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9217A - 선배수 기능을 내포한 현장타설 콘크리트 방호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선배수 기능을 내포한 현장타설 콘크리트 방호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9217A
KR20140139217A KR1020130059582A KR20130059582A KR20140139217A KR 20140139217 A KR20140139217 A KR 20140139217A KR 1020130059582 A KR1020130059582 A KR 1020130059582A KR 20130059582 A KR20130059582 A KR 20130059582A KR 20140139217 A KR20140139217 A KR 20140139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precast
drainage
bridge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9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명신
김용훈
Original Assignee
(주)브릿지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릿지하이텍 filed Critical (주)브릿지하이텍
Priority to KR1020130059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9217A/ko
Publication of KR20140139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92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노면에서 선형 배수를 이루어 집중 호우시의 배수효율이 향상되고, 배수로 막힘의 원인을 제공하는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있도록 한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을 겸비한 선배수시설이 내장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공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기존 교량 측면부의 배수시설 설치 배제로 인하여 미관을 고려한 환경 친화성 구조를 갖게 되며, 본 발명의 선배수 기능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은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시공현장에서 설치하고 보호용 콘크리트를 시공 현장에서 타설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되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타설 방식에 비하여 물류 이동에 의한 비용을 절감하고, 시공현장의 조건에 맞추어 즉시 변형 가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색인어]
선배수, 배수효율, 철근 고정, 현장타설 콘크리트, 방호벽

Description

선배수 기능을 내포한 현장타설 콘크리트 방호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Concrete protection wall with linear drainage function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의 선배수용 현장타설 콘크리트 방호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의 노면에서 선형 배수를 이루어 집중 호우시의 배수효율이 향상되고, 배수로를 막는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배수 유입구가 별도로 설치되어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이 향상되는 기능을 갖게하고, 시공시 시공현장 타설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이동에 의한 물류 비용 절감 및 다양한 형태의 방호벽 구조물의 제조, 등으로 시공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선배수용 현장타설 콘크리트 구조물 방호벽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현재의 교량 노면의 배수 시스템을 살펴보면, 교량 상판의 갓길 방호벽 또는 중앙분리대 측에 집수구를 설치하고 이를 종배수관과 연결하여 배수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이는 배수관 막힘으로 잦은 유지보수의 시행이 필요하다. 즉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이는 배수관 막힘으로 잦은 유지보수의 시행이 필요하다. 즉 교면 집수구의 막힘, 종배수관 연결부의 막힘 그리고 곡관부의 막힘이 그것이다.
또한 배수구간의 설치 간격이 넓어 막힘 발생시 유출 거리 증대에 따른 배수효율이 급격히 저하된다. 교량 구간의 빗길 교통사고 발생비율을 사망자율을 살펴보면 타 구간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난다.
또한, 최근에는 집수구와 집수구의 사이에 교량의 노면 침투수를 유입하여 배출하는 유공관이 설치되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유공관을 설치할 경우 작업공정이 복잡함은 물론 공사비 및 공사기간이 증가되는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과 관련이 있는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20-0345926호(등록일 2004.03.13)로서 "교량 배수시설의 오물제거구조"가 있다. 교량에 배치되는 배수관 시설의 절곡 부위에 결합되는 곡관의 후측부에 점검부를 연설하고, 하부에는 오물수납부를 연설한 다음, 이들의 개방단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체를 착탈 가능하게 각각 결합 구성하는 "+"자형 곡관오물배출구와; 배수관 시설의 직관과 직관 사이에 하부에 오물수납부를 연설하고 이의 개방단에 개폐 가능한 커버체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 구성되는 "T"형 직관오물배출구를 구비하여 배수시설의 배수관 내부에 오물이 퇴적되어 교량 상판의 노면의 빗물 등의 배수가 원활하지 못한 경우 이를 용이하게 점검하여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한 교량 배수시설의 오물제거구조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배수관 시설이 교량의 외부측에 설치됨으로 미관이 불량해지고, 오물을 제때에 제거하지 않으면 배수로가 막힘되고 그 막힘부에 식물이 생육되거나 배수구 오염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선배수 시설에 관한 종래의 기술 및 특허를 보면, 한국 등록특허 제 10-1175998호에서는 교량의 노면 배수 시설은, 교량의 노면 가장자리 또는 중앙을 따라 일정폭과 깊이를 갖고 일측 길이 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배수용 측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용 측구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배수통로를 갖고 전면에서 빗물을 유입시켜 배수통로로 흐르도록 하는 측구배수용 블록이 연이어져 시공되고 측구배수용 블록이 설치된 구간에는 배수통로를 막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이웃한 측구배수용 블록의 사이에 이물질 제거용 커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을 겸비한 내장형 선배수시설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 10-1088163호 에서는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제1안내부가 형성되어 교량 내부의 우수를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으며, 