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024B1 - 교량 선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교량 선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024B1
KR101625024B1 KR1020140028081A KR20140028081A KR101625024B1 KR 101625024 B1 KR101625024 B1 KR 101625024B1 KR 1020140028081 A KR1020140028081 A KR 1020140028081A KR 20140028081 A KR20140028081 A KR 20140028081A KR 101625024 B1 KR101625024 B1 KR 101625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ing
guide
bridge
pipe
c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6069A (ko
Inventor
최두영
Original Assignee
신영기술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기술개발(주) filed Critical 신영기술개발(주)
Priority to KR1020140028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024B1/ko
Publication of KR20150106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교량 방호벽 내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일면에 제1 유입홀들이 형성된 그레이팅 집수구들, 이웃한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들을 연결하며, 일면에 제2 유입홀들이 형성된 그레이팅, 그리고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에 결합된 횡배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와 상기 횡배수관은 상기 교량 방호벽을 벗어나지 않는다.

Description

교량 선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Bridge linear drain apparatu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천, 운하, 저지대, 골짜기 등에는 사람, 차량 등이 통행할 수 있도록 교량이 설치된다. 교량은 상판과, 상판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추락을 방지하는 방호벽과, 그리고 상판을 지지하는 교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판 또는 방호벽에는 빗물, 오수 등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배수장치에는 물의 유입과 배수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집수구가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점배수장치와,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유입구가 형성되며 배출구가 간격을 두고 형성된 선배수장치가 있다.
선배수장치는 상판을 따라 길게 배치된 뒤 방호벽 또는 상판을 보강하는 철근에 고정된다. 이후 선배수장치는 철근 주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일부가 덮힌다.
그러나, 선배수장치를 철근에 고정한 뒤 콘크리트 타설을 바로 진행하지 않고, 그 사이에 전선, 통신선을 배치하는 등 여러 가지 중간공정이 진행된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 전에 상판에는 방호벽 및 상판 시공에 사용되는 여러 장비들이 이동하고 작동한다. 중간공정으로 인해 선배수장치를 철근에 고정한 뒤 교량 바닥 및 방호벽의 타설이 이뤄지기까지 짧게는 1월, 길게는 1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된다.
콘크리트 타설 전에 선배수장치가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중간공정 중에 작업자, 장비 등이 철근에 고정된 선배수장치를 건들게 된다. 이때 선배수장치를 초기에 설정한 수평 및 높이 등이 어긋나고 심지어 선배수장치가 파손되는 일이 잦았다. 이 경우 선배수장치를 다시 설치하거나 수평 등을 점검해야 하므로 공사기간이 늘어나게 되었다. 선배수장치의 수평, 높이, 파손 등을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지면 선배수장치의 수평 및 높이 등을 조절할 수 없으며, 높이 및 수평 등이 어긋하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등록특허 제10-1088163호 (2011.11.23) 실용신안등록 제20-0300027호 (2002.12.23)
본 발명은 작업자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설치성이 향상된 교량 선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선배수장치는 교량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일면에 제1 유입홀들이 형성된 그레이팅 집수구들, 이웃한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들을 연결하며, 일면에 제2 유입홀들이 형성된 그레이팅, 그리고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에 결합된 횡배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와 상기 횡배수관은 상기 교량 방호벽을 벗어나지 않는다
상기 교량 선배수장치는, 상기 횡배수관의 길이를 연장하는 토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량 선배수장치는 상기 교량 외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횡배수관에서 배수되는 물이 유입되는 종배수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는, 일면에 제1 유입홀들이 형성되어 있고 타면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수평과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에 형성된 복수의 브래킷, 상기 브래킷을 관통하는 볼트, 그리고 상기 브래킷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에 결합되어 있는 제1 및 제2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 선배수장치는 그레이팅 집수구 및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에 연결되어 있는 그레이팅을 포함하고,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는, 일면에 제1 유입홀들이 형성되어 있고 타면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브라켓,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는 볼트 및 상기 브라켓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며, 상기 볼트에 체결된 제1 및 제2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레이팅은,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들을 연결하며, 일면 일부분이 길이 방향을 따라 개방되어 있는 몸체, 상기 몸체의 개방된 부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 