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32453A1 - 흙과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항만, 하천, 댐, 콘크리트 건물 공사에 사용되는 다중벽체 시공용 지지파일 및 그 지지파일을 이용한 다중벽체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흙과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항만, 하천, 댐, 콘크리트 건물 공사에 사용되는 다중벽체 시공용 지지파일 및 그 지지파일을 이용한 다중벽체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32453A1
WO2020032453A1 PCT/KR2019/009376 KR2019009376W WO2020032453A1 WO 2020032453 A1 WO2020032453 A1 WO 2020032453A1 KR 2019009376 W KR2019009376 W KR 2019009376W WO 2020032453 A1 WO2020032453 A1 WO 202003245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nner plate
plate
construction
support pile
supporting pi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937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성원
Original Assignee
유지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지씨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003245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3245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9/00Keeping dry foundation sites or other areas in the ground
    • E02D19/06Restraining of underground water
    • E02D19/12Restraining of underground water by damming or interrupting the passage of underground water
    • E02D19/16Restraining of underground water by damming or interrupting the passage of underground water by placing or applying sealing substa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02D2450/105Membranes impermeable
    • E02D2450/106Membranes impermeable for liqui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wall construction support pile used for harbor, river, dam, concrete building construction that can prevent the inflow of soil and water, and a multi-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upport pile.
  • Multi-wall construction support for the construction of harbors, rivers, dams, and concrete buildings which can prevent the inflow of soil and water, which can guarantee the function of the mud ball or the mud ball for the construction of dams and concrete buildings. It relates to a multi-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a pile and its supporting pile.
  • the earth wall method which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the construction work in urban areas, is adjacent to the ground by preventing the collapse of the ground and lowering the groundwater level due to the excavation. Ground displacement and settlement of adjacent buildings can be minimized.
  • the water barrier construction is installed around the construction area to prevent intrusion of external water.
  • the pile method, the caisson method, and the method of burying the sandstone and soil are built.
  • the sheet pile method is a method to prevent intrusion of external water by continuously installing sheet piles made of a plate shape on the sea floor, and is suitable for small water barriers such as river tributaries, and is difficult to apply to large-scale water barrier construction such as the ocean.
  • the caisson method is a method of making the foundation by sinking the caisson while making caisson, which is the foundation of the structure on the ground, and excavating the earth and sand of the seabed.
  • the caisson's heavy weight entails great difficulty in transporting and installing i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o the ground where the deep and soft layers are thickly distributed.
  • Both the soil film and the water film have a common feature in that the construction of concrete walls with a considerable height is required.
  • reinforcing bars must be constructed from the floor. This is a necessary task.
  •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above problems, 10M as well as more than 30M earth wall construction of earth wall, as well as the construction of the multi-wall that can be used as a water barrier for the water barrier is easy to install with low economic cost and time, of course, after construction Multi-wall construction is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harbors, rivers, dams, and concrete buildings to prevent the inflow of soil and water, which can conserve resources and conserve soil environment by allowing the extraction of metal support piles used in the construction process.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pport pile and a multi-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upport pil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struction of concrete buildings, such as officetels, hospitals, apartments can be ensured the waterproof function of the building by constructing a multi-wall around the building and at the same time the function of the primary shield against external shocks It's about making it work.
  • the multi-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upport pile for multi-wall construction used in harbor, river, dam, concrete building construction that can prevent the inflow of soil and w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by using a perforator
  • the inner plate insertion groove 20 for inserting the inner plate 11 of the support pile 10 is dri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roughout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inner plate insertion groove drilling step for drilling in a form facing each other (S100).
  • the perforated plate 30 for inserting the outer plate 12 of the support pile 10 is inserted into the construction sit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using a perforator, the inner plate inserting groove 20 and constant Perforation work of the outer plate insertion groove punching step (S200), the inner plate inserting groove 20, and the outer plate inserting groove 30 for perforating around the outer direction at intervals are completed.
  • the outer plate 12 of the support pile 10 on the other side is the outer plate insertion groove ( Formed to be positioned in 30) and then fixed to the support pile to form the formwork (40) and the formwork forming step (S300), and the watertightness can be guaranteed inside the formwork 40 formed by the support pile (10).
  • Filler filling step (S600) of filling any one of the filling agent (60) and the filling of the filling agent 60, and curing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filling of the filling agent 60, the curing of the completion of the multi-wall (80) Carry out the support file withdrawal step (S700) for withdrawing the support file 10 fixed to the side by using the propeller, and the peripheral cleanup step (S800) to clean up the surroundings for the subsequent process after withdrawing the support file 10 As a result, the construction of the multiwall is completed.
