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875B1 -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81875B1 KR101681875B1 KR1020160117421A KR20160117421A KR101681875B1 KR 101681875 B1 KR101681875 B1 KR 101681875B1 KR 1020160117421 A KR1020160117421 A KR 1020160117421A KR 20160117421 A KR20160117421 A KR 20160117421A KR 101681875 B1 KR101681875 B1 KR 1016818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ct
- grating
- mounting groove
- bridge
- groove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5 building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69 flow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3—Kerb-and-gutter structures; Kerbs with drainage openings channel or conduits, e.g. with out- or inlets, with integral gutter or with channel formed into the kerb ; Kerbs adapted to house cables or pipes, or to form condu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토목건축물에 설치되고 개방구를 형성하는 덕트, 개방구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입자가 설정치 이상인 이물질의 유입을 막으면서 우수를 상기 덕트 내부로 유입 허용하도록 유입홀을 통공한 그레이팅, 덕트의 내부 하측에 그레이팅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하부설치부, 및 덕트의 상측에 형성되어 덕트의 상측이 변형시에도 그레이팅의 분리와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측이 고정 지지된 채 회동되는 그레이팅의 상측을 거치하는 거치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교량이나 도로의 포장층에 일부 매립되는 덕트가 방호벽 등에 의해 발생하는 상측의 누름 가압 변형시에도 덕트에 그레이팅을 용이하게 설치 및 제거 가능하도록 그레이팅의 상측을 수용하는 거치홈부를 설정치 이상 크게 형성하고, 거치홈부 내측에 탄성가압부를 구비하여 그레이팅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덕트끼리의 이음부위에 보강케이싱을 구비하여 이음부위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면서 덕트를 누르는 외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교량이나 도로의 포장층에 일부 매립되는 덕트가 방호벽 등에 의해 발생하는 상측의 누름 가압 변형시에도 덕트에 그레이팅을 용이하게 설치 및 제거 가능하도록 그레이팅의 상측을 수용하는 거치홈부를 설정치 이상 크게 형성하고, 거치홈부 내측에 탄성가압부를 구비하여 그레이팅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덕트끼리의 이음부위에 보강케이싱을 구비하여 이음부위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면서 덕트를 누르는 외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이나 도로의 포장층에 일부 매립되는 덕트가 방호벽 등에 의해 발생하는 상측의 누름 가압 변형시에도 덕트에 그레이팅을 용이하게 설치 및 제거 가능하도록 그레이팅의 상측을 수용하는 거치홈부를 설정치 이상 크게 형성하고, 거치홈부 내측에 탄성가압부를 구비하여 그레이팅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덕트끼리의 이음부위에 보강케이싱을 구비하여 이음부위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면서 덕트를 누르는 외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천, 운하, 저지대, 골짜기 등에는 사람, 차량 등이 통행할 수 있도록 교량이 설치된다. 교량은 상판과, 상판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추락을 방지하는 방호벽과, 그리고 상판을 지지하는 교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판 또는 방호벽에는 빗물, 오수 등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배수장치에는 물의 유입과 배수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집수구가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점배수장치와,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유입구가 형성되며 배출구가 간격을 두고 형성된 선배수장치가 있다.
선배수장치는 상판을 따라 길게 배치된 뒤 방호벽 또는 상판을 보강하는 철근에 고정된다. 선배수장치는 철근 주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일부가 덮힌다.
아울러, 선배수장치를 철근에 고정한 뒤 콘크리트 타설을 바로 진행하지 않고, 그 사이에 전선, 통신선을 배치하는 등 여러 가지 중간공정이 진행된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 전에 상판에는 방호벽 및 상판 시공에 사용되는 여러 장비들이 이동하고 작동한다.
