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3956A - 거푸집의 천공없이 초기가설이 용이한 집수구 - Google Patents

거푸집의 천공없이 초기가설이 용이한 집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3956A
KR20160093956A KR1020150014903A KR20150014903A KR20160093956A KR 20160093956 A KR20160093956 A KR 20160093956A KR 1020150014903 A KR1020150014903 A KR 1020150014903A KR 20150014903 A KR20150014903 A KR 20150014903A KR 20160093956 A KR20160093956 A KR 20160093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sliding rod
spring
bottom plate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4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용
Original Assignee
고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재용 filed Critical 고재용
Priority to KR1020150014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3956A/ko
Publication of KR20160093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39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Abstract

종래의 경우에는 집수구의 상하 길이가 콘크리트 바닥판의 두께에 비하여 클 경우에 콘크리트 바닥판의 상면에 집수구의 윗단을 맞추기 위하여 집수구를 설치하는 초기 과정에서 거푸집을 천공시켜 집수구의 밑단이 거푸집의 밑으로 관통하여 빠져 나오도록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집수구(100)에 의하면, 스프링(140)에 의하여 집수구(100) 자체의 상하 길이가 가변될 수 있기 때문에 집수구(100)의 초기 설치 과정에서 거푸집(210)을 천공시키지 않고서도 콘크리트 바닥판(30)의 상면에 집수구(100)의 윗단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으며, 이러한 길이 가변 부위가 집수구(100)의 둘레에 적어도 3군에 존재하기 때문에 부분별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수평조절도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거푸집의 천공없이 초기가설이 용이한 집수구{Catch basin useful to initial installation without perforating form}
본 발명은 집수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집수구의 상하 길이가 콘크리트 바닥판의 두께에 비하여 클 경우에 콘크리트 바닥판의 상면에 집수구의 윗단을 맞추기 위한 방편으로 집수구를 설치하는 초기 과정에서 거푸집을 천공시켜 집수구의 밑단이 거푸집의 밑으로 관통하여 빠져나오도록 해야 하는 종래의 경우에서 벗어나, 집수구 자체의 상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집수구의 초기 설치 과정에서 거푸집의 천공없이도 집수구의 수평을 바로 잡음과 동시에 집수구의 윗단을 콘크리트 바닥판의 상면에 효과적으로 맞출 수 있도록 한 집수구에 관한 것이다.
빗물을 집수하기 위하여 교량의 가장자리에 집수구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종래의 집수구(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집수구(10)는 집수부(11)와 배수부(12)로 구분되며 전체적으로 깔때기 형상을 한다.
도 2는 종래의 집수구(10)에 대한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구(10)는 교량의 가장자리, 즉 난간(40) 근처에 설치되고, 교량에 쏟아지는 빗물이 난간(40) 쪽으로 흘러 집수구(10)로 유입되도록 콘크리트 바닥판(30)은 난간(40)쪽으로 약간 기울어지게 설치된다. 물론, 콘크리트 바닥판(30)이 기울어지지 않고 평평하게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콘크리트 바닥판(30)을 타고 흐르는 빗물이 집수구(10)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집수부(11)의 윗단은 콘크리트 바닥판(30)의 상면보다 낮거나 같게 설치된다.
