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686B1 - 도로경계용 배수블럭 - Google Patents

도로경계용 배수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0686B1
KR100930686B1 KR1020090048790A KR20090048790A KR100930686B1 KR 100930686 B1 KR100930686 B1 KR 100930686B1 KR 1020090048790 A KR1020090048790 A KR 1020090048790A KR 20090048790 A KR20090048790 A KR 20090048790A KR 100930686 B1 KR100930686 B1 KR 100930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drainage
block body
drain
road bou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인식
Original Assignee
(주)대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광 filed Critical (주)대광
Priority to KR1020090048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06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5/00Draining the sub-base, i.e. subgrade or ground-work, e.g. embankment of roads or of the ballastway of railways or draining-off road surface or ballastway drainage by trenches, culverts, or conduits or other specially adapted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경계용 경계석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배수블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가 유입되는 배수공이 블럭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블럭몸체의 상단 전체를 관통하여 형성됨으로써 배수로 내의 이물질 제거 및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배수블럭과 배수블럭의 연결을 한쪽에서부터 차례로 시공하여야 하지 않고 시공구간 전체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시공할 수 있으며, 배수블럭의 하면과 측면에 필요에 따라 블럭몸체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집수정 없이도 배수로의 우수를 다른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용 배수블럭에 관한 것이다.
배수블럭, 경계석, 배수로 청소, 배수블럭 연결

Description

도로경계용 배수블럭{A Drain Block for the Road Boundary}
본 발명은 도로경계용 경계석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배수블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가 유입되는 배수공이 블럭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블럭몸체의 상단 전체를 관통하여 형성됨으로써 배수로 내의 이물질 제거 및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배수블럭과 배수블럭의 연결을 한쪽에서부터 차례로 시공하여야 하지 않고 시공구간 전체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시공할 수 있으며, 배수블럭의 하면과 측면에 필요에 따라 블럭몸체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집수정 없이도 배수로의 우수를 다른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용 배수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양측 끝 인도와의 경계부에는 우천 또는 기타 도로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공을 포함하는 배수로가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배수로의 시공은 도로의 양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배수로를 만들고, 상기 배수로와는 별도로 인도와 도로의 경계석을 타설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도로의 양측 배수로를 현장에서 직접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함은 물론, 배수로와 경계석이 별도로 분리되어 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배수로와 경계석을 분리하여 시공함에 따라 도로의 일측방향 또는 구간전체에 걸쳐 콘크리트가 별도로 타설되므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합판과 작업인부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그에 따라 보행자 및 차량의 통행에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현장에서의 직접적인 콘크리트 타설을 피하기 위해 배수로를 블럭화하여 블럭몸체를 별개로 제작하여 현장에서 시공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종래 블럭몸체의 연결은 한 쪽 방향에서만 순서대로 연결되어야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광범위한 시공현장에서의 연결시공에 있어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현장에서 타설되는 방식의 배수로나 별개로 제작된 블럭몸체의 경우 모두 별도의 집수정과 같은 시설을 통해 우수 등을 집수한 이후에 상기 집수정에 연결된 다른 방향의 배수로 등을 통해 수로의 방향을 변경하여 배수로의 우수 등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블럭몸체의 제작 이외에도 별도의 집수정 등의 제작과 설치, 그리고 그에 따른 시간과 비용에 있어서의 추가적인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배수블럭은 우수가 유입되는 배수공이 배수블럭의 몸체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배수로가 이물질 등에 의해 막히게 되는 경우 그 배수로의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청소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그로 인한 피해나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럭몸체의 상단의 우수가 유입되는 배수공을 블럭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블럭몸체의 상단 전체를 관통하여 형성시킴으로써, 블럭몸체 내부의 배수로 내의 이물질 제거 및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수공이 블럭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블럭몸체의 상단 전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배수블럭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배수로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테두리가 형성되고 테두리 내에 망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청소용구를 포함하여 배수로 내의 이물질 제거 및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블럭몸체의 