배수장치에 대해서는 국내등록특허 제10-1088163호(2011.11.23)에 제안되어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교량이나 도로용 배수장치는 슬라브에 덕트를 설치 후 그 위에 방호벽 등을 타설할 경우, 덕트가 누르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면서 덕트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그레이팅이 용이하게 분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기존의 도로용 배수장치는 덕트의 변형으로 인해 그레이팅을 강제 분리 후 재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의 도로용 배수장치는 이웃하게 연속 배치되는 덕트 사이의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덕트 내부의 유로를 막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교량이나 도로의 포장층에 일부 매립되는 덕트의 거치홈부를 설정치 이상 크게 형성하여 그레이팅의 상측을 수용함으로써, 방호벽 등에 의해 발생하는 덕트 상측의 누름 가압 변형시에도 덕트에 그레이팅을 용이하게 설치 및 제거 가능하고자 하는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거치홈부 내측에 탄성가압부를 구비하여 그레이팅의 상측이 거치홈부의 바닥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그레이팅의 흔들림을 방지하고자 하는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덕트끼리의 이음부위에 보강케이싱을 구비하여 이음부위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면서 덕트를 누르는 외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레이팅에 손잡이를 홀 또는 홈 형상으로 형성하여 덕트에 그레이팅 설치 작업에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는: 토목건축물에 설치되고, 개방구를 형성하는 덕트; 상기 개방구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입자가 설정치 이상인 이물질의 유입을 막으면서 우수를 상기 덕트 내부로 유입 허용하도록 유입홀을 통공한 그레이팅; 상기 덕트의 내부 하측에 상기 그레이팅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하부설치부; 및 상기 덕트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덕트의 상측이 변형시에도 상기 그레이팅의 분리와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측이 고정 지지된 채 회동되는 상기 그레이팅의 상측을 거치하는 거치홈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설치부는, 상기 덕트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개방구의 하부 일부를 막아 토목건축물의 포장층과 접하는 전면패널; 및 상기 덕트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전면패널에 접한 상기 그레이팅의 후측을 지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홈부는 바닥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그레이팅은 상기 덕트의 바닥면에 지지된 채 상측이 상기 바닥면부에 면접되어 지지되도록 절곡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거치홈부는, 상기 절곡부가 상기 바닥면부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탄성가압부를 분리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거치홈부는 상기 탄성가압부의 이탈 및 이물질 유입을 막기 위해 플랜지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탄성가압부는, 상기 거치홈부에 수용되는 바; 및 상기 바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하나 이상 연장되게 구비되어, 상기 거치홈부의 내부 상측면에 대해 상기 절곡부를 상기 바닥면부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다른 예로서, 탄성가압부는, 상기 절곡부에 접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거치홈부의 내측면에 접하여 지지되는 서포터; 및 상기 서포터에서 상기 거치홈부의 내부 상측면 방향으로 상향 연장되어, 상기 거치홈부의 내부 상측면에 탄성적으로 접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기 절곡부를 상기 거치홈부의 바닥면부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절곡연장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그레이팅은 손잡이부를 형성하고, 이웃한 상기 덕트의 연결부위는 틈새로 이물질 유입 방지 및 상기 덕트의 변형 방지를 위해 보강케이싱에 의해 둘러싸여지며, 상기 덕트는 설치 위치 설정 및 설치 높이 설정을 위해 하측에 기준리브를 돌출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교량이나 도로의 포장층에 일부 매립되는 덕트의 거치홈부를 설정치 이상 크게 형성하여 그레이팅의 상측을 수용함으로써, 방호벽 등에 의해 발생하는 덕트 상측의 누름 가압 변형시에도 덕트에 그레이팅을 용이하게 설치 및 제거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거치홈부 내측에 탄성가압부를 구비하여 그레이팅의 상측이 거치홈부의 바닥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그레이팅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덕트끼리의 이음부위에 보강케이싱을 구비하여 이음부위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면서 덕트를 누르는 외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레이팅에 손잡이를 홀 또는 홈 형상으로 형성하여 덕트에 그레이팅 설치 작업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삭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100)는 덕트(110), 그레이팅(120), 하부설치부(130) 및 거치홈부(140)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배수장치(100)는 도로나 교량 등의 토목건축물의 가장자리 또는 중앙에 설치되어 우수(雨水) 등을 배수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덕트(110)는 우수 등을 유입하여 배수 안내하도록 축 방향을 따라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토목건축물의 중앙측을 향해 개방된 개방구(112)를 형성한다.