유입홀들이 형성된 유입판, 상기 몸체의 개방된 부분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입판 일부분이 삽입되는 삽입홀을 가지는 레일, 그리고 상기 레일과 마주하고, 상기 유입판이 상기 몸체 내부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바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과 상기 지지바는 상기 몸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의 내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고,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의 양측에는 상기 그레이팅의 단부를 내부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도홀은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의 상면 일부분이 생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종배수관은, 수직하게 구부러져 있으며,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가이드를 연결하는 연결패널, 상기 제1 가이드 및 상기 제2 가이드에 각각 결합되어 있고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측벽, 그리고 교량 외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를 지지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패널의 폭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의 사이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선배수장치 시공방법은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방호벽의 철근에 그레이팅 집수구들을 소정 간격으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방호벽 주위에 배선공사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의 배출구에 횡배수관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배선공사를 끝낸 후에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들을 그레이팅으로 연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철근 주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교량 선배수장치는 상기 콘크리트 타설 전에 상기 횡배수관에 캡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량 선배수장치는 상기 콘크리트 타설 후 상기 캡을 제거하고, 상기 횡배수관에 토출관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상판 외측에 상기 토출관과 연결된 종배수관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그레이팅 집수구를 철근에 고정한 뒤 중간공정이 진행되고, 중간공정 후에 콘크리트 타설 바로 전에 그레이팅 집수구들 사이에 그레이팅이 설치되므로 중간공정 시 작업자, 장비 등에 의한 선배수장치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그레이팅 집수구의 본체에는 상판을 기준으로 본체의 수평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가 결합되어 있다. 조절부는 본체에 연결된 브래킷, 단부가 브래킷을 관통하여 상판에 접할 수 있는 볼트 및 브래킷을 사이에 두고 볼트에 체결된 제1, 2 너트를 포함한다. 제1, 2 너트가 볼트에 체결되는 위치에 따라 브래킷의 위치가 달라지면서 본체의 수평 및 높이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볼트의 조절만으로 본체의 수평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그 조절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철근에 고정된 그레이팅 집수구의 폭과 횡배수관의 길이 합이 철근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기계 타설시 그레이팅 집수구, 횡배수관은 타설장치와 간섭되지 않아 콘크리트 타설이 용이하며 타설장치가 그레이팅 집수구, 횡배수관 등에 접촉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고장 등을 예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선배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교량 선배수장치가 설치된 교량 일부분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그레이팅 집수구와 그레이팅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IV-IV선을 따라 그레이팅 집수구를 자른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V-V선을 따라 그레이팅을 자른 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종배수관을 나타낸 확대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배수본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 내지 도 13은 교량 선배수장치 시공단계를 나타낸 시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선배수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 선배수장치는, 그레이팅 집수구와 그레이팅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그레이팅 집수구 및 그레이팅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그레이팅 집수구(100) 및 그레이팅(30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레이팅 집수구(100)는 본체(110) 및 조절부(200)를 포함하며, 교량의 방호벽 위치에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본체(110)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내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다. 본체(110)의 양측에는 그레이팅(300)의 결합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홀(113a, 113b)이 형성되어 있고, 유도홀(113a, 113b)은 그레이팅 집수구(100)의 양측 상면 적어도 일부분이 생략되면서 형성된다.
그레이팅 집수구(100)가 방호벽(12)에 배치될 때 본체(110)의 일면은 상판(11) 중앙을 향하며, 타면은 상판(11) 가장자리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본체(110)의 일면에는 상판(11)의 물이 유입되는 제1 유입홀(111)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타면에는 내부로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12)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112)를 연장할 수 있도록 본체(110)의 타면에는 플랜지(130)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플랜지(130)는 생략될 수 있다.
