거 후에는 다시 인출하여 횡배수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푸집의 손상 없이 횡배수관을 교량 상판에 매립 설치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가능해진다.
따라서, 집수구의 설치는 물론 유지 및 보수 작업의 간편성과 거푸집의 재활용에 따른 경제성 확보 및 거푸집 폐기에 따른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이점도 갖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조립식 교량 배수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요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선배수 기능을 갖는 점배수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4는 분리 사시도.
도 5는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설치 및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여과부재가 그레이팅 상부로 설치되어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여과부재가 설치된 하우징의 확대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선배수 기능을 갖는 점배수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4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설치 및 사용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여과부재가 그레이팅 상부로 설치되어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상태를 횡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여과부재가 설치된 하우징의 확대 단면도.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량 양측 가장자리 따라 집수구(1)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으로 집수구(1)의 하부는 교량을 관통하여 교량 상측에서 유입된 우수가 교량 하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도 3)
또한, 집수구(1)와 집수구(1)의 사이는 유공관(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집수구(1)를 통해 유입된 우수가 교량 양측 길이 방향을 따라 배수되게 한다.
그리고 종배수관(3)이 교량의 외부 양측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집수구(1)와 종배수관(3)의 사이는 횡배수관(4)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유입구가 교량 상판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배수되게 하는 점배수에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체에 걸쳐 배수하는 선배수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집수구(1)는 하부몸체(11)와 상부몸체(12) 및 그레이팅(13)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몸체(11)는 교량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관 형태를 이루고, 상광하협의 입구(11a)를 갖는다.
상기 상부몸체(12)는 하부몸체(11)의 입구(11a)에 대응되는 형상 및 직경을 갖는 틀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몸체(11)의 입구(11a) 위에 안착되고, 각각의 측면을 따라 복수개의 유공관 삽입공(12a)이 형성되며, 복수개의 유공관 삽입공(12a) 하부측에 하향 개방형의 투수공(12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그레이팅(13)은 상부몸체(1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부몸체(12)보다 다소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부가 상부몸체(12)의 상단면과 동일 높이로 상기 상부몸체(12) 내부에 안착되고, 양측면에 하부측으로 개방된 배수공(13a)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교량 노면의 우수가 집수구(1)에 유입되고, 집수구(1)에 유입된 우수는 하부몸체(11)에 연결된 횡배수관(4)을 통해 직접 종배수관(3) 측으로 배수됨은 물론 집수구(1)와 집수구(1)의 사이에 연결된 유공관(2)을 통해 교량의 양측 길이 방향을 따라 배수되는 것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그리고 교량 내부에 스며든 우수는 집수구(1)의 상부몸체(12)에 형성된 투수공(12b)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교량 노면 배수의 신속성에 따른 내구성 및 내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집수구(1)의 상부가 상부몸체(12)로 분리되어 별도로 인상하는 것이 가능해 높이 조절의 간편성을 기할 수 있는 장점도 갖게 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1c는 집수구(1)의 입구(11a) 내측에 형성된 고정턱이고, 12c는 상부몸체(12)의 내측에 형성되어 그레이팅(13)의 하부를 지지해주는 지지턱이며, S는 콘크리트 슬래브, P는 연석 또는 아스콘 등과 같이 교량 상판에 포장되는 포장재이다.