  • the support pile 10 is the outer plate 12 is inserted into the outer plate insertion groove 30 and the inner plate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ner plate insertion groove 20 to participate in the formation of the substantial form 40 ( 11) and a support plate 13 to be fixed in surface contact with the inner plate to form a joint end 14,
  • the connecting plate 15 connecting the outer plate 12 and the support plate 13 is fixed integrally, while a fixing groove for fixing the waterproof sheet 50 to the surface of the inner plate 11. 16)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is formed.
  • the inner plate 11 of the support pile may be inserted and fixed in a form that spans two inner plate inserting grooves 20, wherein the outer plate inserting groove 30 is the inner plate inserting groove 20 It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t the boundary position of the.
  • any one selected from the inner plate 11 and the waterproof sheet 50 of the support pile 10 or the selected one of the entire surfa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proofing liquid 100 can be applied to ensure watertightness. do.
  • the filler 60 is characterized in that a predetermined proportion (wt%) of the curing agent can be mixed and filled at the same time.
  • the building structure using the multi-wall for harbor, rivers, dams, concrete building construction that can prevent the inflow of soil and water is disposed at least one side of the multi-wall 80 at a certain distance to the outside of the concrete building (110) It is characterized by.
  • the multi-wall construction support file and the multi-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upport pile for the harbor, river, dam, concrete building construction that can prevent the inflow of soil and w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are 10M to 30M
  • the above-mentioned mud wall is easy to install not only the earth wall construction but also the multi-wall that can be used as the water barrier wall with low economic cost and time input, and after the construction, the metal support pile used in the construction process can be withdrawn.
  • the construction of concrete buildings such as officetels, hospitals, and apartments ensures the waterproofing of the building when multi-walls are built around the building. External shock also has the effect of performing the function of the primary shield.
  • FIG. 1 is a plan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pile used in Figure 1
  •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 Figure 4 is a use state showing the process of putting the waterproof sheet in the formwork inside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rmwork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ree-dimensional reinforcing bar structur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hree-dimensional reinforcement structure of Figure 6 is injected into the formwork of Figure 5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walled construction completed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wall of another embodiment constructed by FIG.
  • FIG. 12 is an exemplary use state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ulti-walled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around a concrete building
  • FIG. 1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struction process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ulti-wall construction support pile used for harbor, river, dam, concrete building construction that can prevent the inflow of soil and water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multiple using the support pile When explaining the wall construction method is as follows.
  • the multi-wall construction method for harbors, rivers, dams, concrete buildings construction that can prevent the inflow of soil and w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ile 10 using a well-known perforator (not shown) as shown in FIG. While the inner plate 11 of the inner plate insertion groove 20 is inserted into a hol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roughout the construction site, to form a hole facing each other (S100).
  • the perforations are to be perforated around the multi-wall 80 is formed, the outer plate of the support pile 10 using a well-known perforator around the outer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plate insertion groove 20
  • the perforated plate insertion groove 30 into which the 12 is inserted is drilled at regular intervals throughout the construction site (S200).
  • the inner plate 11 of the support pile is inserted into the inner plate using a known anti-taking machine (not shown).
  • a known anti-taking machine (not shown).
  • the outer plate 12 of the support pile 10 on the other side is placed so as to be located in the outer plate insertion groove 30 and then fixed the support pile formwork 40 To form (S300).
  • the same method as described above is also confirmed in FIG. 3, as the soil of the inner plate insertion groove 20 and the outer plate insertion groove 30 collapses while the connection plate 15 of the support pile is buried in the ground.
  • the support pile 10 may be more firmly fixed.
  • the inner plate 11 of the support pile may be inserted and fixed in a form that spans two inner plate inserting grooves 20, and the outer plate inserting groove 30 is It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t the boundary position of the inner plate insertion groove 20.
  • the support pile can be provided with a formwork that is finished on four sides by fixing the support pile 10 to the landfill at both ends.
  • the fixing groove 16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pport pile can be used to more easily complete the waterproof sheet input operation, and after the waterproof sheet 50 is inserted in FIG. 7. As described above, it is fixed by inserting the three-dimensional reinforcement structure 70 of the same to or similar to the standard of the formwork 40 (S500).
  • the three-dimensional reinforcement structure 70 is to ensure the rigidity and cohesion of any one of the filler 60 selected from the concrete or grout that is poured into the mold bar, manufactured from the outside of the formwork to the inside of the formwork Because of the input method, the time and cost of manufacturing can be reduced.
  • the general reinforcement structure is to pre-work the reinforcement structure before the formwork, and then form the structure that surrounds the reinforcement structure, the reinforcement structure installation work at the job site is narrow and the depth is at least 10M This difficulty is inevitable, and this delay in work is to rise to the city park, bar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id to be improved by recognizing this problem.
  • the input of the three-dimensional reinforcement structure 70 may utilize a known crane (not shown), etc., as shown in Figure 8 after the fixed input of the three-dimensional reinforcement structure 70 any one selected from concrete or grout Filling the filler 60 is filled (S600).