본체(110)에는 상판(11)을 기준으로 본체(110)의 수평, 높이 등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200)가 결합되어 있으며, 조절부(200)는 브래킷(211), 볼트(212), 제1 너트(213), 그리고 제2 너트(214)를 포함한다.
브래킷(211)은 본체(110)의 일면과 타면 하부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211)에는 구멍(211a)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212)의 단부는 구멍(211a)을 관통하며, 제1 너트(213)와 제2 너트(214)는 볼트(212)에 체결된 상태에서 브래킷(211)을 사이에 두고 마주한다. 제1 너트(213)와 제2 너트(214)가 볼트(212)에 체결되는 위치에 따라 브래킷(211)의 위치가 달라진다. 제1 너트(213) 및 제2 볼트(212) 위치 조절로 본체(110)의 높이나 수평 등이 조절된다.
이와 같은 그레이팅 집수구(100)는 주조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유입홀(111)은 별도의 패널이 본체(110)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주조와 동시에 본체(110)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브래킷(211)도 본체(110)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유입홀(111) 및 브래킷(211) 형성에 따른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재료 사용 또한 최소화할 수 있다. 더욱이 제1 유입홀(111)이 형성된 패널이 별도로 제작되어 본체(110)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유입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패널이 손상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유입홀(111)이 본체(110)에 직접적으로 형성되므로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레이팅 집수구(100)는 방호벽(12)의 철근(121)에 밴딩, 리벳, 볼트,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며, 수평 및 높이가 조절된 후 고정될 수 있다.
그레이팅(300)은 몸체(310)와 유입판(320)을 포함하며, 이웃한 그레이팅 집수구(100) 사이에 배치되어 유입된 물을 그레이팅 집수구(100)로 안내한다.
그레이팅(300)은 배수 간격을 따라 배치된 그레이팅 집수구(10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310)의 길이가 본체(1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몸체(310)는 유도홀(113a, 113b)을 통하여 본체(110)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 몸체(310)와 본체(110)는 용접, 볼트, 리벳 등의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몸체(310)와 본체(110) 사이에는 물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실링(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될 수 있다.
몸체(310)의 일측은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 부분에는 유입판(320)이 설치되어 있다.
유입판(320)에는 물이 유입되는 제2 유입홀(321)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개방부(311)의 일측 주변에는 유입판(320)을 고정하는 레일(312)이 형성되어 있고, 레일(312)에는 유입판(320)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홀(312a)이 형성되어 있다.
개방부(311)의 타측 주변에는 유입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유입판(320)이 몸체(310) 내부로 밀리지 않도록 유입판(320)을 지지하는 지지바(313)가 형성되어 있다.
몸체(310) 내부가 쓰레기 등에 의해 막힐 경우 유입판(320)을 몸체(310)에서 분리한 뒤 쓰레기를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300)의 구조를 위와 같이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의 그레이팅(300)은 본 출원 이전에 공지된 많은 구성들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그레이팅 집수구(100)의 시공 순서를 보면, 그레이팅 집수구(100)를 방호벽(12)의 철근(121)에 고정한 후 전선이나 통신선을 배치하는 등의 여러 가지 중간공정이 진행되고, 이후 그레이팅 집수구(100)들 사이에 그레이팅(300)을 설치하며, 그런 다음 콘크리트 타설이 이뤄진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배수장치를 사용하여 시공할 경우, 배수 간격에 따라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그레이팅 집수구(100)만 설치되고 길이가 긴 그레이팅(300)을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여러 가지 중간공정을 수행하는 바, 작업자나 장비의 움직임에 장애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만약, 그레이팅이 설치된 상태에서 여러 가지 중간공정을 수행하게 되면, 중간공정 수행 시 작업자나 장비 등에 의해 그레이팅의 수평이 어긋나거나 파손되어 다시 수평을 맞춰야 하거나 교체 등으로 인해 시공시간 등이 늘어나는 문제가 발생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 선배수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 선배수장치는, 그레이팅 집수구(100), 그레이팅(300), 횡배수관(400), 토출관(500) 및 종배수관(600)을 포함하며, 교량(1)의 상판(11) 또는 방호벽(12)에 설치되어 상판(11)에 흐르는 빗물, 오수 등의 물을 교량(1) 외부로 배수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 선배수장치의 그레이팅 집수구 및 그레이팅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집수구(100) 및 그레이팅(3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그레이팅 집수구 및 그레이팅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 선배수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횡배수관(400)은 플랜지(130)에 결합하여 배출구(112)를 연장한다. 횡배수관(400)의 일부분이 플랜지(130) 내부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플랜지(130)가 생략된 경우 횡배수관(400)은 배출구(112)에 위치하여 본체(110)에 결합된다. 횡배수관(400)은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횡배수관(400)의 길이는 방호벽(12)의 두께에 따라 설정된다.