양측 하단에서 상향으로 함입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부에 결합하여 배수블럭과 배수블럭을 연결시킬 수 있는 연결판을 포함함으로써, 배수블럭의 연결시공시 한쪽 방향에서 순서대로 연결해야만 하는 것이 아니라 시공현장 전체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배수블럭의 연결시공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연결판의 상부에 일측에서 연결되는 배수블럭의 연결부에 삽입될 수 있는 제1돌출턱과 타측에서 연결되는 배수블럭의 연결부 에 삽입될 수 있는 제2돌출턱 사이를 연결하여 배수블럭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턱을 포함함으로써, 연결시공되는 배수블럭의 유동을 방지하고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의 연결부가 블럭몸체 양단의 하단부에서만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배수블럭과, 상기 연결부가 블럭몸체 양단의 상단부에서만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배수블럭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제1배수블럭들의 사이사이에 상기 제2배수블럭을 연결하여 동시다발적으로 배수블럭의 연결시공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블럭몸체의 하면에 연결되어 상기 배수로의 우수를 유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연결블럭몸체 또는 상기 블럭몸체의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배수로에 우수를 유입 또는 유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연결블럭몸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집수정의 제작, 설치 없이도 간단한 연결구조를 통해 배수로의 우수를 다른 곳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로경계용 배수블럭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용 배수블럭은 블럭몸체; 상기 블럭몸체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도로경계용 경계석;을 포함하며, 상기 블럭몸체는 우수를 블럭몸체 내부로 유입시키는 배수공과, 상기 블럭몸체 내부에서 상기 배수공 을 통해 유입된 우수를 정해진 유로로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배수로와, 배수블럭 각각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블럭몸체의 양측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공은 상기 블럭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블럭몸체의 상단 전체를 관통하여 형성됨으로써, 상기 배수로 내의 이물질 제거 및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은 상기 배수공을 통해 상기 배수로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청소용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청소용구는 상기 배수로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테두리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청소용구를 사용하여 배수로 내의 이물질 제거 및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청소용구의 몸체부는 상기 배수로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테두리 내부가 망으로 형성됨으로써, 배수로 내의 이물질 제거 및 청소시 우수는 망 사이로 흘러가고 이물질만이 망에 걸리도록 하여 효율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상기 블럭몸체의 양측 하단에서 상향으로 함입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은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부에 결합하여 배수블럭 각각을 연결시킬 수 있는 연결판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시공현장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배수블럭의 연결시공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판은 그 상부에 일측에서 연결되는 배수블럭의 연결부에 삽입될 수 있는 제1돌출턱과, 타측에서 연결되는 배수블럭의 연결부에 삽입될 수 있는 제2돌출턱과, 상기 제1돌출턱과 제2돌출턱 사이를 연결하여 배수블럭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은 상기 연결부가 블럭몸체 양단의 하단부에서만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배수블럭과, 상기 연결부가 블럭몸체 양단의 상단부에서만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배수블럭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제1배수블럭들의 사이사이에 상기 제2배수블럭을 연결하여 동시다발적으로 배수블럭의 연결시공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배수블럭의 연결부의 상단에는 제1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배수블럭의 연결부의 하단에는 상기 제1삽입공에 대응되는 제2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공과 제2삽입공에 동시에 삽입되는 앵커에 의해 배수블럭의 연결시공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럭몸체는 블럭몸체 양단면에 상기 배수로의 둘레를 따라 패킹이 형성됨으로써, 배수블럭의 연결시공시 연결부위에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은 상기 블럭몸체의 하면에 연결되어 상기 배수로의 우수를 유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연결블럭몸체 또는 상기 블럭몸체의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배수로에 우수를 유입 또는 유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연결블럭몸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집수 정 없이도 배수로의 우수를 다른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블럭몸체의 상단의 우수가 유입되는 배수공을 블럭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블럭몸체의 상단 전체를 관통하여 형성시킴으로써, 블럭몸체 내부의 배수로 내의 이물질 제거 및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배수공이 블럭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블럭몸체의 상단 전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배수블럭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배수로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테두리가 형성되고 테두리 내에 망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청소용구를 포함하여 배수로 내의 이물질 제거 및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블럭몸체의 양측 하단에서 