제2안내부 및 배수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우수가 배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배수를 이용한 교량용 배수 관로와, 그 시공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 10-1124694에는 시공이 간단하며, 유지 및 보수 작업이 용이하도록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제1안내부가 형성되어 교량 내부의 우수를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으며, 제2안내부 및 배수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우수가 배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용이한 교량용 배수 관로 및 그 시공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미 개시된 상기 시공방법은 기존 교량의 방호벽에 집수관 및 횡배수관을 설치하고 기계에 의한 시공현장에서의 방호벽 타설방식은 제품의 비규격화로 현장에서 자재의 절단 및 용접을 실시하므로 시공성 및 품질관리에 다소 불리한 측면이 있으며,
교량 측면에 브라켓을 설치하고 종배수를 위한 장치를 설치하여, 이로 인해 집중호우 발생 시에는 종배수 장치에서 역류(over flow) 현상이 발생되며, 한랭지역에서는 배수관의 동결이 예상되므로 유지관리 및 경관 측면에서 매우 불리한 면이 있다. 또한, 상시 방호벽 외측에 종배수 장치에 이물질이 쌓여 미관이 다소 불량하고, 배수에 문제가 발생 할 수 있으며, 방호벽에 하중으로 작용하여 교량 수명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술들은, 시공 현장에서 방호벽 타설시 집수구에 방호벽 타설 시에 발생하는 콘크리트 재료가 유입되어 집수구가 막히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횡배수 연결부에서 누수가 발생될 수 있으며, 횡배수관과 종배수장치를 볼트로 연결하므로 교량진동에 매우 취약한 구조로 되어있으며, 수직관 연결시에는 별도의 제작이 필요 하므로 추가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방호벽 철근의 간섭으로 인하여 횡배수관 간격으로 맞추어서 철근 배근을 하여야 하며 횡배수관 설치시 거푸집 측면 처리방법이 다소 불안정하여 관통 후에는 마감제(실링)을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한편, 본 발명인에 의한 선행 특허 출원 10-2013-0011030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특허이나, 본 발명인의 선행 특허 출원은 상기의 문제점을 적절히 해결할 수는 있으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조되기 때문에 장거리 운송에 따른 경제적인 비용 측면에서 효과적이지 못하고, 또한 공장에서의 일괄적인 제조 공정에 의한 일정한 형태의 프리캐스트 방호벽 구조물은 사용자의 요구에 의한 다양한 형태의 방호벽 구조물의 제조에는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의 노면에서 선형 배수를 이루어 집중 호우시의 배수효율이 향상되고, 배수로 막힘의 원인을 제공하는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있도록 한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을 겸비한 선배수시설이 내장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과 현장타설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공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기존 교량 측면부의 배수시설 설치 배제로 인하여 미관을 고려한 환경 친화성 구조를 갖게 되며, 본 발명의 선배수 기능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은 사용 현장에서 레디믹스 콘크리트에 의해 제조되어 공장제작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동에 의한 물류 비용의 절감 및 시용자의 요구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방호벽 구조물을 제조할 수 있는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의 선배수용 현장타설 콘크리트 방호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의 선배수용 현장타설 콘크리트 방호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은,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의 선배수용 현장타설 콘크리트 방호벽은, 시공현장에서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 슬라브 타설 단계; 철근 고정 홀이 설치되어 있는 프리캐스트 방호벽 운반 및 위치 확인 단계; 바닥 콘크리트 슬라브와 프리캐스트 방호벽과의 일체화 시공 단계로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호벽의 철근 고정홀에 콘크리트 슬라브의 철근을 삽입시키는 단계; 철근을 삽입한 후 시멘트 모르타르를 충진시키는 단계; 프리캐스트 방호벽을 콘크리트 슬라브 끝단에 고정 시키고 앵커를 천공하여 설치하는 단계; 앵커 천곤 설치후 시멘트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고정화 시키는 단계; 고정화된 프리캐스트 방호벽에 거푸집 및 철근을 배근하는 단계; 거푸집 제작 및 철근 배근 후 배수 스크린 및 배수 집중구를 설치하는 단계; 프리캐스트 방호벽 구조물에 배수관을 연결하는 단계; 거푸집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타설 콘크리트의 양생 단계; 거푸집 탈형하고 표면 마무리 단계;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의 선배수용 현장타설 콘크리트 방호벽의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교량의 설계에 따른 특정한 압축강도의 콘크리트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방호벽에 설치하는 배수관로는 플라스틱 또는 강관 등의 재질을 포함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재질의 배수관로가 모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방호벽에 노면의 침투수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관은 플라스틱 또는 강관 등의 재질을 포함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재질의 유입관로가 모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방호벽 내부에 노면의 침투수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는 침투수 중의 이물질 또는 굵은 토사에 의해 유입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입관 측면에 철망이나 섬유시트와 같은 부유물 또는 토사의 유입 방지재료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방호벽과 방호벽의 연결을 위하여 방호벽의 측면부에 오목 및 볼록 형태를 만드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오목 볼록의 형태는 특정한 형태로 규정하지 않고, 방호벽과 방호벽 간의 결합을 충족할 수 있는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의 선배수용 현장타설 콘크리트 방호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은, 교량의 노면에서 선형 배수를 이루어 집중 호우시의 배수효율이 향상되고, 이물질 제거용 커버가 설치된 별도의 배수 유입관이 설치되어 있어 배수로를 막히게 할 수 있는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고, 배수 효율이 우수하다.