횡배수관(400)은 그레이팅 집수구(100)의 물을 교량(1) 외부로 배출한다. 물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횡배수관(400)은 기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그레이팅 집수구(100)의 폭(W1)과 횡배수관(400)의 길이(L1)의 합(S)은 철근(121)에 콘크리트(122)가 타설된 방호벽(12)의 두께(T)와 동일하거나 짧을 수 있다(도 2 참조). 이는 철근(121) 주변에 콘크리트(122)를 타설할 때, 특히 기계 타설할 때 그레이팅 집수구(100) 및 횡배수관(400)이 타설장치(도시하지 않음)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횡배수관(400)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랜지(130)가 횡배수관(400) 역할을 할 수 있다.
횡배수관(400)에는 길이를 연장하기 위한 토출관(500)이 결합된다. 횡배수관(400)이 생략된 경우 토출관(500)은 플랜지(130)에 결합될 수 있다. 토출관(500)은 철근(121) 주변에 콘크리트(122)를 타설한 후에 횡배수관(400)에 결합된다. 토출관(500)의 결합으로 그레이팅 집수구(100)와 횡배수관(400)의 내부는 방호벽(12) 외부로 연통된다. 이에 그레이팅 집수구(100)의 물은 횡배수관(400)과 토출관(500)을 통하여 교량(1)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그러나 토출관(500)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물 횡배수관(400)을 통하여 교량(1) 외부로 바로 배수될 수 있다.
종배수관(600)은 배수본체(610) 및 거치대(620)를 포함하며, 교량(1)의 외부에 설치되어 토출관(500)에서 배수되는 물을 하천, 지면 등으로 유도한다(도 6 및 도 7을 참조).
배수본체(610)는 제1 가이드(611a), 제2 가이드(611b), 연결패널(613), 제1 측벽(614), 그리고 제2 측벽(615)을 포함하며, 물의 흐름을 유도한다.
제1 가이드(611a) 및 제2 가이드(611b)는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한다. 제1 가이드(611a) 및 제2 가이드(611b)는 기설정된 폭을 가지는 패널이 그 폭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수직하게 구부러져 있다. 이에 제1 가이드(611a) 및 제2 가이드(611b)는 “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가이드(611a) 및 제2 가이드(611b)의 폭 방향 양측에는 제1 끼움홀(612a) 및 제2 끼움홀(612b)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연결패널(613)은 제1 가이드(611a) 및 제2 가이드(611b) 사이에 위치하며 연결패널(613)의 양측은 제1 가이드(611a) 및 제2 가이드(611b)의 제1 끼움홀(612a)에 결합되어 있다. 연결패널(613)의 폭(W1) 변화에 따라 제1 가이드(611a) 및 제2 가이드(611b)의 사이 간격(G)이 조절된다. 연결패널(613)의 폭(W2)은 교량 주변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 측벽(614) 및 제2 측벽(615)은 기설정된 너비를 가지며, 제1 측벽(614)은 제1 가이드(611a)의 제2 끼움홀(612b)에 결합되어 있고, 제2 측벽(615)은 제2 가이드(611b)의 제2 끼움홀(612b)에 결합되어 있다. 제1 측벽(614)과 제2 측벽(615)은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한다. 제2 측벽(615)은 제2 끼움홀(612b)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 가이드(611b)와 리벳, 볼트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제1 측벽(614) 및 제2 측벽(615)의 결합으로 종배수관(600)에는 물의 흐름을 유도하는 배수로가 형성된다. 연결패널(613)의 폭(W2)에 따라 배수로의 배수 폭이 조절될 수 있다.
