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8617B1 - 분리조절식 집수구 - Google Patents

분리조절식 집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8617B1
KR100818617B1 KR1020070116222A KR20070116222A KR100818617B1 KR 100818617 B1 KR100818617 B1 KR 100818617B1 KR 1020070116222 A KR1020070116222 A KR 1020070116222A KR 20070116222 A KR20070116222 A KR 20070116222A KR 100818617 B1 KR100818617 B1 KR 100818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lecting
outlet
collecting basin
sump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6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순용
Original Assignee
지산개발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산개발산업(주) filed Critical 지산개발산업(주)
Priority to KR1020070116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8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8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8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2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 E03F2005/0413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for height adjus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수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레이팅 덮개가 안착되는 곳을 분리조절할 수 있고, 측면에 구비되는 유출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분리조절식 집수구에 관한 것으로, 우수를 포함하는 노면수가 유입되는 것으로 원통형상을 갖는 집수통(100)과; 상기 집수통(100)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분리용 돌출대(210), 분리용 돌출대(210)에 연설되어 그레이팅 덮개(20)가 안착되는 곳으로 상기 집수통(100)의 테두리면에 놓여지는 지지판(220), 상기 지지판(220) 상에 돌출되는 안착가이드(230)로 이루어진 분리형 덮개안착부(200)와; 상기 집수통(100)의 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수처리시설과 연결된 중계연결관에 연결되어 노면으로부터 유입되는 노면수가 상기 중계연결관을 통해 유동되도록 제공하는 노면수 중계유동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우수, 집수구, 유출구, 하천, 그레이팅 덮개