[도1] 본 발명의 현장타설 방호벽 및 시공공정
[도2] 교량 상판에 방호벽 설치 도면
[도3] 방호벽 설치 후의 현장타설용 거푸집 설치 및 스크린 설치 도면
[도4] 선배수 기능의 유입관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1은 전체 설치 공정을 나타낸다.
도2에서 교량 상판 슬라브(10)를 현장 타설하며 교량 상판 슬라브(10) 내부에는 철근(11)을 배근하고 철근이 외부로 나타나게 설치한다. 본 발명의 방호벽(100) 내부에는 슬라브에 배근된 철근(11)을 고정 시킬 수 있는 홀(110)이 설치된다. 방호벽(100)을 교량 상판 슬라브(10) 상부에 설치하며, 이때 교량 상판 슬라브(10)에 돌출되어 있는 철근(11)을 방호벽(100) 내부의 철근 고정 홀(110)에 맞춘다. 교량 상판 슬라브(10)에 방호벽(110)을 설치한 후 철근 고정 홀(110)에 시멘트 그라우트 모르타르로 충진한다. 시멘트 그라우트 모르타르로 충진한 후, 방호벽을 고정하기 위하여 앵커 볼트로 천공하여 고정화 시킨다.
도3의 도면에서, 방호벽(100)이 교량 상판 슬라브(10)에 고정된 후, 방호벽(110)과 교량상판 슬라브(10) 사이에 배수관 설치를 위한 거푸집(120)을 설치하고, 거푸집(120)내부에 철근 배근 및 배수관 유입관(130)을 설치한다. 이때, 배수관 유입관(130)의 위치는 교량의 설계에 따라 위치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이 발명의 범위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3에 의하면, 본 발명의 방호벽(100) 내부의 유입관(130) 표면의 도로포장 계면과 접합하는 부위는 이물질 또는 토사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질 제거용 커버(131)가 위치하게 되어 빗물 등의 배출 시에 이물질이나 토사 등의 유입관 내부로의 침입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현장 거푸집 내부에 철근 배근 및 배수관 유입관의 설치가 완료되면 거푸집 내부로 콩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한다.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을 탈형하고 표면 마무리를 한다.
10: 콘크리트 교량 상판
11 : 철근
100: 교량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호벽 구조물
110: 방호벽 구조물 내부의 철근 고정 홀
120: 현장타설 거푸집
130: 배수관 유입관
131: 배수 스크린

Claims (4)

  1.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의 선배수용 현장타설 콘크리트 방호벽은, 해당 설치 구간의 설계를 참조하여, 시공현장에서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 슬라브 타설 단계; 철근 고정 홀이 설치되어 있는 프리캐스트 방호벽 운반 및 위치 확인 단계; 바닥 콘크리트 슬라브와 프리캐스트 방호벽과의 일체화 시공 단계로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호벽의 철근 고정홀에 콘크리트 슬라브의 철근을 삽입시키는 단계; 철근을 삽입한 후 시멘트 모르타르를 충진시키는 단계; 프리캐스트 방호벽을 콘크리트 슬라브 끝단에 고정 시키고 앵커를 천공하여 설치하는 단계; 앵커 천공 설치후 시멘트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고정화 시키는 단계; 고정화된 프리캐스트 방호벽에 거푸집 및 철근을 배근하는 단계; 거푸집 제작 및 철근 배근 후 배수 스크린 및 배수 집중구를 설치하는 단계; 프리캐스트 방호벽 구조물에 배수관을 연결하는 단계; 거푸집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타설 콘크리트의 양생 단계; 거푸집 탈형하고 표면 마무리 단계;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의 선배수용 현장타설 콘크리트 방호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철근 고정 홀이 설치되어 있는 프리캐스트 방호벽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의 선배수용 현장타설 콘크리트 방호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바닥 콘크리트 슬라브와 프리캐스트 방호벽과의 일체화 시공 단계로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호벽의 철근 고정홀에 콘크리트 슬라브의 철근을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의 선배수용 현장타설 콘크리트 방호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고정화된 프리캐스트 방호벽에 거푸집 및 철근을 배근하는 단계와 거푸집 제작 및 철근 배근 후 배수 스크린 및 배수 집중구를 설치하는 단계 및 프리캐스트 방호벽 구조물에 배수관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의 선배수용 현장타설 콘크리트 방호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0130059582A 2013-05-27 2013-05-27 선배수 기능을 내포한 현장타설 콘크리트 방호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401392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582A KR20140139217A (ko) 2013-05-27 2013-05-27 선배수 기능을 내포한 현장타설 콘크리트 방호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582A KR20140139217A (ko) 2013-05-27 2013-05-27 선배수 기능을 내포한 현장타설 콘크리트 방호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217A true KR20140139217A (ko) 2014-12-05