제1 끼움홀(612a)과 연결패널(613) 사이, 제2 끼움홀(612b)과 제1 측벽(614) 및 제2 측벽(615) 사이에는 물의 누출을 막는 실링(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
거치대(620)는 거치 브래킷(621) 및 거치앵글(622)을 포함하며, 교량(1) 외측에서 배수본체(610)를 지지한다.
거치 브래킷(621)은 기설정된 너비를 가지며, 상부측이 교량(1)에 앵커볼트(621a)로 고정되어 있다. 거치 브래킷(621) 하부측에는 거치앵글(622)이 수직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배수본체(610)를 지지한다. 배수본체(610)는 거치앵글(622)에 놓인 상태에서 고정 브래킷(630)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고정 브래킷(630)은 제1 측벽(614)과 리벳, 볼트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종배수관(600)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토출관(500) 또는 횡배수관(400)에서 배수는 물은 교량(1) 외부로 바로 배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선배수장치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방호벽 철근에 그레이팅 집수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그레이팅 집수구에 횡배수관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0은 그레이팅 집수구에 그레이팅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철근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2는 횡배수관에 토출관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3은 상판에 종배수관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고하면, 교량의 상판(11) 가장자리에 방호벽(12)(도 2 참조)을 형성하기 위한 철근(121)이 설치된 상태에서, 철근(121)에 배수 간격에 따라 그레이팅 집수구(100)(100a)들을 설치한다. 그레이팅 집수구(100)(100a)는 제1 유입홀(111)이 형성된 일면이 상판(11)의 중앙을 향하도록 하고, 배출구(112)가 형성된 타면이 상판(11)의 가장자리를 향하도록 한다.
조절부(200)의 조절로 상판(11)을 기준으로 그레이팅 집수구(100)의 높이 및 수평 등을 조절한다. 이후 그레이팅 집수구(100)는 철근(121)에 용접, 밴딩, 볼트, 리벳 등으로 고정한다.
도 9를 참고하면, 설치된 그레이팅 집수구(100)(100a)의 플랜지(130)에 횡배수관(400)을 결합한다. 물의 원활한 배수를 위해 횡배수관(400)은 배출구(112)에서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그리고 횡배수관(400)의 단부에는 캡(410)을 결합한다. 그러나 캡(410) 결합은 생략될 수 있다.
그레이팅 집수구(100)(100a)와 횡배수관(400)를 설치할 때 이들이 철근(121)에 주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타설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설치한다.
그레이팅 집수구(100)(100a)의 설치가 완료되면 철근(121) 주변에 통신선, 전기선 등을 배선하고, 상판(11)에 교량(1) 시공에 필요한 장비(도시하지 않음) 등을 이송, 작동하는 중간공정을 진행한다.
도 10을 참고하면, 장비 운반 및 중간공정 등이 완료되면 이웃한 그레이팅 집수구(100)(100a) 사이에 그레이팅(300)을 설치한다. 그레이팅(300)의 양단부를 그레이팅 집수구(100)(100a) 내부로 삽입한다.
그레이팅(300)의 일단을 일측 그레이팅 집수구(100)의 유도홀(113a)을 통하여 그레이팅 집수구(100) 내부로 삽입한다. 이후, 그레이팅(300)을 타측 그레이팅 집수구(100a) 방향으로 이동시켜 그레이팅(300)의 타단을 타측 그레이팅 집수구(100a) 내부로 삽입한다. 유도홀(113a)(113b)에 의하여 그레이팅(300)의 양단은 그레이팅 집수구(100)(100a)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레이팅(300)의 양단부가 그레이팅 집수구(100, 100a) 내부로 삽입되어 유도홀(113a, 113b)은 폐쇄되며, 그레이팅(300)은 그레이팅 집수구(100)(100a)들과 동일선상에 위치한다.