한편, 본 발명은 집수구(1)가 매립된 상태로 교량 시공시 집수구(1)의 하부가 콘크리타 타설 경계를 지나게 됨에 따른 거푸집의 손상, 즉 집수구(1)가 통과될 수 있는 구멍을 뚫게 됨에 따른 손상 없이 집수구(1)의 매립 설치가 가능한 것에 또 다른 특징을 갖는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집수구(1)의 하부몸체(11)의 내측에 걸림턱(11b)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몸체(11)의 내부에 하부몸체(11) 내경에 대응되는 형상 및 직경을 갖는 수직관 형태의 슬라이더(14)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더(14)의 상단부에 외측 걸림턱(14a)을 일체로 형성하였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14)가 횡배수관(4)에 연결되고 슬라이더(14)는 하부몸체(11)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해 거푸집 설치시에는 하부몸체(11)의 내부로 인입시키고, 거푸집을 철거한 후에는 다시 인출하여 횡배수관(4)을 연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더(14)는 상단부에 환형의 기밀러버(14b)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밀러버(14b)는 외측이 집수구(1)의 하부몸체(11) 내측면에 밀착되고 상부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작아지는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몸체(12)의 측벽에는 그레이팅(13)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덮어지게 하여 빗물은 통과시키고 크기가 큰 이물질은 걸려지게 하는 여과부재(20)가 설치된다.
여과부재(20)는 유연성과 인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의 망(Net) 재질로 빗물은 통과되고 예로서 3-4 mm 이상 크기나 면적을 갖는 낙엽이나 돌, 쓰레기를 포함한 이물질이 집수구(1)를 통해 배수되는 과정에서 그레이팅(13) 등의 내부 구조물에 막혀지는 경우를 차단하게 된다.
이 여과부재(20)는 하우징(21)의 내측에 회전 자유롭게 축 설치된 샤프트(23)에 권취되며, 샤프트(23)의 일단에는 코일스프링(24)이 탄력 설치되어 외력이 작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하우징(21)의 내부에 샤프트(23) 둘레로 권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 하우징(21)은 상부몸체(12)의 일 측벽에 볼트 등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 설치된다.(도 8)
하우징(21)은 입구부(22)가 트여져 여과부재(20)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작업자가 작업자가 여과부재(20)의 선단부를 강제로 당겨서 그레이팅(13)의 상부를 덮어지게 한 후 고정수단(30)을 통해 펼침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예로서, 여과부재(20)를 펼쳐지게 설치하는 경우는 주로 장마나 폭우가 예보된 상태에서 빗물 이외의 많은 이물질이 휩쓸려서 집수구(1)를 통해 배수될 때 통로의 막힘 가능성이 높은 계절이나 상황에서 주로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적은 양의 비가 내리는 경우나 평상시에는 여과부재(20)를 하우징(21) 내부로 권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고정수단(30)은 도 4 및 도 7에서와 같이 여과부재(20)의 선단에 걸림후크(31)를 마련하고, 상부몸체(12)에는 이 걸림고리(31)를 걸어서 위치 고정시키는 걸고리(32)가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고정수단(30)의 다른 실시예로 여과부재(20)의 선단에 영구자석를 마련하고, 상부몸체(12)에는 이 영구자석을 자착하여 위치 고정시키는 자성체가 설치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같이 본 발명은 호우시 우수가 교량 상판의 바닥면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집수구와, 집수구의 사이에 형성된 유공관에 의해 집수구를 통해 유입된 우수가 횡배수관을 통해 직접 종배수관을 통해 배수되는 것과 유공관을 통해 교량 노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수되는 것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수단면의 증대에 따른 교량 노면 우수 처리의 신속성과 빗길 사고 예방에 따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교량의 내수성 및 내구성 저하를 방지함에 따라 교량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교량 시공시 콘크리트 타설 경계를 지나는 집수구의 하부가 상하로 슬라이드되어 거푸집 설치에는 하부몸체 내부로 인입되고 거푸집 철거후에는 다시 인출하여 횡배수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푸집의 손상 없이 횡배수관을 교량 상판에 매립 설치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가능해지고, 이로 인해 집수구의 설치는 물론 유지 및 보수 작업의 간편성과 거푸집의 재활용에 따른 경제성 확보 및 거푸집 폐기에 따른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집수구의 일측에 주로 장마철이나 폭우가 발생될 때 낙엽이나 돌 쓰레기 등이 배수통로로 유입되어 막히는 경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물고임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선배수 기능을 겸한 점배수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집수구