  • the filler 60 may be filled and mixed with a predetermined ratio (weight%) of the curing agent at the same time, and after the filling of the filler 60 is cured for a predetermined time.
  • the support pile 10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ulti-wall 80 is pulled out using a propellant (not shown) (S700) Since the support pile 10 does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filler, it is much easier than the general 'H-beam' withdrawal process. It can be prevented.
  • the multi-wall 80 is constructed by the construction process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actively for the use of water, as well as water film, and as shown in Figure 12 multi-wall wall at a certain distance to the outside of the concrete building 110, By placing 80 on at least one surfac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the primary shield in the case of internal leakage and external pressure of the concrete building.
  • the support pile 10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outer plate 12 and the inner plate insertion groove 20 to form a substantial formwork 40.
  • the inner plate 11 and the support plate 13 which is fixed in surface contact with the inner plate is formed so that the joint end 14 is formed, and the connecting plate connecting the outer plate 12 and the support plate 13 While the 15 is fixed integrally,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plate 11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16 for fixing the waterproof sheet 50 are formed.
  • the support pile 10 is to be able to be conne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shown in Figure 5, can be used by connecting the support pile 1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idth and width of the work site.
  •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ile may be formed in a wedge shape, in which case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site.
  • the waterproofing liquid 100 as shown in FIGS. 9 and 11 to ensure watertightness on any one or all selected surfaces of the supporting plate 10 and the inner plate 11 and the waterproof sheet 50.
  • the multi-wall (80) for the drainage function for drainage of water generated in the interior and for strengthening the bearing capacity of the multi-wall (80) As shown in FIG. 10, a plurality of pipes 90 may be fix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conduits 81 may be formed in the pipe.
  • the conduit 81 as shown in FIG. 11 is formed outside the multiwall.
  •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multi-wall can be constructed by increasing the amount in the width or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pile 10 as much as the size of the work si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만, 하천, 댐, 콘크리트 건물의 공사를 위해 시공하는 흙 막이 공 또는 물막이 공의 기능을 동시에 보장받을 수 있는 흙과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항만, 하천, 댐, 콘크리트 건물 공사용 다중벽체 시공방법 및 그 다중벽체를 이용한 건물 구조에 관한 것으로, 천공기를 이용하여 지지파일(10)의 내곽 플레이트(11)가 삽입되는 내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20)을 공사현장 전체에 일정간격으로 천공하되,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천공하는 내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 천공단계(S100)와, 천공기를 이용하여 지지파일(10)의 외곽 플레이트(12)가 삽입되는 외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30)을 공사현장 전체에 일정간격으로 천공하되, 상기 내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20)과 일정 간격을 두고 외측 방향 둘레에 천공을 하는 외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 천공단계(S200)와, 상기 내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20)과, 외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30)의 천공 작업이 완료되면, 항타기를 이용하여 지지파일의 내곽 플레이트(11)는 내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20)에 위치하도록 배치를 하고, 타측인 지지파일(10)의 외곽 플레이트(12)는 외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30)에 위치하도록 배치를 한 다음 지지파일을 고정하여 거푸집(40)을 형성시키는 거푸집 형성단계(S300)와, 상기 지지파일(10)에 의해 형성된 거푸집(40)의 내부에 수밀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방수시트(50)를 투입하는 방수시트 투입단계(S400)와, 상기 방수시트(50) 투입 후 거푸집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또는 그라우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채움제(60)에 대한 강성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거푸집(40)의 규격과 동일 내지 유사한 규격의 입체 철근 구조물(70)을 투입하여 고정하는 입체 철근 구조물 고정단계(S500)와, 상기 입체 철근 구조물(70) 고정 후 콘크리트 또는 그라우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채움제(60)를 타설하여 충진하는 채움제 충진단계(S600)와, 상기 채움제(60)의 타설 충진 후 일정시간 동안 양생을 하고, 양생이 완료된 다중벽체(80)의 외측면에 고정된 지지파일(10)을 항발기를 이용하여 인출하는 지지파일 인출단계(S700)와, 상기 지지파일(10) 인출 후 후속 공정을 위한 주변 정리를 하는 주변 정리 단계(S800)를 실시함으로써 완성된다.