상향으로 함입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부에 결합하여 배수블럭과 배수블럭을 연결시킬 수 있는 연결판을 포함함으로써, 배수블럭의 연결시공시 한쪽 방향에서 순서대로 연결해야만 하는 것이 아니라 시공현장 전체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배수블럭의 연결시공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연결판의 상부에 일측에서 연결되는 배수블럭의 연결부에 삽 입될 수 있는 제1돌출턱과 타측에서 연결되는 배수블럭의 연결부에 삽입될 수 있는 제2돌출턱 사이를 연결하여 배수블럭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턱을 포함함으로써, 연결시공되는 배수블럭의 유동을 방지하고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의 연결부가 블럭몸체 양단의 하단부에서만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배수블럭과, 상기 연결부가 블럭몸체 양단의 상단부에서만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배수블럭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제1배수블럭들의 사이사이에 상기 제2배수블럭을 연결하여 동시다발적으로 배수블럭의 연결시공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블럭몸체의 하면에 연결되어 상기 배수로의 우수를 유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연결블럭몸체 또는 상기 블럭몸체의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배수로에 우수를 유입 또는 유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연결블럭몸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집수정의 제작, 설치 없이도 간단한 연결구조를 통해 배수로의 우수를 다른 곳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용 배수블럭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의 시공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의 연결시공과정을 나타내는 참고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의 연결시공과정을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1)은 블럭몸체(10); 상기 블럭몸체(1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도로경계용 경계석(30);을 포함하며, 상기 블럭몸체(10)는 우수를 블럭몸체(10) 내부로 유입시키는 배수공(110)과, 상기 블럭몸체(10) 내부에서 상기 배수공(110)을 통해 유입된 우수를 정해진 유로로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배수로(120)와, 배수블럭(1) 각각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블럭몸체의 양측에 형성되는 연결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럭몸체(10)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용 배수블럭에서 유입된 우수를 배수시키면서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도로 경계용 경계석(30)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바람직하게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차도와 인도의 경계부위에 매설되며 우수 등의 유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그 상부면이 지반(c), 기층(b) 및 도로포장층(a)으로 이루어지는 차도의 단면구조상에서 도로포장층(a)과 일치하거나 그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우수가 원활하게 배수공(11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배수공(110)방향(㉮방향)으로 일정각도, 바람직하게는 3도 내외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상기 블럭몸체(10)는 우수를 블럭몸체(10) 내부로 유입시키는 배수공(110)과, 상기 블럭몸체(10) 내부에서 상기 배수공(110)을 통해 유입된 우수를 정해진 유로로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배수로(120)와, 배수블럭(1) 각각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블럭몸체의 양측에 형성되는 연결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공(110)은 상기 블럭몸체(1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우수를 블럭몸체(10) 내로 유입시키는 부분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배수공(110)이 상기 블럭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블럭몸체(10)의 상단 전체를 관통하여 형성됨으로써, 상기 배수로(120) 내의 이물질 제거 및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종래에는 배수공(110)을 블럭몸체(10) 상단의 일정 부분에만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일정간격으로 띄엄띄엄 형성되어 있는 배수공(110)을 통해 블럭몸체(10) 내부의 배수로(120)의 이물질 제거나 청소가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개선하여 상기 블럭몸체(10)의 상단 전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상기 배수공(110)을 따라 상기 블럭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배수로(120)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고 청소할 수 있게 하여 시공이 완료된 도로경계용 배수블럭의 유지보수를 간편하고 효율성 있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배수공(110)을 통해 상기 배수로(120)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청소용구(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청소용구(50)는 상기 배수로(120)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테두리가 형성되고 테두리 내에 망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510)와, 상기 몸체부(5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부(52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청소용구(50)를 사용하여 배수로(120) 내의 이물질 제거 및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청소용구(50)는 상기 블럭몸체(10)의 단면에서 바라본 배수로(120)와 배수공(1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배수로(120)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는 테두리와 그 테두리 내의 망으로 형성되는 몸체부(510)와 상기 몸체부(510)의 일측으로만 연장되어 상기 배수공(1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고안된 손잡이부(520)로 이루어져, 상기 배수로(120)를 