종래의 집수구(10) 시공과정을 살펴보면, 교량의 거푸집 상에 골조를 이루는 철근을 설치한 후, 이러한 철근 사이에 집수구(10)를 고정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바닥판(30)을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 바닥판(30)에 집수구(10)가 고정되게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의 집수구(10)는 상하 길이 조절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집수구(10)의 상하 길이가 콘크리트 바닥판(30)의 두께보다 클 경우 집수구(10)를 철근 사이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집수구(10)의 윗단을 추후 타설될 콘크리트 바닥판(30)의 상면에 맞추기 위하여 밑에 있는 거푸집을 천공하여 집수구(10)의 밑부분인 배수부(12)가 거푸집의 밑으로 관통하여 빠져 나오도록 해야 한다. 이렇게 거푸집의 밑으로 관통하여 빠져 나온 배수부(12)는 연결관(20)에 연결된다. 천공된 거푸집은 추후에 제거될 것인데, 도 2는 이렇게 거푸집이 제거된 상태가 도시된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집수구(10)는 집수구(10)의 상하 길이가 콘크리트 바닥판(30)의 두께에 비하여 클 경우 콘크리트 바닥판(30)의 상면에 집수구(10)의 윗단을 맞추기 위하여 집수구(10)의 초기 설치 과정에서 거푸집을 천공시켜 집수구(10)의 밑부분인 배수부(12)가 거푸집의 밑으로 관통하여 빠져나오도록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번거로움 외에도, 거푸집을 천공시킨 후에 집수구(10)를 설치하게 되면, 집수구(10)를 밑에서 받쳐주는 것이 없기 때문에 집수구(10)의 높이를 맞추는 과정에서 집수구(10)를 잡아주는 사람과 집수구(10)의 수평을 맞추는 사람 등 작업자가 여럿 요구될 뿐만 아니라 아니라 집수구(10)의 높이 및 수평 조절 작업에 많은 집중력이 요구되어 시공 과정이 매우 번거롭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31693호(2013.02.13.공고)에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의 경우는 집수구의 밑단에 있는 연결구가 콘크리트 바닥판의 밑으로 슬라이딩되어 빠져나와 연결관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서, 궁극적으로 집수구의 밑단이 아래로 신장되는 구조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콘크리트 바닥판의 두께에 대응하여 콘크리트 바닥판의 상면에 집수구의 윗단을 자유롭게 맞출 수 있도록 집수구 자체의 상하 길이가 가변되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또한 집수구를 수평으로 용이하게 맞출 수 있는 구성에 관한 개시도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31693호(2013.02.13.공고)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집수구 자체의 상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집수구의 상하 길이가 콘크리트 바닥판의 두께보다 크더라도 집수구를 설치하는 초기 과정에서 거푸집을 천공시켜 집수구의 밑단이 거푸집의 밑으로 관통하여 빠져나오도록 함이 없이 콘크리트 바닥판의 상면에 집수구의 윗단을 효과적으로 맞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높이 조절 과정에서 수평 작업도 용이하게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집수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집수구는,
물이 유입되는 입구를 이루는 집수부;
상기 집수부에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관 형상의 배수부;
상기 배수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아래로 관통하여 끼워지도록 관 형상을 하며, 윗단은 상기 배수부의 외측면에 닿도록 안쪽으로 절곡되어 어깨부를 이루는 높이조절커버;
상기 어깨부의 밑에 위치하도록 상기 배수부의 외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부;
윗단은 상기 어깨부에 닿고 밑단은 상기 지지부에 닿도록 상기 높이조절커버의 내측과 상기 배수부의 외측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
상기 어깨부와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봉; 및
상기 슬라이딩 봉이 상기 지지부의 위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여 밑으로 빠져 나온 상기 슬라이딩 봉의 밑단에 설치되는 마감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 봉은 상기 배수부의 둘레에 균등한 간격으로 적어도 3 군데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부는 상기 스프링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평상시의 경우에 상기 배수부의 밑단이 상기 높이조절커버의 밑으로 돌출되어 나오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의 윗단은 상기 어깨부에 체결되고, 상기 스프링의 밑단은 상기 지지부에 체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딩 봉의 밑단에 볼트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감수단의 위아래 양단에 너트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마감수단의 윗단 너트부에 상기 슬라이딩 봉의 볼트부가 내삽 체결되고, 상기 마감수단의 밑단 너트부에 연결관이 볼트 체결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집수부 및 배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주위의 철근 골격과의 체결을 위한 고정체결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경우에는 집수구의 상하 길이가 콘크리트 바닥판의 두께에 비하여 클 경우에 콘크리트 바닥판의 상면에 집수구의 윗단을 맞추기 위하여 집수구를 설치하는 초기 과정에서 거푸집을 천공시켜 집수구의 밑단이 거푸집의 밑으로 관통하여 빠져나오록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프링에 의하여 집수구 자체의 상하 길이가 가변될 수 있기 때문에 집수구를 설치하는 초기 과정에서 거푸집을 천공시키지 않고서도 콘크리트 바닥판의 상면에 집수구의 윗단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으며, 이러한 길이 가변 부위가 집수구의 둘레에 적어도 3군에 존재하기 때문에 부분별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수평조절도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집수구(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집수구(10)에 대한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구(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집수구(100)의 설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구(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집수구(100)는 물이 유입되는 입구 역할을 하는 집수부(111)와, 집수부(111)에 연통되면서 밑으로 연장되도록 관 형상을 하는 배수부(112)로 구분되며, 전체적으로 깔때기 형상을 한다. 집수부(111)로 큰 이물질이 유입되어 집수구(100)의 내부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집수부(110)의 입구에 그레이팅(grating, 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높이조절커버(130)는 배수부(11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아래로 관통하여 끼워지도록 관 형상을 한다. 높이조절커버(130)의 윗단은 배수부(112)의 외측면에 닿도록 안쪽으로 절곡되어 어깨부(132)를 이룬다. 어깨부(132)에는 관통공(132a)이 형성되며, 후술하겠지만, 이러한 관통공(132a)은 수평조절을 위해서 적어도 3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부(112)의 외측면에는 지지부(113)가 형성되며, 지지부(113)에도 관통공(113a)이 형성된다. 지지부(113)는 어깨부(132)의 관통공(132a) 밑에 위치하도록 복수개 설치되며, 지지부(113)의 관통공(113a)과 어깨부(132)의 관통공(132a)은 일렬로 배열되도록 설치된다.