Description

[규칙 제26조에 의한 보정 20.08.2019] 흙과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항만, 하천, 댐, 콘크리트 건물 공사에 사용되는 다중벽체 시공용 지지파일 및 그 지지파일을 이용한 다중벽체 시공방법
본 발명은 흙과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항만, 하천, 댐, 콘크리트 건물 공사에 사용되는 다중벽체 시공용 지지파일 및 그 지지파일을 이용한 다중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항만, 하천, 댐, 콘크리트 건물의 공사를 위해 시공하는 흙 막이 공 또는 물막이 공의 기능을 동시에 보장받을 수 있는 흙과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항만, 하천, 댐, 콘크리트 건물 공사에 사용되는 다중벽체 시공용 지지파일 및 그 지지파일을 이용한 다중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및 건축현장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축조를 위한 지반 굴착공사시 굴착 배면의 토사 붕괴, 침하 방지 및 변위 억제를 통해 인접 지반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가설 흙 막이 공사를 수행하고 있으며, 특히, 건물이 밀집된 도심지의 경우에는 기존 건물과의 근접 시공이 빈번해짐에 따라 지반 굴착으로 인한 지반의 침하 또는 붕괴 및 주변 건물의 안정성에 대한 요구가 대두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가설 흙 막이 공사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가설 흙 막이 시공 공법은 크게 토류벽 공법과 토류벽 지지공법으로 분류되며, 그 중 도심지에서의 건축공사에 특히 적합한 토류벽 공법은 지반붕괴방지 및 굴착 배면 지하수위의 저하 및 이로 인한 토사유출을 방지하여 인접 지반의 변위 및 인접 건물의 침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심지의 건축공사에 사용되는 가설 흙 막이 토류벽 공법은, 소일 시멘트벽 공법(S.C.W 공법)과 현장 타설 콘크리트 말뚝공법(C.I.P 공법) 등의 연속벽체 공법이 주로 사용된다.
그리고 물막이 공사는 하천 및 해양에서 댐, 방조제, 수문 및 교량 등과 같은 공작 구조물의 설치시 공사구역의 주위를 둘러쌓아 외수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이며, 이러한 물막이 설치를 위한 일반적인 공법으로는 쉬트 파일공법, 케이슨 공법 및 사석과 흙을 매립하여 축조하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 쉬트 파일공법은 판형으로 이루어지는 쉬트 파일을 해저 지면에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외수의 침입을 막는 방법으로 하천 지류와 같은 소규모의 물막이에 적합하며, 해양과 같은 대규모의 물막이 공사에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고, 케이슨공법은 구조물의 기초가 되는 케이슨을 지상에서 제작한 후 해저 지면의 토사를 굴착하면서 케이슨을 가라앉혀 기초를 만드는 공법으로서, 케이슨의 고중량으로 인하여 운반 및 설치에 큰 어려움이 수반되며, 수심이 깊고 연약층이 두껍게 분포하는 지반에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 흙 막이든 물막이든 양 공법에는 상당한 높이의 콘크리트 벽을 시공하여야 한다는 공통점이 있으며, 아울러 콘크리트 벽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바닥에서부터 철근을 시공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철근 시공에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은 물론 경제적 비용이 필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시공한 이후에는 지지 파일(통상의 'H빔')을 인출할 수 없어 그대로 매장이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바 이는 토양환경을 오염시키기도 하지만, 상당한 비용의 파일을 땅속에 매립하게 되는 불합리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여 10M는 물론 30M 이상의 흙 막이 토류벽 시공은 물론 물 막이용 차수벽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중벽체를 적은 경제적 비용과 시간의 투입으로도 시공이 용이함은 물론, 시공 후에는 시공 과정에서 사용되었던 금속 지지파일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원 재사용과 더불어 토양환경을 보존할 수 있는 흙과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항만, 하천, 댐, 콘크리트 건물 공사에 사용되는 다중벽체 시공용 지지파일 및 그 지지파일을 이용한 다중벽체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피스텔, 병원, 아파트와 같은 콘크리트 건물을 시공함에 있어 건물의 주변으로 다중벽체를 시공함으로써 본 건물의 방수기능을 보장받을 수 있음과 동시에 외부충격에도 1차 방어막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의 흙과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항만, 하천, 댐, 콘크리트 건물 공사에 사용되는 다중벽체 시공용 지지파일을 이용한 다중벽체 시공방법은, 천공기를 이용하여 지지파일(10)의 내곽 플레이트(11)가 삽입되는 내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20)을 공사현장 전체에 일정간격으로 천공하되,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천공하는 내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 천공단계(S100)와, 천공기를 이용하여 지지파일(10)의 외곽 플레이트(12)가 삽입되는 외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30)을 공사현장 전체에 일정간격으로 천공하되, 상기 내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20)과 일정 간격을 두고 외측 방향 둘레에 천공을 하는 외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 천공단계(S200)와, 상기 내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20)과, 외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30)의 천공 작업이 완료되면, 항타기를 이용하여 지지파일의 내곽 플레이트(11)는 내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20)에 위치하도록 배치를 하고, 타측인 지지파일(10)의 외곽 플레이트(12)는 외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30)에 위치하도록 배치를 한 다음 지지파일을 고정하여 거푸집(40)을 형성시키는 거푸집 형성단계(S300)와, 상기 지지파일(10)에 의해 형성된 거푸집(40)의 내부에 수밀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방수시트(50)를 투입하는 방수시트 투입단계(S400)와, 상기 방수시트(50) 투입 후 거푸집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또는 그라우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채움제(60)에 대한 강성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거푸집(40)의 규격과 동일 내지 유사한 규격의 입체 철근 구조물(70)을 투입하여 고정하는 입체 철근 구조물 고정단계(S500)와, 상기 입체 철근 구조물(70) 고정 후 콘크리트 또는 그라우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채움제(60)를 타설하여 충진하는 채움제 충진단계(S600)와, 상기 채움제(60)의 타설 충진 후 일정시간 동안 양생을 하고, 양생이 완료된 다중벽체(80)의 외측면에 고정된 지지파일(10)을 항발기를 이용하여 인출하는 지지파일 인출단계(S700)와, 상기 지지파일(10) 인출 후 후속 공정을 위한 주변 정리를 하는 주변 정리 단계(S800)를 실시함으로써 다중벽체의 시공은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지파일(10)은 외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30)에 삽입되는 외곽 플레이트(12)와, 내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20)에 삽입 고정되어 실질적인 거푸집(40)형성에 관여하는 내곽 플레이트(11) 및 상기 내곽 플레이트와 면 접촉 고정되어 이음 단부(14)가 형성되도록 하는 지지플레이트(13)와,