Description

분리조절식 집수구{Catch pit}
본 발명은 집수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레이팅 덮개가 안착되는 곳을 분리조절할 수 있고, 측면에 구비되는 유출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분리조절식 집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나 교량의 양측에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집수구를 매립설치하여, 내리는 빗물 등의 노면수가 지면에 고이지 않고 용이하게 하수처리시설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집수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로에 설치된 종래의 집수구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로에 설치된 종래의 집수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집수구는 측면에 유출구(11)가 돌출된 집수통(10) 상에 그레이팅 덮개(20)가 안착되도록 안착턱(31) 및 안착가이드(32)를 갖는 덮개안착부(30)가 일체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집수구를 도로 또는 택지 등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 먼저 노면에 집수통(10)이 수용될 정도의 매설공간을 갖게 판 상태에서 집수통(10)을 안치한다.
여기서, 매설공간을 이루는 측면에는 외부의 하수처리시설과 집수통(10)을 연통시켜주는 중계연결관(40)이 매설되어 있어, 그 매설된 중계연결관(40)에 집수통(10)의 유출구(11)를 끼운 상태에서 매설공간에 안치시킨다.
이후, 집수통(10)이 안치된 매설공간을 메운 후에 집수통(10)과 일체로 형성된 덮개안착부(30)의 안착턱(31) 상에 그레이팅 덮개(20)를 안착하여 사용하면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집수구는 노면의 매설공간에 매설 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노면에 형성된 매설공간은 수작업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그 형성되는 매설공간의 깊이를 정확하게 산정하는 것이 어려워 먼저 매설된 중계연결관(40)에 집수통(10)의 유출구(11)를 끼우기가 어렵기 때문에 매설공간의 깊이를 재차 조정한 후 집수통(10)을 안치시켜 유출구(11)와 중계연결관(40) 간의 높이를 맞추는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그런데, 이과 같은 과정은 반복수행되는 경우가 종종 있기에 시공이 복잡하며, 이로 인해 시공시간 또한 많이 소요된다.
더욱이, 집수통(10)의 재질은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유출구(11)와 중계연결관(40)의 높이가 틀린 상태에서 억지로 끼울 경우 사용 중 집수통(10)의 뒤틀어짐과 같은 형상변형이 보다 빨리 진행되기 때문에 유지보수기한 또한 단축되는 추가의 문제점도 파생된다.
또한, 노면에 매설되는 종래의 집수구는 집수통(10)과 덮개안착부(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집수통(10)이 안착된 매설공간을 메우는 과정에서 그 안착된 집수통(10)이 원래 안착위치에서 틀어지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도로경계석(50)과 그레이팅 덮개(20) 간의 상호평행간격(D)이 어긋나는 문제점도 야기되어 외관상 안좋은 폐단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집수통을 노면의 매설공간에 안착한 상태에서 남은 공간을 메우는 도중 안착위치에서 집수통이 좌우로 틀어질 경우에도 도로경계석과 상호평행간격에 맞게 그레이팅 덮개를 회동시킬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 분리조절식 집수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수처리시설과 연결되는 중계연결관의 높이와 노면의 매설공간에 안착되는 집수통에 구비되는 유출구의 높이가 다를 경우에도 그 높이를 갖도록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분리조절식 집수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분리조절식 집수구는 우수를 포함하는 노면수가 유입되는 것으로 원통형상을 갖는 집수통과; 상기 집수통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분리용 돌출대, 분리용 돌출대에 연설되어 그레이팅 덮개가 안착되는 곳으로 상기 집수통의 테두리면에 놓여지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 상에 돌출되는 안착가이드로 이루어진 분리형 덮개안착부와; 상기 집수통의 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수처리시설과 연결된 중계연결관에 연결되어 노면으로부터 유입되는 노면수가 상기 중계연결관을 통해 유동되도록 제공하는 노면수 중계유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면수 중계유동수단은 상기 집수통의 외벽에 고정되는 안내레일과; 상기 안내레일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용 구멍과; 상기 안내레일 사이에 끼워져 슬라이 딩 이동되는 이동판, 상기 이동판의 외측에 고정되는 유출구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집수통을 노면의 매설공간에 안착한 상태에서 남은 공간을 메우는 도중 안착위치에서 집수통이 좌우로 틀어질 경우에도 도로경계석과 상호평행간격에 맞게 그레이팅 덮개를 회동시켜 맞춤으로서 설치 후 외관상 보기 좋은 효과가 있다.
또한, 하수처리시설과 연결되는 중계연결관의 높이와 노면의 매설공간에 안착되는 집수통에 구비되는 유출구의 높이가 다를 시 그 높이를 맞게 조절하여 연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분리조절식 집수구를 나타낸 분리상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분리조절식 집수구를 구성하는 분리형 덮개안착부의 원형회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분리조절식 집수구의 노면수 중계유동수단에 구비된 지지판의 상하이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리조절식 집수구는 크게 집수통(100), 그 집수통(100)에 회동가능하게 안착되는 분리형 덮개안착부(200) 및 집수통(100)의 측 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수처리시설과 연결된 중계연결관에 연결되어 노면으로부터 유입되는 노면수가 그 중계연결관을 통해 유동되도록 제공하는 노면수 중계유동수단으로 구성된다.
먼저, 집수통(10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을 갖으며, 분리형 덮개안착부(200)가 안착 후 사용 시 형상변형 내지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부 테두리 부분에 보강용 테가 일체로 구비되어 제공된다.
그리고 분리형 덮개안착부(200)는 집수통(100)의 개방된 상부에 안착 시 회동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외경이 집수통(100)의 내경 정도의 길이를 갖는 분리용 돌출대(210)의 끝단에 지지판(220)이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지지판(220)의 상부 가장자리 부분에는 그레이팅 덮개(20)가 안착되되 이탈되지 않고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가이드(230)가 돌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노면에 본 발명의 분리조절식 집수구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 노면에 형성된 매설공간에 본 발명의 분리조절식 집수구를 구성하는 집수통(100)을 안착한 상태에서 남은 공간을 메우는 도중 안착위치에서 집수통(100)이 좌우로 틀어질 경우 작업자는 지지판(220)의 모서리 부분을 잡은 상태에서 도로경계석과 상호평행간격에 맞게 회동시킨 후 메움으로서 도로경계석과 그레이팅 덮개(20) 간의 상호평행간격이 엇갈리지 않고 평행을 유지한 상태에서 매설될 수 있게 제공한다.
또한, 노면수 중계유동수단은 하수처리시설과 연결되는 것으로 이전에 매설된 중계연결관의 높이와 노면의 매설공간에 안착되는 집수통(100)에 구비되는 유출구(140)의 높이가 다를 경우 그 높이를 조절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집수통(100)의 외벽에 안내레일(110)을 연결고정한다.
이때, 그 연결고정되는 안내레일(110) 사이에는 노면에서 유입되는 노면수가 유출구(14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로용 구멍(120)이 형성되어진다. 여기서, 유로용 구멍(120)은 그 형상이 수직으로 긴 타원형상을 갖는다. 상기 안내레일(110) 사이에는 외측에 유출구(140)가 연결된 이동판(130)이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유출구(140)와 하수처리시설과 연결된 중계연결관 사이의 상이한 높이를 조절한 후 끼우면 됨으로써 종래의 집수구보다 시공이 간단하고 이로 인해, 시공시간 또한 단축시킬 수 있다.
이처럼, 유출구(140)와 하수처리시설과 연결된 중계연결관 사이의 상이한 높이도 조절하여 맞출 수 있고, 집수통(100)의 형상도 원형형상을 갖기 때문에 매설된 토사의 압력이 집수통(100)에 균등하게 작용함으로써 집수통(100)의 형상변화가 종래보다 더디게 진행시켜 유지보수기한 또한 연장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집수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로에 설치된 종래의 집수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로에 설치된 종래의 집수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분리조절식 집수구를 나타낸 분리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분리조절식 집수구를 구성하는 분리형 덮개안착부의 원형회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분리조절식 집수구의 노면수 중계유동수단에 구비된 지지판의 상하이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00 : 집수통 11,140 : 유출구
20 : 그레이팅 덮개 30 : 덮개안착부
31 : 안착턱 32 : 안착가이드
40 : 중계연결관 50 : 도로경계석
110 : 안내레일 120 : 유로용 구멍
130 : 이동판 200 : 분리형 덮개안착부
210 : 분리용 돌출대 220 : 지지판
230 : 안착가이드 D : 상호평행간격