지지부(113)가 어깨부(132)에 걸리기 때문에 배수부(112)를 높이조절커버(130)에 위에서 밑으로 끼우는 것이 사실상 어려우므로, 배수부(112)는 밑에서 위로 높이조절커버(130)에 끼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집수부(111)와 배수부(112)는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수부(111)와 배수부(112)가 조립식으로 체결된 후에는 이들 사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분리 불가능하게 마무리 처리가 되어도 상관없다.
스프링(140)은 높이조절커버(130)의 어깨부(132)에 윗단이 닿고 지지부(113)에 밑단이 닿도록 높이조절커버(130)의 내측과 배수부(112)의 외측 사이에 설치된다. 스프링(14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평상시의 경우에는 배수부(112)가 위로 올라가 배수부(112)의 밑단이 높이조절커버(130)의 밑으로 돌출되지 않고 안에 위치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normally up).
스프링(140)은 윗단이 어깨부(132)에 체결되고 밑단은 지지부(113)에 체결됨으로써 지지부(113)가 밑으로 내려가 상기의 평상시 상태보다 어깨부(132)와 지지부(113) 사이의 간격이 커지게 되면 이에 따라 스프링(140)이 강제 신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 봉(150)은 어깨부(132)의 관통공(132a)과 지지부(113)의 관통공(113a)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 때 스프링(140)의 지지 역할도 할 겸 슬라이딩 봉(150)은 세로로 세워진 스프링(140)의 가운데 빈 공간을 지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 봉(150)은 배수부(111)의 둘레에 균등한 간격으로 적어도 3군데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 조절을 위해서는 1군데나 2군데 설치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적어도 3군데 설치되어야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지지부(113)도 당연히 적어도 3군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깨부(132)의 관통공(132a)과 지지부(113)의 관통공(113a)이 일렬로 배열되기 때문에 여기에 끼워지는 슬라이딩 봉(150)은 세로로 똑바로 세워질 것이다. 슬라이딩 봉(150)이 지지부(113)의 위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관통공(113a)을 관통하여 밑으로 빠져 나온 슬라이딩 봉(150)의 밑단에 마감수단(160)이 설치된다.
연결관(120)의 윗단에는 플랜지(121)가 형성되며, 플랜지(121)에는 볼트(125) 체결을 위한 관통공(121a)이 형성된다. 연결관(120)은 볼트(125)에 의하여 배수부(112)에 연속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는데, 이러한 연결을 효율적으로 시키기 위하여, 슬라이딩 봉(150)의 밑단에 볼트부(151)를 형성하고, 마감수단(160)의 위아래 양단에 너트부(161, 162)를 각각 형성한 후, 마감수단(161)의 윗단 너트부(161)에는 슬라이딩 봉(150)의 볼트부(151)를 내삽 체결시키고, 마감수단(161)의 밑단 너트부(162) 부에는 연결관(120)을 연결시키기 위한 볼트(125)를 내삽 체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엘보우관(180)은 연결클램프(170)를 통하여 연결관(120)의 밑에 연결되게 설치된다. 그러면, 청소 시에 연결클램프(170)를 풀어서 엘보우관(180), 높이조절커버(180), 또는 배수부(112)의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한편, 집수부(111)나 배수부(112)의 외측면에는 집수구(100)의 높이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주위의 철근 골격에 체결하기 위한 고정체결부(195)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고정체결부(195)가 집수부(111)에 형성되는 것이 도시되었는데, 이렇게 집수부(111)에 형성되는 것이 작업자가 고정체결부(195)를 철근 골격(196)에 체결하기에 더 용이할 것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집수구(100)의 설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집수구(100) 배치]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거푸집(210) 상에 골조를 이루는 철근(미도시)을 설치하고, 상기 철근 사이에 집수구(100)를 설치한다. 집수구(100)는 높이조절커버(130)의 밑단이 거푸집(210) 상에 올려 놓이도록 설치되는데, 배수부(112)를 통과하는 물이 옆으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높이조절커버(130)의 밑단과 거푸집(210) 사이에 패킹(19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수구(100)를 설치함에 있어서 철근 골격이 방해가 되는 경우에는 해당 위치의 철근 골격을 적당히 절단하여 집수구(100)를 끼울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면 된다. 도 6에서는 철근 골격의 도시가 생략되었다.