청소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상기 배수공(110)을 통해 상기 청소용구(50)의 몸체부(510)를 삽입한 후 상기 몸체부(510)를 90도 회전하여 상기 배수로(120)의 단면형상과 일치하게 상기 몸체부(510)를 위치시킨 후 상기 손잡이부(520)를 파지하여 상기 배수공(110)을 따라 상기 청소용구(50)를 이동시킴으로써 배수로의 우수는 망 사이로 흘러나가고 상기 배수로(120)에 쌓인 이물질만이 상기 몸체부(510)의 망에 걸려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간단한 작업만으로 블럭몸체(10) 내에 위치한 배수로(120)의 이물질 제거와 청소를 할 수 있음으로 인해 배수로의 막힘에 따른 우수의 범람 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수공(110)의 측면에는 상기 배수공(110)을 통해 이물질 등이 상기 배수로(120)로 직접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공덮개(7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배수공덮개(70)의 측면이 걸려 안착될 있는 걸림턱(111)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걸림턱(111)은 상기 배수공덮개(70)가 걸려 안착됨은 물론 상 기 배수공덮개(70)를 통해 전달되는 일정 하중 이상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길이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턱(111)에 안착되는 상기 배수공덮개(70)는 상기 배수공(110)을 통해 이물질 등이 상기 배수로(120)로 직접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우수는 배수공(110)을 통해 유입되면서 부피가 큰 이물질은 걸러질 수 있도록 격자형태로 천공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우수에 접하는 특성상 부식되지 않는 방청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수공덮개(70) 역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수로(120) 내의 이물질 제거와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블럭몸체(1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하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로(120)는 상기 블럭몸체(10) 내부에서 상기 배수공(110)을 통해 유입된 우수를 정해진 유로로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하는 부분으로, 통상적으로 상기 블럭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그 단면형상은 원형이나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0)는 배수블럭(1) 각각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블럭몸체의 양측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용 배수블럭(1)은 상기 연결부(130)가 블럭몸체(10) 양단의 하단부에서만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배수블럭(1')과, 상기 연결부(130)가 블럭몸체(10) 양단의 상단부에서만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배수블럭(1'')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제1배수블럭(1')들의 사이사이에 상기 제2배수블럭(1'')을 연결함으로써 동시다발적으로 시공현장 전체에 걸쳐 배수블럭 의 연결시공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배수블럭의 시공에서 가장 큰 문제점은 넓은 시공현장에서 배수블럭을 한쪽 방향에서 시작하여 순서대로 연결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시간과 비용 손실이 크게 발생하고 있었던 것인바, 본원발명은 이를 개선하여 시공현장 전체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연결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배수블럭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인바, 이를 위해 상기 제1배수블럭(1')은 블럭몸체(10) 양단에서 몸체중앙 이하의 하단부에서만 외향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배수블럭(1'')은 블럭몸체(10) 양단에서 몸체중앙 이상의 상단부에서만 외향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13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배수블럭(1'')의 길이만큼 간격을 이격하여 먼저 놓여지는 상기 제1배수블럭(1')들의 사이사이에 상기 제2배수블럭(1'')을 위에서 아래방향(①방향)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2배수블럭(1'')의 연결부(130)에 상기 제1배수블럭(1')의 연결부(130)가 맞닿아 상기 제1배수블럭(1')과 제2배수블럭(1'')이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결합되는 상기 제1배수블럭(1')과 제2배수블럭(1'')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1배수블럭(1')의 연결부(130)의 상면에는 제1삽입공(150')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배수블럭(1'')의 연결부(130)의 하면에는 상기 제1삽입공(150')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삽입공(150'')이 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공(150')과 제2삽입공(150'')에 동시에 삽입되는 앵커(160)에 의해 상기 제1배수블럭(1')과 제2배수블럭(1'')의 연결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배수블럭(1'')의 연결부(130)에 상기 제1배수블럭(1')의 연결부(130)가 맞닿아 결합되는 것만으로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배수블럭(1')과 제2 배수블럭(1'')의 연결관계가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삽입공(150')과 제2삽입공(150'')을 각각 상기 제1배수블럭(1')과 제2배수블럭(1'')의 연결부(130)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한 후 상기 제1삽입공(150')과 제2삽입공(150'')에 동시에 삽입되는 앵커(160)에 의해 상기 제1배수블럭(1')과 제2배수블럭(1'')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고정력을 확보함으로써 외력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앵커(160)로는 강재로 이루어진 핀 등이 활용될 수 있으며, 상기 블럭몸체(10)의 양단에는 상기 배수로(120)의 둘레를 따라 패킹홈(131)이 형성되어 상기 패킹홈(131)에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패킹(미도시)이 삽입되어 상기 배수로(120)를 통해 흐르는 우수 등이 블럭과 블럭의 연결부위에서 누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130)는 상기 블럭몸체(10)의 양측 하단 즉, 저면부의 양측에서 각각 상향으로 함입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1)은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부(130)에 