이때, 덕트(110)는 토목건축물의 중앙이나 가장자리에 고정되도록 일부 매립되게 설치된다.
물론, 덕트(11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덕트(110)는 토목건축물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는데, 일부가 배수구(114)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그레이팅(120)은 개방구(112)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입자가 설정치 이상인 이물질의 유입을 막으면서 우수를 덕트(110) 내부로 유입 허용하도록 유입홀(122)을 통공 형성한다. 이때, 유입홀(122)의 크기 및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물론, 그레이팅(12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하부설치부(130)는 덕트(110)의 내부 하측에 그레이팅(120)의 하측을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하부설치부(130)는 전면패널(132) 및 스토퍼(134)를 포함한다.
전면패널(132)은 덕트(110)의 축 방향을 따라, 개방구(112)의 하부 일부를 막아 토목건축물의 포장층(20)과 접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덕트(110)는 토목건축물의 슬라브(10) 상측에 배치되고, 포장층(20)에 일부가 매립되어 고정된다. 아울러, 덕트(110)는 슬라브(10)에 도포되는 초기의 유동성의 포장층(20)이 개방구(11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방구(112)의 하측을 막도록 전면패널(132)을 구비한다.
그리고, 스토퍼(134)는 덕트(110)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전면패널(132)에 접한 그레이팅(120)의 후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그레이팅(120)은 전면패널(132)과 스토퍼(134)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하측이 견고하게 지지된다. 물론, 스토퍼(13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거치홈부(140)는 덕트(110)의 상측에 형성되어, 하측이 전면패널(132)과 스토퍼(134) 사이에 고정 지지된 채 회동되는 그레이팅(120)의 상측을 거치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그레이팅(120)은 하측이 개방구(112) 내부로 삽입 후 전면패널(132)과 스토퍼(134) 사이에 수용된 후, 상측이 회동되며 거치홈부(140) 내측에 수용됨으로써 거치된다.
이에 따라, 거치홈부(140)는 덕트(110)의 개방구(112) 측에 설치를 위해 회동되는 그레이팅(120)의 상측의 이동 궤적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덕트(110)는 토목건축물의 방호벽(30) 등에 의해 상측에서 누르는 힘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그레이팅(120)은 하측이 전면패널(132)과 스토퍼(134) 사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측이 거치홈부(140)의 내부 상측면에 밀착됨으로써 덕트(110)로부터 분리가 어렵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거치홈부(140)는 조립이나 분리를 위해 회동되는 그레이팅(120)의 상측의 궤적을 수용하고, 덕트(110)의 상측이 변형시에도 그레이팅(120)을 덕트(110)로부터 용이하게 제거가 가능하도록 충분히 크게(높게) 형성한다.
따라서, 그레이팅(120)은 덕트(110) 내부의 모래나 이물질 등의 청소시 덕트(110)로부터 분리가 용이하고, 덕트(110)에 재결합이 용이하다.
이때, 거치홈부(140)는 편평한 바닥면부(142)를 형성하고, 그레이팅(120)은 덕트(110)의 바닥면에 지지된 채 바닥면에 면접되어 지지되도록 상측에 절곡부(124)를 형성한다.
절곡부(124)가 바닥면부(142)에 면접됨으로써, 그레이팅(120)은 거치홈부(140)에 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절곡부(124)와 바닥면부(142)가 볼팅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 결속될 수도 있다.
그레이팅(120)의 상측과 거치홈부(140)의 내부 상측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물질이 해당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거치홈부(140)는 상측에서 플랜지(144)를 연장 형성한다. 이때, 플랜지(144)는 그레이팅(120)의 절곡부(124)를 거치홈부(140)에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그레이팅(120)의 절곡부(124)가 거치홈부(140)의 내부 상측면에 접하지 않기 때문에, 그레이팅(120)이 풍압 등 외부 환경에 의해 흔들릴 수도 있고, 덕트(110)로부터 임의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탄성가압부(150)가 거치홈부(140)의 내부 상측면과 절곡부(124) 사이에 설치되어 절곡부(124)를 바닥면부(142) 측으로 탄성 가압함으로써 그레이팅(120)의 상측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플랜지(144)는 탄성가압부(150)가 거치홈부(140)의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예로서, 탄성가압부(150)는 바(bar,152) 및 탄성부재(154)를 포함한다.