집수구(100)는 스프링(14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평상 상태에서는 배수부(112)가 높이조절커버(130)의 밑단에서 약간 위로 올라가 있는 노말 업(normally up) 상태이므로 배수부(112)의 밑단이 거푸집(210)에서 높이 h만큼 들뜨게 된다. 참조번호 201은 이러한 평상시 상태에서의 집수구(100)의 윗단 높이를 나타내는 가성선이고, 참조번호 202는 추후에 타설될 콘크리트 바닥판(30)의 상면 높이를 나타내는 가상선이다.
[높이 및 수평조절]
이와 같이 집수구(100)를 거푸집(210) 상에 설치한 후에는 집수구(100)의 윗단 높이를 추후에 타설될 콘크리트 바닥판(30)이 상면(202)과 맞추기 위하여 도 7에서와 같이 높이조절단계를 거친다. 이러한 높이조절단계는 작업자가 집수부(111)를 위에서 밑으로 누름으로써 이루어진다.
집수부(111)를 위에서 밑으로 누르면 배수부(112)가 밑으로 내려가게 되며, 이 때 지지부(113)도 밑으로 내려가게 된다. 지지부(113)의 하강으로 인하여 마감수단(160)도 지지부(113)에 눌려 밑으로 내려가게 되고 슬라이딩 봉(150)도 밑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어깨부(132)와 지지부(113)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게 되는데, 이 때 스프링(140)이 양단이 어깨부(132)와 지지부(113)에 각각 체결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스프링(140)의 강제 신장이 이루어진다.
배수부(112)가 밑으로 내려가는 정도는 집수부(111)의 상단이 참조번호 202의 가상선까지 내려와 추후에 타설될 콘크리트 바닥판(30)의 상면 높이에 맞춰지는 정도까지가 될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배수부(112)의 밑단이 거푸집(210)에 닿을 때까지 내려갈 필요는 없다.
집수부(111)의 상단이 콘크리트 바닥판(30)의 상면을 나타내는 가상선(202)까지 내려온 상태에서는 스프링(140)이 강제 신장되어 있기 때문에 집수부(111)가 위로 튀어 올라가려는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고정체결부(195)를 주위의 철근 골격(196)에 체결시킴으로써 집수부(111)의 상단이 콘크리트 바닥판(30)의 상면을 나타내는 가상선(202)에 머물도록 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이러한 고정체결부(195)와 철근 골격(196)의 체결은 용접에 의할 수도 있으며, 철사나 기타 다른 체결수단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고정체결부(195)가 없다고 하더라도 적당한 방법으로 집수부(111)나 배수부(112)를 주위의 철근 골격에 체결시키면 족하다.
도 7에서와 같이 높이조절단계를 거치는 동안에 수평을 잡는 작업도 같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봉(150)이 집수구(100)의 둘레에 적어도 3군데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한 부분을 누르면 용이하게 집수부(111)를 수평 맞춤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의도적으로 집수부(111)를 약간 기울어지게 설치되어야 할 경우가 있는데 수평 맞춤은 이러한 의도적인 기울기 부여도 가능함을 포함하는 것이다.
[콘크리트 바닥판(30) 설치]
도 7에서와 같이 높이 및 수평조절 단계가 마무리되면, 도 8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이루어짐으로써 콘크리트 바닥판(30)이 설치된다. 앞서 높이 조절 단계가 선행되었기 때문에 콘크리트 바닥판(30)을 원래의 설계 두께로 타설하기만 하면 집수부(111)의 상단과 콘크리트 바닥판(30)의 상면이 제대로 맞춰진 상태가 된다.
