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152Y1 -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152Y1
KR200264152Y1 KR2020010034130U KR20010034130U KR200264152Y1 KR 200264152 Y1 KR200264152 Y1 KR 200264152Y1 KR 2020010034130 U KR2020010034130 U KR 2020010034130U KR 20010034130 U KR20010034130 U KR 20010034130U KR 200264152 Y1 KR200264152 Y1 KR 2002641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pipe
drain pipe
concrete
concret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1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득환
Original Assignee
(주)신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신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100341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1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1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152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처리 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배수홀 형성을 위해 설치되는 배수 파이프; 상기 배수 파이프의 물의 유입구측에 설치되며, 물의 배수를 위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원판부와, 그 원판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파이프 삽입부로 구성된 내부 캡; 및 상기 배수 파이프의 물의 유출구측에 설치되며, 거푸집의 내면과 접촉, 고정되는 원판부와, 그 원판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파이프 삽입부로 구성된 외부 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 있어서 거푸집 및 배수 파이프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함에 있어서, 배수 파이프의 양단에 캡구조체를 설치함으로써 배수 파이프 내부로 콘크리트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시공완료 후에도 토사가 배수 파이프 내부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해 줌으로써 배수 기능을 확실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처리 장치{Draining apparatus of concrete structures}
본 고안은 콘크리트 옹벽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 있어서 거푸집 및 배수 파이프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함에 있어서, 배수 파이프의 양단에 캡구조체를 설치함으로써 배수 파이프 내부로 콘크리트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시공완료 후에도 토사가 배수 파이프 내부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해 줌으로써 배수 기능을 확실하게 해 줄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공사나 도로 신설 및 확장 공사를 시행함에 있어서, 교량 박스, 옹벽 등이 시공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그와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는 통상적으로 배수홀(weep hole)이 마련되며, 이를 위해 배수 파이프가 설치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배수 파이프를 설치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 파이프(101) 내부에 종이, 나무 등(102)을 삽입하고, 배수 파이프 (101)를 고정못(103)과 결속선(104)에 의해 거푸집(105) 및 철근(106)에 각각 고정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였다. 따라서,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105)의 유동으로 거푸집(105)과 배수 파이프(101)의 양단부 간의 밀착상태가 느슨해져 배수 파이프(101) 내부로 콘크리트가 흘러 들어가게 되며, 그에 따라 배수 파이프(101) 내부가 콘크리트로 채워짐으로써 배수홀 형성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리고, 그와같이 배수 파이프(101) 내부에 채워진 콘크리트를 콘크리트 타설후 드릴이나 정, 기타 장비로 파쇄하여 제거하지만 작업에 어려움이 있고, 그에 따른 공사비가 추가로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그와 같은 방식에 의한 배수 파이프의 설치방식은 시공후 배수 파이프 내부에 토사 등이 유입되어 배수홀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배수홀 형성을 위해 배수 파이프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할 시 배수 파이프 내부로 콘크리트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시공완료 후에도 토사가 배수 파이프 내부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해 줌으로써 배수 기능을 확실하게 해 줄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처리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배수 처리시설의 설치 개요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처리 장치의 내부 캡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처리 장치의 외부 캡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도 4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처리 장치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홀 형성을 위해 채용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배수 파이프 103...고정못
104...결속선 105,105'...거푸집
106...철근 200...내부 캡
201,301...원판부 202,302...파이프 삽입부
203...관통공 300...외부 캡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처리 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배수홀 형성을 위해 설치되는 배수 파이프;
상기 배수 파이프의 물의 유입구측에 설치되며, 물의 배수를 위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원판부와, 그 원판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파이프 삽입부로 구성된 내부 캡; 및
상기 배수 파이프의 물의 유출구측에 설치되며, 거푸집의 내면과 접촉, 고정되는 원판부와, 그 원판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파이프 삽입부로 구성된 외부 캡을 포함하여 구성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처리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는 내부 캡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외부 캡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6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홀 형성을 위해 채용된 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처리 장치는 배수 파이프(101), 내부 캡(200) 및 외부 캡(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수 파이프(101)는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배수홀 형성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기존의 일반적인 합성수지 파이프이면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금속제 파이프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내부 캡(200)은 배수 파이프(101)의 물의 유입구측에 설치되며, 물의 배수를 위한 다수의 관통공(203)이 형성되어 있는 원판부(201)와, 그 원판부(201)와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파이프 삽입부(20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내부 캡 (200)은 일반적인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는데, 상기 파이프 삽입부(202)가 배수 파이프(101)에 삽입된 상태에서 배수 파이프(101)를 약간 경사지게 설치함에 따른 파이프 삽입부(202)의 어느 정도의 휨성이 요구되므로, 바람직하게는 연질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외부 캡(300)은 배수 파이프(101)의 물의 유출구측에 설치되며, 거푸집(105)의 내면과 접촉, 고정되는 원판부(301)와, 그 원판부(301)와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파이프 삽입부(302)로 구성된다. 이 외부 캡(300)도 바람직하게는 연질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배수처리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을 위해 거푸집(105)을 설치할 시 함께 설치되는데, 배수 파이프(101)는 일정 각도 경사지게 그 몸체가 결속선(104)에 의해 철근(106)에 고정되고, 그 양단에는 상기 내부 캡(200) 및 외부 캡(300)이 각각 설치된다.