Claims (2)

  1. 우수를 포함하는 노면수가 유입되는 것으로 원통형상을 갖는 집수통(100)과;
    상기 집수통(100)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분리용 돌출대(210), 분리용 돌출대(210)에 연설되어 그레이팅 덮개(20)가 안착되는 곳으로 상기 집수통(100)의 테두리면에 놓여지는 지지판(220), 상기 지지판(220) 상에 돌출되는 안착가이드(230)로 이루어진 분리형 덮개안착부(200)와;
    상기 집수통(100)의 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수처리시설과 연결된 중계연결관에 연결되어 노면으로부터 유입되는 노면수가 상기 중계연결관을 통해 유동되도록 제공하는 유출구(1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조절식 집수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통(100)의 측면에 구비되는 상기 유출구(140)는 상기 집수통(100)의 측면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집수통(100)의 외벽에 고정되는 안내레일(110)과;
    상기 안내레일(110)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용 구멍(120)과;
    상기 안내레일(110) 사이에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판(130);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판(130)의 외측에 상기 유출구(140)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조절식 집수구.
KR1020070116222A 2007-11-14 2007-11-14 분리조절식 집수구 KR100818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222A KR100818617B1 (ko) 2007-11-14 2007-11-14 분리조절식 집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222A KR100818617B1 (ko) 2007-11-14 2007-11-14 분리조절식 집수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8617B1 true KR100818617B1 (ko) 2008-04-02

Family

ID=39533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6222A KR100818617B1 (ko) 2007-11-14 2007-11-14 분리조절식 집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86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32041A1 (de) * 2019-12-04 2021-06-09 ACO Severin Ahlmann GmbH & Co. KG Aufsatzsystem, strassenablauf, adapterelement und verfahr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32041A1 (de) * 2019-12-04 2021-06-09 ACO Severin Ahlmann GmbH & Co. KG Aufsatzsystem, strassenablauf, adapterelement und verfahr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024B1 (ko) 교량 선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6068051B2 (ja) 仮設トイレシステム
KR101295928B1 (ko) 역류방지 및 배수성 증대를 위한 빗물 배수용 집수정
EP3406813B1 (en) Drain with unidirectional drainage
KR101016159B1 (ko)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1921821B1 (ko) 악취방지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KR101453668B1 (ko)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KR100818617B1 (ko) 분리조절식 집수구
KR20170140833A (ko) 도로 배수구용 빗물 처리장치
KR200493656Y1 (ko) 교량의 선배수장치
KR101296566B1 (ko) 맨홀용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20110054572A (ko) 커버가 장착된 그레이팅 및 이를 구비하는 집수조
KR20110028097A (ko) 승강구조를 가지는 이중맨홀뚜껑
KR101067610B1 (ko) 힌지형 승강구조를 가지는 이중맨홀뚜껑
KR20150091603A (ko) 막힘 방지 도로 배수시설
KR20130139396A (ko) 도로측구 우수받이 뚜껑의 설치구조
KR20110105279A (ko) 맨홀 구조
JP5650995B2 (ja) プラットホームにおける水抜き構造、及びプラットホームにおける水抜き構造の施工方法
KR101631367B1 (ko) 부력을 이용한 우수토실 유량 조절장치
KR100640012B1 (ko) 배수관 내 오니 제거형 맨홀
EP2728078B1 (en) Wall drain with height adjustable inflow opening
KR101681132B1 (ko) 취수탑의 수문 보수용 차단장치를 이용한 수문교체 방법
KR20150088962A (ko) 우수토실의 토사유입방지 및 유량조절장치
KR101293048B1 (ko) 하수의 악취 방지시스템
KR200416048Y1 (ko) 자동개폐수단을 갖는 맨홀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