[연결관(120) 설치]
콘크리트 바닥판(30)을 형성한 후에는 거푸집(210)을 제거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25)를 이용하여 연결관(120)을 마감수단(160)의 밑단 너트부(162)에 내삽 체결하여 연결관(120)이 배수부(112)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거푸집(210)은 전체적으로 제거되어도 좋고 필요한 부분만 천공하여도 좋다. 도 9에서는 전체적으로 제거된 경우가 도시되었다.
[엘보우관(180) 설치]
연결관(120)을 연결 설치한 후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클램프(170)를 이용하여 연결관(120)에 엘보우관(180)을 연결 설치한다.
종래의 경우에는, 집수구의 상하 길이가 콘크리트 바닥판의 두께에 비하여 클 경우에 콘트리트 바닥판에 집수구의 윗단을 맞추기 위하여 집수구를 설치하는 초기 과정에서 거푸집을 천공시켜 집수구의 밑단이 거푸집의 밑으로 관통하여 빠져나오도록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프링(140)에 의하여 집수구(100) 자체의 상하 길이가 가변될 수 있기 때문에 집수구(100)의 초기 설치 과정에서 거푸집(210)을 천공시키지 않고서도 콘크리트 바닥판(30)의 상면에 집수구(100)의 윗단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으며, 이러한 길이 가변 부위가 집수구(100)의 둘레에 적어도 3군에 존재하기 때문에 부분별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수평조절도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100: 집수구 111: 집수부
112: 배수부 113: 지지부
113a, 121a, 132a: 관통공 120: 연결관
121: 플랜지 125: 볼트
130: 높이조절커버 132: 어깨부
140: 스프링 150: 슬라이딩 봉
151: 볼트부 160: 마감수단
161, 162: 너트부 170: 연결클램프
180: 엘보우관 195: 고정체결부
196: 철근 골격 210: 거푸집

Claims (6)

  1. 물이 유입되는 입구를 이루는 집수부;
    상기 집수부에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관 형상의 배수부;
    상기 배수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아래로 관통하여 끼워지도록 관 형상을 하며, 윗단은 상기 배수부의 외측면에 닿도록 안쪽으로 절곡되어 어깨부를 이루는 높이조절커버;
    상기 어깨부의 밑에 위치하도록 상기 배수부의 외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부;
    윗단은 상기 어깨부에 닿고 밑단은 상기 지지부에 닿도록 상기 높이조절커버의 내측과 상기 배수부의 외측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
    상기 어깨부와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봉; 및
    상기 슬라이딩 봉이 상기 지지부의 위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여 밑으로 빠져 나온 상기 슬라이딩 봉의 밑단에 설치되는 마감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봉이 상기 배수부의 둘레에 균등한 간격으로 적어도 3 군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스프링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평상시의 경우에 상기 배수부의 밑단이 상기 높이조절커버의 밑으로 돌출되어 나오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윗단이 상기 어깨부에 체결되고, 상기 스프링의 밑단이 상기 지지부에 체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봉의 밑단에 볼트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감수단의 위아래 양단에 너트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마감수단의 윗단 너트부에 상기 슬라이딩 봉의 볼트부가 내삽 체결되고, 상기 마감수단의 밑단 너트부에 연결관이 볼트 체결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 및 배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주위의 철근 골격과의 체결을 위한 고정체결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구.