바(152)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레이팅(120)의 절곡부(124)를 거치홈부(140)에 수용 후 절곡부(124)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거치홈부(140)에 수용된다. 이때, 바(152)는 덕트(110)의 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도 있고, 단위 길이의 토막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물론, 바(152)의 길이와 형상은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탄성부재(154)는 바(152)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하나 이상 연장되게 구비된다.
편의상, 탄성부재(154)는 바(152)의 상측으로 복수 개 연장되어 거치홈부(140)의 내부 상측면에 탄성적으로 접하는 것으로 한다.
이로 인해, 바(152)는 절곡부(124)를 바닥면부(142) 측으로 탄성 가압하게 됨으로써, 그레이팅(120)은 거치홈부(140)의 바닥면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된다.
여기서, 탄성부재(154)는 코일스프링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한편, 그레이팅(120)은 덕트(110)의 개방구(112) 측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손잡이부(126)를 형성한다. 이때, 손잡이부(126)는 돌출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으나, 차량의 부딪힘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홈 또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손잡이부(126)는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덕트(110)는 토목건축물을 따라 복수 개가 이웃하게 나열되는데, 이웃한 덕트(110)의 연결부위는 틈새가 발생할 수 있다. 이 틈새를 통해, 이물질이 덕트(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덕트(110)는 방호벽(30)의 누르는 힘에 의해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웃한 덕트(110)의 연결부위는 덕트(110)의 둘레면을 감싸는 보강케이싱(160)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보강케이싱(160)이 방호벽(30)과 슬래브 또는 방호벽(30)과 포장층(20)에 매립되고, 덕트(110)가 보강케이싱(160) 내부에 수용됨에 따라, 덕트(110)는 최대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이물질의 유입을 막게 된다.
그리고, 덕트(110)는 설치 위치 설정 및 설치 높이 설정을 위해 하측에 기준리브(116)를 돌출 형성한다.
즉, 슬라브(10)가 도포된 후 굳어지는 과정 중에 높이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슬라브(10)에 놓여지는 덕트(11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그래서, 포장층(20)의 일부가 덕트(110)의 개방구(112)로 유입될 수 있다.
그래서, 슬라브(10)의 건조 중 수축되는 높이만큼, 덕트(110)의 기준리브(116)가 보상하게 된다.
아울러, 기준리브(116)는 덕트(110)의 설치 위치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정할 수 있다.
물론, 기준리브(11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B' 확대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100)는 덕트(110), 그레이팅(120), 하부설치부(130) 및 거치홈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덕트(110), 그레이팅(120), 하부설치부(130) 및 거치홈부(14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탄성가압부(150)가 거치홈부(140)의 내부 상측면과 절곡부(124) 사이에 설치되어 절곡부(124)를 바닥면부(142) 측으로 탄성 가압함으로써 그레이팅(120)의 상측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예로서, 탄성가압부(150)는 베이스부재(155), 서포터(157) 및 탄성절곡연장부재(159)를 포함한다.
베이스부재(155)는 절곡부(124)에 면접되도록 형성되어 절곡부(124)를 거치홈부(140)의 바닥면부(142) 방향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서포터(157)는 베이스부재(155)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거치홈부(140)의 내측면에 접하여 지지된다.
아울러, 탄성절곡연장부재(159)는 서포터(157)에서 거치홈부(140)의 내부 상측면 방향으로 상향 연장되어, 거치홈부(140)의 내부 상측면에 탄성적으로 접하게 된다.
그래서, 베이스부재(155)가 절곡부(124)를 거치홈부(140)의 바닥면부(142) 방향으로 탄성 가압한다.