그레이팅(300)과 그레이팅 집수구(100)(100a)는 용접, 볼트, 리벳 등으로 결합되며 그레이팅(300)과 그레이팅 집수구(100)(100a) 사이를 실링 처리한다. 그레이팅(300) 또한 철근(121)에 용접, 밴딩, 리벳, 볼트 등으로 고정한다.
한편, 횡배수관(400) 설치는 그레이팅(300)을 그레이팅 집수구(100)(100a)에 설치한 다음에 할 수 있다. 횡배수관(400)은 그레이팅 집수구(100)(100a) 제작 시 그레이팅 집수구(100)(100a)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기계 타설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철근(121) 주변에 콘크리트(122)를 타설하여 방호벽(12)을 완성한다. 이때 그레이팅 집수구(100)와 횡배수관(400)이 콘크리트 타설 범위 내에 위치하므로 타설장치에 간섭되지 않는다. 그리고 횡배수관(400)에 캡(410)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횡배수관(400) 내부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는다.
도 12를 참고하면,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되면 캡(410)을 제거하고, 횡배수관(400)에 토출관(500)을 결합하여 횡배수관(400)을 방호벽(12) 외부로 연장한다.
도 13을 참고하면, 교량(1) 외측에 배수본체(610)를 지지하기 위한 거치대(620)를 교량(1)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교량(1)의 주변 환경에 맞게 배수본체(610)의 폭을 조절한 뒤 거치대(620)에 배수본체(610)을 배치하여 토출관(500)과 연결되도록 한다. 고정브래킷(630)으로 배수본체(610)를 거치대(620)에 고정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교량 선배수장치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판(11)에 아스콘 공사를 실시한다. 아스콘 공사는 종배수관(600) 설치 전에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교량 11: 상판
12: 방호벽 121: 철근
122: 콘크리트 100: 그레이팅 집수구
110: 본체
111: 제1 유입홀 112: 배출구
113a, 103b: 유도홀 200: 조절부
211: 브래킷 211a: 구멍
212: 볼트 213: 제1 너트
214: 제2 너트 300: 그레이팅
310: 몸체 311: 개방부
312: 레일 312a: 삽입홀
313: 지지바 320: 유입판
321: 제2 유입홀 400: 횡배수관
410: 캡 500: 토출관
600: 종배수관 610: 배수본체
611a: 제1 가이드 611b: 제2 가이드
612a: 제1 끼움홀 612b: 제2 끼움홀
613: 연결패널 614: 제1 측벽
615: 제2 측벽 620: 거치대
621: 거치 브래킷 622: 거치앵글

Claims (12)

  1. 교량의 상판에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고 일면에 상기 상판의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제1 유입홀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면에 배출구가 형성된 그레이팅 집수구들,
    이웃한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들을 연결하며 일면에 상기 상판의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제2 유입홀들이 형성된 그레이팅,
    방호벽 내에서 상기 배출구와 연결된 횡배수관,
    상기 교량 외부에 배치되어 토출관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 상기 횡배수관 및 상기 토출관으로 배수된 상기 물이 유입되는 종배수관
    을 포함하며,
    상기 종배수관은,
    수직하게 구부러져 있으며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가이드의 바닥을 연결하는 연결패널,
    상기 제1 가이드 및 상기 제2 가이드에 각각 수직하게 결합되어 있고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측벽,
    상기 교량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를 지지 고정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에 고정되어 상기 제1 가이드 및 상기 제1 측벽을 고정하는 고정 브래킷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가이드의 바닥에는 상기 연결패널이 끼워지는 제1 끼움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패널의 폭에 따라 상기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어 배수로의 배수 폭이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그레이팅의 양단은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 내부로 삽입되어 있고,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 상기 그레이팅 및 상기 횡배수관은 상기 교량의 방호벽을 벗어나지 않는
    교량 선배수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횡배수관의 길이를 상기 종배수관으로 연장하는 토출관을 더 포함하는 교량 선배수장치.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는,
    내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고 상기 제1 유입홀과 상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수평과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부
    를 포함하는
    교량 선배수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브래킷,
    상기 브래킷을 관통하며 그 끝이 상기 교량의 상판에 접하는 볼트, 그리고
    상기 브래킷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에 결합되어 있는 제1 및 제2 너트
    를 포함하는
    교량 선배수장치.