11: 하부몸체 11a: 입구
11b: 걸림턱 11c: 고정턱
12: 상부몸체 12a: 유공관 삽입공
12b: 투수공 12c: 지지턱
13: 그레이팅 13a: 배수공
14: 슬라이더 14a: 외측 걸림턱
14b: 기밀러버
2: 유공관 3: 종배수관
4: 횡배수관 S: 슬래브
20 - 여과부재 21 - 하우징
30 - 고정수단 31 - 걸림고리
32 - 걸고리

Claims (5)

  1. 교량 양측 가장자리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하부가 교량을 관통하여 교량 상측에서 유입된 우수가 교량 하부로 배출되게 하는 집수구(1)와;
    상기 집수구(1)의 사이에 설치되어 집수구(1)를 통해 유입된 우수가 교량 양측 길이 방향을 따라 배수되게 하는 유공관(2)과;
    교량의 외부 양측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종배수관(3)과;
    상기 집수구(1)와 종배수관(3)의 사이를 연결하는 횡배수관(4)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집수구(1)는 교량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관 형태의 입구(11a)를 갖는 하부몸체(11)와,
    상기 하부몸체(11)의 입구(11a)에 대응되는 형상 및 직경을 갖는 틀 형태로 하부몸체(11)의 입구(11a) 위에 안착되고 각각의 측면을 따라 복수개의 유공관 삽입공(12a)을 갖는 상부몸체(12)와,
    상기 상부몸체(1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부몸체(12)보다 다소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부가 상부몸체(12)의 상단면과 동일 높이로 상기 상부몸체(12) 내부에 안착되고 양측면에 하부측으로 개방된 배수공(13a)을 갖는 그레이팅(13)과,
    상기 상부몸체(12)의 측벽에 부착되는 하우징(21)의 내측에서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인입되는 방향으로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그레이팅(13)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덮어지게 하여 빗물은 통과시키고 크기가 큰 이물질은 걸려지게 하는 여과부재(20)와,
    상기 여과부재(20)가 그레이팅(13)의 상부에 덮어진 상태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30)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선배수 기능을 겸한 점배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12)는 복수개의 유공관 삽입공(12a) 하부측에 하향 개방형의 투수공(12b)이 마련되고,
    상기 집수구(1)는 하부몸체(11)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11b)을 가지며, 상기 하부몸체(11)의 내부에 하부몸체(11) 내경에 대응되는 형상 및 직경을 갖는 수직관 형태의 슬라이더(14)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14)는 상단부에 외측 걸림턱(14a)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선배수 기능을 겸한 점배수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4)는 상단부에 환형의 기밀러버(14b)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밀러버(14b)는 외측이 집수구(1)의 하부몸체(11) 내측면에 밀착되고 상부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작아지는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선배수 기능을 겸한 점배수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30)은 여과부재(20)의 선단에 걸림후크(31)를 마련하고, 상부몸체(12)에는 이 걸림고리(31)를 걸어서 위치 고정시키는 걸고리(3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선배수 기능을 겸한 점배수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고정수단(30)은 여과부재(20)의 선단에 영구자석를 마련하고, 상부몸체(12)에는 이 영구자석을 자착하여 위치 고정시키는 자성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선배수 기능을 겸한 점배수 장치.