KR1020150014903A 2015-01-30 2015-01-30 거푸집의 천공없이 초기가설이 용이한 집수구 KR201600939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903A KR20160093956A (ko) 2015-01-30 2015-01-30 거푸집의 천공없이 초기가설이 용이한 집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903A KR20160093956A (ko) 2015-01-30 2015-01-30 거푸집의 천공없이 초기가설이 용이한 집수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956A true KR20160093956A (ko) 2016-08-09

Family

ID=56712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903A KR20160093956A (ko) 2015-01-30 2015-01-30 거푸집의 천공없이 초기가설이 용이한 집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3956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76187A (zh) * 2017-09-02 2017-12-15 范清 一种新型桥梁设施
CN108302409A (zh) * 2018-01-26 2018-07-20 赵阳 一种环保无能耗的路灯自动保洁装置
CN108797332A (zh) * 2018-06-05 2018-11-13 黑龙江建筑职业技术学院 高架桥隔断与排水组合装置及使用方法
KR20190096770A (ko) 2018-02-09 2019-08-20 고재용 모래받이형 집수구
KR20190096771A (ko) 2018-02-09 2019-08-20 고재용 무타공 집수구
KR20190096769A (ko) 2018-02-09 2019-08-20 고재용 모래받이형 무타공 집수구
CN113356089A (zh) * 2021-06-21 2021-09-07 谢森涛 一种用于市政工程的桥梁加固设备
CN113389146A (zh) * 2021-06-29 2021-09-14 中交二公局第七工程有限公司 一种公路桥梁工程桥涵支撑结构
US11326321B2 (en) 2020-02-28 2022-05-10 Barrco, Inc. Height-adjustable fixtures for buried tubulars and methods of adjusting the height-adjustable fixtures
US11365537B2 (en) 2019-02-28 2022-06-21 Barrco, Inc. Adjustable fixtures for buried tubulars, forming tools for defining a hole in the adjustable fixtur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adjustable fixtur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693B1 (ko) 2012-11-16 2013-02-13 삼우기연 주식회사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693B1 (ko) 2012-11-16 2013-02-13 삼우기연 주식회사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76187A (zh) * 2017-09-02 2017-12-15 范清 一种新型桥梁设施
CN107476187B (zh) * 2017-09-02 2019-05-21 范清 一种新型桥梁设施
CN108302409A (zh) * 2018-01-26 2018-07-20 赵阳 一种环保无能耗的路灯自动保洁装置
KR20190096770A (ko) 2018-02-09 2019-08-20 고재용 모래받이형 집수구
KR20190096771A (ko) 2018-02-09 2019-08-20 고재용 무타공 집수구
KR20190096769A (ko) 2018-02-09 2019-08-20 고재용 모래받이형 무타공 집수구
CN108797332A (zh) * 2018-06-05 2018-11-13 黑龙江建筑职业技术学院 高架桥隔断与排水组合装置及使用方法
CN108797332B (zh) * 2018-06-05 2020-05-29 黑龙江建筑职业技术学院 高架桥隔断与排水组合装置及使用方法
US11365537B2 (en) 2019-02-28 2022-06-21 Barrco, Inc. Adjustable fixtures for buried tubulars, forming tools for defining a hole in the adjustable fixtur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adjustable fixtures
US11326321B2 (en) 2020-02-28 2022-05-10 Barrco, Inc. Height-adjustable fixtures for buried tubulars and methods of adjusting the height-adjustable fixtures
CN113356089A (zh) * 2021-06-21 2021-09-07 谢森涛 一种用于市政工程的桥梁加固设备
CN113389146A (zh) * 2021-06-29 2021-09-14 中交二公局第七工程有限公司 一种公路桥梁工程桥涵支撑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3956A (ko) 거푸집의 천공없이 초기가설이 용이한 집수구
KR101625024B1 (ko) 교량 선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024655B1 (ko) 건축용 비계 안전발판과 이의 제작 및 설치방법
KR101085466B1 (ko) 건축구조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KR100905432B1 (ko) 집수정 결합구조
KR101776805B1 (ko) 조립식 교량 배수장치
KR20060102831A (ko) 교량용 집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111996931A (zh) 一种既有桥梁绿色拆除改造施工方法及其污水收集装置
KR20110006299A (ko) 교량 집수구의 오물 수거 장치
KR102094526B1 (ko) L형 패널에 적용하는 교량 배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080383B1 (ko) 무타공 집수구
RU2007117042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лонн
KR101038806B1 (ko) 오수용 맨홀
KR101770389B1 (ko) 지하수 배수장치의 눈막힘 필터 세척방법
KR101232122B1 (ko) 집수정 걸름망장치
CN105442736A (zh) 现浇混凝土空心楼盖分段式组合装置抗浮施工方法
KR20090118506A (ko) 콘크리트용 거푸집
KR200450900Y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KR102080382B1 (ko) 모래받이형 무타공 집수구
KR101706134B1 (ko) 차수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200464842Y1 (ko) 안전 난간장치
KR100818617B1 (ko) 분리조절식 집수구
KR20190096770A (ko) 모래받이형 집수구
KR20130071763A (ko) 저면 이격형 집수정 및 그 설치방법
CN219931047U (zh) 一种可调三角架斜面模板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