상기 외곽 플레이트(12)와 지지플레이트(13)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15)가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한편, 상기 내곽 플레이트(11)의 표면에는 방수시트(50)를 고정해 줄 수 있는 고정홈(16)이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파일의 내곽 플레이트(11)는 내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20) 2개에 걸치는 형태로 삽입고정될 수 있으며, 이때 외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30)은 내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20)의 경계 위치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파일(10) 내곽 플레이트(11)와 방수시트(50)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전체의 선택된 어느 한 면에는 수밀성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수액(100)이 도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체 철근 구조물 고정단계에서 입체 철근 구조물(70)의 사이 사이에는 내부에서 발생 되는 물의 배수를 위한 배수 기능 및 다중벽체(80)의 지지력 강화를 위해 다중벽체(80)의 내부에 관로(81)가 형성될 수 있도록 파이프(90)가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채움제(60)에는 소정 비율(중량%)의 경화제가 동시에 혼합되어 충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흙과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항만, 하천, 댐, 콘크리트 건물 공사용 다중벽체를 이용한 건물 구조는 콘크리트 건물(110)의 외곽에 일정 거리를 두고 다중벽체(80)가 적어도 1면 이상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원 발명의 흙과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항만, 하천, 댐, 콘크리트 건물 공사에 사용되는 다중벽체 시공용 지지파일 및 그 지지파일을 이용한 다중벽체 시공방법은 10M 내지 30M 이상의 흙 막이 토류벽 시공은 물론, 물 막이용 차수벽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중벽체를 적은 경제적 비용과 시간의 투입으로도 시공이 용이하며, 시공 후에는 시공 과정에서 사용되었던 금속 지지파일을 인출할 수 있어 고가의 자원 재사용과 더불어 토양환경을 보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피스텔, 병원, 아파트와 같은 콘크리트 건물을 시공함에 있어 건물의 주변으로 다중벽체를 시공할 경우 본 건물의 방수기능을 보장받을 수 있음과 동시에 외부충격에도 1차 방어막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평면 구성도
도 2는 도 1에 사용되었던 지지파일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또 다른 일실시 예를 보인 평면구성도
도 4는 거푸집의 내부에 방수시트가 투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의 거푸집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의 입체 철근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5의 거푸집 내부에 도 6의 입체 철근 구조물이 투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8은 입체 철근 구조물이 투입된 거푸집의 내부에 채움제를 타설 충진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9는 시공이 완료된 다중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6의 또 다른 일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의해 시공된 또 다른 일실시 예의 다중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중벽체가 콘크리트 건물 주변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의 시공과정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흙과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항만, 하천, 댐, 콘크리트 건물 공사에 사용되는 다중벽체 시공용 지지파일 및 그 지지파일을 이용한 다중벽체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본원 발명의 흙과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항만, 하천, 댐, 콘크리트 건물 공사용 다중벽체 시공방법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의 천공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지지파일(10)의 내곽 플레이트(11)가 삽입되는 내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20)을 공사현장 전체에 일정간격으로 천공하되,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천공을 한다(S100).
즉, 다중벽체(80)가 형성되는 둘레에 천공을 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내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20)과 일정 간격을 두고 외측 방향 둘레에는 공지의 천공기를 이용하여 지지파일(10)의 외곽 플레이트(12)가 삽입되는 외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30)을 공사현장 전체에 일정간격으로 천공한다(S200).
상기와 같이 내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20)과, 외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30)의 천공 작업이 완료되면, 공지의 항타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지지파일의 내곽 플레이트(11)는 내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20)에 위치하도록 배치를 하고, 타측인 지지파일(10)의 외곽 플레이트(12)는 외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30)에 위치하도록 배치를 한 다음 지지파일을 고정하여 거푸집(40)을 형성시킨다(S300).