Family

ID=52459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9582A KR20140139217A (ko) 2013-05-27 2013-05-27 선배수 기능을 내포한 현장타설 콘크리트 방호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921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53088A (zh) * 2018-12-28 2019-04-19 青岛海德工程集团股份有限公司 现浇钢筋混凝土护栏的施工方法
CN109914239A (zh) * 2019-03-27 2019-06-21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桥梁现浇混凝土防撞护栏施工装置及其方法
CN110725201A (zh) * 2019-11-18 2020-01-24 深圳市市政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桥梁预制装配式轻型高强防撞护栏
KR102084730B1 (ko) 2019-10-02 2020-03-04 임진세 매스틱을 이용한 방호벽 배수구 및 도로측구 보수 공법
CN111576236A (zh) * 2020-06-01 2020-08-25 中铁四局集团第二工程有限公司 一种整体式预制桥面附属结构的安装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53088A (zh) * 2018-12-28 2019-04-19 青岛海德工程集团股份有限公司 现浇钢筋混凝土护栏的施工方法
CN109914239A (zh) * 2019-03-27 2019-06-21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桥梁现浇混凝土防撞护栏施工装置及其方法
KR102084730B1 (ko) 2019-10-02 2020-03-04 임진세 매스틱을 이용한 방호벽 배수구 및 도로측구 보수 공법
CN110725201A (zh) * 2019-11-18 2020-01-24 深圳市市政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桥梁预制装配式轻型高强防撞护栏
CN111576236A (zh) * 2020-06-01 2020-08-25 中铁四局集团第二工程有限公司 一种整体式预制桥面附属结构的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9202B1 (ko) 친환경 수로형 집수정 및 그것을 이용한 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친환경 도로 구조물
CN110387782B (zh) 一种装配式自排水沥青路面的路缘石及其施工方法
KR101039316B1 (ko) 터널 배수 구조물
KR20140139217A (ko) 선배수 기능을 내포한 현장타설 콘크리트 방호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10438914A (zh) 软土地基上的过水箱涵及其施工方法
KR100898945B1 (ko) 통수로가 구비된 콘크리트 아치교 및 이의 시공방법
CN205134481U (zh) 公路超高挖方路段虹吸式排水系统
KR20140098420A (ko) 선배수 기능을 내포한 프리캐스트 방호벽 및 그 시공방법
CN212247917U (zh) 一种用于建筑场地排水的组合箱涵
CN201553962U (zh) 钢筋混凝土或天然石材u型过滤槽式路缘石
CN210151748U (zh) 一种基坑集水明排降水体系
CN2893020Y (zh) 一种道路的排水装置
KR101043285B1 (ko) 도로 표층의 침하방지를 위한 배수시설의 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배수장치
KR200432040Y1 (ko) 집수정 구조체
CN110805047A (zh) 一种土质边坡保土护坡景观结构及施工方法
CN210140780U (zh) 防淤堵生态透水箱涵
CN113186977B (zh) 一种地下综合管廊的逆序施工方法
CN115387393A (zh) 后浇带预封闭快捷施工工法
KR102358432B1 (ko) 빗물 침투기능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JP4000580B2 (ja) 排水装置内包縁石
JP6931876B2 (ja) 法面補強用透水壁の構築方法
KR20080005134U (ko) 옹벽 시공용 조립식 프리캐스트 패널
JP2000179034A (ja) 側溝、側溝の蓋部材、および境界ブロック
KR102073887B1 (ko) 도로연속배수시설의 타설장치
KR101657279B1 (ko)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및 이를 이용한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