  6. 삭제
  7. 제4항에서,
    상기 본체의 양측에는 상기 그레이팅의 단부를 내부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도홀은 상기 본체의 상면 일부분이 생략되어 형성된 교량 선배수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그레이팅은,
    양단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 내부로 삽입되고 일면 일부분이 길이 방향을 따라 개방되어 있는 몸체,
    상기 몸체의 개방된 부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 유입홀들이 형성된 유입판,
    상기 몸체의 개방된 부분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입판 일부분이 삽입되는 삽입홀을 가지는 레일, 그리고
    상기 레일과 마주하고, 상기 유입판이 상기 몸체 내부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바
    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과 상기 지지바는 상기 몸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교량 선배수장치.
  9. 삭제
  10. 교량 상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방호벽의 철근에 그레이팅 집수구들을 소정 간격으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방호벽 주위에 배선공사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의 배출구에 횡배수관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배선공사를 끝낸 후에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들을 그레이팅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횡배수관에 캡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철근 주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 타설 후 상기 캡을 제거하고, 상기 횡배수관에 토출관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상판 외측에 상기 토출관과 연결된 종배수관을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종배수관을 설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종배수관은,
    수직하게 구부러져 있으며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가이드의 바닥을 연결하는 연결패널,
    상기 제1 가이드 및 상기 제2 가이드에 각각 수직하게 결합되어 있고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측벽,
    상기 교량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를 지지 고정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에 고정되어 상기 제1 가이드 및 상기 제1 측벽을 고정하는 고정 브래킷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가이드의 바닥에는 상기 연결패널이 끼워지는 제1 끼움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패널의 폭에 따라 상기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어 배수로의 배수 폭이 조절되며,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들을 그레이팅으로 연결하는 단계에서 상기 그레이팅의 양단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그레이팅 집수구, 상기 그레이팅 및 상기 횡배수관은 상기 콘크리트 타설로 형성된 방호벽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교량 선배수장치 시공방법.
  11. 삭제
  12. 삭제
KR1020140028081A 2014-03-11 2014-03-11 교량 선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625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081A KR101625024B1 (ko) 2014-03-11 2014-03-11 교량 선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081A KR101625024B1 (ko) 2014-03-11 2014-03-11 교량 선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069A KR20150106069A (ko) 2015-09-21
KR101625024B1 true KR101625024B1 (ko) 2016-06-07

Family

ID=54245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081A KR101625024B1 (ko) 2014-03-11 2014-03-11 교량 선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02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875B1 (ko) * 2016-09-12 2016-12-02 김원주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
KR101813621B1 (ko) 2017-04-11 2017-12-29 정구선 교면 배수 장치