상기와 같은 방식은 도 3에서도 확인되는 것이며, 지지파일의 연결플레이트(15)가 땅속에 매립되는 과정에서 내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20)과, 외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30)의 토사가 붕괴되면서 지지파일(10)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파일의 내곽 플레이트(11)는 내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20) 2개에 걸치는 형태로 삽입고정될 수 있으며, 이때 외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30)은 내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20)의 경계 위치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지지파일에 의한 거푸집이 형성될 수 있도록 양측 끝단에도 지지파일(10)을 매립 고정시켜 4면에 마감처리 된 거푸집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거푸집의 시공이 완료되면,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시트(50)를 거푸집(40)의 내부에 투입(S400) 함으로써 상기 지지파일(10)에 의해 형성된 거푸집(40)의 내부에 수밀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상기 방수시트(50)의 투입은 지지파일의 표면에 형성된 고정홈(16)을 활용하면 보다 수월하게 방수시트의 투입작업을 완료할 수 있으며, 상기 방수시트(50) 투입 후에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40)의 규격과 동일 내지 유사한 규격의 입체 철근 구조물(70)을 투입하여 고정한다(S500).
상기 입체 철근 구조물(70)은 거푸집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또는 그라우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채움제(60)에 대한 강성과 응집력을 보장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인바, 거푸집의 외부에서 제작하여 거푸집의 내부로 투입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반적인 철근 구조물은 거푸집 시공 전에 철근 구조물을 선 작업하고, 이어서 거푸집이 철근 구조물을 둘러싸는 구조가 되는 것인데, 폭이 좁고 깊이가 적어도 10M 이상이 되는 작업 현장에서는 철근 구조물 설치 작업이 난해할 수밖에 없는 것이고, 이로 인한 작업지연은 시공원가까지 상승하게 되는 것인바, 본원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개선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입체 철근 구조물(70)의 투입은 공지의 크레인(미도시) 등을 활용할 수 있으며,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체 철근 구조물(70) 투입 고정 후에는 콘크리트 또는 그라우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채움제(60)를 타설하여 충진한다(S600).
이때 상기 채움제(60)에는 소정 비율(중량 %)의 경화제가 동시에 혼합되어 충진될 수 있으며, 채움제(60)의 타설 충진 후에는 일정시간 동안 양생을 한다.
상기 양생이 완료되어 다중벽체(80)의 형상 시공이 완료되면, 다중벽체(80)의 의 외측 면에 고정된 지지파일(10)을 항발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인출(S700)하게 되는데, 지지파일(10)이 채움제와 직접적으로 닿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인 'H-빔' 인출과정에 비해 매우 수월하다고 할 수 있으며, 금속제의 지지파일을 인출함으로써 고가의 자원 재활용은 물론, 토양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지지파일(10)을 인출한 이후에는 후속 공정을 위해 주변 정리를 함으로써 다중벽체의 시공은 종료된다(S800).
상기와 같은 시공 과정에 의해 시공되는 다중벽체(80)는 흙 막이용은 물론, 물막이용으로 적극 활용이 가능하며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건물(110)의 외곽에 일정 거리를 두고 다중벽체(80)를 적어도 1면 이상에 배치함으로써 콘크리트 건물의 내부 누수 및 외압발생시 1차 방어막이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 지지파일(10)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30)에 삽입되는 외곽 플레이트(12)와, 내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20)에 삽입 고정되어 실질적인 거푸집(40)형성에 관여하는 내곽 플레이트(11) 및 상기 내곽 플레이트와 면 접촉 고정되어 이음 단부(14)가 형성되도록 하는 지지플레이트(13)와, 상기 외곽 플레이트(12)와 지지플레이트(13)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15)가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한편, 상기 내곽 플레이트(11)의 표면에는 방수시트(50)를 고정해 줄 수 있는 고정홈(16)이 다수 개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이음 단부(14)를 통해 지지파일(10)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연결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작업현장의 넓이와 폭의 규모에 따라 지지파일(10)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지파일의 하단 일부분은 쐐기형으로 형성할 수 있는바, 이 경우에는 현장의 작업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파일(10) 내곽 플레이트(11)와 방수시트(50)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전체의 선택된 어느 한 면에는 수밀성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도 9 및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액(100)이 도포될 수 있으며, 상기 입체 철근 구조물 고정단계에서 입체 철근 구조물(70)의 사이 사이에는 내부에서 발생 되는 물의 배수를 위한 배수 기능 및 다중벽체(80)의 지지력 강화를 위해 다중벽체(80)의 내부에 관로(81)가 형성될 수 있도록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90)가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파이프(90)가 입체 철근 구조물(70)의 사이 사이에 고정된 상태에서 채움제가 타설 충진될 경우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관로(81)가 다중벽체의 외부에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다중벽체의 시공방법은 작업 현장의 규모에 따라 얼마든지 지지파일(10)의 폭 또는 넓이 방향으로 수량을 늘려서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외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30)에 삽입되는 외곽 플레이트(12); 와,
    내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20)에 삽입 고정되어 실질적인 거푸집(40)형성에 관여하는 내곽 플레이트(11) 및 상기 내곽 플레이트와 면 접촉 고정되어 이음단부(14)가 형성되도록 하는 지지플레이트(13); 와,
    상기 외곽 플레이트(12)와 지지플레이트(13)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15)가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한편, 상기 내곽 플레이트(11)의 표면에는 방수시트(50)를 고정해 줄 수 있는 고정홈(16); 이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과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흙과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항만, 하천, 댐, 콘크리트 건물 공사에 사용되는 다중벽체 시공용 지지파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파일의 내곽 플레이트(11)는 내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20) 2개에 걸치는 형태로 삽입고정될 수 있으며, 이때 외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30)은 내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20)의 경계 위치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과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항만, 하천, 댐, 콘크리트 건물 공사에 사용되는 다중벽체 시공용 지지파일.