결합하여 배수블럭 각각을 연결시킬 수 있는 연결판(140)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시공현장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배수블럭의 연결시공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시공현장 전체에 걸쳐 상기 블럭몸체(10)의 길이 간격만큼 이격하여 놓여지는 상기 연결판(140) 사이사이에 각각의 블럭몸체(10)들을 결합함으로써 동시다발적인 배수블럭의 연결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판(140)은 그 상부에 블럭몸체(10)의 연결부(130, 홈 형상으로 함입된 연결부를 의미함)에 삽입될 수 있는 제1돌출턱(141)과, 이웃하는 다른 블럭몸체(10)의 연결부(130, 홈 형상으로 함입된 연결부를 의미함)에 삽입될 수 있는 제2돌출턱(142)과, 상기 제1돌출턱(141)과 제2돌출턱(142)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연결판(140)상에 놓여진 블럭몸체(10)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턱(143)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턱(141)과 제2돌출턱(142)은 상기 블럭몸체(10)의 길이방향(장변방향)에 직각인 단변방향으로 저면에서 상향 함입되어 형성되는 상기 연결부(130)에 각각 삽입되는 부분이므로, 역시 상기 연결판(140)상의 양측에 놓여지는 각각의 블럭몸체(10)의 연결부(130, 홈 형상으로 함입된 연결부를 의미함) 간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연결부(130)의 홈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유동방지턱(143)은 상기 제1돌출턱(141)과 제2돌출턱(142) 사이에서 돌출되며 상기 제1돌출턱(141)과 제2돌출턱(142) 형성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연결하여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판(140)상의 양측에 놓여 연결되는 각각의 블럭몸체(10)가 상기 제1돌출턱(141)과 제2돌출턱(142)을 따라 외력에 의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블럭몸체(10)의 저면에는 상기 연결부(130)의 홈 형성방향에 직각방향으로 상기 유동방지턱(143)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입되어 형성되는 삽입홈(132)이 형성되어야 한다. 즉, 상기 삽입홈(132)에 상기 유동방지턱(143)이 삽입되어 연결됨으로써 상기 연결판(140)상의 양측에 놓여 연결되는 각각의 블럭몸체(10)가 상기 제1돌출턱(141)과 제2돌출턱(142)을 따라 외력에 의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연결부(130) 각각의 실시예들은 모두 본원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용 배수블럭(1)들을 어느 한 방향에서 시작하여 일정 순서대로 연결하는 방식 이 아닌, 시공현장 전체에 걸쳐 동시다발적인 연결시공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시공기간의 단축 및 비용절감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경계석(30)은 통상적으로 차도와 인도의 경계를 구획하여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 그 상부면이 지반(c), 기층(b') 및 인도포장층(a')으로 이루어지는 인도의 단면구조상에서 인도포장층(a')과 일치하거나 그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인도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상기 경계석(30)이 대항함으로써 인도포장층(a')이 허물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용 배수블럭(1)에서는 상기 도로경계용 경계석(30)이 상기 블럭몸체(1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계석(30)이 상기 블럭몸체(1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배수로 따로 경계석 따로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음은 물론 외력에 대항하는 상기 경계석(30)의 저항력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경계석(30)의 일측면 즉, 차도측 측면에는 야간에 운행하는 차량 등에게 돌출된 경계석(30)의 존재를 인지시키기 위한 야광띠(310)가 상기 경계석(3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야광띠(310)를 통해 차도를 운행하는 차량에게 도로경계부위를 인지시켜 교통사고는 물론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1) 위를 지나는 차량으로 인한 배수블럭(1)의 파손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의 사시도이 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의 연결시공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7을 참조하면, 상기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1)은 상기 블럭몸체(10)의 하면에 연결되어 상기 배수로(120)의 우수를 유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연결블럭몸체(11) 또는 상기 블럭몸체(10)의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배수로(120)에 우수를 유입 또는 유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연결블럭몸체(1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집수정 없이도 배수로(120)의 우수를 다른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연결블럭몸체(11)는 상기 블럭몸체(10)의 하면에 연결되어 상기 블럭몸체(10) 내의 배수로(120)의 우수를 유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전체적인 형상구조는 상기 블럭몸체(1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나 그 자체만으로는 별도의 우수를 유입하는 구성은 아니기 때문에 상면에 상기 배수공(110)이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다만, 상기 블럭몸체(10)의 하면과 맞닿는 부분의 상면에는 상부의 블럭몸체(10)와 연결하기 위한 돌출부(111)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그에 대응되어 상기 블럭몸체(10)의 하면에서 상기 제1연결블럭몸체(11)의 돌출부(111)과 맞닿는 부분에는 상기 돌출부(1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된 함입부(170)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11)와 함입부(170)의 결합에 의해 상기 블럭몸체(10)와 제1연결블럭몸체(11)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블럭몸체(10)와 제1연결블럭몸체(11)가 맞닿는 부분에서는 상기 돌출부(111)와 함입부(170)를 관통하 여 상기 블록몸체(10)의 배수로와 상기 제1연결블럭몸체(11)의 배수로를 연결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블럭몸체(10)의 배수로(120)를 흐르는 우수 등이 상기 제1연결블럭몸체(11)의 배수로를 통해 다른 곳으로 유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연결블럭몸체(12)는 