KR101944980B1 (ko) 2018-05-10 2019-02-01 다산기업 주식회사 선형의 배수유도부재를 이용하여 노면 침투수의 배수 능력을 향상한 선배수 시설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258378B1 (ko) * 2020-09-28 2021-05-31 그린로드(주) 교량 노면 배수장치의 횡배수관 및 그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646B1 (ko) * 2015-11-13 2017-04-03 이장원 교면방수 및 배수유도장치
KR101682406B1 (ko) * 2016-08-12 2016-12-05 신영기술개발(주) 교량 선배수관 시공방법
KR101994832B1 (ko) * 2018-08-31 2019-07-01 이지용 교량 선 배수 장치
KR102017871B1 (ko) * 2018-10-30 2019-09-03 현빈개발 주식회사 캔틸레버 데크를 이용한 교량 선배수 시설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526838B1 (ko) * 2020-08-19 2023-04-28 김정년 교량용 선배수 장치
KR200493656Y1 (ko) * 2020-10-21 2021-05-12 김은정 교량의 선배수장치
KR102346723B1 (ko) * 2021-05-28 2022-01-03 (주)이알코리아 교량의 배수관로 결속시스템
KR102337916B1 (ko) * 2021-06-15 2021-12-09 진효순 교량용 배수시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163B1 (ko) * 2010-05-27 2011-12-02 금창준 선배수를 이용한 교량용 배수 관로와, 그 시공 방법
KR101263000B1 (ko) * 2011-12-05 2013-05-09 신영기술개발(주) 이중관에 조립된 유출관을 갖는 교량의 선배수장치
KR101349720B1 (ko) * 2013-10-10 2014-01-16 현빈개발 주식회사 시공성이 개선된 교량용 선배수관
KR101351895B1 (ko) * 2013-09-11 2014-01-20 김원주 교량의 교면 배수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27Y1 (ko) 2002-09-30 2003-01-06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사각 유공관을 이용한 교량의 상판 배수시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163B1 (ko) * 2010-05-27 2011-12-02 금창준 선배수를 이용한 교량용 배수 관로와, 그 시공 방법
KR101263000B1 (ko) * 2011-12-05 2013-05-09 신영기술개발(주) 이중관에 조립된 유출관을 갖는 교량의 선배수장치
KR101351895B1 (ko) * 2013-09-11 2014-01-20 김원주 교량의 교면 배수시스템
KR101349720B1 (ko) * 2013-10-10 2014-01-16 현빈개발 주식회사 시공성이 개선된 교량용 선배수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875B1 (ko) * 2016-09-12 2016-12-02 김원주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
KR101813621B1 (ko) 2017-04-11 2017-12-29 정구선 교면 배수 장치
KR101944980B1 (ko) 2018-05-10 2019-02-01 다산기업 주식회사 선형의 배수유도부재를 이용하여 노면 침투수의 배수 능력을 향상한 선배수 시설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258378B1 (ko) * 2020-09-28 2021-05-31 그린로드(주) 교량 노면 배수장치의 횡배수관 및 그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069A (ko) 2015-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024B1 (ko) 교량 선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776805B1 (ko) 조립식 교량 배수장치
KR20160093956A (ko) 거푸집의 천공없이 초기가설이 용이한 집수구
JP4484287B2 (ja) 建築物の床
SE0602178L (sv)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positionering och fixering av avloppsränna
RU157316U1 (ru) Линейный водоотводный канал
CN110863471B (zh) 堆石混凝土重力坝的分层取水系统
KR102094526B1 (ko) L형 패널에 적용하는 교량 배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20100045423A (ko) 배관지지가대 설치용 인서트플레이트 위치설정장치
KR101356369B1 (ko) 바닥 테이블 폼 인양 장치
KR102258378B1 (ko) 교량 노면 배수장치의 횡배수관 및 그 시공 방법
CN108952157B (zh) 铝合金模板与爬架共用螺杆洞的施工工法
CN209509149U (zh) 一种可周转自动调节式定型化楼梯间断水高空喷淋系统
KR200405437Y1 (ko) 다중식 루프드레인 및 플로어드레인 장치
KR101682406B1 (ko) 교량 선배수관 시공방법
KR101131637B1 (ko) 곡선교량의 배수로용 집수구
CN109778998B (zh) 一种预制分段式泵站
KR101156980B1 (ko) 미관 개선형 교면 배수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N109138467B (zh) 一种截水构件及其施工方法
KR20160121676A (ko) 교량용 선배수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052339B1 (ko) 조립식 물탱크의 바닥판 배수장치
KR200473612Y1 (ko) 찬넬연결체가 구비된 데크플레이트
CN207685959U (zh) 一种用于超高层施工时的楼层截水排水装置
KR100312849B1 (ko) 터널라이닝타설용거푸집시스템및이를이용한터널라이닝시공방법
KR200450900Y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