특히, 탄성가압부(150)는 덕트(110)의 축 방향에 대응되는 길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탄성가압부(150)는 설치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배수장치 110: 덕트
112: 개방구 116: 기준리브
120: 그레이팅 122: 유입홀
124: 절곡부 126: 손잡이부
130: 하부설치부 132: 전면패널
134: 스토퍼 140: 거치홈부
142: 바닥면부 144: 플랜지
150: 탄성가압부 152: 바(bar)
154: 탄성부재 155: 베이스부재
157: 서포터 159: 탄성절곡연장부재
160: 보강케이싱
112: 개방구 116: 기준리브
120: 그레이팅 122: 유입홀
124: 절곡부 126: 손잡이부
130: 하부설치부 132: 전면패널
134: 스토퍼 140: 거치홈부
142: 바닥면부 144: 플랜지
150: 탄성가압부 152: 바(bar)
154: 탄성부재 155: 베이스부재
157: 서포터 159: 탄성절곡연장부재
160: 보강케이싱
Claims (7)
- 토목건축물에 설치되고, 개방구를 형성하는 덕트; 상기 개방구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입자가 설정치 이상인 이물질의 유입을 막으면서 우수를 상기 덕트 내부로 유입 허용하도록 유입홀을 통공한 그레이팅; 상기 덕트의 내부 하측에 상기 그레이팅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하부설치부; 및 상기 덕트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덕트의 상측이 변형시에도 상기 그레이팅의 분리와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측이 고정 지지된 채 회동되는 상기 그레이팅의 상측을 거치하는 거치홈부를 포함하여,
상기 그레이팅은 상기 덕트의 내부 청소시 상기 덕트로부터 분리와 재결합이 용이하고,
상기 거치홈부는 바닥면부를 형성하며, 상기 그레이팅은 상기 덕트의 바닥면에 지지된 채 상측이 상기 바닥면부에 면접되어 지지되도록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거치홈부는, 상기 절곡부가 상기 바닥면부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탄성가압부를 분리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설치부는,
상기 덕트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개방구의 하부 일부를 막아 토목건축물의 포장층과 접하는 전면패널; 및
상기 덕트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전면패널에 접한 상기 그레이팅의 후측을 지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홈부는 상기 탄성가압부의 이탈 및 이물질 유입을 막기 위해 플랜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부는,
상기 거치홈부에 수용되는 바; 및
상기 바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하나 이상 연장되게 구비되어, 상기 거치홈부의 내부 상측면에 대해 상기 절곡부를 상기 바닥면부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부는,
상기 절곡부에 접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거치홈부의 내측면에 접하여 지지되는 서포터; 및
상기 서포터에서 상기 거치홈부의 내부 상측면 방향으로 상향 연장되어, 상기 거치홈부의 내부 상측면에 탄성적으로 접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기 절곡부를 상기 거치홈부의 바닥면부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절곡연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은 손잡이부를 형성하고,
이웃한 상기 덕트의 연결부위는 틈새로 이물질 유입 방지 및 상기 덕트의 변형 방지를 위해 보강케이싱에 의해 둘러싸여지며,
상기 덕트는 설치 위치 설정 및 설치 높이 설정을 위해 하측에 기준리브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7421A KR101681875B1 (ko) | 2016-09-12 | 2016-09-12 |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7421A KR101681875B1 (ko) | 2016-09-12 | 2016-09-12 |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81875B1 true KR101681875B1 (ko) | 2016-12-02 |
Family
ID=57571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17421A KR101681875B1 (ko) | 2016-09-12 | 2016-09-12 |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81875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3656Y1 (ko) * | 2020-10-21 | 2021-05-12 | 김은정 | 교량의 선배수장치 |
CN113584992A (zh) * | 2021-08-24 | 2021-11-02 | 白龙防 | 一种具有联动清理排水结构的城市道路用路缘石 |
KR102337916B1 (ko) * | 2021-06-15 | 2021-12-09 | 진효순 | 교량용 배수시설 |
KR102346723B1 (ko) | 2021-05-28 | 2022-01-03 | (주)이알코리아 | 교량의 배수관로 결속시스템 |