상기 블럭몸체(10)의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배수로(120)에 우수를 유입 또는 유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전체적인 형상구조는 상기 블럭몸체(1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나 그 자체만으로는 별도의 우수를 유입하는 구성은 아니기 때문에 상면에 상기 배수공(110)이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다만, 상기 블럭몸체(10)의 측면과 맞닿는 부분 즉, 상기 제2연결블럭몸체(12)의 일단에는 맞닿는 블럭몸체(10)와 연결하기 위한 돌출부(121)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그에 대응되어 상기 블럭몸체(10)의 측면에서 상기 제2연결블럭몸체(12)의 돌출부(121)와 맞닿는 부분에는 상기 돌출부(12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된 함입부(170')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21)와 함입부(170')의 결합에 의해 상기 블럭몸체(10)와 제2연결블럭몸체(12)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블럭몸체(10)와 제2연결블럭몸체(12)가 맞닿는 부분에서는 상기 돌출부(121)와 함입부(170')를 관통하여 상기 블록몸체(10)의 배수로와 상기 제2연결블럭몸체(12)의 배수로를 연결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블럭몸체(10)의 배수로(120)에 우수를 유입(상기 제2연결블럭몸체(12)의 배수로의 레벨이 상기 블럭몸체(10)의 배수로(120)의 레벨보다 높은 경우) 또는 유출(상기 제2연결블럭몸체(12)의 배수로의 레벨이 상기 블럭몸체(10)의 배수로(120)의 레벨보다 낮은 경우)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연결블럭몸체(11) 또는 제2연결블럭몸체(12)는 모두 상기 블럭몸체(10)와 대부분의 형상이 일치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블럭몸체(10)를 성형하는 틀을 활용하여 비용을 절감하여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이와 같이 제작된 상기 제1연결블럭몸체(11) 또는 상기 제2연결블럭몸체(12) 중 하나 이상을 상기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1)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1)의 배수로(120)를 흐르는 우수 등의 유로를 변경하여야 하는 경우나 우수 등을 별도의 정수장 등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 별도의 집수정을 사용하여 각각의 배수블럭들을 연결하여야 할 필요없이 배수로(120)의 우수를 다른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별도의 집수정을 제작하여야 하는 시간이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의 시공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의 연결시공과정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의 연결시공과정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의 연결시공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배수블럭 1': 제1배수블럭 1'': 제2배수블럭
10: 블럭몸체 11: 제1연결블럭몸체 12: 제2연결블럭몸체
30: 경계석 50: 청소용구 70: 배수공덮개
110: 배수공 111: 걸림턱 120: 배수로
130: 연결부 131: 패킹홈 132: 삽입홈
140: 연결판 141: 제1돌출턱 142: 제2돌출턱 143: 유동방지턱
150': 제1삽입공 150'': 제2삽입공
160: 앵커 170,170': 함입부
310: 야광띠 510: 몸체부 520: 손잡이부
a: 도로포장층 a': 인도포장층
b,b': 기층 c: 지반

Claims (9)

  1. 우수를 블럭몸체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해 블럭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블럭몸체의 상단 전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배수공과, 블럭몸체 내부에서 상기 배수공을 통해 유입된 우수를 정해진 유로로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배수로와, 배수블럭 각각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블럭몸체의 양측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블럭몸체; 상기 블럭몸체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도로경계용 경계석;을 포함하는 배수블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블럭몸체 양단의 하단부에서만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배수블럭과, 상기 연결부가 블럭몸체 양단의 상단부에서만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배수블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배수블럭의 연결부의 상단에는 제1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배수블럭의 연결부의 하단에는 상기 제1삽입공에 대응되는 제2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공과 제2삽입공에 동시에 삽입되는 앵커에 의해 배수블럭의 연결시공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제1배수블럭들의 사이사이에 상기 제2배수블럭을 연결하여 동시다발적으로 배수블럭의 연결시공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은 상기 배수공을 통해 상기 배수로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청소용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청소용구는 상기 배수로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테두리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청소용구를 사용하여 배수로 내의 이물질 제거 및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배수로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테두리 내부가 망으로 형성됨으로써, 배수로 내의 이물질 제거 및 청소시 우수는 망 사이로 흘러가고 이물질만이 망에 걸리도록 하여 효율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몸체는
    블럭몸체 양단면에 상기 배수로의 둘레를 따라 패킹이 형성됨으로써, 배수블럭의 연결시공시 연결부위에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은 상기 블럭몸체의 하면에 연결되어 상기 배수로의 우수를 유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연결블럭몸체 또는 상기 블럭몸체의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배수로에 우수를 유입 또는 유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연결블럭몸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집수정 없이도 배수로의 우수를 다른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용 배수블럭.