KR1020210134801A 2020-10-12 2021-10-12 선배수 기능을 겸한 점배수 장치 KR1023483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30923 2020-10-12
KR1020200130923 2020-10-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396B1 true KR102348396B1 (ko) 2022-01-07

Family

ID=79355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801A KR102348396B1 (ko) 2020-10-12 2021-10-12 선배수 기능을 겸한 점배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3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774B1 (ko) * 2022-12-05 2023-07-05 김태억 커버 팝업식 집수구
KR102555249B1 (ko) * 2022-12-05 2023-07-13 김태억 자동 개폐식 집수구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8456A (ja) * 1998-06-30 2000-01-18 Takiron Co Ltd 管の接続構造
KR20060007223A (ko) * 2004-07-19 2006-01-24 전창갑 배수관거용 자동개폐장치
KR101002440B1 (ko) * 2008-05-28 2010-12-21 고재용 교량용 빗물 배수장치의 집수구
KR101175998B1 (ko) * 2011-09-29 2012-08-23 신영기술개발(주)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을 겸비한 내장형 선배수시설
KR101275067B1 (ko) * 2012-12-06 2013-06-17 추용대 건축물 집수구용 배수관 연결구조
KR101776805B1 (ko) 2016-08-12 2017-09-08 김문호 조립식 교량 배수장치
KR20190136677A (ko) * 2018-05-31 2019-12-10 신영석 신축성 이음부를 포함하는 배관
KR20210009047A (ko) * 2019-07-16 2021-01-26 손찬우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판 신축 이음 방법
JP7084758B2 (ja) * 2018-03-28 2022-06-15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中性子線検出装置、及び中性子線検出装置の異常検知方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8456A (ja) * 1998-06-30 2000-01-18 Takiron Co Ltd 管の接続構造
KR20060007223A (ko) * 2004-07-19 2006-01-24 전창갑 배수관거용 자동개폐장치
KR101002440B1 (ko) * 2008-05-28 2010-12-21 고재용 교량용 빗물 배수장치의 집수구
KR101175998B1 (ko) * 2011-09-29 2012-08-23 신영기술개발(주)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을 겸비한 내장형 선배수시설
KR101275067B1 (ko) * 2012-12-06 2013-06-17 추용대 건축물 집수구용 배수관 연결구조
KR101776805B1 (ko) 2016-08-12 2017-09-08 김문호 조립식 교량 배수장치
JP7084758B2 (ja) * 2018-03-28 2022-06-15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中性子線検出装置、及び中性子線検出装置の異常検知方法
KR20190136677A (ko) * 2018-05-31 2019-12-10 신영석 신축성 이음부를 포함하는 배관
KR20210009047A (ko) * 2019-07-16 2021-01-26 손찬우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판 신축 이음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774B1 (ko) * 2022-12-05 2023-07-05 김태억 커버 팝업식 집수구
KR102555249B1 (ko) * 2022-12-05 2023-07-13 김태억 자동 개폐식 집수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9198A (en) Grate suspended storm drain filter with oil absorbing media
KR102348396B1 (ko) 선배수 기능을 겸한 점배수 장치
US7074326B2 (en) Curb-and-grate inlet filter
US7549820B1 (en) Curb opening filter
KR100721237B1 (ko) 초기 우수에 의한 오염 방지기능을 갖는 교량용 집수장치
KR101963429B1 (ko) 측구 구조체
KR100681845B1 (ko) 도로의 배수박스구조
KR101429147B1 (ko) 연속배수시설이 구비된 도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11185B1 (ko) 경계겸용 초기 강우 정화 블록
KR20110020020A (ko) 세련된 외관을 갖는 빔 지지 교량의 배수구조
KR101175998B1 (ko)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을 겸비한 내장형 선배수시설
KR102220283B1 (ko) 그레이팅 자력식 잠금 기능을 갖는 집수구
KR102526838B1 (ko) 교량용 선배수 장치
KR200224137Y1 (ko) 이물질제거용 배수장치
CN209323356U (zh) 一种桥梁排水结构
JP6153187B1 (ja) 道路橋地覆拡幅ユニット
KR200151725Y1 (ko) 집수구
JP4528743B2 (ja) 側溝用集水枡及び側溝の施工方法
KR20090007408U (ko) 스틸그레이팅 용 배수캡
KR200401146Y1 (ko) 배수용 그레이팅
KR101663914B1 (ko) 조립식 우수 침투형 측구
CN216516037U (zh) 一种双层防堵塞雨水井盖及井
KR100930686B1 (ko) 도로경계용 배수블럭
KR200268460Y1 (ko) 도로용 엘형 측구
KR200476485Y1 (ko) 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