  3. 천공기를 이용하여 외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30)에 삽입되는 외곽 플레이트(12)와, 내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20)에 삽입 고정되어 실질적인 거푸집(40)형성에 관여하는 내곽 플레이트(11) 및 상기 내곽 플레이트와 면 접촉 고정되어 이음단부(14)가 형성되도록 하는 지지플레이트(13)와, 상기 외곽 플레이트(12)와 지지플레이트(13)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15)가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한편, 상기 내곽 플레이트(11)의 표면에는 방수시트(50)를 고정해 줄 수 있는 고정홈(16)이 다수 개 형성되어 구성된 지지파일(10)의 내곽 플레이트(11)가 삽입되는 내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20)을 공사현장 전체에 일정간격으로 천공하되,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천공하는 내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 천공단계(S100); 와
    천공기를 이용하여 지지파일(10)의 외곽 플레이트(12)가 삽입되는 외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30)을 공사현장 전체에 일정간격으로 천공하되, 상기 내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20)과 일정 간격을 두고 외측 방향 둘레에 천공을 하는 외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 천공단계(S200); 와,
    상기 내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20)과, 외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30)의 천공 작업이 완료되면, 항타기를 이용하여 지지파일의 내곽 플레이트(11)는 내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20)에 위치하도록 배치를 하고, 타측인 지지파일(10)의 외곽 플레이트(12)는 외곽 플레이트 삽입용 홈(30)에 위치하도록 배치를 한 다음 지지파일을 고정하여 거푸집(40)을 형성시키는 거푸집 형성단계(S300); 와,
    상기 지지파일(10)에 의해 형성된 거푸집(40)의 내부에 수밀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방수시트(50)를 투입하는 방수시트 투입단계(S400); 와,
    상기 방수시트(50) 투입 후 거푸집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또는 그라우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채움제(60)에 대한 강성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거푸집(40)의 규격과 동일 내지 유사한 규격의 입체 철근 구조물(70)을 투입하여 고정하는 입체 철근 구조물 고정단계(S500); 와,
    상기 입체 철근 구조물(70) 고정 후 콘크리트 또는 그라우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채움제(60)를 타설하여 충진하는 채움제 충진단계(S600); 와,
    상기 채움제(60)의 타설 충진 후 일정시간 동안 양생을 하고, 양생이 완료된 다중벽체(80)의 외측면에 고정된 지지파일(10)을 항발기를 이용하여 인출하는 지지파일 인출단계(S700); 와,
    상기 지지파일(10) 인출 후 후속 공정을 위한 주변 정리를 하는 주변 정리 단계(S800);
    를 실시함으로써 다중벽체의 시공은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과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항만, 하천, 댐, 콘크리트 건물 공사에 사용되는 다중벽체 시공용 지지파일을 이용한 다중벽체 시공방법.