KR1020090048790A 2009-06-02 2009-06-02 도로경계용 배수블럭 KR100930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790A KR100930686B1 (ko) 2009-06-02 2009-06-02 도로경계용 배수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790A KR100930686B1 (ko) 2009-06-02 2009-06-02 도로경계용 배수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0686B1 true KR100930686B1 (ko) 2009-12-09

Family

ID=41684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790A KR100930686B1 (ko) 2009-06-02 2009-06-02 도로경계용 배수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06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4026A1 (ko) * 2016-08-29 2018-03-08 (주)마이즈텍 집수 경계 블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163U (ko) * 1974-07-13 1976-01-29
JPH08284245A (ja) * 1995-04-17 1996-10-29 Kanai Kogyo Kk 配管用フィルタ−
KR200340205Y1 (ko) * 2003-11-12 2004-01-31 주식회사 태성콘크리트 슬릿트형 배수구가 형성된 배수관
KR20090029882A (ko) * 2007-09-19 2009-03-24 김숙자 다용도 슬릿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163U (ko) * 1974-07-13 1976-01-29
JPH08284245A (ja) * 1995-04-17 1996-10-29 Kanai Kogyo Kk 配管用フィルタ−
KR200340205Y1 (ko) * 2003-11-12 2004-01-31 주식회사 태성콘크리트 슬릿트형 배수구가 형성된 배수관
KR20090029882A (ko) * 2007-09-19 2009-03-24 김숙자 다용도 슬릿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4026A1 (ko) * 2016-08-29 2018-03-08 (주)마이즈텍 집수 경계 블록
US10590611B2 (en) 2016-08-29 2020-03-17 My's Tech Co. Ltd. Water-collecting boundary blo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6583B1 (ko) 우수저장 블록
KR101963429B1 (ko) 측구 구조체
KR20140041029A (ko) 교량용 녹화 및 우수 정화 구조체
KR102348396B1 (ko) 선배수 기능을 겸한 점배수 장치
KR20120097848A (ko) 배수형 보차도 경계 블록
KR101306943B1 (ko) 교량용 배수장치
KR101728128B1 (ko) 성토사면용 도로 배수시설 및 그에 따른 시공방법
KR101429147B1 (ko) 연속배수시설이 구비된 도로 및 이의 시공방법
CN211079801U (zh) 一种大断面隧道施工结构
KR101111185B1 (ko) 경계겸용 초기 강우 정화 블록
KR100930686B1 (ko) 도로경계용 배수블럭
KR101535668B1 (ko)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 및 이 시공 방법
KR100466889B1 (ko) 도로용 보도블록
KR101175998B1 (ko)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을 겸비한 내장형 선배수시설
KR101833824B1 (ko) 저류셀을 이용한 투수포장 시스템
CN210621457U (zh) 一种沥青桥面排水结构
CN209323356U (zh) 一种桥梁排水结构
KR101301038B1 (ko) 타 도로 경계석과의 결합이 용이한 배수용 도로 경계석
CN207739100U (zh) 一种公路路肩结构
KR200311993Y1 (ko) 우,오수 받이 연결뚜껑
KR20090007408U (ko) 스틸그레이팅 용 배수캡
KR20040048556A (ko) 도로의 배수처리 방법
KR101186881B1 (ko) 다공성 투수 경계석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시스템
JPH10183729A (ja) 排水性舗装用排水路
JP2000045212A (ja) 境界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