KR20220040619A (ko) | 2020-09-24 | 2022-03-31 | 삼우엠텍(주) | 교량 선배수 시스템 |
KR102612621B1 (ko) * | 2023-05-22 | 2023-12-11 | 하정훈 | 내부 청소가 용이한 교량용 배수관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82022A (ko) * | 2004-02-17 | 2005-08-22 | (주)다산컨설턴트 | 친환경적인 도로 옹벽 설치 구조 |
KR101625024B1 (ko) * | 2014-03-11 | 2016-06-07 | 신영기술개발(주) | 교량 선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
-
2016
- 2016-09-12 KR KR1020160117421A patent/KR10168187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82022A (ko) * | 2004-02-17 | 2005-08-22 | (주)다산컨설턴트 | 친환경적인 도로 옹벽 설치 구조 |
KR101625024B1 (ko) * | 2014-03-11 | 2016-06-07 | 신영기술개발(주) | 교량 선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40619A (ko) | 2020-09-24 | 2022-03-31 | 삼우엠텍(주) | 교량 선배수 시스템 |
KR200493656Y1 (ko) * | 2020-10-21 | 2021-05-12 | 김은정 | 교량의 선배수장치 |
KR102346723B1 (ko) | 2021-05-28 | 2022-01-03 | (주)이알코리아 | 교량의 배수관로 결속시스템 |
KR102337916B1 (ko) * | 2021-06-15 | 2021-12-09 | 진효순 | 교량용 배수시설 |
CN113584992A (zh) * | 2021-08-24 | 2021-11-02 | 白龙防 | 一种具有联动清理排水结构的城市道路用路缘石 |
CN113584992B (zh) * | 2021-08-24 | 2022-09-30 | 中交(临沂)建筑科技有限公司 | 一种具有联动清理排水结构的城市道路用路缘石 |
KR102612621B1 (ko) * | 2023-05-22 | 2023-12-11 | 하정훈 | 내부 청소가 용이한 교량용 배수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81875B1 (ko) |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 | |
KR101533984B1 (ko) | 방수 및 이물질 유입 방지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시공공법 | |
KR101784721B1 (ko) | 배수시트 교체가 용이한 도로교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535669B1 (ko) | 누수방지형 gfrp 교량 집수구 및 이 시공 보수 방법 | |
KR101337024B1 (ko) |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 겸용 배수장치 | |
KR101052141B1 (ko) |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거푸집을 이용한 신축이음부 물받이 시공방법 | |
KR20180036815A (ko) | 유지관리가 용이한 누수방지겸용 교량신축 이음장치의 시공방법 | |
KR101027016B1 (ko) | 그레이팅 지지용 받침판 시공방법 | |
KR102261661B1 (ko) | 폴리우레아 유도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부 유도배수 시공 방법 | |
JP5973369B2 (ja) | 水切り部材及び水切り構造の施工方法 | |
KR20190066209A (ko) | 맨홀 인버트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 인버트 시공방법 | |
KR200454926Y1 (ko) | 슬리브 커버 | |
JP2006118131A (ja) | 排水機能を有する歩車道境界ブロックと、これを用いた舗装道路の排水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 |
KR101156980B1 (ko) | 미관 개선형 교면 배수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 |
KR101124498B1 (ko) | 오폐수 배수관용 슬리브 | |
KR102572873B1 (ko) | 강재 드레인플레이트를 구비한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 |
KR102518705B1 (ko) | 협소 공간용 배수로 보강시설물 및 이를 이용하는 배수로 보강공법 | |
KR200415413Y1 (ko) | 세면대의 벽면 매설용 배수배관 | |
JP2003003421A (ja) | 橋梁の横引排水装置及びカバー装置 | |
KR100476843B1 (ko) |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처리 장치 | |
JP4416683B2 (ja) | 鉄筋コンクリート製橋脚の上端面に溝を形成するためのチャンネル材及びこのチャンネル材を用いた溝形成方法 | |
KR200372042Y1 (ko) | 배수트렌치 구조 | |
KR20060029830A (ko) | 배수트렌치 시공방법 및 그 구조 | |
KR200264152Y1 (ko) |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처리 장치 | |
KR102251088B1 (ko)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설치 구조 및 그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