PCT/KR2019/009376 2018-08-09 2019-07-29 흙과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항만, 하천, 댐, 콘크리트 건물 공사에 사용되는 다중벽체 시공용 지지파일 및 그 지지파일을 이용한 다중벽체 시공방법 WO202003245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085A KR101975297B1 (ko) 2018-08-09 2018-08-09 흙과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항만, 하천, 댐, 콘크리트 건물 공사에 사용되는 다중벽체 시공용 지지파일 및 그 지지파일을 이용한 다중벽체 시공방법
KR10-2018-0093085 2018-08-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32453A1 true WO2020032453A1 (ko) 2020-02-13

Family

ID=63434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9376 WO2020032453A1 (ko) 2018-08-09 2019-07-29 흙과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항만, 하천, 댐, 콘크리트 건물 공사에 사용되는 다중벽체 시공용 지지파일 및 그 지지파일을 이용한 다중벽체 시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75297B1 (ko)
WO (1) WO202003245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32622A (zh) * 2021-11-30 2022-03-25 中交路桥建设有限公司 采用限位钢箱的桩基施工方法
CN114718102A (zh) * 2022-05-10 2022-07-08 中煤江南建设发展集团有限公司 一种组合止水结构及其施工方法
CN116180764A (zh) * 2023-04-26 2023-05-30 秦皇岛中地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基坑支护桩桩间局部水土流失集水防护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152Y1 (ko) * 2001-11-07 2002-02-19 (주)신성엔지니어링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처리 장치
KR20090016237A (ko) * 2007-08-10 2009-02-13 김규환 흙막이 공법
KR101438727B1 (ko) * 2014-02-20 2014-09-05 주식회사흥신이엔씨 지하구조물의 합벽부 방수공법
KR101644961B1 (ko) * 2015-08-26 2016-08-03 (주)부경대학교 기술지주회사 형틀작업, 단열작업, 방수작업 일체화를 위한 철근콘크리트용 일체화 모듈
KR101646527B1 (ko) * 2016-03-14 2016-08-08 에스와이시 주식회사 석재가 일체로 형성된 건축 및 토목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9978B1 (ko) 2005-01-12 2006-03-21 허영숙 지중 물막이 또는 흙막이용 파일 및 이를 이용한 물막이또는 흙막이 시공방법
KR101318793B1 (ko) 2012-12-27 2013-10-17 주식회사 케이이알 기초터파기용 흙막이 구조물
KR101859440B1 (ko) 2017-08-30 2018-05-21 유한회사 강남이앤씨 가물막이 벽체간 연결 수단을 이용한 복합형 강가시설 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152Y1 (ko) * 2001-11-07 2002-02-19 (주)신성엔지니어링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처리 장치
KR20090016237A (ko) * 2007-08-10 2009-02-13 김규환 흙막이 공법
KR101438727B1 (ko) * 2014-02-20 2014-09-05 주식회사흥신이엔씨 지하구조물의 합벽부 방수공법
KR101644961B1 (ko) * 2015-08-26 2016-08-03 (주)부경대학교 기술지주회사 형틀작업, 단열작업, 방수작업 일체화를 위한 철근콘크리트용 일체화 모듈
KR101646527B1 (ko) * 2016-03-14 2016-08-08 에스와이시 주식회사 석재가 일체로 형성된 건축 및 토목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32622A (zh) * 2021-11-30 2022-03-25 中交路桥建设有限公司 采用限位钢箱的桩基施工方法
CN114718102A (zh) * 2022-05-10 2022-07-08 中煤江南建设发展集团有限公司 一种组合止水结构及其施工方法
CN116180764A (zh) * 2023-04-26 2023-05-30 秦皇岛中地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基坑支护桩桩间局部水土流失集水防护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552A (ko) 2018-08-29
KR101975297B1 (ko)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32453A1 (ko) 흙과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항만, 하천, 댐, 콘크리트 건물 공사에 사용되는 다중벽체 시공용 지지파일 및 그 지지파일을 이용한 다중벽체 시공방법
GB1561053A (en) Construction of concrete walls
KR20120046966A (ko) 지중 연속벽 및 이의 시공방법
CN113216213B (zh) 一种地下室防水基坑结构及施工方法
CN104499489B (zh) 一种基坑施工方法
CN101748735A (zh) 软土地区减少桩偏斜的基坑开挖方法
CN102720202B (zh) 一种地下连续墙的基坑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Artola A solution to the braced excavation collapse in Singapore
CN213897154U (zh) 一种软土基坑坑底固化结构
CN212200387U (zh) 一种深水软弱淤泥地区的地连墙基础钢导墙结构
CN210529677U (zh) 一种预制地下连续墙结构
JPS5936058B2 (ja) 地下連続壁を利用した構造物の構築方法
CN114855766B (zh) 一种护岸格构式地连墙结构的施工方法
CN115262533B (zh) 免接头地下连续墙及其施工方法
CN216615879U (zh) 一种拱圈支护系统
CN112609706B (zh) 填海区基坑对撑角撑混凝土水平支护结构施工方法
KR102625776B1 (ko) 차수 강화 및 지반침하 방지기능이 향상된 cip 흙막이벽체의 시공방법
CN217710838U (zh) 一种用于既有管线的盖挖逆作施工装置
CN215948218U (zh) 一种用于狭小空间的施工支护架
CN211849297U (zh) 一种浅水区双排管桩筑坝围堰
CN114657998B (zh) 地铁车站深基坑围护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352429B1 (ko) 파형 강판 세그먼트를 이용한 방수형 가설 흙막이 공법
KR101045663B1 (ko) 이중 연속벽
WO2014069714A1 (ko) 철판을 이용한 흙막이 시공공법
JPH037152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468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468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