내부 캡(200)은 파이프 삽입부(202)가 배수 파이프(101)의 관 내부로 삽입(내삽)됨으로써 배수 파이프(101)의 일측 입구(물의 유입구)를 막게 되고, 그와 같은 상태에서 원판부(201)와 거푸집(105) 사이에 양면 테이프를 개재시켜 원판부 (201)를 일측 거푸집(105)의 내벽면에 부착, 고정시키게 된다.
외부 캡(300)은 파이프 삽입부(302)가 배수 파이프(101)의 관 외부로 삽입(외삽)됨으로써 배수 파이프(101)의 타측 입구(물의 유출구)를 막게 되고, 그와 같은 상태에서 원판부(301)를 고정못(103)에 의해 타측 거푸집(105')의 내벽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렇게 설치된 내부 캡(200) 및 외부 캡(300)은 콘크리트 타설시에는 콘크리트가 배수 파이프(101) 내부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후에는 내부 캡(200)은 그대로 놓아 두고, 외부 캡(300)만을 제거함으로써 배수 파이프(101)가 배수홀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공완료 후, 토사가 배수 파이프(101)의 물의 유입구측으로 함께 유입될 경우, 내부 캡(200)에의해 토사의 유입이 차단되고, 내부 캡(200)의 관통공(203)을 통해 물만 통과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배수 파이프(101)는 토사 등에 의해 막히는 일이 없이 배수 기능을 확실하게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처리 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 있어서 거푸집 및 배수 파이프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함에 있어서, 배수 파이프의 양단에 캡구조체를 설치함으로써 배수 파이프 내부로 콘크리트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시공완료 후에도 토사가 배수 파이프 내부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해 줌으로써 배수 기능을 확실하게 유지시켜 줄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장치 메커니즘으로 인해 시공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구조물의 하자 발생 요인을 제거하여 추가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배수홀 형성을 위해 설치되는 배수 파이프;
    상기 배수 파이프의 물의 유입구측에 설치되며, 물의 배수를 위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원판부와, 그 원판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파이프 삽입부로 구성된 내부 캡; 및
    상기 배수 파이프의 물의 유출구측에 설치되며, 거푸집의 내면과 접촉, 고정되는 원판부와, 그 원판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파이프 삽입부로 구성된 외부 캡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처리 장치.
KR2020010034130U 2001-11-07 2001-11-07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처리 장치 KR2002641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130U KR200264152Y1 (ko) 2001-11-07 2001-11-07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130U KR200264152Y1 (ko) 2001-11-07 2001-11-07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처리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0697A Division KR100476843B1 (ko) 2003-01-07 2003-01-07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152Y1 true KR200264152Y1 (ko) 2002-02-19

Family

ID=73070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130U KR200264152Y1 (ko) 2001-11-07 2001-11-07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1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552A (ko) * 2018-08-09 2018-08-29 유지씨 주식회사 흙과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항만, 하천, 댐, 콘크리트 건물 공사용 다중벽체 시공방법 및 그 다중벽체를 이용한 건물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552A (ko) * 2018-08-09 2018-08-29 유지씨 주식회사 흙과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항만, 하천, 댐, 콘크리트 건물 공사용 다중벽체 시공방법 및 그 다중벽체를 이용한 건물 구조
KR101975297B1 (ko) * 2018-08-09 2019-05-07 유지씨 주식회사 흙과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항만, 하천, 댐, 콘크리트 건물 공사에 사용되는 다중벽체 시공용 지지파일 및 그 지지파일을 이용한 다중벽체 시공방법
WO2020032453A1 (ko) * 2018-08-09 2020-02-13 유지씨 주식회사 흙과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항만, 하천, 댐, 콘크리트 건물 공사에 사용되는 다중벽체 시공용 지지파일 및 그 지지파일을 이용한 다중벽체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875B1 (ko)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
KR102017871B1 (ko) 캔틸레버 데크를 이용한 교량 선배수 시설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47684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처리 장치
KR200264152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처리 장치
KR100776413B1 (ko) 교량용 배수장치
JP4685739B2 (ja) コンクリート製の排水用側溝
KR20000058758A (ko) 교량의 배수처리 시공방법
JP3599326B2 (ja) 自在連結側溝
KR100704962B1 (ko) 맨홀 보수 방법 및 맨홀 구조
JP4263918B2 (ja) 管体の開口端面を閉塞する仮止め閉塞具
KR100682789B1 (ko) 교량의 노면침투수 배수처리장치
KR100373922B1 (ko) 유속을 감속하기 위한 배수로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그구조물
KR200300844Y1 (ko)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커버
JP4489644B2 (ja) 側溝蓋用埋設型枠、及び側溝の蓋体の形成方法
CN219196015U (zh) 一种深基坑底板后浇带的防渗漏处理装置
KR101776656B1 (ko) 상징수 집수 수로 구조물, 상징수 집수 장치, 수조 및 상징수 집수 장치의 시공 방법
JPH1150517A (ja) 排水性舗装用暗渠側溝
KR200268898Y1 (ko) 도로의 배수용 브이형 측구 구조
KR100451145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옹벽용 배수 슬리브
JP3605537B2 (ja) 排水性舗装路面の排水構造
KR100577851B1 (ko) 부력으로 인한 이탈방지용 도로 배수관로 보호장치
JPS6227537Y2 (ko)
JPH07204673A (ja) 浄化槽施工法及び沈澱槽の構造
KR200205806Y1 (ko) 유속을 감속하기 위한 배수로 구조물
KR200239488Y1 (ko)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